맨위로가기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나 워싱턴 D.C.에서 성장한 영국의 개념 미술가이자 조각가, 판화가, 화가, 설치 미술가이다. 그는 1960년대 후반부터 런던에서 활동하며, 일상적인 물건들을 선으로 드로잉하거나, 캔버스 작품과 벽화 설치에 굵고 선명한 색상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 활동을 해왔다. 1973년에는 물 한 잔을 참나무로 정의하는 개념 미술 작품인 "An Oak Tree"를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또한,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YBA 세대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2001년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 2016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계 아일랜드인 - 제이슨 셜록
    제이슨 셜록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위키백과 페이지 도입부 작성이 불가하며, 제공된 정보는 여러 항목에 걸쳐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나 출처가 없어 기본적인 정보 파악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 중국계 아일랜드인 - 스티븐 히
    스티븐 유는 유튜브 채널에서 시작된 "Emotional Damage" 밈의 기원이며, 아버지로부터 받은 말에서 영감을 얻어 실망감이나 좌절감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이 밈은 다양한 형태로 공유되고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모두 지닌다.
  • 최하위 훈작사 - 해리슨 버트위슬
    해리슨 버트위슬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올리비에 메시앙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여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등 복잡하고 현대적인 "음향적 과감함"을 가진 곡들을 작곡했으며, 그라베마이어상,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등을 수상하고 기사 작위와 명예 동반자 훈장을 받은 영국의 현대 음악 작곡가이다.
  • 최하위 훈작사 -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스티브 레드그레이브는 영국의 조정 선수이다.
  • 포덤 대학교 동문 - 앤드루 쿠오모
    앤드루 쿠오모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요양원 사망자 은폐 의혹 및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포덤 대학교 동문 - 레지나 홀
    레지나 홀은 《무서운 영화》 시리즈의 브렌다 믹스 역과 《걸스 트립》, 《서포트 더 걸스》 등의 영화 출연으로 알려진 미국의 배우로, 《서포트 더 걸스》를 통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텔레비전 드라마 《앨리 맥빌》, 《블랙 먼데이》, 《나인 퍼펙트 스트레인저스》 등에도 출연했다.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의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출생일1941년 8월 28일
출생지더블린, 아일랜드
국적아일랜드
영국
자녀제시카 크레이그-마틴
경력
분야회화
드로잉
개념 미술가
사조개념주의
교육예일 대학교
대표작'참나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초기 생애와 교육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더블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대부분을 워싱턴 D.C.에서 보냈다.[44][5][36] 그는 초기 가톨릭 학교 교육과 콜롬비아에서의 경험을 통해 예술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이후 포덤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파리의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와 예일 대학교에서 본격적으로 미술 교육을 받으며 예술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더블린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 대부분은 워싱턴 D.C.에서 보냈다.[44][5][36] 그는 8년 동안 수녀들이 운영하는 로마 가톨릭 초등학교에 다녔고, 이후 영국 베네딕토 수도원 학교(현재 세인트 안셀름 수도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빛나는 유리 패널과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의 종교적 이미지를 보도록 권장했다. 그는 예술가였던 한 신부를 통해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필립스 컬렉션에서 열린 마크 로스코의 작품 전시회에도 깊은 인상을 받았다.

아버지가 잠시 일했던 콜롬비아 보고타의 리세 프랑세(Lycée Français프랑스어)에서도 공부했다. 이곳에서 예술가 안토니오 로다(Antonio Roda)의 드로잉 수업은 그에게 예술에 대한 더 폭넓은 관점을 가르쳐 주었다. 그의 부모는 예술에 대한 경향이 없었지만, 그들의 집에 피카소의 ''탐욕스러운 아이''를 전시해 두었다.[6] 워싱턴으로 돌아온 후, 그는 지역 예술가들이 진행하는 드로잉 수업을 들었고, 1959년에는 포덤 대학교에 입학하여 영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61년 중반, 크레이그 마틴은 파리의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미술을 공부했고, 그해 가을에는 예일 대학교에서 회화 과정을 시작했다. 예일 대학교에서는 전 학과장이었던 요제프 알버스의 다학제적 실험과 색채 및 형태에 대한 미니멀리즘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크레이그 마틴은 나중에 "내가 색채에 대해 아는 모든 것은 그 강좌에서 얻은 것이다"라고 말했다. 당시 그 과정의 강사로는 알렉스 카츠와 알 헬드 등이 있었다.

2. 2. 예술적 관심의 시작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더블린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 대부분은 워싱턴 D.C.에서 보냈다.[5][36][44] 그는 8년 동안 수녀들이 운영하는 로마 가톨릭 초등학교에 다녔고, 이후에는 영국 베네딕토 수도회 학교(현재의 세인트 안셀름 수도원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이 학교들은 학생들이 빛나는 유리 패널이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그려진 종교적 이미지를 보도록 권장했다. 크레이그 마틴은 예술가였던 한 신부를 통해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필립스 컬렉션에서 열린 마크 로스코의 작품 전시회에서도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의 아버지가 잠시 일했던 콜롬비아 보고타의 리세 프랑세(Lycée Français)에서 공부하기도 했다. 그곳에서 예술가 안토니오 로다(Antonio Roda)가 진행한 드로잉 수업은 그에게 예술에 대한 더 넓은 시각을 열어주었다. 그의 부모는 예술적인 성향은 아니었지만, 집에 피카소의 '탐욕스러운 아이' 그림을 걸어두기도 했다.[6] 워싱턴으로 돌아온 크레이그 마틴은 그곳에서 예술가들이 진행하는 드로잉 수업을 들었고, 1959년에는 뉴욕의 포덤 대학교에 입학하여 영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61년 중반에는 파리의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며, 같은 해 가을에는 예일 대학교 미술대학원에 입학하여 회화를 전공했다. 예일 대학교에서는 전 학과장이었던 요제프 알버스의 다학제적 실험 정신과 색채 및 형태에 대한 미니멀리즘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크레이그 마틴은 훗날 "내가 색채에 대해 아는 모든 것은 그 강좌에서 얻은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당시 그 과정의 강사로는 알렉스 카츠와 알 헬드 등이 있었다.

2. 3. 고등 교육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더블린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워싱턴 D.C.에서 보냈다.[5][36] 그는 8년 동안 수녀들이 운영하는 로마 가톨릭 초등학교에 다녔고, 그 후에는 영국 베네딕토 수도원 학교(현재 세인트 안셀름 수도원 학교)에 다녔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빛나는 유리 패널과 스테인드글라스 창에 있는 종교적 이미지를 보도록 권장했다. 그는 예술가였던 사제 중 한 명을 통해 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필립스 컬렉션에서 마크 로스코의 작품 전시회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크레이그 마틴은 그의 아버지가 잠시 일했던 콜롬비아 보고타의 리세 프랑세(Lycée Françaisfra)에서 공부했다. 예술가 안토니오 로다가 리세에서 진행한 드로잉 수업은 그에게 예술에 대한 더 넓은 시각을 갖게 해주었다. 그의 부모는 예술에 대한 경향이 없었지만, 그들의 집에 피카소의 ''탐욕스러운 아이''를 전시해 두었다.[6] 워싱턴으로 돌아온 그는 그곳에서 예술가들이 진행하는 드로잉 수업을 들은 다음, 1959년에는 포덤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61년 중반에 크레이그 마틴은 파리의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미술을 공부했고, 그해 가을에는 예일 대학교에서 회화 과정을 시작했다. 예일 대학교에서는 전 학과장이었던 요제프 알버스의 다학제적 실험과 색채 및 형태에 대한 미니멀리즘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크레이그 마틴은 나중에 "내가 색채에 대해 아는 모든 것은 그 강좌에서 얻은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 과정의 강사로는 알렉스 카츠와 알 헬드가 있었다.

3. 작품 활동

크레이그 마틴은 1966년부터 런던에 거주하며 작업을 이어왔다.[45][7] 초기에는 상자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했으나[45], 점차 평범한 가정용품을 작품의 소재로 삼았다.[45][8] 1970년대 말부터는 일상적인 사물의 윤곽선을 그리는 선 드로잉을 시작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그의 작품 세계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46][8]

1973년에는 개념 미술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 ''참나무''(An Oak Tree영어)를 발표했다.[9] 1990년대에는 회화 작업에 집중하여, 굵은 윤곽선과 생생한 색상 배색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작품과 벽화를 제작했다.[8] 2011년부터는 분체 도장된 강철을 이용해 마치 허공에 선으로 그린 듯한 조형물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15]

그는 1973년부터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강사로 활동하며[11] 데미언 허스트를 비롯한 YBA 세대에게 영향을 미쳤다.[12]

3. 1. 초기 작품 (1960년대)

크레이그 마틴은 1966년부터 런던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45][7] 그의 초기 작품은 1960년대 후반에 제작된 상자 형태의 구조물들이 특징이다.[45][8] 이 시기 이후, 그는 점차 평범한 가정용 물품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45][8]

3. 2. 전환기 (1970년대)

''참나무'' (1973)


크레이그 마틴은 1966년부터 런던에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이어왔다.[7][45] 1960년대 후반에는 상자 형태의 구조물을 주로 만들었으나, 점차 평범한 가정용품을 작품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46][8]

1973년, 그는 획기적인 작품인 ''참나무''(An Oak Treeeng)를 전시했다.[9] 이 작품은 갤러리 벽에 부착된 선반 위에 놓인 물 한 잔과 함께, 그것이 실제로 참나무인 이유를 설명하는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은 오스트레일리아 세관에서 식물로 간주하여 입국을 금지하자, 그는 그것이 실제로는 물 한 잔이라고 설명해야 했다.[10] 이 작품은 1977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미술관에 의해 구매되었으며, 테이트 미술관은 작가의 사본을 소장하고 있다.[10]

1970년대 말부터는 일상적인 사물의 윤곽선을 따라 그리는 선 드로잉 작업을 시작했다. 이 드로잉 스타일은 이후 수년에 걸쳐 발전하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그의 독특한 작품 세계의 토대가 되었다.[46][8]

3. 3. 대표작: 참나무 (An Oak Tree)

1973년, 그는 획기적인 작품인 참나무(An Oak Tree)를 전시했다.[9] 이 작품은 갤러리 벽에 부착된 선반 위에 놓인 물 한 잔과 함께, 그것이 실제로 참나무인 이유를 설명하는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번은 호주 세관에서 식물로 간주하여 입국을 금지하자, 그는 그것이 실제로는 물 한 잔이라고 설명해야 했다.[10] 이 작품은 1977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미술관에 의해 구매되었으며, 테이트 미술관은 작가의 사본을 소장하고 있다.[10]

3. 4. YBA에 미친 영향

1973년부터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강사로 재직했으며,[11] 1980년대에는 데미언 허스트를 포함한 떠오르는 YBA(Young British Artists) 세대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2] 그는 또한 기성 미술계 인사들에게 YBA 작가들이 주축이 된 ''프리즈'' 전시를 알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95년에는 런던 사우스뱅크 센터에서 열린 드로잉의 역사를 다룬 순회 전시회 ''Drawing the Line''을 기획했다.[13] 크레이그 마틴과 그의 영향력은 영국 미술계의 멘토에 관한 ''옵저버''의 기사 "Schools of Thought"에서 조명되기도 했다.[14] 그는 테이트 미술관의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영국 국립미술 컬렉션 기금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3. 5. 후기 작품 (1990년대 이후)

크레이그-마틴의 벽화, 트라이톤 스퀘어, 런던


1970년대 후반부터 그는 일상적인 물건들을 선으로 그리기 시작했으며, 수년에 걸쳐 그의 작품의 토대가 되는 이미지 어휘를 점차 확장했다. 1990년대에 그의 작업 초점은 회화로 옮겨갔다. 그는 캔버스 작품과 점점 더 복잡해지는 벽화 설치 작업에 모두 굵은 윤곽선의 모티프와 생생한 색상 배색을 동일하게 적용했다.[8]

2011년부터 크레이그 마틴은 분체 도장된 강철을 이용한 조형물 작업을 시작했다.[15] 이 조형물들은 일상적인 물건을 묘사하며, 마치 허공에 선으로 그린 그림처럼 보인다. 이 조형물 시리즈의 첫 작품들은 2014년 영국 더비셔의 채츠워스 하우스 정원에 설치되어 공개되었다.[16] 작품들은 정원 토양에 직접 설치된 형태로 전시되었다.

4. 전시

R.A. 서머 전시회 2015]]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이 로열 아카데미에서 열린 2024년 회고전 개막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크레이그 마틴은 1969년 런던의 로완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이후 영국과 해외에서 꾸준히 전시회를 개최하며 활동했다. 1998년에는 상파울루 미술 비엔날레에서 영국 대표로 참가했다.[13] 미국에서는 현대 미술관(MoMA)의 "프로젝트" 시리즈를 통해 처음으로 작품을 선보였다.[7]

주요 개인 박물관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주요 개인 박물관 전시회
연도전시명장소
1998"Always Now"하노버 쿤스트페어라인
2000(전시명 정보 없음)IVAM, 발렌시아
2001"Living"신트라 현대 미술관, 포르투갈
2006"Signs of Life"쿤스트하우스 브레겐츠, 오스트리아
2013"Less Is Still More"에스터스 미술관, 크레펠트, 독일[17]



1989년에는 런던의 화이트채플 갤러리에서 회고전을 가졌다. 2006년에는 아일랜드 현대 미술관에서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1964–2006년 작품"이라는 제목으로 대규모 회고전을 열었다. 이 전시에서는 40년이 넘는 그의 예술 경력을 아우르는 회화, 조각, 벽화, 네온, 텍스트 작품 등 약 50점을 선보였다. 전시된 작품 중 ''On the Table'' (1970)은 테이블 위에 매달린 네 개의 금속 양동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미니멀리즘개념 미술이 작가에게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특히, 평범한 선반 위의 물 한 잔과 "예술가의 의도가 사물 자체보다 우위에 있음을 주장하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참나무'' (An Oak Tree, 1973)는 개념 미술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18]

2015년에는 서펜타인 갤러리에서 "Transience"라는 제목의 전시를 열었다. 이 전시는 1981년부터 2015년까지의 작품들을 통해, 한때 익숙했지만 지금은 구식이 된 노트북, 게임 콘솔, 흑백 텔레비전, 백열전구 등 기술의 표현을 중심으로 기술 혁신의 가속화되는 일시성을 탐구했다.[19] 같은 해, 크레이그 마틴은 로열 아카데미 서머 전시회를 직접 기획했으며, 자신과 같은 세대의 여러 예술가들을 초청하여 함께 전시를 꾸렸다.[20] 2024년에는 런던의 로열 아카데미에서 다시 한번 회고전을 개최했다.[21]

5. 작품 소장처

크레이그-마틴의 런던 지하철 둥근 표지 디자인, 새롭게 개장한 테이트 모던을 기념하여 사우스워크 역에 설치되었다.


크레이그-마틴의 작품은 전 세계의 공공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으며, 주요 소장처는 다음과 같다.

기관명소재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미술관[22]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조르주 퐁피두 센터[23]파리, 프랑스
국립 도서관[24]파리, 프랑스
아일랜드 현대 미술관[25]더블린, 아일랜드
영국 예술 위원회[26]영국
영국 문화원[27]영국
정부 미술 컬렉션[28]영국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29]런던, 영국
테이트 미술관[30]런던, 영국
뉴욕 현대 미술관[31]뉴욕, 미국
하버드 대학교 미술관[32]케임브리지, 미국
예일 영국 미술관[33]코네티컷, 미국


6. 사생활

크레이그 마틴은 예일 대학교에서 잔 해시를 만나[36] 1963년에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딸 제시카 크레이그-마틴이 있으며, 현재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34] 크레이그 마틴이 커밍아웃하여 게이임을 밝히면서 1976년에 결혼 생활을 마쳤다.[35][36] 크레이그 마틴의 증조할머니는 중국 우한 출신으로, 그는 영국계 중국인 혈통을 가지고 있다.[37]

그는 2001년 생일 서훈에서 대영 제국 훈장 사령관(CBE)으로 임명되었으며,[38] 예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6년 생일 서훈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다.[39]

참조

[1] 뉴스 Interview: Michael Craig-Martin: Up close and impersonal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2011-05-04
[2] 웹사이트 Craig-Martin, Michael https://www.oxfordar[...]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05
[3] 웹사이트 Goldsmiths College staff list http://www.gold.ac.u[...] 2011-01-25
[4] 서적 On Being An Artist http://www.artbooksp[...] 2015-01-18
[5]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http://www.studioint[...] 2014
[6] 웹사이트 Craigh-Martin profile http://dome.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6-06-14
[7] 뉴스 Wholesome Enough for Children https://www.nytimes.[...] 2016-06-14
[8]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profile https://www.gagosian[...] 2016-06-14
[9] 웹사이트 An Oak Tree 1973: Short text http://www.tate.org.[...] Tate 2008-11-08
[10] 웹사이트 Art Space Talk: Michael Craig-Martin http://www.myartspac[...] 2008-10-31
[11]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https://www.national[...] National Galleries of Scotland 2022-08-09
[12]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on educating Damien Hirst – TateShots https://www.tate.org[...] 2019-11-06
[13] 웹사이트 Collection: Michael Craig-Martin http://collection.br[...] British Council 2012-01-15
[14] 문서 Life: The Observer Magazine – A celebration of 500 years of British Art – 19 March 2000
[15]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Sculpture, May 31–August 23, 2019 https://gagosian.com[...] Gagosian Gallery 2019-08-17
[16] 뉴스 High heels and pink pitchforks adorn Chatsworth house lawns https://www.theguard[...] 2014-03-12
[17]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June 12 - August 16, 2014 http://www.gagosian.[...] Gagosian Gallery
[18]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at the Irish Museum of Modern Art http://www.artinfo.c[...] ARTINFO 2008-04-23
[19]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Transience at the Serpentine Galleries, London http://www.serpentin[...] 2016-02-26
[20] 간행물 Summer Exhibition 2015, 8 June - 16 August 2015 https://www.royalaca[...] Royal Academy Summer Exhibition 2024-10-12
[21]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21 September - 10 December 2024 https://www.royalaca[...] Royal Academy 2024-10-12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aintings and Sculpture | An oak tree https://nga.gov.au/i[...]
[23]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4]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https://data.bnf.fr/[...]
[25] 웹사이트 Collection https://imma.ie/coll[...]
[26] 웹사이트 Craig-Martin, Michael | Arts Council Collection https://www.artscoun[...]
[27]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 Artists | Collection | British Council − Visual Arts http://visualarts.br[...]
[28] 웹사이트 Government Art Collection - Contact us https://www.gac.cult[...]
[29] 웹사이트 Your Search Results | Search the Collections | Victoria and Albert Museum https://collections.[...]
[30]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born 1941 https://www.tate.org[...]
[31] 웹사이트 Michael Craig-Martin | MoMA https://www.moma.org[...]
[32] 웹사이트 Harvard Art Museums https://www.harvarda[...]
[33]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Creator:michael craig-martin) https://collections.[...]
[34] 뉴스 Possessed – Letting Fate Take the Picture https://www.nytimes.[...] 2003-06-29
[35]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interview: ‘I have always thought everything important is right in front of you’ https://www.theguard[...] Daily Telegraph 2023-12-20
[36]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Out of the Ordinary https://www.telegrap[...] Daily Telegraph 2007-11-24
[37] 간행물 Michael Craig-Martin is known as the Godfather of the Young British Artist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04-30
[38] 간행물 London Gazette 2001-06-16
[39] 간행물 London Gazette 2016-06-11
[40] 뉴스 Interview: Michael Craig-Martin: Up close and impersonal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2011-05-04
[41] 웹인용 Craig-Martin, Michael https://www.oxfordar[...]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05
[42] 웹사이트 Goldsmiths College staff list http://www.gold.ac.u[...] 2011-01-25
[43] 서적 On Being An Artist http://www.artbooksp[...] 2015-01-18
[44] 잡지 Michael Craig-Martin http://www.studioint[...] 2014
[45] 뉴스 Wholesome Enough for Children https://www.nytimes.[...] 2016-06-14
[46] 웹인용 Michael Craig-Martin profile https://www.gagosian[...] 2016-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