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뚱은 16세기 후반 베트남 후 레 왕조 시대의 권력자로, 막 왕조를 멸망시키고 레 왕조의 실권을 장악했다. 찐끼엠 사후 권력을 이어받은 찐뚱은 막 왕조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하노이를 탈환하고 막머우헙을 처형하며 남북조 시대를 종식시켰다. 그는 평안왕에 봉해졌으며, 아들 찐쑤언과의 권력 다툼, 응우옌 씨와의 갈등을 겪다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1550년 출생 - 헨리 허드슨
헨리 허드슨은 잉글랜드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개척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위해 항해하던 중 허드슨 강을 발견하여 네덜란드 북미 식민지 건설에 기여했으나, 선원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50년 출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1623년 사망 - 김예직
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 - 1623년 사망 -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찐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찐 주의 군주, 당 ngoài의 영주 |
풀 네임 | 찐뚱 (Trịnh Tùng/鄭松) |
칭호 | 빈안 브엉 (Bình An Vương/平安王) |
생애 | |
출생일 | 1550년 12월 19일 |
출생지 | 대월 탄호아 |
사망일 | 1623년 7월 17일 (72세) |
사망지 | 당 Ngoài 탄오아이 현 |
매장지 | 알 수 없음 |
정치 | |
재위 기간 | 1572년–1623년 |
선임자 | 찐 꼬이 |
후임자 | 찐 짱 |
가문 | |
가문 | 찐 주 |
아버지 | 찐 끼엠 |
어머니 | 응우옌 티 응옥 바오 |
배우자 | 라이 티 응옥 누, 당 티 응옥 바오 |
자녀 | 찐 짱, 찐 뚝, 20명 이상의 아들과 딸 |
종교 | |
종교 | 불교 |
기타 | |
사후 칭호 | 쩟 브엉 (Triết Vương/哲王) |
묘호 | 타인 토 (Thành Tổ/成祖) |
2. 생애
후 레 왕조의 연호인 투언빈 2년 11월 12일(1550년 12월 19일), 찐끼엠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복량후'''(Phúc Lương Hầu/福良侯)로 봉해졌다.
1570년 아버지 찐끼엠이 사망한 후 형 찐꼬이가 권력을 이었으나, 막 왕조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투항하면서 실각했다. 찐뚱은 이 기회를 통해 군권을 장악하고(1570년 8월 장군공(長郡公) 봉작), 정치적 입지를 다져나갔다. 이듬해 태위(太尉), '''장국공'''(長國公)에 올랐으며, 1572년에는 자신을 제거하려던 황제 레 영종을 폐위하고 살해한 뒤 1573년 레 세종을 옹립하여 후 레 왕조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했다.[1]
권력을 잡은 찐뚱은 막 왕조와의 전쟁에 집중했다. 1580년 막 왕조의 명장 막낀디엔이 사망한 것을 계기로 전세를 역전시켜, 1592년 마침내 막 왕조의 수도 탕롱(현재의 하노이)을 함락하고 황제 막머우헙을 처형하여 남북조 시대를 종결시켰다.[3][1] 이 공로로 1599년 레 세종으로부터 도원수총국정상부'''평안왕'''(都元帥總國政尙父平安王)으로 봉해져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그러나 말년에는 권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1619년 황제 레 경종이 찐뚱의 아들 찐쑤언과 손잡고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찐뚱은 레 경종에게 자결을 강요한 뒤 레 신종을 새로 옹립했다. 이 사건은 남쪽의 응우옌 주가 찐씨 정권과 관계를 단절하는 계기가 되었다. 1623년 병이 깊어지자 후계 갈등을 막기 위해 두 아들 찐짱과 찐쑤언에게 권력을 나누려 했으나 실패했고, 오히려 동생 찐도까지 가세한 극심한 내분이 발생했다.[2]
결국 빈또 5년 6월 20일(1623년 7월 17일), 반란을 일으킨 아들 찐쑤언에 의해 탕롱에서 쫓겨나 피신하던 중, 권력을 노린 동생 찐도의 사주를 받은 가마꾼들에게 길가에 버려져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2] 향년 74세(만 72세)였다. 사후 공화관정'''철왕'''(Công Hòa Khoan Chính Triết Vương/恭和寬正哲王)으로 존봉되었고, 시호는 '''예무'''(Duệ Vũ/睿武)로 정해졌다. 1643년 아들 찐짱에 의해 묘호 '''성조'''(Thành Tổ/成祖)로 추존되었으며[6], 이후 여러 미칭이 더해졌다.[5]
동시대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응우옌은 찐뚱을 "군주를 업신여겼다"고 비판했으며[7], 후세 베트남인들은 그를 중국의 조조에 비유하며 '천자를 등에 업고 제후를 호령한' 권신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2. 1. 권력 장악
찐찌 13년(1570년) 아버지 찐끼엠이 사망하자 형인 찐꼬이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막 왕조의 대장 막낀디엔이 남하하자 찐꼬이는 대패하여 막 왕조에 투항하였다.[1] 이에 찐뚱은 같은 해 8월, 조정으로부터 '''장군공'''(長郡公) 및 절제각처수보제영(節制各處水步諸營)으로 봉해지며 군권을 장악했고, 9월에는 좌상(左相)에 임명되어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이듬해인 찐찌 14년(1571년) 2월, 찐뚱은 태위(太尉)이자 '''장국공'''(長國公)으로 진봉되었고, 곧바로 북벌을 감행하여 막 왕조의 수도인 탕롱을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1] 하지만 1572년, 막낀디엔의 반격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당시 황제였던 레 영종과 함께 예안으로 피신해야 했다.[1]
이러한 상황에서 레 영종은 일부 조정 신하들과 함께 찐뚱을 제거하려 했으나,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었다. 위협을 느낀 찐뚱은 선수를 쳐 레 영종을 폐위하고 살해한 뒤[1], 가태 원년(1573년)에 그의 다섯째 아들인 레 유담을 새로운 황제(레 세종)로 옹립하였다. 이로써 찐뚱은 후 레 왕조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2. 2. 막 왕조와의 전쟁
찐찌 13년 2월 18일(1570년 3월 24일), 아버지 찐끼엠이 병사하자 형 찐꼬이가 뒤를 이었다. 막 왕조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대장(大將) 막낀디엔에게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도록 했다. 찐꼬이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방어에 나섰으나 크게 패배하였고, 결국 막 왕조에 투항하였다. 같은 해 8월 20일(1570년 9월 19일), 찐뚱은 '''장군공'''(Trường Quận Công/長郡公) 및 절제각처수보제영(節制各處水步諸營)으로 봉해져 군권을 장악했으며, 9월에는 좌상(左相)에 임명되었다.찐찌 14년(1571년) 2월, 찐뚱은 태위(太尉)이자 '''장국공'''(Trường Quốc Công/長國公)으로 진봉되었고, 북벌을 개시하여 한 차례 탕롱을 점령하였다.[1] 그러나 이듬해인 1572년에 막낀디엔이 남하하여 청화(淸化)를 공격하면서 전세가 뒤집혔다. 황제 레 영종은 예안(乂安)으로 피신했고, 찐뚱은 어쩔 수 없이 군대를 돌려 황제를 구원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레 영종이 조정 신하들과 함께 찐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자, 찐뚱은 먼저 손을 써 영종을 폐위시킨 뒤 살해하고 레 세종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했다.
이후 찐뚱은 약 20년간 막 왕조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막낀디엔과의 전투에서 서로 승패를 주고받았으나,[1] 1580년 막낀디엔이 병으로 사망하면서 막 왕조의 세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찐뚱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1591년 대규모 북벌을 다시 시작했고, 이듬해 1592년에는 탕롱을 공격하여 크게 승리했다.[3] 이 전투에서 막 왕조의 황제 막머우헙과 막전을 차례로 사로잡아 처형함으로써[1] 막 왕조를 사실상 멸망시키고 남북조 시대를 종결시켰다.
1593년과 1594년에도 고평으로 밀려난 막 왕조의 잔존 세력에 대한 군사 작전이 이어졌으며, 이 전투에는 찐뚱의 외가 쪽인 응우옌 군대의 지원도 있었다.
꽝흥 22년 4월 7일(1599년 5월 1일), 막 왕조를 격파한 큰 공로를 인정받아 레 세종으로부터 도원수총국정상부'''평안왕'''(都元帥總國政尙父平安王)으로 봉해졌고, 탕롱에 머무르며 정권을 안정시켰다.
2. 3. 통치와 권력 투쟁
꽝흥 22년(1599년) 레 세종은 막 왕조를 몰아낸 찐뚱의 공로를 인정하여 도원수총국정상부'''평안왕'''(都元帥總國政尙父平安王)으로 봉하고 탕롱에 머물며 정무를 총괄하게 했다.[3] 이는 후 레 왕조의 실권이 완전히 찐뚱에게 넘어갔음을 의미했다.호앙딘 20년(1619년) 3월, 명목상의 황제였던 레 경종은 점차 강대해지는 찐뚱의 권력을 두려워하여 실권을 되찾고자 했다. 그는 찐뚱의 아들인 찐쑤언 등과 공모하여 찐뚱을 제거하려는 쿠데타를 계획하고 찐뚱이 탄 가마를 총격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음모가 발각되자 찐뚱은 찐쑤언을 폐서인하고 레 경종에게 자결을 강요했다. 이후 6월에 레 신종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여 허수아비 황제를 통한 통치를 이어갔다. 이 사건은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응우옌이 후 레 왕조 조정과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하는 계기가 되었고, 7년 후 찐-응우옌 전쟁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빈또 2년(1620년), 찐뚱은 남쪽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응우옌 형제인 응우옌푹짝(阮福澤), 응우옌푹헙(阮福洽)과 밀약을 맺고, 응우옌 주가 위치한 광남(廣南) 지역을 분할하여 차지할 목적으로 남침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찐씨와 응우옌씨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빈또 5년(1623년), 찐뚱은 노쇠하여 임종이 가까워지자 사후 아들들 간의 권력 다툼을 막기 위해 차남 찐짱과 막내아들 찐쑤언에게 권력을 균등하게 나누어 주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실패했고, 두 아들뿐만 아니라 찐뚱의 동생인 찐도까지 권력을 탐하면서 찐뚱이 죽기 전부터 찐씨 가문 내부에 극심한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2]
찐쑤언이 먼저 반란을 일으켜 동도(東都, 탕롱)를 불태우고 병든 찐뚱을 협박하여 청춘관(靑春館)으로 거처를 옮기게 했다. 찐뚱은 가마를 타고 탕롱을 탈출하던 중, 권력을 노린 동생 찐도의 사주를 받은 가마꾼들에게 길거리에 버려져 홀로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다.[2] 찐도는 찐쑤언을 자신의 군영으로 유인하여 살해하고, 찐짱마저 제거하려 했으나, 찐짱은 이를 미리 알아채고 탄호아로 달아났다. 찐짱은 그곳에서 레 신종을 받들고 군사를 일으켜 숙부 찐도를 토벌하고 최종적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3. 평가
찐뚱은 매우 유능한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가로 평가받는다.[1] 그는 혼란스러운 시기에 막 왕조와의 오랜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후 레 왕조의 명맥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1592년 탕롱을 탈환하고 막머우홉을 사로잡아 처형한 것은 그의 군사적 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한 기록에서는 그를 "안남 역사 전체에서 언급된 다른 어떤 사람보다 더 많은 능력과 에너지를 가진 정치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2]
그러나 강력한 권력을 휘두르며 왕실을 억압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 역시 받는다. 그는 1572년 자신을 제거하려던 황제 레안통을 폐위하고 살해했으며, 1619년에는 아들 찐쑤언과 공모하여 황권을 되찾으려던 레낑통을 협박하여 자살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행위는 후 레 왕조 황제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켰다.
동시대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응우옌은 찐뚱을 비판하며 "찐뚱은 군주를 없이 하였고, 찐쑤언은 부친이 없이 하였으니, 천도호환(天道好還)이란 말이 믿어 속이지 않는다."[7]라고 평가했다. 이는 찐뚱이 황제를 시해하고 그의 아들 찐쑤언이 아버지를 배신하려 한 사건[1]을 빗대어 인과응보를 강조한 평가이다.
후세의 베트남인들은 찐뚱을 중국 삼국시대의 조조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는 찐뚱이 조조처럼 '천자를 끼고 제후를 호령한(挾天子以令諸侯)' 권신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음을 의미한다.
4. 가족 관계
찐뚱의 아버지는 예국공(諒國公) 정검이고, 어머니는 응우옌 낌의 딸인 Nguyễn Thị Ngọc Bảo|응우옌 티 응옥바오vie이다. 정비(正妃)로는 Đặng Thị Ngọc Dao|당 티 응옥다오vie와 Lại Thị Ngọc Nhu 등이 있었다.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이 중 삼남인 청군공(清郡公) 찐짱(Trịnh Tráng|정장vie)이 아버지의 뒤를 이어 찐씨 정권의 군주가 되었다. 십구남 만군공(萬郡公) 찐춘(Trịnh Xuân|정춘vie)은 1623년 아버지가 중병에 걸리자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딸 중에는 후 레 왕조 경종의 황후이자 신종의 어머니인 Trịnh Thị Ngọc Trinh|찐 티 응옥찐vie이 있다.
4.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흥조(Hưng Tổ|흥조vie) 육덕왕(Dục Đức Vương|육덕왕vie) 찐러우(Trịnh Lâu|찐러우vie)
- '''조모''' : 자심숙비(Từ Tâm Thục phi|자심숙비vie) 호앙 티 응옥독(Hoàng Thị Ngọc Dốc|호앙 티 응옥독vie)
- '''부친''' : 세조(Thế Tổ|세조vie) 명강태왕(Minh Khang Thái Vương|명강태왕vie) 찐끼엠(Trịnh Kiểm|찐끼엠vie)
- '''모친''' : 자의태비(Từ Nghi Thái Phi|자의태비vie) 응우옌 티 응옥바오(Nguyễn Thị Ngọc Bảo|응우옌 티 응옥바오vie)
4. 2. 후비
wikitext봉호 | 시호 | 이름 | 별칭 | 생몰년도 | 국구 (장인/장모) | 비고 | |||||||||||||||||||||||||||||||||||||||||||||||||||||||||||||||||||||||||||||||||||||||||||||||||||||||||||||||||||||||||||||||||||||||||||||||||||||||||||||||||||
---|---|---|---|---|---|---|---|---|---|---|---|---|---|---|---|---|---|---|---|---|---|---|---|---|---|---|---|---|---|---|---|---|---|---|---|---|---|---|---|---|---|---|---|---|---|---|---|---|---|---|---|---|---|---|---|---|---|---|---|---|---|---|---|---|---|---|---|---|---|---|---|---|---|---|---|---|---|---|---|---|---|---|---|---|---|---|---|---|---|---|---|---|---|---|---|---|---|---|---|---|---|---|---|---|---|---|---|---|---|---|---|---|---|---|---|---|---|---|---|---|---|---|---|---|---|---|---|---|---|---|---|---|---|---|---|---|---|---|---|---|---|---|---|---|---|---|---|---|---|---|---|---|---|---|---|---|---|---|---|---|---|---|---|---|---|---|---|---|---|
정비 (正妃) | 자휘태비 ({{lang|vie|Từ Huy Thái Phi|} | }, 慈徽太妃) || Đặng Thị Ngọc Dao|vie (鄧氏玉瑤) || || || || [8]
순번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신례공 (Tín Lễ Công /信禮公) | 찐뚝 (Trịnh Túc /鄭橚 /정숙) | 자혜정비 라이 티 응옥누 | ||||
2 | 숭악공 (Tụng Nhạc Công /嵩岳公) | 찐반 (Trịnh Vân /鄭橒 /정운) | [10] | ||||
3 | 청왕 (Thanh Vương /淸王) | 융서 (Long Tự /隆緖) | 찐짱 (Trịnh Tráng /鄭梉 /정장) | 1577년 ~ 1657년 | 자휘태비 당 티 응옥자오 | [11] | 찐 주의 제4대 군주. |
4 | 미예공 (Mỹ Dự Công /美譽公) | 찐람 (Trịnh Lâm /鄭楥 /정원) | ? ~ 1619년 | ||||
5 | 서국공 (Thụy Quốc Công /瑞國公) | 찐쯔엉 (Trịnh Dương /鄭楊 /정양) | [12] | ||||
6 | 용례공 (Dũng Lễ Công /勇禮公) | 찐자이 (Trịnh Giai /鄭楷 /정해) | |||||
7 | 경암공 (Quỳnh Nham Công /瓊岩公) | 찐레 (Trịnh Lệ /鄭棣 /정체) | |||||
8 | 광군공 (Quảng Quận Công /廣郡公) | 찐항 (Trịnh Hàng /鄭杭 /정항) | |||||
9 | 취군공 (Tựu Quận Công /就郡公) | 찐찌에우 (Trịnh Triều /鄭𣛨 /정조) | |||||
10 | 입군공 (Lập Quận Công /立郡公) | 찐뚜언 (Trịnh Tuân /鄭栒 /정순) | |||||
11 | 우군공 (Hựu Quận Công /佑郡公) | 찐디엔 (Trịnh Điện /鄭橂 /정존) | |||||
12 | 능군공 (Lăng Quận Công /陵郡公) | 찐방 (Trịnh Bảng /鄭榜 /정방) | |||||
13 | 천군공 (Xuyên Quận Công /川郡公) | 찐꾸앙 (Trịnh Quảng /鄭櫎 /정황) | |||||
14 | 녹군공 (Lộc Quận Công /祿郡公) | 찐짜 (Trịnh Trà /鄭𣗪 /정다) | |||||
15 | 월군공 (Việt Quận Công /越郡公) | 찐찐 (Trịnh Trinh /鄭桯 /정정) | |||||
16 | 정군공 (Duyên Quận Công /廷郡公) | 찐나 (Trịnh Nha /鄭枒 /정야) | |||||
17 | 견군공 (Kiên Quận Công /堅郡公) | 찐꾸언 (Trịnh Quân /鄭桾 /정군) | |||||
18 | 호군공 (Hào Quận Công /豪郡公) | 찐꾸앙 (Trịnh Quang /鄭桄 /정광) | |||||
19 | 농군공 (Nông Quận Công /農郡公) | 찐뜨엉 (Trịnh Tương /鄭欀 /정양) | |||||
20 | 만군공 (Vạn Quận Công /萬郡公) | 찐쑤언 (Trịnh Xuân /鄭椿 /정춘) | ? ~ 1623년 | 1623년 아버지 찐뚱이 중병에 걸리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u Duc
Greenwood Press
[2]
웹사이트
- Annam and its Minor Currency
http://art-hanoi.com[...]
2006-05
[3]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4]
서적
東洋歴史大辞典
臨川書店
1986-10-01
[5]
간행물
《南風》合刊第廿一卷·第一百二十四期·〈鄭氏世家〉
[6]
간행물
《越史續編》卷二十一 <神宗淵皇帝>:“(陽和)癸未九年(十月以後真宗福泰元年,明崇禎十五年)……冬十月十三日癸酉,命瓊岩公鄭棣捧誥,禪位於皇太子維祐,太子即位于勤政殿,時年十三。大赦,改元福泰。尊帝為太上皇,皇后鄭氏為皇太后,居德壽宮,加尊皇太后鄭氏為太皇太后。壬午,追尊太王廟號曰世祖,哲王廟號曰成祖。”
[7]
웹사이트
大南寔錄前編·卷二
http://lib.nomfounda[...]
[8]
문서
후택공(Hậu Trạch Công/厚澤公) 당 딘 후언(Đặng Đình huấn/鄧廷訓/등정훈)
[9]
문서
근례공(cẩn Lễ Công/謹禮公) 라이 테 카인(Lại Thế Khanh/賴世卿/뇌세경) / 태부인(Thái Phu Nhân/太夫人) 호앙 티(Hoàng thị/黃氏/황씨)
[10]
문서
숭군공(Tụng Quận Công/嵩郡公)
[11]
문서
평군공(Bình Quận Công/平郡公) / 청군공(Thanh Quận Công/淸郡公) / 청국공(Thanh Quốc Công/淸國公) / 청도왕(Thanh Đô Vương/淸都王)
[12]
문서
순의공(Thuần Nghĩa Công/純義公)
[13]
문서
단자황태후(Đoan Từ Hoàng Thái Hậu/端慈皇太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