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 레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 레 왕조는 1428년 레러이가 명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건국한 베트남의 왕조이다. 레 왕조는 초기에는 번영을 누렸으나, 이후 권력 투쟁과 혼란을 겪으며 쇠퇴했다. 특히 레 성종 시대에는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이후 왕권이 약화되고 막당중의 찬탈로 멸망했다. 1533년 응우옌 킴에 의해 레 왕조가 부활했지만, 정씨와 응우옌씨의 대립으로 남북조 시대를 겪었다. 1771년 떠이선 반란으로 응우옌씨가 멸망하고, 레 왕조는 떠이선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청나라의 지원을 받은 찌에우통제의 실패로 멸망했다. 후 레 왕조는 예술, 문화,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중국과의 조공 관계와 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대외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후 레 왕조 - 응우옌 주
    응우옌 주는 16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베트남 남부를 다스린 응우옌 씨 가문의 통치 체제로, 응우옌 황이 광남국을 건설하며 시작되어 정씨와의 갈등 속 남진 정책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유럽과의 교류로 군사력을 강화했으나 서산의 난과 정씨의 공격으로 몰락, 응우옌 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건립하며 마무리되었다.
  • 대월 - 리 왕조
    리 왕조는 1009년에 건국되어 1225년까지 존속한 베트남의 왕조로, 하노이를 수도로 삼고 불교를 장려하며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3세기 초 쇠퇴하여 쩐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 대월 - 막 왕조
    막 왕조는 1527년 막당중이 찬탈하여 건국한 베트남의 왕조이며, 내정 정비로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레 왕조 부흥 세력과의 항쟁으로 국토가 분열되었고, 1592년 멸망 후 잔존 세력이 지방 정권으로 존속하다가 1677년 완전히 멸망했다.
  • 베트남의 군주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베트남의 군주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후 레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8세기 베트남 지도
1770년, 레현종 시대의 대월 지도. 코친차이나의 응우옌 주, 통킹의 찐 주 사이에서 베트남 영토 분열을 보여줌.
1500년 베트남 지도
1471년 참파-베트남 전쟁 이후와 1479년 베트남-라오스 전쟁 이후 대월의 새로운 영토 (진한 녹색).
기본 정보
국명대월국
로마자 표기Đại Việt Quốc
일반 명칭레 왕조
존속 기간1428년–1527년, 1533년–1789년
위치베트남,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수도동경(1428년–1527년, 1592년–1789년), 서경(임시 수도, 1543년–1592년)
망명 수도삼느아(1531년–1540년)
공용어한문(기록), 중세 베트남어, 기타 지역 언어
종교베트남 민간 신앙, 유교(국교), 불교, 도교,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교
통화구리 합금 및 아연 동전(文)
정치
정부 형태전제군주제(1428년–1527년), 망명 정부(1531년–1540년), 군주제(군사 독재, 1533년–1788년), 청나라 보호령(1788년–1789년)
지배자 칭호황제
사실상의 지배자군사 독재자 및 섭정
건국레러이 즉위 (1428년 4월 29일)
멸망응옥호이-동다 전투(1789년 1월 30일)
명나라 조공국명나라 (1428년–1644년), 남명 (1644년–1662년), 청나라 (1662년–1789년)
주요 사건막당중의 왕위 찬탈 (1527년 6월 15일), 동경 재탈환 (1592년 12월)
군주
초대 군주레 태조(1428년–1433년)
마지막 군주레 민제(1786년–1789년)
군사 지도자
초대 지도자응우옌김(1533년–1545년)
통치찐 주(1545년–1787년)
마지막 지도자응우옌후에(1787년–1788년)
역사
건국 이전레러이의 람손 봉기(1418년–1427년)
선행 국가제4차 북부 지배, 명나라
후행 국가막 왕조(1527년), 응우옌 주(1789년), 떠이선 왕조(1789년)
인구
1490년7,700,000명
기타
왕조레 왕조
가문레 가문
칭호대월 황제/대월 왕, 교지군왕(중국), 안남국왕(중국)
설립15세기
폐지1789년
같이 보기
주요 인물레러이
관련 문서
이전 왕조전 레 왕조
왕조 구분초기 레 왕조, 후기 레 왕조
관련 왕조막 왕조

2. 전기 역사 (1428년–1527년)

15세기 초 명나라의 지배에 맞서 타인호아성 출신의 레러이(黎利)가 봉기하여 명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베트남의 독립을 회복했다. 1428년 하노이에서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월(大越)로 정하고 후 레 왕조를 창건하였다.

레러이 사후, 정권의 중심은 그와 함께 명나라에 맞서 싸운 개국공신들(주로 타인호아 출신)에게 넘어갔다. 이들은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 지방에 영지를 가진 호족 세력으로서 권력을 장악했으며, 초기 레 왕조의 역사는 이들 개국공신 및 그 후손들 사이의 권력 투쟁이 왕위 계승 문제와 얽혀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왕조는 군사, 지방 행정, 재정 제도를 정비하고 명나라로부터 책봉을 받는 등 내정과 외교의 안정을 꾀하며 국가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레타이똥 대에는 과거제가 확립되었고, 레년똥 대에는 참파와의 분쟁 속에서 군사적 우위를 보이기도 했으나, 1459년 그의 이복형 레응이전에 의한 왕위 찬탈 사건[147]이 발생하는 등 정치적 불안정은 지속되었다.

1460년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 즉위한 레타인똥(Lê Thánh Tông) 시대에 후 레 왕조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성종은 명나라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남쪽의 참파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공세를 펼쳐 1471년 수도 비자야를 함락시키고 참파를 복속시켰다. 또한 서쪽의 란쌍 왕국을 공격하기도 했다. 내부적으로는 개국공신 세력을 견제하고 과거제를 통해 등용한 새로운 관료들을 중용하며 왕권을 강화했으며, 율령 제도를 정비하여 국가 시스템을 체계화했다. 이 시기 베트남의 문화와 예술 또한 중국의 영향 속에서도 민족적 독자성을 보이며 크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성종 시대의 번영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의 뒤를 이은 레헌종(Lê Hiển Tông)이 요절하고, 레숙종(Lê Súc Tông)과 위목제(Uy Mục)가 연이어 즉위했으나 국운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특히 위목제의 폭정은 극심하여 1509년 쿠데타로 축출되고 상익제(Lê Tương Dực)가 즉위했으나, 그 역시 향락과 폭정을 일삼다 1516년 살해되었다. 뒤이어 즉위한 레소종(Lê Chiêu Tông) 시기에는 조정 내 권신들이 사병(私兵)을 거느리고 항쟁을 벌이는 등 극심한 혼란이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하이즈엉성 출신 무장 막당중(Mạc Đăng Dung)이 군권을 장악하며 실권을 쥐게 되었다. 결국 막당중은 소종과 그의 뒤를 이어 옹립된 레공황(Lê Cung Hoàng)을 차례로 제거하고 1527년 선양의 형식을 빌려 왕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웠다. 이로써 후 레 왕조의 전기는 약 100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2. 1. 명나라로부터의 독립과 레 왕조 건국

1428년 명나라로부터 베트남의 독립을 선포한 「빈 응오 대 까오」(平吳大誥)의 첫 페이지


15세기 초 명나라는 베트남을 지배하고 있었다(제4차 북속기, 1407년 - 1427년). 이러한 상황에서 타인호아성 출신인 레러이(Lê Lợi, 무옹족 출신이라는 설도 있음)는 1418년 명나라의 지배에 반대하는 봉기를 일으켰다.[5][6][7][8][9][10] 이는 명나라 군대가 쩐 왕조의 왕족인 쩐 응오이(Trần Ngỗi)와 쩐 꾸이 꾸앙(Trần Quý Khoáng)의 저항 세력을 진압한 이후였다. 레러이는 1416년 겨울, 타인호아성 룽냐이(Lũng Nhai)에서 18명의 동지들과 함께 비밀리에 도교 의식을 치르고 명나라에 맞서 싸워 베트남의 독립과 주권을 되찾을 것을 맹세했다.[11]

람선 봉기(Lam Sơn khởi nghĩa)는 1418년 2월, 뗏(음력 설) 다음 날 시작되었다.[12]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레러이가 이끄는 람선군은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 1424년 11월, 람선군은 라오스 내 근거지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응에안성을 점령했고, 이로 인해 베트남 출신 명나라 장수 르엉 눠 홋(Lương Nhữ Hốt)은 북쪽으로 후퇴했다. 인구가 밀집된 응에안성에 새로운 근거지를 확보한 레러이의 군대는 타인호아성에서 다낭에 이르는 현재 베트남 중부 지역을 장악했다.[13]

1426년 8월, 람선군은 북부 방어를 담당하던 왕통(王通) 장군이 이끄는 새로운 명나라 군대에 맞서 북쪽으로 공세를 펼쳤다.[14] 당시 새로 즉위한 명나라 황제 선덕제는 베트남과의 전쟁 종결을 원했으나, 그의 신하들은 반란 지역 진압을 위한 마지막 군사 작전을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명나라는 약 10만 명의 대규모 군대를 베트남에 파병했다.[15] 그러나 1426년 10월 벌어진 결정적인 톳동-쭉동 전투에서 레러이의 군대가 대승을 거두면서 전세는 크게 기울었다.[16]

1427년 초 레러이의 군대는 베트남 북부 대부분을 장악하고 현재 광서 남쪽 국경까지 진격했다. 명나라와의 협상 끝에, 레러이는 명분상 쩐까오(Trần Cảo)를 안남의 왕으로 잠시 내세웠고(1426년-1428년)[17][16], 명나라 군대는 1428년까지 베트남에서 완전히 철수했다.[16] 이후 레러이는 1428년 현재의 하노이에서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월(大越)로 정하고 후 레 왕조를 창건했다. 이로써 베트남은 명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회복하였다.

2. 2. 초기 왕조의 안정화와 개혁 정치

레러이 사후, 레 왕조의 정권은 그와 함께 명나라와 싸웠던 개국공신들(대부분 타인호아 출신)에게 넘어갔다. 이들은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 지방에 넓은 영지를 소유한 호족 세력으로서 권력을 장악했으며, 초기 레 왕조의 역사는 이들 개국공신과 그 후손들 사이의 권력 투쟁이 왕위 계승 문제와 얽혀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1434년 레러이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레타이똥이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다. 초기에는 개국공신 중 한 명인 레삿(Lê Sát)이 섭정을 맡았으나, 레타이똥은 성인이 되자 그를 몰아내고 직접 통치(친정)를 시작했다. 레타이똥 시대에는 과거제가 확립되어 1442년 처음으로 진사 합격자를 선발하여 등용하는 등 왕권 강화와 국가 체제 정비에 힘썼다.

레타이똥 황제가 1440년 썬라(Sơn La)의 반란군 토벌을 기념하여 새긴 ''Quế Lâm Ngự Chế''(꾸에럼 응으체) 비문.


1443년에는 레년똥이 불과 두 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이 시기 레 왕조는 참파와의 분쟁이 계속되었는데, 전투 중에 참파의 왕 마하빈개(摩訶賁該, Mahā Vijaya)를 사로잡는 등 군사적으로 우위를 점하기도 했다.

그러나 왕실 내부의 권력 다툼은 계속되었다. 레타이똥의 총애를 잃어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은 레년똥의 이복형 레응이전(Lê Nghi Dân)[147]1459년 쿠데타를 일으켜 궁궐에 침입하여 레년똥과 그의 생모 레티(Lê Thị)를 살해하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 사건으로 레 왕조 조정은 큰 혼란에 빠졌으나, 1460년 응우옌씨(Nguyễn Xí)와 딘리엣(Đinh Liệt) 등 주요 공신들이 다시 힘을 합쳐 레응이전을 폐위시키고 레타이똥의 넷째 아들인 레타인똥을 새로운 황제로 추대하면서 혼란은 수습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2. 3. 성종 시대의 전성기

1459년 레년똥과 그의 생모가 레응이전(Lê Nghi Dân)에게 살해당하고 레응이전이 스스로 황제에 오르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레 왕조 조정은 큰 혼란에 빠졌다.[147] 그러나 이듬해인 1460년, 응우옌씨(Nguyễn Xí)와 딘리엣(Đinh Liệt) 등 개국공신 세력이 주도한 쿠데타로 레응이전은 폐위되었고, 태종의 넷째 아들인 레타인똥(Lê Thánh Tông|레타인똥vi, 聖宗)이 새로운 황제로 추대되었다.

레 성종이 통치한 시기는 후 레 왕조 역사상 가장 번성했던 전성기로 평가받는다. 성종은 북쪽의 명나라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남쪽의 오랜 숙적이었던 참파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공세 정책을 펼쳤다. 1470년 참파의 왕 반 라체트안(槃羅茶全, Phan Ra Cha Toan)이 먼저 화주(化州) 지역을 침공해오자, 성종은 이를 기회로 삼아 직접 25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참파 정벌에 나섰다. 1471년 레 왕조 군대는 참파의 수도 비자야(Vijaya)를 함락시키고 반라차토안 왕을 생포하는 데 성공했다. 이 결정적인 패배로 참파는 크게 쇠퇴하여 레 왕조의 속국 신세로 전락했으며, 베트남의 영토는 남쪽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이후 참파는 소수 민족 집단으로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성종은 또한 서쪽의 라오스 지역에 있던 란쌍 왕국을 공격하여 군사적 위세를 떨치기도 했다.

내정 면에서도 성종은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유교 이념을 통치 철학의 근간으로 삼아 국가 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데 힘썼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해 건국 초기부터 막강한 권력을 누려온 개국공신 세력을 견제하는 한편, 과거제를 통해 새롭게 선발한 유능한 관료들을 적극 등용하여 권력의 균형을 도모했다. 이를 통해 성종은 개국공신들과 신진 관료 세력 사이에서 황제의 주도권을 확립하고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또한 율령 제도를 정비하여 국가 운영 시스템을 체계화함으로써 사회 안정을 꾀하고 국가의 번영을 이끌었다.

이처럼 레 성종은 대내적으로는 중앙집권적 관료 체제를 강화하고 법제를 정비했으며, 대외적으로는 참파 정벌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국위를 선양하는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통치 아래 후 레 왕조는 정치, 군사, 문화 등 모든 면에서 황금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이러한 번영은 성종 사후까지 지속되지는 못했다.

2. 4. 왕권 약화와 막당중의 찬탈

성종 시대의 번영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의 뒤를 이은 레헌종(Lê Hiển Tông)이 요절하고, 그의 아들들인 레숙종(Lê Súc Tông)과 위목제(Uy Mục)가 연이어 즉위하면서 레 왕조의 국운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특히 위목제의 통치는 포악함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명나라 사신 허천석(許天錫)은 그를 '귀왕(鬼王)'이라고 기록할 정도였다. 이러한 폭정에 반발하여 1509년, 위목제의 사촌동생인 레오아인(Lê Oanh)을 중심으로 쿠데타가 일어나 위목제는 폐위되고 레오아인은 상익제(Lê Tương Dực)로 즉위했다. 그러나 상익제 역시 즉위 후 향락에 빠지고 종실(宗室)을 살해하는 등 폭정을 일삼았다. 결국 민심을 잃고 각지에서 반란이 끊이지 않았으며, 1516년 상익제는 반란군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어 레소종(Lê Chiêu Tông)이 황제로 즉위했다.

소종이 즉위할 무렵 조정은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권력을 가진 신하들이 각자 사병(私兵)을 거느리고 서로 항쟁을 벌이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소종은 하이즈엉성(Hải Dương) 출신 무장 막당중(Mạc Đăng Dung)에게 군대의 지휘를 맡겼다. 그러나 이는 막당중에게 강력한 권력을 쥐여주는 결과를 낳았고, 그의 전횡이 날로 심해졌다. 자신의 신변에 위협을 느낀 소종은 결국 궁궐을 탈출하여 서경(청화)에 있는 정수이(Trịnh Sối)에게 몸을 의탁했다.

막당중은 소종을 추격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는 한편, 소종의 동생인 레공황(Lê Cung Hoàng)을 새로운 황제로 내세웠다. 이로써 공황을 앞세운 막당중 세력과 소종을 보호하는 정수이 세력 간의 본격적인 내전이 시작되었다. 항쟁은 막당중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고, 1525년 막당중은 소종을 사로잡아 유폐시켰다. 그리고 1527년, 막당중은 소종을 살해하고 허수아비 황제였던 공황에게 선양(禪讓)을 강요하여 황제의 자리를 빼앗았다. 이로써 레 왕조는 약 100년 만에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막당중에 의해 막 왕조가 세워졌다.

3. 후기 역사 (1533년–1789년)

막당중(Mạc Đăng Dung)에 의해 왕조가 잠시 끊어졌으나, 옛 신하인 응우옌낌(Nguyễn Kim)이 1533년 레 장종(Lê Trang Tông)을 황제로 옹립하며 레 왕조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이로써 막 왕조와 레 왕조가 대립하는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부흥한 레 왕조의 실권은 응우옌낌 사후 그의 사위인 찐끼엠(Trịnh Kiểm)에게 넘어갔고, 이후 찐씨 가문이 대대로 실권을 장악했다. 1592년 찐끼엠의 아들 찐뚱(Trịnh Tùng)이 수도 탕롱(Thăng Long, 현 하노이)을 되찾고 막 왕조 세력을 북쪽으로 몰아내면서 공식적으로 레 왕조가 부활했지만, 황제는 찐씨의 허수아비에 불과했다. 찐씨는 황제를 마음대로 세우고 폐하는 등 전횡을 일삼으며 북부 베트남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군림했다.

한편, 응우옌낌의 아들 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은 찐씨와의 권력 다툼을 피해 남쪽의 투언호아(Thuận Hóa)[148]와 꽝남(Quảng Nam)[149] 지역으로 내려가 푸쑤언(Phú Xuân, 현 후에)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세력 기반(광남국)을 마련했다. 17세기부터 북부의 찐씨와 남부의 응우옌씨는 베트남의 패권을 두고 수십 년간 전쟁을 벌였으나, 어느 쪽도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 못한 채 대치 상태에 들어갔다.

1771년 남부 응우옌씨의 통치에 반발하여 떠이선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떠이선 세력은 먼저 남부의 응우옌씨 정권을 무너뜨리고, 이어 북진하여 1786년 찐씨 정권마저 멸망시켰다. 명목상의 군주였던 소통제(Chiêu Thống)는 1788년 청나라의 지원을 받아 떠이선 왕조에 맞서려 했으나 실패하고 청나라로 망명했다. 이로써 후 레 왕조는 완전히 멸망하였다.

3. 1. 레 왕조 부흥 운동과 남북조 시대

막당중(Mạc Đăng Dung)에 의해 레 왕조가 명목상 멸망하자, 레 황실의 후손인 레닌(Lê Ninh) 등은 므앙푸안(Muang Phuan)으로 피신했다. 이후 옛 신하 응우옌낌(Nguyễn Kim)은 1532년 레닌을 옹립하고 레 왕조 충신들을 규합하여, 1533년 그를 황제(레 장종)로 즉위시키며 막 왕조 타도와 레 왕조 부흥 운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레닌의 정통성 승인과 막 왕조에 대한 문책을 요구했다.[68][69][70]

부흥 레 왕조의 실권은 응우옌낌이 장악했으나, 1545년 막 왕조에서 항복해 온 장수 양첩일(Dương Chấp Nhất)에게 독살당했다.[74] 이후 그의 사위인 찐끼엠(Trịnh Kiểm)이 군권을 장악하고 찐씨 정권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후 레 왕조(남조)와 막 왕조(북조) 사이에 내전이 계속되었으며,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 부른다. 레 왕조는 탕화(Thanh Hóa)와 응에안(Nghệ An) 등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혔고,[74] 막 왕조는 북부 지역을 통치했다.
1570년경 막 왕조(녹색)와 레-응우옌-찐 연합(파란색)이 통치하는 지역을 보여주는 베트남 지도.
이 전쟁에서는 화승총과 같은 신무기가 도입되기도 했다.[75]

1592년 찐끼엠의 아들 찐뚱(Trịnh Tùng)이 대대적인 공세를 펼쳐 수도 탕롱(Thăng Long, 현 하노이)을 탈환하고 막 왕조의 군주 막머우헙(Mạc Mậu Hợp)을 살해했다.[76] 이로써 레 왕조가 공식적으로 부활했으나, 막 왕조의 잔존 세력은 북쪽 까오방(Cao Bằng)으로 물러나 명나라의 보호 아래 저항을 이어갔다.

그러나 부흥된 레 왕조에서 황제는 명목상의 존재일 뿐이었고, 실권은 찐씨 가문이 장악한 허수아비 군주 체제였다. 찐뚱1599년 영종(Lê Anh Tông)을 살해하고, 그의 다섯 번째 아들인 세종(Lê Thế Tông)을 옹립한 뒤 스스로 평안왕(Bình An Vương)이 되었다. 세종 사후 경종(Lê Kính Tông)을 옹립했으나, 1619년 그마저 살해하고 신종(Lê Thần Tông)을 세우는 등 황제 폐립을 마음대로 행했다. 찐뚱의 후계자 찐짱(Trịnh Tráng)은 남명(南明)으로부터 부왕(副王)으로 책봉받았고, 그의 아들 찐딱(Trịnh Tạc)은 서왕(西王)을 자칭하는 등, 찐씨 정권은 하노이를 거점으로 북부 베트남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군림했다.

한편, 응우옌낌의 아들 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은 찐끼엠과의 권력 다툼을 피해 남쪽 변방인 투언호아(Thuận Hóa)[148]와 꽝남(Quảng Nam)[149]의 통치자로 부임했다. 그는 푸쑤언(Phú Xuân, 현 후에)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세력 기반(광남 응우옌씨)을 구축했다. 초기에는 찐씨와 협력하여 막씨 잔당 소탕에 참여했으나, 응우옌호앙 사후 아들 응우옌푹응우옌(Nguyễn Phúc Nguyên) 대에 이르러 찐씨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결국 17세기 들어 찐씨 정권과 응우옌씨 정권은 여러 차례 격돌했으나(정응우옌 분쟁), 뚜렷한 승패 없이 휴전 상태로 장기간 대치하게 되었다.

1771년 남부 응우옌 정권의 폭정에 반발하여 떠이선당의 난이 일어나 응우옌씨 세력이 멸망했다. 이후 떠이선 세력은 레 왕조 부흥을 명분으로 북진하여 1786년 찐씨 정권마저 멸망시켰다. 하노이의 허수아비 군주였던 소통제(Chiêu Thống)는 1788년 청나라의 원군을 얻어 떠이선 왕조에 반격했으나,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가 이끄는 군대에 패배하고 청나라로 망명하면서 후 레 왕조는 최종적으로 멸망하였다.

3. 2. 찐씨와 응우옌씨의 대립

막 왕조에 의해 명맥이 끊겼던 후 레 왕조는 응우옌낌(Nguyễn Kim)과 같은 옛 신하들의 노력으로 1533년 레 장종을 황제로 추대하며 부활했다. 그러나 부흥한 레 왕조의 실권은 응우옌낌에게 있었고, 그가 암살된 후에는 사위인 찐끼엠(Trịnh Kiểm)에게 넘어갔다. 찐끼엠은 막 왕조와의 오랜 내전 끝에 1592년 수도 탕롱(하노이)을 탈환하고 막씨 세력을 북쪽으로 몰아내며 레 왕조를 다시 안정시키는 듯 보였다.

하지만 레 왕조 황제는 이름뿐인 존재였고, 실질적인 권력은 찐끼엠의 아들 찐뚱(Trịnh Tùng)을 비롯한 찐씨 가문이 장악했다. 찐뚱은 1599년 레 세종을 옹립하고 스스로 평안왕(平安王)에 올랐으며, 이후에도 황제를 마음대로 바꾸거나 살해하는 등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그의 후계자들인 찐짱(Trịnh Tráng), 찐딱(Trịnh Tạc) 등도 남명으로부터 왕으로 책봉받거나 스스로 왕을 칭하며 북부 하노이를 중심으로 베트남 북부를 통치하는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

한편, 찐씨가 북부에서 막 왕조와 싸우며 권력을 강화하는 동안, 레 왕조 부흥의 공신이었던 응우옌낌의 아들 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은 찐끼엠의 세력을 피해 남쪽으로 향했다. 그는 당시 변방이던 투언호아(Thuận Hóa)[148]와 꽝남(Quảng Nam)[149] 지방의 책임자로 부임하여, 푸쑤언(Phú Xuân, 현재의 후에)을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나갔다. 초기에는 찐씨를 도와 막씨 잔당 소탕에 참여하는 등 표면적인 충돌은 피했지만, 응우옌호앙은 남부 베트남에서 점차 독자적인 기반(광남 응우옌씨)을 마련했다.

응우옌호앙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응우옌푹응우옌(Nguyễn Phúc Nguyên)이 뒤를 잇자, 북부의 찐씨 정권과 남부의 응우옌씨 정권 사이의 긴장감은 급격히 높아졌다. 결국 17세기 들어 두 세력은 무력으로 충돌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수십 년간 지속된 내전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으로 베트남은 북쪽의 찐씨와 남쪽의 응우옌씨로 나뉘어 실질적인 분단 상태에 놓였고, 양측 모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채 오랜 기간 대치하며 휴전 상태에 들어갔다.

이러한 남북 분열과 대립은 1771년 남부에서 응우옌씨의 폭정에 반발하여 일어난 떠이선 농민 봉기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떠이선 군대는 먼저 남부의 응우옌씨 정권을 무너뜨리고, 이어 북진하여 1786년 찐씨 정권마저 멸망시키며 베트남을 잠시 통일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레 왕조 황제는 여전히 허수아비 신세를 벗어나지 못했고, 마지막 황제인 찌에우통제는 떠이선 왕조에 맞서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으나 실패하고 망명하면서 1788년 후 레 왕조는 완전히 멸망하게 된다.

3. 3. 떠이선 왕조의 등장과 후 레 왕조 멸망

18세기 후반, 남쪽 지방을 다스리던 응우옌씨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쌓여갔다. 1771년, 이러한 불만을 배경으로 떠이선당의 난이 발발했다. 떠이선 세력은 빠르게 성장하여 남부의 응우옌씨 세력을 멸망시켰다.

이후 후 레 왕조 황제의 실권을 되찾는다는 명분을 내세운 떠이선 왕조는 북쪽으로 눈을 돌렸다. 당시 북부 하노이를 중심으로 실권을 쥐고 있던 찐씨는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1786년, 떠이선 군대는 북진하여 찐씨 세력을 멸망시켰다.

하노이에서 이름뿐인 군주로 남아있던 후 레 왕조의 마지막 황제 찌에우통제(Lê Chiêu Thống)는 떠이선 왕조의 세력 확대에 위협을 느꼈다. 그는 1788년 청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떠이선 왕조에 대항하려 했다. 청나라 군대가 대월로 진군했지만, 떠이선 왕조의 뛰어난 지도자 응우옌 후에(Nguyễn Huệ)가 이끄는 군대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결국 찌에우통제는 청나라로 망명했고, 이를 끝으로 후 레 왕조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4. 역대 황제

레방
레조레 타이 똥의 후손1516년
1518년-1519년
1519년레꽝찌는 정치적 분쟁 중에 옹립되었고, 1516년 5월 단 3일 동안 왕위에 있었으며 장군 찐주이다이(Trịnh Duy Đại)에 의해 살해되었다. 1518년 9월부터 1519년 3월까지 레방이 옹립되었고 군벌 찐뚜이(Trịnh Tuy)에 의해 살해되었다. 레조는 찐뚜이에 의해 옹립되었고, 1519년 7월에 치우 통-막 당 중 세력에 의해 살해되었다.

왕조 주화
소종(昭宗)신황제(神皇帝)레 이(黎椅)레 숭(Lê Sùng)의 아들, 양익제의 형제1516년–1522년광소(光紹)영흥릉(Vĩnh Hưng Lăng)내전으로 괴로워했다. 1525년 막 당 중(Mạc Đăng Dung)에 의해 살해되었다.
레 꿍 호앙
공황제(恭皇)공황제(恭皇帝)레 쑤언(黎椿)레 숭(Lê Sùng)의 아들, 양익제의 형제1522년–1527년통원(統元)화양릉(Hoa Dương lăng)막 당 중(Mạc Đăng Dung)에 의해 옹립되었고, 자결하도록 강요받았다.



'''후기 레조(Lê Trung Hưng) 시대 황제들 (1533년-1789년)'''

묘호시호이름혈통재위 기간연호주요 사건
왕조 주화
장종(莊宗)유황제(裕皇帝)레 닌(黎寧)소종의 아들1533년–1548년원화(元和)경릉(Cảnh lăng)1527년 라오스로 유배에서 탈출했다. 1533년 응우옌 낌(Nguyễn Kim)이 이끄는 레 왕조 충신들이 레 닌을 망명 황제로 옹립했다. 명나라가정제는 1536년 레 가문의 즉위 복원을 돕기 위해 11만 명의 군인을 파병했지만 막 당 중은 1540년 명나라와 동맹을 맺어 레-막 전쟁을 시작했다. 장종은 타인호아 반라이(Vạn Lại)의 궁정에서 통치했다.
중종(中宗)무황제(武皇帝)레 후옌(黎暄)장종의 아들1548년–1556년순평(順平)연릉(Diên lăng)찐끼엠(Trịnh Kiểm)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던 반라이 궁정. 레 군대는 1553년 막 왕조로부터 투언호아(Thuận Hóa)와 꽝남을 탈환했다. 중종은 후계자 없이 죽었다.
영종(英宗)준황제(峻皇帝)레 주이 방(黎維邦)레러이의 둘째 형제 레 쯔(Lê Trừ)의 후손1556년–1573년천우(天祐, 1557년), 정치(正治, 1558년–1571년), 홍복(洪福, 1572년)부위릉(Bố Vệ lăng)반라이 궁정. 응우옌 가문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이 이끄는 투언호아와 꽝남에 영지를 받았다. 찐끼엠(Trịnh Kiểm)의 아들 찐뚱(Trịnh Tùng)과 찐꼬이(Trịnh Cối) 사이의 계승 전쟁. 영종은 정씨에 반기를 들었고 찐뚱에 의해 살해되었다.
세종(世宗)적순강정용과의황제(積純剛正勇果毅皇帝)레 주이 담(黎維潭)영종의 아들1573년–1599년가태(嘉泰, 1573년–1577년), 광흥(光興, 1578년–1599년)화악릉(Hoa Nhạc lăng)찐뚱이 그를 5세에 옹립했다. 1592년 막 왕조로부터 동낀(Đông Kinh)을 탈환했다. 찐뚱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경종(敬宗)현인유경수복혜황제(显仁裕庆绥福惠皇帝),[143] 간휘황제(簡輝皇帝)레 주이 떤(黎維新)세종의 아들1599년–1619년신덕(慎德, 1600년), 홍정(弘定, 1600년–1619년)궁정 음모 후 찐뚱에 의해 폐위되고 자살하도록 강요받았다.
신종(神宗)연황제(淵皇帝)레 주이 끼(黎維祺)경종과 응옥 찐(Ngọc Trinh) 황후(찐뚱의 딸)의 아들.1619년–1643년, 1649년–1662년영조(永祚, 1619년–1629년), 덕륭(德隆, 1629년–1635년), 양화(陽和, 1635년–1643년), 경덕(慶德, 1649년–1653년), 성덕(盛德, 1653년–1658년), 영수(永壽, 1658년–1662년), 만경(萬慶, 1662년)군옥릉(Quần Ngọc lăng)첫 번째 정-응우옌 전쟁이 1627년에 발발했다. 아들 레 주이 흐우(Lê Duy Hựu)가 즉위했을 때 1643년 황제 섭정이 되었다. 아들의 죽음 후 1649년부터 두 번째 통치를 했다. 정 영주가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진종(真宗)순황제(順皇帝)레 주이 흐우(黎維祐)신종의 아들1643년–1649년복태(福泰)화포릉(Hoa Phố lăng)찐짱(Trịnh Tráng)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현종(玄宗)목황제(穆皇帝)레 주이 부(黎維禑)신종의 아들1662년–1671년경치(景治)과릉(Quả lăng)응옥 앙(Ngọc Áng) 황후(찐딱의 딸)와 결혼했다. 17세의 나이에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찐딱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가종(嘉宗)관명민달영과휘유극인독의미황제(寬明敏達英果徽柔克仁篤義美皇帝)레 주이 꼬이(黎維禬)신종의 아들1671년–1675년양덕(陽德, 1672년–1674년), 덕원(德元, 1674년–1675년)복안릉(Phúc An lăng)어린 시절 찐딱에게 입양되었다. 10세에 즉위하여 5년 후 콜레라로 사망했다. 찐딱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왕조 주화
희종(熙宗)장황제(章皇帝)레 주이 히엡(黎維祫)신종의 아들1675년–1705년영치(永治, 1676년–1680년), 정화(正和, 1680년–1705년)부릉(Phú lăng)코친차이나에서 응우옌 영주와의 전쟁, 막 왕조의 마지막 잔여 세력과 보 영주가 정복되었다. 찐딱과 찐깐(Trịnh Căn)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유종(裕宗)순정휘유온간자상관혜손민황제(純正徽柔溫簡慈祥寬惠遜敏和皇帝)레 주이 드엉(黎維禟)희종의 아들1705년–1729년영성(永盛, 1705년–1719년), 보태(保泰, 1720년–1729년)김석(Kim Thạch)레 궁정은 중국에 대한 만주 청의 정통성을 인정했고, 강희제가 사절을 보내 1718년 유종에게 안남국왕(安南国王, 안남의 왕)이라는 칭호를 내렸다.[144] 정 영주가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찐끄엉(Trịnh Cương)에 의해 폐위되었다.
후폐제(後廢帝)레 주이 프엉(黎維祊)유종과 응옥 짱(Ngọc Trang) 황후(찐끄엉의 이모)의 아들.1729년–1732년영경(永慶)김루(Kim Lũ)찐장(Trịnh Giang)에 의해 폐위되고 살해되었다. 사후 혼덕공(昏德公, 혼란스러운 미덕의 공작)이라는 낮추는 칭호를 받았다.
순종(純宗)간황제(簡皇帝)레 주이 뜨엉(黎維祥)유종의 아들1732년–1735년용덕(龍德)평오릉(Bình Ngô Lăng)찐장(Trịnh Giang)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의종(懿宗)온가장숙개퇴명민관홍연예황제(溫嘉莊肅愷悌通敏寬洪淵睿徽皇帝)레 주이 턴(黎維祳)유종의 아들1735년–1740년영우(永佑)부레릉(Phù Lê lăng)찐조아인(Trịnh Doanh) 영주에 의해 퇴위하도록 강요받았다. 베트남의 마지막 태상황.
왕조 주화
현종(顯宗)영황제(永皇帝)레 주이 지에우(黎維祧)의종의 아들1740년–1786년경흥(景興)반석릉(Bàn Thạch lăng)레 주이 멋(Lê Duy Mật) 왕자(1740년-1770년)와 팜꽁챗(Phạm Công Chất)(1767년-1769년)의 반란. 1767년 찐조아인(Trịnh Doanh)의 죽음 이후 정 영주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왕세자 레 주이 비(Lê Duy Vĩ)는 레 왕조를 폐지하려던 찐섬(Trịnh Sâm)에 의해 살해되었다. 1771년 코친차이나에서 떠이선 봉기가 발발하여 응우옌 영주를 약화시켰다. 찐섬이 당쫑(Đàng Trong) 영역을 공격하여 1774년 투언호아를 점령했다. 찐섬의 죽음 이후 왕실 근위대 반란(1782년-1784년)으로 불안이 야기되었다. 응우옌후에휘하의 떠이선 군대가 북부 원정을 시작하여 1786년 탕롱(Thăng Long)을 점령했다.
폐위된 레 찌에우 통 황제가 중국 사절단과 만나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
민제(愍皇帝)레 주이 끼(黎維祁)현종의 왕세자 레 주이 비(Lê Duy Vĩ)의 아들1786년–1789년소통(昭統)화양릉(Hoa Dương lăng)응우옌후에의 감독하에 즉위했다. 군벌 응우옌 후우 찐(Nguyễn Hữu Chỉnh)의 도움으로 정씨 세력을 물리쳤다. 두 번째 떠이선 북부 원정은 1787년 탕롱을 점령했다. 찌에우통은 청나라의 도움을 요청했지만 1789년 응옥호이-동다 전투에서 패배했다. 망명을 갔고 1793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17세기 목조 예술 작품 일부


“성궁만세”. 목재, 18세기 응에안성.


검. 베트남 북부, 18세기


전함 모형. 17세기 타이빈성 계오사 소장.


신화 속 생물 “응에”상. 붉은색과 금색의 목재, 18세기.

5. 후 레 왕조의 예술

후 레 왕조 시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이 발전하였다. 특히 조각, 공예, 회화, 복식 등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와 성과가 있었다.

'''조각 및 공예'''

후 레 왕조 시대의 조각과 공예는 정교함과 섬세함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예로는 박닌성의 붓탑 사찰에 있는 관세음보살 상이 있다. 1656년 가을에 제작된 이 불상은 진홍색 금박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복원 과정을 거쳤다. 또한 16세기에 만들어진 목조 예술품들은 당시 목공예 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17세기에는 진홍색과 금박으로 장식된 나무로 만든 응에 (신화 속 동물) 인형과 같은 독특한 조각품도 제작되었다. 금속 공예 분야에서는 17세기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된 칼날 등이 남아 있어 당시의 무기 제작 기술을 엿볼 수 있다. 이 외에도 타이빈성의 케오 파고다에는 16세기 베트남 전투함 모델이 숭배 대상으로 모셔져 있어 당시의 조선 기술과 신앙의 일면을 보여준다.



'''회화 및 판화'''

회화와 판화 역시 발달하여 당시 사회의 모습과 문화를 기록으로 남겼다. 18세기 응에안 지역에서 제작된 "타인 꿍 반 뚜에"("Thánh Cung vạn tuế", "황제 폐하 만세")라는 제목의 목판화는 당시의 인쇄 기술과 예술적 표현을 보여준다. 다양한 그림 자료들을 통해 후 레 왕조 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7세기 베트남 북부 여성을 그린 그림이나 18세기 통킹 지역의 유교 강의 및 샹치(장기)를 두는 모습, 하노이 여성과 아이를 그린 그림 등은 당시의 사회 풍속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또한, 1645년 일본에서 그려진 그림이나 1750년대 청나라 베이징을 방문한 대월 사절단의 모습을 담은 만국래조도 등 외국 기록 속 그림을 통해서도 당시 베트남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복식'''

후 레 왕조 시대의 복식은 전통적인 요소와 함께 시대적 변화를 반영했다. 황제와 관료들의 복식 규정은 이전 베트남 왕조들과 중국명나라 영향을 받았다.[107][108] 민간에서는 겹옷 형태인 아오 자오 린(áo giao lĩnh)이 널리 입혀졌다.[107][108] 1474년에는 라오스, 참족, 명나라 북방인들과 같은 외국의 언어, 머리 모양, 의복을 받아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이 발표되기도 했다.[109]

1744년 이전까지는 북부 지역인 당외(Đàng Ngoài)와 남부 지역인 당중(Đàng Trong) 사람들 모두 아오 자오 린(áo giao lĩnh)에 터엉(thường, 일종의 긴 치마)을 입고 긴 머리를 풀어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744년, 남부 푸쑤언(Phú Xuân)을 다스리던 응우옌 푹 코앗(Nguyễn Phúc Khoát)은 신하들에게 앞으로 단추가 달린 옷과 바지를 입을 것을 명했다. 이는 아오 응우 탄(áo ngũ thân)이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복식이었으며, 북부 통킹(Đông Kinh) 지역의 정씨 군주 궁정에서 긴 치마와 아오 자오 린을 입던 신하들과 구분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러한 복식의 변화는 오랫동안 지속된 남북 분열과 함께 베트남어 방언 및 문화적 차이를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6. 문화, 사회, 과학

막 왕조의 찬탈 이후 레 왕조는 남북조 시대와 60여 년간의 내전을 겪으며 큰 사회적 혼란을 경험했다. 비록 레 왕조가 명목상의 정통성을 유지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북부의 정씨 정권과 남부의 응우옌씨 정권에게 넘어가 정-응우옌 전쟁으로 이어지는 긴 분열기를 맞이했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 사회는 북부와 남부로 나뉘어 서로 다른 지배 체제 하에 놓였으며, 꽝빈성의 잔강이 실질적인 경계선 역할을 했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군사적 필요에 의해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화승총과 같은 개인 화기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75] 정씨와 응우옌 씨는 각자의 세력 강화를 위해 포르투갈, 네덜란드유럽 세력과 접촉하여 대포나 함선 건조 기술, 요새 축조 기술 등을 받아들였다.[84][86][87][88][89][90] 이러한 외부와의 교류는 기술 발전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전래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레 왕조 시대의 군함 몽동(Mông Đồng) 삽화.


이 시기 사회는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관이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졌으나, 계속되는 전쟁과 분열, 외부 문화와의 접촉 등으로 인해 변화를 겪고 있었다.

6. 1. 복식과 관습

(내용 없음)

6. 2. 기독교 전래

유럽 선교사들은 16세기 초부터 간헐적으로 베트남을 방문했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대월통사』에는 응우옌 호아 원년(1533년)에 최초의 기독교 선교사 이냐시오(Inácio)가 남딘성에 도착했다는 기록이 있다.[110] 1580년부터 1586년까지는 포르투갈프랑스 출신 선교사 루이스 드 폰세카(Luis de Fonseca)와 그레고리 드 라 모트(Grégoire de la Motte)가 응우옌 황 영주의 지배 아래 있던 꽝남과 뀌년 지역에서 활동했다. 레-막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온 1593년 이후에는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이탈리아, 폴란드 등 다양한 국가의 선교사들이 베트남으로 와서 기독교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초기 선교사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은 프랑스 예수회 소속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 신부이다. 그는 1627년 하노이에 파견되어 빠르게 베트남어를 습득하고 전도 활동을 펼쳤다. 초기에는 정씨 정권의 환영을 받으며 6,0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세례를 준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의 성공으로 인해 1630년에 추방당했다. 로드 신부는 프란시스코 드 피냐(Francisco de Pina)가 시작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꾸옥응으(chữ Quốc ngữ)를 완성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는 로드를 포함한 여러 선교사들의 공동 노력의 결과라는 시각도 있다. 그는 베트남어로 된 최초의 교리서를 저술하고 베트남어-라틴어-포르투갈어 사전을 출판했는데, 이 책들은 꾸옥응으로 인쇄된 최초의 서적들이었다. 꾸옥응으는 초기에는 선교사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궁정과 관료 사회에서는 여전히 한자나 놈자가 통용되었다.

이후 프랑스는 꾸옥응으 사용을 장려했는데, 표기법의 간결함 덕분에 베트남 사회의 문해율 향상과 베트남 문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베트남에서 추방된 후 로드 신부는 약 30년간 바티칸과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계에 선교 지원을 요청하며 여러 차례 베트남 방문을 시도했다. 꾸옥응으는 1910년 이후 프랑스 총독부에 의해 베트남의 공식 문자 체계로 채택되면서 널리 보급되었고,[111] 전통적인 한자와 놈자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베트남의 기독교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1820년대 응우옌 왕조의 민망 황제 시기에 이르러 탄압을 받기도 했다.

6. 3. 과학과 철학

후 레 왕조 시대에는 유교 학문이 중시되었으며, 레 태종 시대의 응우옌짜이는 '위대한 유교 학자'로 존경받았다.[22] 그러나 그는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16세기 이후 막 왕조와의 대립 및 정-응우옌 전쟁 과정에서 군사적 필요성에 의해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기도 했다. 화승총과 같은 개인 화기가 사용되었으며,[75] 응우옌 씨와 정 씨 모두 세력 강화를 위해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유럽 세력으로부터 대포나 함선 건조 기술, 요새 축조 기술 등을 받아들였다.[84][86][87][88][89][90] 이는 당대의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6. 4. 문학과 예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7. 교육과 과거 제도

"Văn quan vinh quy đồ (文官榮歸圖)", 18세기 응에안성 신임 문관의 행렬 의식 그림


1426년 말 레 로이(Lê Lợi)는 동경(Đông Kinh)에서 소규모 유교 과거 시험을 실시하여 30명의 티엔 시(tiến sĩ)를 배출했다. 1431년부터 조정에서는 매년 지방 시험과 중앙 시험을 세 차례에 걸쳐 실시했다. 첫 번째 시험은 각 지방에서 치러졌으며, 응시자의 사서(四書) 해석에 대한 세 문제와 경서(經典)에 대한 네 문제로 구성되었다. 1차 시험에 합격한 모든 사람들은 Sinh đồ와 Hương cống으로 불렸다. 두 번째 시험은 1년 후 수도에서 치러졌으며, 논술, 당시(唐詩)를 바탕으로 한 시, 다섯 개의 비평, 칙령, 발표문 및 상소문 스타일의 한 문제로 구성되었다. 사흘 후 황제가 주관하는 세 번째 시험이 있었는데, 경전, 역사, 시사 문제에 대한 다섯 개의 논술 문제로 구성되었다.

1486년부터 모든 관리 후보자는 합격을 위해 1차와 2차 시험 모두에 응시해야 했다. 레 왕조의 과거 시험 제도는 명나라의 과거 시험 제도를 반영했다.[114]

1426년부터 1527년까지 레 왕조는 수도에서 26차례의 과거 시험을 실시하여 989명의 티엔 시(tiến sĩ)와 20명의 장 원(trạng nguyên)을 배출했다.[115] 1750년대에 이르러 성리학이 쇠퇴하면서 과거 시험 합격자가 과다해지고 진사와 관리의 질이 저하되며 부패가 만연했다. 조정에서는 귀족 자녀들을 관리로 선호하여 감찰을 받게 되었고, 이는 18세기 말 응우옌 왕조가 건국될 때까지 베트남 유교 과거 시험 제도의 몰락을 초래했다.[116]

레 왕조 시대 과거 시험 제도를 통해 배출된 학자와 관리로는 응우옌 빈 khiêm(Nguyễn Bỉnh Khiêm), 응우옌 티 두에, 풍 칵 khoan(Phùng Khắc Khoan), 레 퀴 돈, 르엉 테 빈, 그리고 응우옌 당 다오(Nguyễn Đăng Đạo) 등이 있다.

8. 대외 관계

막 왕조의 찬탈 이후, 레 왕조 충신들은 레 황족인 레 닌(Lê Ninh)을 중심으로 라오스므앙푸안 지역으로 피신하여 재기를 도모했다. 이후 응우옌낌은 레 왕조 지지 세력을 규합하여 막 왕조에 대항하는 정묘전쟁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레 왕조는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하고 지지를 얻으려 노력했다.

참파, 란쌍, 시암, 미얀마, 드막 술탄국, 캄보디아, 란나, 페르시아, 류큐 왕국 등 다양한 국가의 사신과 고관들이 청화의 레 왕조 궁정을 방문하는 모습 (16세기 그림)


16세기 레 왕조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했다. 당시 그려진 그림에는 참파, 란쌍, 시암, 미얀마, 드막 술탄국, 캄보디아, 란나, 페르시아, 류큐 왕국 등 여러 나라의 사신과 고관들이 레 왕조의 궁정을 방문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는 레 왕조가 동남아시아를 넘어 서아시아 국가와도 외교 관계를 맺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외부 세계와의 교류는 기술 전파로도 이어졌다. 1516년에는 무굴 제국으로부터 조총 기술이 전파되었고, 이는 1530년대 레 왕조 군대에 도입되어 막 왕조와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75]

명나라청나라와의 관계, 그리고 17세기 이후 유럽 국가들과의 접촉은 후 레 왕조의 대외 관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각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8. 1. 중국과의 관계

1428년, 레 로이(Lê Lợi)는 새로 건국한 왕조의 정통성을 인정받고 외부의 보호를 확보하기 위해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었다.[117][118][120][119] 명나라 선덕제는 레 로이에게 '안남국왕(安南國王)'이라는 칭호를 부여하며 베트남의 내정 독립과 주권을 인정하였고(이는 1526년까지 유지됨), 조공 관계의 일환으로 명나라는 레 왕조에 대한 외부 군사 지원을 제공할 의무도 지게 되었다.[120]

이러한 명나라의 지원 약속은 1537년 막 왕조의 찬탈 이후 레 왕조 부흥 운동 세력이 도움을 요청하면서 시험대에 올랐다. 당시 레 닌(Lê Ninh)은 명나라 가정제에게 사신 두 명을 보내 막 왕조를 몰아내고 레 왕조를 복원해 줄 것을 간청했다.[68] 마오 보웬(Mao Bowen) 등 많은 명나라 관리들은 레 왕조 복원에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며 가정제에게 군사 원정을 준비할 것을 촉구했고[69], 가정제는 이에 동의하여 군사 개입을 준비했다.[70]

베이징 거리의 베트남 사절단 ("평정서역헌부례도권(平定西域献俘礼图卷)" 출처)


그러나 실제 명나라 군대가 움직이기 전인 1540년, 막 덩 둥(Mạc Đăng Dung)이 먼저 명나라 군대에 항복하며 평화를 제의했다. 그는 명나라가 다시는 베트남을 침공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베트남 북동부 해안 지역을 명나라에 할양했다.[72] 이 사건 이후, 명나라는 막 왕조와 레 왕조 양측의 정통성을 모두 인정하는 다소 모호한 태도를 취하며 군대를 철수시켰다.[73] 명나라 조정은 막 왕조의 독립적인 왕국 지위를 공식적으로 박탈하고, 부족장보다는 약간 높은 지위인 '도통사(都統使)'로 격하시켰지만,[120] 조공은 계속 받았다.

결과적으로 1540년 이후 명나라는 레 왕조와 막 왕조 양측으로부터 조공을 받는 이중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러한 상황은 이후 들어선 청나라 시대까지 지속되었다.[120][119] 한편, 북쪽 까오방성으로 밀려난 막 왕조는 1592년 레 왕조에 대항하기 위한 지원을 얻고자 명나라와 별도의 조공 관계를 맺기도 했다.

시간이 흘러 중국 대륙의 정세가 변하면서, 남명 정권은 1647년 안남(베트남)을 다시 독립 왕국으로 인정하고 당시 레 왕조의 황제였던 레 뒤이 키(Lê Duy Kỳ)에게 '안남국왕' 칭호를 수여했다.[121] 이후 1667년에는 청나라 강희제가 베트남의 성공적인 외교 사절단을 맞이한 뒤, 레 뒤이 우(Lê Duy Vũ)에게 안남국왕 칭호를 공식적으로 부여하며 레 왕조의 정통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었다.[122]

8. 2. 유럽과의 관계

베트남 역사 기록에 따르면, 레세종(재위 1572-1599) 황제 시대에 바티칸과의 접촉이 있었다. 당시 고전 중국어로 작성된 외교 서한이 현재 바티칸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123]

17세기는 유럽의 선교사와 상인들이 베트남 조정의 생활과 정치에 중요한 요소가 된 시기였다. 비록 16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베트남에 도착하기 시작했지만, 17세기 이전까지 외국 상인이나 선교사 모두 베트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는 모두 1680년까지 푸히엔(Phổ Hiền)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유럽인들 사이의 분쟁과 베트남인들의 반대로 인해 이러한 사업은 점차 수익성이 떨어졌다. 결국 1800년까지 모든 외국 무역 기지는 문을 닫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Religion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9-21
[2] harvnb 1985
[3] harvnb 1993
[4] 웹사이트 Open Doors International : Vietnam http://sb.od.org/ind[...]
[5] 간행물 Asia: Local Studies / Global Themes – Volume 3 2001
[6] 서적 Lonely Planet Vietnam 10 2009
[7] 서적 From Movable Type Printing to the World Wide Web 2007
[8] 서적 Hào kiệt Lam Sơn: trường thiên tiểu thuyết lịch sử Volume 1 2003
[9] 서적 Vietnam: Journeys of Body, Mind, and Spirit 2003
[10] 논문 MING CHINA IN VIETNAM AND VALOIS FRANCE IN ITALY: POLITICAL ACTORS AND PUBLIC NARRATIVES OF INVASION AND OCCUPATION IN THE PREMODERN WORLD https://scholarworks[...] 2018-03-01
[11] 서적
[12] 백과사전 Le Loi The Encycloaedia Britannica
[13]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14] 서적 History of Ming
[15]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2005
[16]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6
[17] 서적 University of Tokyo's Toyo Cultural Research Institute 1993
[18]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19] 서적 1993
[20] 웹사이트 http://www.bvd-vn.de[...] 1441
[21] 웹사이트 Lê, Lợi King of Vietnam 1385–1433 http://www.worldcat.[...] worldcat
[22] 기타
[23]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993
[24]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993
[25]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993
[26] 웹사이트 Nomadic people in Vietnamese history https://ereka.vn/pos[...] 2018-04-13
[27] 서적 Ming China and Vietn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8] 서적 Ming China and Vietnam: Negotiating Borders in Early Modern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9] 서적 Vietnam, Trials and Tribulations of a Nation 1988
[30] 서적 The Continuum Complet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exualit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4
[31] 서적 The Lê Code: Law in Traditional Vietnam : a Comparative Sino-Vietnamese Legal Study with Historical-juridical Analysis and Annotations, Volume 2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1987
[32] 웹사이트 明代广东海上丝绸之路的高度发展 http://eco.guoxue.co[...] 國學網--中國經濟史論壇(China Economic History Forum) 2008-03-16
[33] 웹사이트 貿易、移殖與文化交流:15–17 世紀廣東人與越南 http://www.lib.cuhk.[...] 廣東省社會科學院歷史研究所 南開大學中國社會歷史研究中心
[34] 서적 The Chinese State at the Borders https://archive.org/[...] UBC Press 2007
[35]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2011
[36] 웹사이트 http://www.epress.nu[...]
[37] 서적 明實錄 (Ming Shilu) 2013-01-05
[38] 서적 明孝宗实录
[39] 서적 Imperial China and Its Southern Neighbours
[40]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41] 웹사이트 CÓ MỘT VÂN ĐỒN Ở GIỮA YÊN BANG, YÊN QUẢNG KHÔNG TĨNH LẶNG http://khoalichsu.ed[...] 广州日报大洋网(www.dayoo.com) 2013-03-28
[42] 웹사이트 CÓ MỘT VÂN ĐỒN Ở GIỮA YÊN BANG, YÊN QUẢNG KHÔNG TĨNH LẶNG http://duyhoang.net/[...] 广州日报大洋网(www.dayoo.com) 2013-04-22
[43]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Hà Nội) ấn hành
[44]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www.informati[...]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Hà Nội) ấn hành
[45]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46] 서적 Miscellaneous papers relating to Indo-China: reprinted for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from Dalrymple's "Oriental Repertory," and the "Asiatic Researches" and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Volume 1 https://archive.org/[...]
[47] 서적 Miscellaneous papers relating to Indo-China and Indian archipelage: reprinted for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Second Series, Volume 1
[48] 웹사이트 http://www.epress.nu[...]
[49] 웹사이트 《明宪宗实录》卷一百六,成化八年七月癸亥 《大明憲宗純皇帝實錄卷之二百十九》 https://ctext.org/wi[...]
[50] 서적 明實錄 (Ming Shilu) 2013-07-26
[51] 웹사이트 http://www.epress.nu[...]
[52] 서적 明實錄 (Ming Shilu) 2013-01-05
[53] 서적 The Chinese State at the Borders UBC Press 2013-01-05
[54]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55]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56] 서적 History of Laos
[57] 서적 Ming Shilu
[58]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59]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ttp://viethoc.org/e[...]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The A to Z of Vietnam
[66]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67] 서적 Vietnam, Trials and Tribulations of a Nation
[68] 서적 In Ming China and Vietnam: Negotiating Borders in Early Modern As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Ming shilu
[70]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bản kỉ tục biên
[71] 서적 Lịch triều hiến chương loại chí 1821
[72]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1540 Mac Surrender to the Ming (in PDF) https://www2.ihp.sin[...]
[73]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74] 서적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75] 웹사이트 Matchlock firearms of the Ming Dynasty http://greatmingmili[...] 2014-11-10
[76] 서적 1993
[77] 서적
[78] 웹사이트 Before the Imjin War, Japan wanted to attack the Ming dynasty with Vietnam https://kknews.cc/hi[...] 2016-08-12
[79] 논문 "Righteous Yang": Pirate, Rebel, and Hero on the Sino-Vietnamese Water Frontier, 1644– 1684 https://cross-curren[...] 2014-06
[80] 서적 Imperial China and Its Southern Neighbour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
[81] 서적 Imperial China and Its Southern Neighbours Flipside Digital Content Company Inc. 2016
[82] 논문 Epidemics in late pre-modern Vietnam and their links with her neighbours 1 https://www.academ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2-06-28
[83] 서적 公餘捷記 • Công dư tiệp ký https://lib.nomfound[...]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2006
[93] 서적
[94] 서적 A History of Vietnam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5
[95] 서적 2017
[96] 서적 1973
[97] 서적 Indo-China Routledge 2013-01-11
[98]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1
[99] 서적 1991
[100] 서적
[101] 서적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102] 서적 China's Encounters on the South and Southwest: Reforging the Fiery Frontier Over Two Millennia https://books.google[...] BRILL 2014
[103] 웹사이트 Annam and its Minor Currency http://art-hanoi.com[...]
[104] 서적
[105] 웹사이트 Con trai vua Lê Thế Tông ở đất Thanh Châu https://baodanang.vn[...] 2019-04-24
[106] 웹사이트 After Minh Mang reigned Nguyen Dynasty, why he deported Le royal descendants to the Southern Vietnam? http://danviet.vn/do[...] 2018-12-09
[107] 서적 Ngàn năm áo mũ https://books.google[...] Công Ty Văn Hóa và Truyền Thông Nhã Nam
[108] 서적 Thơ văn Lý Trần https://thuvienhoase[...]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109] 서적 Sources of Vietnam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
[110] 웹사이트 Hội đồng Giám mục Việt Nam: Nhật ký Ad Limina 5.3.2018 http://hdgmvietnam.c[...]
[111] 웹사이트 Franco-Vietnamese schools http://www.harvard-y[...]
[112]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 서적 A History of Early Modern Southeast Asia, 14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2-19
[114] 서적 History of Vietnam from the beginning to early 19th century
[115] 서적 History of Vietnam
[116] 서적 History of Vietnam
[117] 백과사전 Le Loi
[118] 학술지 Asymmetry and China's Tributary System
[119] 서적 Ming China and Vietnam: Negotiating Borders in Early Modern Asia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20] 학술지 Perspectives on the 1540 Mac Surrender to the Ming
[121] 서적 明史·安南傳
[122] 서적 清史
[123] 서적 Biên Niên Lịch sử Cổ Trung Đại Việt Nam
[124]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25] 서적 Silk for Silver: Dutch-Vietnamese Relations; 1637 – 1700 https://books.google[...] Brill Co.
[126] 서적
[127] 서적 List of prefectures and villages
[128] 서적 Đại Việt địa dư toàn biên
[129] 서적 History of Vietnam
[130] 서적 The A to Z of Viêt Nam Scarecrow Press
[131] 서적
[132] 서적 History of Vietnam
[133]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34] 웹아카이브 Letters written by the English residents in Japan, 1611–1623, with other documents on the English trading settlement in Jap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135] 서적 Portuguese pioneers of Vietnamese linguistics prior to 1650
[136] 서적
[137] 웹사이트 Misje Jezuici: Wojciech Męciński http://misjejezuici.[...]
[138] 서적 Nguyen Cochinchina
[139] 서적 Vương miện lưu đày: truyện lịch sử, Tìm hiểu lịch sử chữ quốc ngữ, Cambodia Nhà xuất bản Văn hóa – thông tin, Công ty Văn hóa Hương Trang, Clio Press
[140] 웹사이트 HCM CityWeb http://www.hochiminh[...] 2008-09-25
[141] 웹사이트 Ho Chi Minh City and around Guide – Vietnam Travel http://www.roughguid[...] 2016-02-27
[142] 웹사이트 Lịch sử hình thành đất Sài Gòn http://www.hochiminh[...] Website Thành phố Hồ Chí Minh 2014-05-22
[143]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44] 서적 Lịch triều tạp kỷ
[145] 서적 대월사기전서 (추정)
[146] 서적 대월사기전서 본기
[147] 기타 인종의 이복 형
[148] 기타 현 꽝빈성 트아티엔, 후에성
[149] 기타 현 꽝남성 다낭 이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