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또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또안은 막 왕조의 인물로, 막머우헙의 장남이다. 1592년 후 레 왕조의 침공으로 아버지 막머우헙이 섭정으로 임명하여 후사를 부탁하였다. 막머우헙이 죽자 웅례공 막낀찌가 황제로 자립하고 막또안은 고립되어 도주하다가 후 레 왕조에 사로잡혔다. 1593년 정월, 찐뚱에 의해 막낀찌와 함께 참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 왕조의 황제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막 왕조의 황제 - 막푹응우옌
막푹응우옌은 1546년 막 왕조의 황제가 되어 영정으로 개원했으나, 반란과 침략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1564년 사망 후 아들이 뒤를 이었다. - 1593년 사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93년 사망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막또안 | |
---|---|
기본 정보 | |
칭호 | 대월의 황제 |
통치 기간 | 1592년–1593년 |
이전 통치자 | 막 모 헙 |
다음 통치자 | 막 낑 찌 |
왕조 | 막 왕조 |
시대 날짜 | 부 안 (武安) |
출생일 | ? |
출생 장소 | 대월 |
사망일 | 1593년 |
사망 장소 | 대월 |
가족 | |
아버지 | 막 마우 헙 |
막 왕조 정보 | |
묘호 | 경종 (景宗) |
시호 | 개천충지안문분무성황제 (開天沖地安文奮武成皇帝) |
휘 | 막 toàn (莫全) |
원호 | 무안 (武安) : 1592년 - 1593년 |
몰년 | 강우 원년 1월 27일 (1593년2월 27일) |
2. 생애
1592년 10월, 후 레 왕조의 찐뚱이 장군 호앙딘아이(黃廷愛)를 보내 막 왕조를 쳤고, 탕롱을 공격해 함락했다. 이어서 해양(海陽) 금성현(金城縣)이 함락되었고, 막머우헙의 모친이 포로로 잡혔다. 11월 말, 막머우헙은 막또안에게 감국(監國)을 명하고 부안으로 연호를 고쳤으며, 군대를 이끌고 후 레 왕조와 교전했으나 패배하여 사로잡혀 살해되었다.[1][2]
막머우헙이 죽자 웅례공 막낀찌는 해양(海陽), 안광(安廣) 일대를 점거하고 황제로 자립하였고, 막 왕조의 대신들은 그에게 많이 귀부하였으며 막또안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고립된 막또안은 도주하다가 12월 12일(1593년 1월 14일)에 후 레 왕조 군에게 붙잡혔다.
1593년 정월, 찐뚱은 호앙딘아이, 응우옌흐우리에우(阮有僚) 등을 이끌고 막낀찌를 공격하여 막낀찌 및 막 왕조의 많은 종실과 대신들을 사로잡았다. 1월 27일(1593년 2월 27일), 찐뚱은 막낀찌와 막또안을 초진(草津) 일대에서 참수하였다.
2. 1. 즉위 이전
영조(막무흡)의 장남이다. 1592년 6월 5일 황정애(Hoàng Đình Ái)가 이끄는 후 레 왕조 군이 수도 승룡으로 침공해 오자, 아버지인 황제로부터 감국으로 임명되어 후사를 부탁받았다.[1][2] 승룡이 함락되어 영조가 후 레 왕조 군에게 붙잡히자, 해양이나 안광 일대의 세력은 경종을 따르지 않고, 황족인 웅례공 막경지를 황제로 옹립했다.(막민종)2. 2. 웅례공의 옹립과 최후
1592년 10월, 후 레 왕조의 찐뚱이 장군 호앙딘아이(黃廷愛)를 보내 막 왕조를 쳤고, 탕롱을 공격해 함락했다. 이어서 해양(海陽) 금성현(金城縣)이 함락되었고, 막머우헙의 모친이 포로로 잡혔다. 11월 말, 막머우헙은 막또안에게 감국(監國)을 명하고 부안으로 연호를 고쳤으며, 군대를 이끌고 후 레 왕조와 교전하였다. 그러나 막머우헙은 패배하여 사로잡혔고 이후 살해되었다.[1][2]막머우헙이 죽자 웅례공 막낀찌는 해양(海陽), 안광(安廣) 일대를 점거하고 황제로 자립하였고, 막 왕조의 대신들은 그에게 많이 귀부하였으며 막또안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막또안은 고립되었고, 도주하다가 후 레 왕조의 사병에게 사로잡혔다.
1593년 정월, 찐뚱은 호앙딘아이, 응우옌흐우리에우(阮有僚) 등 부(部)를 이끌고 막낀찌를 공격하여 막낀찌 및 막 왕조의 많은 종실과 대신들을 사로잡았다. 같은 해 1월 27일, 찐뚱은 막낀찌와 막또안을 초진(草津) 일대에서 참수하였다.
2. 3. 막 왕조의 멸망
1592년 10월, 후 레 왕조의 찐뚱이 장군 호앙딘아이(黃廷愛)를 보내 막 왕조를 쳤고, 탕롱을 공격해 함락했다. 이어서 해양(海陽) 금성현(金城縣)이 함락되었고, 막머우헙의 모친이 포로로 잡혔다.[1][2] 11월 말, 막머우헙이 막또안에게 감국(監國)을 명하였고, 부안으로 개원하였으며, 군대를 이끌고 후 레 왕조와 교전하였다. 막머우헙은 패배하여 사로잡혔고 이후 살해되었다.막머우헙이 죽자 웅례공 막낀찌는 해양(海陽), 안광(安廣) 일대를 점거하고 황제로 자립하였고, 막 왕조의 대신들은 그에게 많이 귀부하였으며 막또안의 명령을 좇기를 원하지 않았다. 막또안은 고립되었고, 도주하다가 후 레 왕조의 사병에게 사로잡혔다.
1593년 1월, 찐뚱은 호앙딘아이, 응우옌흐우리에우(阮有僚) 등을 이끌고 막낀찌를 공격하여 막낀찌 및 막 왕조의 많은 종실과 대신들을 사로잡았다. 같은 해 1월 27일, 찐뚱이 막낀찌와 막또안을 초진(草津) 일대에서 참수하였다.
참조
[1]
서적
大越史記全書
[2]
서적
ベトナム史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