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가니즈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가니즈는 25개의 양성자를 가진 화학 원소이며, 망가니즈의 동위 원소는 원자핵 내의 중성자 수에 따라 달라진다. 망가니즈는 24개의 방사성 동위 원소(질량수 44-73)와 하나의 안정 동위 원소(망가니즈-55)를 가지고 있다. 망가니즈-53은 반감기가 370만 년으로, 태양계 초기의 연대 측정에 사용된다. 망가니즈-54는 반감기가 312.081일이며, 주로 전자 포획을 통해 크로뮴-54로 붕괴한다. 망가니즈-56은 반감기가 2.5789시간으로, 베타 붕괴를 통해 철-56으로 붕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가니즈 - 망간 건전지
    망간 건전지는 칼 가스너가 개발한 건식 전지로, 아연판을 음극으로 사용하며, 한국에서는 한국 전쟁 이후 재생산되어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되었고, 저렴한 가격으로 리모컨, 시계 등에 사용되지만 보관 수명이 짧고 누액의 위험이 있으며, 폐건전지 분리수거가 중요하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망가니즈 동위 원소
망가니즈 동위 원소 정보
핵종 목록
망가니즈-52na: 합성
반감기: 5.591일
붕괴 방식: β+
붕괴 생성물: 크로뮴-52
망가니즈-53na: 미량
반감기: 3.7×10^6년
붕괴 방식: ε
붕괴 생성물: 크로뮴-53
망가니즈-54na: 합성
반감기: 312.081일
붕괴 방식 1: ε
붕괴 생성물 1: 크로뮴-54
붕괴 방식 2: β-
붕괴 생성물 2: 철-54
붕괴 방식 3: β+
붕괴 생성물 3: 크로뮴-54
망가니즈-55na: 100%
반감기: 안정
추가 정보

2. 망가니즈 동위 원소 목록

망가니즈(Mn)는 자연 상태에서 오직 하나의 안정 동위 원소55Mn만이 존재한다.[6] 이 때문에 망가니즈의 표준 원자량55Mn의 동위 원소 질량으로 결정된다.[6]

자연 상태의 망가니즈 외에도, 원자량 44부터 73에 이르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4][5] 이들 방사성 동위 원소는 각기 다른 반감기를 가지며, 가장 긴 반감기를 가진 것은 53Mn이다.[6] 대부분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베타 붕괴전자 포획을 통해 이웃 원소인 크로뮴(Cr) 또는 (Fe)의 동위 원소로 변환된다.[4][5]

망가니즈의 각 동위 원소에 대한 상세 정보(질량, 반감기, 붕괴 방식, 핵 스핀 등)는 아래 '동위 원소 표'에서, 주요 동위 원소에 대한 설명은 '주요 동위 원소'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주요 동위 원소

망가니즈(Mn)는 자연 상태에서 오직 하나의 안정 동위 원소55Mn만을 가진다.[6] 따라서 망가니즈의 표준 원자량55Mn의 동위 원소 질량인 54.9380451(7) u로 결정된다.[6] 55Mn은 자연 존재비가 100%이다.[6]55Mn 외에도 원자량 44에서 73에 이르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4][5] 이들 중 가장 반감기가 긴 것은 53Mn으로, 약 370만 년의 반감기를 가지며 전자 포획을 통해 53Cr으로 붕괴한다.[6] 그 다음으로 긴 반감기를 가진 54Mn는 반감기가 약 312일이다.[6] 52Mn은 반감기가 약 5.6일이며, 양전자 방출+)을 통해 52Cr로 붕괴한다.[6] 핵이성체인 52mMn도 존재하며 반감기는 약 21.1분이다.[6] 56Mn과 같이 다른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이들보다 훨씬 짧은 반감기를 가진다.[6] 대부분의 망가니즈 방사성 동위 원소는 베타 붕괴전자 포획을 통해 이웃 원소인 크로뮴(Cr) 또는 (Fe)의 동위 원소로 변환된다.[4][5]

2. 1. 1. 망가니즈-53

망가니즈-53(53Mn)은 망가니즈방사성 동위 원소이다. 원자 번호는 25번, 중성자 수는 28개이며, 동위 원소 질량은 약 52.941 u이다. 핵 스핀은 7/2-이다.53Mn의 반감기는 3.74(4) × 106 년 (약 374만 년)으로 매우 길다. 이 동위 원소는 전자 포획(EC) 과정을 통해 크로뮴안정 동위 원소인 크로뮴-53(53Cr)으로 붕괴한다.

자연계에서는 극미량으로만 존재한다.

2. 1. 2. 망가니즈-54

망가니즈방사성 동위 원소 중 하나로, 원자 질량은 53.9403589(14) u이다. 반감기는 312.03(3)일이며, 핵 스핀은 3+이다.

주된 붕괴 방식은 전자 포획(EC)으로, 이를 통해 크로뮴-54('''54Cr''')로 변환된다. 매우 낮은 확률이지만 다른 붕괴 방식도 관찰된다. 9.3×10−5%의 확률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를 하여 -54('''54Fe''')가 되거나, 1.28×10−7%의 확률로 베타 플러스 붕괴+)를 하여 크로뮴-54('''54Cr''')가 되기도 한다.

2. 1. 3. 망가니즈-55

'''55Mn'''은 망가니즈의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이다. 따라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망가니즈는 거의 모두 55Mn이며, 자연 존재비는 100%이다. 양성자 25개와 중성자 3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 스핀은 5/2-이다. 동위 원소 질량은 54.9380451(7) u이다.

2. 1. 4. 망가니즈-56

망가니즈-56(56Mn)은 망가니즈방사성 동위 원소이다. 원자핵은 양성자 25개와 중성자 3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위 원소 질량은 55.9389049(7) u이다. 반감기는 약 2.5789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 베타 붕괴)를 거쳐 안정한 동위 원소-56(56Fe)으로 변환된다. 핵 스핀은 3+이다.

2. 2. 동위 원소 표

기호Z(양성자)N(중성자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붕괴
방식[4][5]붕괴
생성물[6]
스핀전형적
동위 원소
구성비
(몰 분율)자연적
구성비
변동 범위
(몰 분율)들뜬 에너지44Mn251944.00687(54)#<105 nsp43Cr(2-)#45Mn252044.99451(32)#unknownp44Cr(7/2-)#46Mn252145.98672(12)#37(3) msβ+ (78%)46Cr(4+)rowspan=4|rowspan=4|β+, p (22%)45+, α (<1%)42Tiβ+, 2p (<1%)44Ti46mMn150(100)# keV1# msβ+46Cr1-#47Mn252246.97610(17)#100(50) msβ+ (96.6%)47Cr5/2-#rowspan=2|rowspan=2|β+, p (3.4%)46V48Mn252347.96852(12)158.1(22) msβ+ (99.71%)48Cr4+rowspan=3|rowspan=3|β+, p (.027%)47+, α (6×10−4%)44Ti49Mn252448.959618(26)382(7) msβ+49Cr5/2-50Mn252549.9542382(11)283.29(8) msβ+50Cr0+50mMn229(7) keV1.75(3) minβ+50Cr5+51Mn252650.9482108(11)46.2(1) minβ+51Cr5/2-52Mn252751.9455655(21)5.591(3) dβ+52Cr6+52mMn377.749(5) keV21.1(2) minβ+ (98.25%)52Cr2+rowspan=2|rowspan=2|IT (1.75%)52Mn53Mn252852.9412901(9)3.7(4)×106 aε53Cr7/2-미량54Mn252953.9403589(14)312.03(3) dε 99.99%54Cr3+rowspan=3|rowspan=3|β- (2.9×10−4%)54Feβ+ (5.76×10−7%)54Cr55Mn253054.9380451(7)안정5/2-1.000056Mn253155.9389049(7)2.5789(1) hβ-56Fe3+57Mn253256.9382854(20)85.4(18) sβ-57Fe5/2-58Mn253357.93998(3)3.0(1) sβ-58Fe1+58mMn71.78(5) keV65.2(5) sβ- (>99.9%)58Fe(4)+rowspan=2|rowspan=2|IT (<.1%)58Mn59Mn253458.94044(3)4.59(5) sβ-59Fe(5/2)-60Mn253559.94291(9)51(6) sβ-60Fe0+60mMn271.90(10) keV1.77(2) sβ- (88.5%)60Fe3+rowspan=2|rowspan=2|IT (11.5%)60Mn61Mn253660.94465(24)0.67(4) sβ-61Fe(5/2)-62Mn253761.94843(24)671(5) msβ- (>99.9%)62Fe(3+)rowspan=2|rowspan=2|β-, n (<.1%)61Fe62mMn0(150)# keV92(13) ms(1+)63Mn253862.95024(28)275(4) msβ-63Fe5/2-#64Mn253963.95425(29)88.8(25) msβ- (>99.9%)64Fe(1+)rowspan=2|rowspan=2|β-, n (<.1%)63Fe64mMn135(3) keV>100 µs65Mn254064.95634(58)92(1) msβ- (>99.9%)65Fe5/2-#rowspan=2|rowspan=2|β-, n (<.1%)64Fe66Mn254165.96108(43)#64.4(18) msβ- (>99.9%)66Ferowspan=2|rowspan=2|rowspan=2|β-, n (<.1%)65Fe67Mn254266.96414(54)#45(3) msβ-67Fe5/2-#68Mn254367.96930(64)#28(4) ms69Mn254468.97284(86)#14(4) ms5/2-#


참조

[1] 논문 Terrestrial manganese-53 — A new monitor of Earth surface processes
[2] 문서 Order of ground state and isomer is uncertain.
[3] 논문 Terrestrial manganese-53 — A new monitor of Earth surface processes
[4]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5] 문서 약자:IT: 이성질핵 전이
[6] 문서 굵은 글꼴은 안정 동위 원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