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초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초천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일대에 있었던 하천으로,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복개 공사를 거쳐 그 모습을 감추었다. 청일전쟁 이전 일본에 의해 개수되었으며, 1919년 경부선 개축으로 물길이 변경되었다. 1962년부터 복개 공사가 시작되어 1967년 완공되었고, 복개 부지에는 서소문아파트가 들어섰다. 과거 만초천에는 연적교, 석교, 경교, 신교, 이교, 염초청교, 주교 등 다양한 다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지리 - 인왕산
인왕산은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 있는 높이 342m의 산으로,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일부이자 경복궁의 우백호였으며, 일제강점기와 1·21 사태를 거쳐 부분 개방되었고, 인왕사, 국사당, 선바위 등의 유적과 인왕제색도, 여러 속담,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등 역사·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서울 서대문구의 지리 - 북한산
북한산은 서울 북쪽에 위치하며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으로, 백운대를 비롯한 봉우리와 계곡, 북한산성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수도권 시민들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 서울 종로구의 지리 -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은 광화문 앞 사직로에서 시작하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끝나는 광장으로, 역사 회복, 육조거리 재현, 도시문화 공간 등의 역할을 하며, 주변에 주요 시설과 지하철역이 위치하고, 광장 사용과 관련한 논란과 대중문화 등장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서울 종로구의 지리 - 청계천
청계천은 조선시대부터 서울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홍수 예방을 위한 치수 사업이 이루어졌으나 한국전쟁 후 환경 악화로 복개되었다가 2005년 복원되어 시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만초천 | |
---|---|
만초천(蔓草川) | |
개요 |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
발원지 | 남산 북쪽 기슭 |
종착지 | 한강 |
역사 | |
옛 이름 | 만초방천(蔓草坊川) |
현재 상태 | 복개됨 |
상세 정보 | |
특징 | 남산에서 발원하여 용산 지역을 흘러 한강으로 합류하는 하천이었음. 현재는 대부분 구간이 복개되어 도로, 주차장 등으로 사용됨. 과거 용산 일대의 중요한 생활 하수 배출로였음. 갈월동 굴다리 인근의 도로 형태가 만초천의 흔적을 보여줌. |
기타 정보 | |
관련 시설 | 용산베르디움프렌즈 아파트 (과거 미군 기지 부지) 인근에 배수 펌프장이 위치함. |
참고 자료 | 용산지명사랑방 만초천 물길이 남겨놓은 흔적, 갈월동 굴다리 숙명여대 앞 진입도로가 두 갈래 일방통행로가 된 까닭은? - 민족문제연구소 반환된 듯 반환 안 된 서울 안의 미국 땅 - 시사IN 전국 배수펌프장현황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2. 연혁
청일전쟁 이전, 일본은 용산을 점령하였고 만초천을 개수하였다.[6] 1914년에는 한강의 역류를 막기 위한 제방공사가 시작되었다.[6] 1919년, 남대문역(현 서울역) 개축으로 만초천 물길이 경부선 서쪽으로 옮겨졌고, 갈월동에서 삼각지까지의 구간은 지류로 남았다.[2] 1962년 8월 22일, 서울역에서 원효로까지의 만초천 복개 공사가 시작되었다.[2] 1967년 8월 15일 복개 공사가 대체로 완공되었으며,[2] 1972년에는 만초천 복개 부지에 서소문아파트가 준공되었다.[7]
2. 1. 청일전쟁 이전
일본의 용산 점령과 만초천 개수가 이루어졌다.[6]2. 2. 일제강점기
청일전쟁 이전, 일본은 용산을 점령하였고 만초천을 개수하였다.[6] 1914년에는 한강의 역류를 막기 위한 제방공사가 시작되었다.[6] 1919년, 남대문역(현 서울역) 개축으로 만초천 물길이 경부선 서쪽으로 옮겨졌고, 갈월동에서 삼각지까지의 구간은 지류로 남았다.[2]2. 3. 해방 이후
1962년 8월 22일, 서울역에서 원효로까지의 만초천 복개 공사가 시작되었다.[2] 1967년 8월 15일 복개 공사가 대체로 완공되었으며,[2] 1972년에는 만초천 복개 부지에 서소문아파트가 준공되었다.[7]3. 과거의 다리
옥천동에 있었던 연적교(硯滴橋)는 개울물을 건너는 곳에 물이 빠지는 구멍이 연적과도 같게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8] 교남동 100번지 북쪽에 있었던 석교(石橋)는 대동지지에는 초교(草橋)라고 적혀 있다.[9] 교남동은 이 다리 남쪽에 있는 동네라 하여 명명되었다. 충정로1가 90번지 서울적십자병원 앞쪽에 있었던 경교(京橋)는 경기감영 창고 인근에 위치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으며,[9] 경교장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의주로1가 106번지 남동쪽에 있었던 신교(新橋)는 새로 놓은 돌다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10]
합동 16번지 서소문공원 북쪽에 있었던 이교(圯橋)는 흙다리 또는 헌다리라고도 불렸다.[10] 중림동 9번지 남쪽에 있었던 염초청교(焰硝廳橋)는 염청교(焰廳橋) 또는 염천교(鹽川橋)라고도 불렸으며,[10] 염초청이 근처에 있어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11] 청파동1가 168번지 부근에 있었던 주교(舟橋)는 청파배다리라고도 불렸다.[10] 《동국여지승람》에는 청파신교(靑坡新橋)로 되어 있고, 《동국여지비고》에는 “청파신교는 숭례문 밖에 있는데 속칭 주교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11] 조선 초기 문신 성현이 돌다리로 중건한 기록이 있으며,[12] 1902년경 경부철도 부설로 철거 및 방치되어 사라졌다.[2]
3. 1. 조선 시대의 다리
옥천동에 있었던 연적교(硯滴橋)는 개울물을 건너는 곳에 물이 빠지는 구멍이 연적과도 같게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8] 교남동 100번지 북쪽에 있었던 석교(石橋)는 대동지지에는 초교(草橋)라고 적혀 있다.[9] 교남동은 이 다리 남쪽에 있는 동네라 하여 명명되었다. 충정로1가 90번지 서울적십자병원 앞쪽에 있었던 경교(京橋)는 경기감영 창고 인근에 위치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으며,[9] 경교장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의주로1가 106번지 남동쪽에 있었던 신교(新橋)는 새로 놓은 돌다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10]합동 16번지 서소문공원 북쪽에 있었던 이교(圯橋)는 흙다리 또는 헌다리라고도 불렸다.[10] 중림동 9번지 남쪽에 있었던 염초청교(焰硝廳橋)는 염청교(焰廳橋) 또는 염천교(鹽川橋)라고도 불렸으며,[10] 염초청이 근처에 있어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11] 청파동1가 168번지 부근에 있었던 주교(舟橋)는 청파배다리라고도 불렸다.[10] 《동국여지승람》에는 청파신교(靑坡新橋)로 되어 있고, 《동국여지비고》에는 “청파신교는 숭례문 밖에 있는데 속칭 주교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11] 조선 초기 문신 성현이 돌다리로 중건한 기록이 있으며,[12] 1902년경 경부철도 부설로 철거 및 방치되어 사라졌다.[2]
4. 만초천과 관련된 지명
4. 1. 지명 유래
참조
[1]
웹사이트
만초천
http://namelove.com/[...]
2011-04-11
[2]
웹인용
만초천 물길이 남겨놓은 흔적, 갈월동 굴다리 숙명여대 앞 진입도로가 두 갈래 일방통행로가 된 까닭은?
https://www.minjok.o[...]
2019-08-19
[3]
뉴스
반환된 듯 반환 안 된 서울 안의 미국 땅
https://www.sisain.c[...]
시사IN
2019-08-19
[4]
웹인용
전국 배수펌프장현황
http://www.korea.kr/[...]
2019-08-19
[5]
서적
2016 하수도 통계(중)
http://library.me.go[...]
환경부
2018
[6]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7]
뉴스
"[건축가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을 찾아서] 도로와 뒷골목 그리고 철도변으로… 물길 따라 연결되는 소통·미덕의 공간"
http://www.seoul.co.[...]
2016-12-11
[8]
뉴스
옥천동 연적교
http://newslibrary.n[...]
2016-12-11
[9]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10]
서적
서울의 하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
[11]
서적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시월
2006
[12]
서적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시월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