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키 프리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키 프리베리(Maria Elisabeth Friberg, 1861년 1월 5일 ~ 1927년 11월 6일)는 핀란드의 여성 운동가, 평화주의자, 교육자, 언론인이다. 헬싱키의 스웨덴 여성 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활동하며, 베를린과 취리히에서 유학했다. 1906년 여성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어 Kvinnosaksförbundet Unionen(연합 여성 협회)을 대표하여 활동했으며, 핀란드 여성의 투표권 획득을 지지했다. 핀란드 여성 협회, 핀란드 평화 협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1905년 여성 잡지 Naisten ääni(여성의 목소리)를 창간하여 사망할 때까지 편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평화주의자 - 루키나 하그만
루키나 하그만은 핀란드의 교사이자 여성 운동가, 작가, 정치인으로, 의회 의원 활동, 여성 단체 조직, 평화 운동 참여, 전기 집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핀란드의 작가 - 미카엘 아그리콜라
핀란드의 종교 개혁가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핀란드어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핀란드어 표준 표기법 개발, 최초의 핀란드어 신약성서 번역, 종교 서적 출판 등의 업적을 남겼고 핀란드 최초의 루터교 주교를 역임했다. - 핀란드의 작가 - 아우니 누올리바라
아우니 누올리바라는 1936년 오타바 도서상을 수상한 소설 《목자, 하녀, 그리고 안주인》으로 유명하며, 소설 외에도 연극, 라디오 드라마, 어린이 책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한 핀란드의 작가이다. - 핀란드의 여성주의자 - 산나 마린
핀란드의 정치인 산나 마린은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탐페레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교통통신부 장관을 거쳐 2019년 1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핀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최연소 총리가 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대응으로 주목받았으나 사생활 및 공금 사용 논란을 겪었으며, 2023년 총선 후 총리직에서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다. - 핀란드의 여성주의자 - 민나 칸트
19세기 핀란드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페미니스트인 민나 칸트는 여성 참정권 운동에 기여하고 리얼리즘 문학을 개척하며 핀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키 프리베리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Maria Elisabeth Friberg (마리아 엘리사베트 프리베리) |
출생 | 1861년 1월 9일 |
사망 | 1927년 11월 6일 |
국적 | 핀란드 |
직업 | 편집자 교사 여성 권리 운동가 평화 운동가 |
경력 | |
활동 | 핀란드 여성 협회 이사 여성권 협회 회장 국제 여성 평화 자유 연맹 이사 |
주목할 만한 활동 | 여성 참정권 운동, 평화 운동 |
2. 생애
핀란드의 교육자이자 여성 운동가, 평화 운동가이다. 헬싱키의 인민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교육 활동에 힘썼고, 동시에 유럽 여러 대학에서 수학하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1] 그녀는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교육 및 사회 문제에 대한 견문을 넓혔다.[1]
1906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여성 운동에 참여하여 핀란드 여성 참정권 획득 이후 국제 회의에서 주목받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2] 또한 평화주의와 금주 운동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러시아 제국의 핀란드 자치권 제한 정책을 비판하고 핀란드와 사미인의 교육 현실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1]
1912년, 교육계 내 차별적 대우에 실망하여 30년간 몸담았던 교직을 떠나 여성 및 평화 운동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1] 이후 핀란드 여성 협회, Kvinnosaksförbundet Unionenswe(연합 여성 협회), 핀란드 평화 협회(Finlands Fredsförbundswe) 등 여러 단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또한 언론 활동에도 힘써 1905년 여성 문제 전문 잡지 Naisten äänifin(여성의 목소리)를 창간하여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했다.[1][3]
1927년 11월 6일 헬싱키에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마리아 엘리자베트 프리베리는 1861년 1월 5일 캉카안패에서 칼 아르비드 프리베리와 파니 아델라이드 보이예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떠난 후, 어머니는 아이들과 함께 탐페레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했다. 프리베리는 헬싱키에 있는 스웨덴 여성 학교에 다녔으며, 교사 양성 과정을 마쳤다.[1]1883년, 프리베리는 헬싱키의 인민학교 교사로 임용되어 1912년까지 근무했다. 그녀는 학업을 계속하여 베를린과 취리히에서 공부했으며, 1897년에는 베른 대학교에서 북유럽 민속 법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브뤼셀 자유 대학교에서 경제학 강의를 들었고,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1906년까지 유럽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교육 방법론에 대한 견문을 넓혔고, 이 과정에서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 특히 덴마크 사람들과 교류하며 친분을 쌓았다.[1]
30년간 교육 현장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프리베리는 1912년 헬싱키 인민학교 부감독관직에 지원했다. 그러나 당시 선발 권한을 가진 헬싱키 시의회 의원 구스 맷슨이 해당 직책에 임명되었다. 이 결정에 크게 실망한 프리베리는 교직을 떠나기로 결심했다.[1]
2. 2. 교육 활동
헬싱키의 스웨덴 여성 학교에 입학하여 교사 양성 과정을 졸업했다.[1]1883년, 프리베리는 헬싱키의 인민학교 교사로 임용되어 1912년까지 약 30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1]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에도 학업을 이어가 베를린과 취리히에서 공부했으며, 1897년에는 베른 대학교에서 북유럽 민속 법에 관한 논문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브뤼셀 자유 대학교(1834-1969)에서 경제학 강의를 수강하며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1]
1906년까지 유럽 여러 나라를 방문하며 선진 교수법을 익히고 경험을 쌓았으며, 이 과정에서 덴마크를 비롯한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교육자 및 지식인들과 교류했다.[1] 또한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등지에서 핀란드와 사미인의 학교 교육 현실에 대해 강연하며 핀란드의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힘썼다. 특히 러시아 제국 정부가 핀란드의 자치권을 제한하려는 정책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알렸다.[1]
풍부한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1912년 헬싱키 인민학교 부감독관직에 지원했으나, 당시 선발 권한을 가진 헬싱키 시의회의 구스 맷슨이 최종 임명되었다. 이에 프리베리는 교직을 떠나 여성 문제 해결에 더욱 집중하기로 결심했다.[1]
2. 3. 여성 운동 및 평화 운동
1906년 유럽 여행 중 여성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프리베리는 다양한 회의와 의회에 참석하며 활동을 시작했다.[1] 그녀는 종종 Kvinnosaksförbundet Unionenswe(연합 여성 협회)의 대표로 참여했다.[1] 특히 190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 여성 연맹 회의에서는 핀란드 여성들이 그 해 투표권을 얻었기에 그녀의 발언이 주목받았다.[2] 이 시기부터 프리베리는 평화주의와 금주 운동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1]프리베리는 여러 여성 및 평화 단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889년부터 핀란드 여성 협회 회원이었으며, 1907년부터 1924년까지 이사회에서 활동했다.[1] 또한, 1892년 공동 설립한 연합 협회에서는 1920년부터 1927년까지 의장을 역임했다.[1] 그녀는 핀란드 평화 협회 Finlands Fredsförbundswe에서도 활동하며 평화 운동에 기여했다.[1]
1912년, 헬싱키 인민학교 부감독관직에 지원했으나 남성 후보인 구스 맷슨이 임명되자, 프리베리는 이에 실망하여 30년간의 교직 생활을 마감하고 여성 문제에 전념하기로 결정했다.[1]
프리베리는 핀란드 및 해외 신문에 꾸준히 글을 기고했으며, 1905년에는 직접 여성 문제 전문 잡지인 Naisten äänifin(여성의 목소리)를 창간하여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으로 활동했다.[1] 1909년에는 이 잡지를 통해 런던에서 열린 국제 여성 연맹 회의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3]
2. 4. 언론 활동
핀란드 및 해외 신문에 기고했으며, 1905년에는 자신의 잡지인 ''Naisten ääni''(여성의 목소리)를 창간하여 사망할 때까지 편집자로 활동했다.[1] 1909년에는 ''Naisten ääni''를 통해 런던에서 열린 국제 여성 연맹 회의에 대한 기사를 싣기도 했다.[3]참조
[1]
웹사이트
Friberg, Maikki
http://www.blf.fi/ar[...]
Biografiskt lexikon för Finland
[2]
서적
Sophie Alberti: kvindesagspioner og førstedame i Kvindelig Læseforening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3]
웹사이트
Journalist and suffragette Maikki Friberg describes The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Women's Suffrage Alliance in London
http://www.taleoftwo[...]
The Finnish Institute in Lon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