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준 원자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 원자량은 IUPAC(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이 결정한, 지구의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 권장 값을 의미한다. 이는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의 자연적인 변동성을 고려하여, 여러 샘플 또는 출처에서 예상되는 원자량 범위를 나타내며, 질량 계산 및 법적 요구에 사용된다. 표준 원자량은 단일 값 또는 구간으로 표시되며, 불확실성을 가질 수 있다. 표준 원자량은 요약 원자량, 관례적 원자량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며, 주기율표 및 일반적인 화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량론 - 배수 비례의 법칙
    배수 비례의 법칙은 두 원소가 여러 화합물을 만들 때, 한 원소의 일정량과 결합하는 다른 원소의 질량비가 간단한 정수비를 이룬다는 존 돌턴의 원자론적 법칙으로, 화학량론 발전에 기여했다.
  • 화학량론 - 수율
    수율은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 대비 생성물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백분율 수율은 실제 수율을 이론적 수율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계산하고, 산업 공정에서는 단통 수율과 총괄 수율로 구분한다.
  • 주기율표 - 14족 원소
    14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 4개를 가지며 탄소, 규소, 저마늄, 주석, 납, 플레로븀으로 구성되고 원자번호 증가에 따라 비금속에서 금속으로 변하는 경향을 보이며 탄소는 유기화합물 골격, 규소는 지각에서 풍부, 주석과 납은 금속 자원, 플레로븀은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 주기율표 - 에카
    에카는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에서 미발견 원소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명명법으로, 알려진 원소 아래 위치할 원소를 "에카 + 위쪽 원소 이름"으로 칭했으며, 이는 주기율표의 정확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었고 현재도 일부 사용되며 주기율표 발전 이해에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표준 원자량
표준 원자량 정보
기호Ar°
정의원소의 표준 원자량은 지구상의 많은 일반적인 출처에서 얻은 원자량의 분포를 고려한 값이다.
적용 범위지구상의 일반적인 물질
실험실 샘플
관련 기관IUPAC (CIAAW)
목적원소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 제공
화학 계산에 사용
구리 (예시)
기호 (구리)Ar°(Cu)
값 (구리)63.546(3)
헬륨 (예시)
기호 (헬륨)Ar°(He)
값 (헬륨)4.002602(2)
약식 값 (헬륨)Ar, abridged°(He) = 4.0026
탈륨 (예시)
기호 (탈륨)Ar°(Tl)
값 (탈륨)[204.38, 204.39]
통상적인 값 (탈륨)Ar, conventional°(Tl) = 204.38

2. 표준 원자량의 정의 및 결정

IUPAC 주기율표 발췌본. 붕소(B), 탄소(C), 질소(N)와 같이 일부 원소의 표준 원자량구간 표기법으로 표시된다. 이는 지구상 샘플에서 발견되는 동위 원소 존재비의 자연적 변동 범위를 나타낸다.

표준 원자량상대 원자 질량의 특별한 값으로,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의 원자량 및 동위 원소 존재비 위원회(CIAAW)가 결정한다. 이는 지각과 대기와 같은 특정 지구 환경 내 출처에서 얻어진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에 대한 "권장 값"으로 정의된다.[2]

원소는 여러 동위 원소의 혼합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은 샘플의 출처나 이력에 따라 자연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표준 원자량은 단일 값이 아닌, 예상되는 원자량의 범위(구간 표기법)로 주어지거나, 값과 함께 불확실성(괄호 안 숫자)이 표시된다. 이 불확실성은 주로 측정 자체의 오차보다는 동위 원소 비율의 자연적인 변동성을 반영한다.[1] CIAAW는 표준 원자량을 결정할 때 출처를 지구상 물질로 한정하여 값의 분산을 줄이고, 실제 자연에서 발견되고 사용되는 원자량에 대해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하고자 한다.

CIAAW에서 발표하는 표준 원자량 값은 화학 계산에 널리 사용되며, 때로는 법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하지만 표준 원자량 값은 지구상의 일반적인 변동 범위를 나타내므로, 특수한 지질학적 환경에서 유래한 일부 광물 샘플은 이 표준 범위를 벗어나는 원자량을 가질 수도 있다.[2]

합성 원소의 경우, 인공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연적인 동위 원소 존재비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즉, 반감기가 가장 긴 동위 원소)의 질량수(총 핵자 수)를 괄호 안에 표기한다.

화학 분야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원자량"이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이 표준 원자량을 의미한다. 주기율표에 표시된 원자량이 바로 표준 원자량이다.

리튬(Li)은 자연 상태의 동위 원소 존재비가 인간의 동위 원소 분리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독특한 사례로, 이로 인해 자연 샘플에서도 표준 원자량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2. 1. 상대 원자 질량과의 관계


표준 원자량상대 원자 질량의 특별한 값이다. 이는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의 원자량 및 동위 원소 존재비 위원회(CIAAW)가 결정한 지각과 대기의 지역 환경에 있는 출처에서 얻은 상대 원자 질량의 '권장 값'으로 정의된다.[2] 일반적으로 다른 출처에서 얻은 값은 해당 출처의 서로 다른 방사성 이력 때문에 자연적인 변동성을 보인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은 특정 샘플이나 출처에서 기대되는 원자량의 범위를 나타낸다. CIAAW가 결정한 값은 출처를 지구상 물질로 한정하기 때문에 값의 분산이 적으며, 실제로 발견되어 사용되는 물질의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에 대해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한다.

CIAAW에서 발표하는 값은 질량 계산에 사용되며, 때로는 법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 값에는 불확실성(괄호 안에 표시)이 포함되거나, 예상되는 값의 간격(위 그림의 예시 참조)으로 표시된다. 이 불확실성은 측정 자체의 불확실성(정밀한 장비에서는 매우 작음)이라기보다는,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가 자연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반영한다.[1]

표준 원자량 값은 지구상에서 나타나는 원자량의 변동 범위를 포함하려고 하지만, 이 표준 원자량 범위를 벗어나는 원자량을 가진 원소를 포함한 광물 샘플도 알려져 있다.[2]

합성 원소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므로 자연적인 동위 원소 존재비라는 개념이 의미가 없다. 따라서 합성 원소의 경우에는 표준 원자량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즉, 반감기가 가장 긴 동위 원소)의 질량수(총 핵자 수)를 괄호 안에 표기한다.

화학 분야에서 '원자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보통 더 구체적인 의미의 표준 원자량을 가리킨다. 주기율표나 일반적인 지구 화학 관련 자료에서 사용되는 값이 바로 표준 원자량이다.

리튬(Li)은 자연 상태의 동위 원소 존재비가 인간의 동위 원소 분리 활동 때문에 변화하는 독특한 사례이다. 이 때문에 강과 같은 자연 환경에서 얻은 리튬 샘플조차 표준 원자량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2. 2. 지구 기원 정의


표준 원자량은 상대 원자 질량의 특별한 값으로, IUPAC 원자량 및 동위 원소 존재비 위원회(CIAAW)가 결정한 지각과 대기의 지역 환경에 있는 출처에서 얻은 상대 원자 질량의 "권장 값"으로 정의된다.[2] 일반적으로 다른 출처에서 얻은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 값은 각 출처가 겪어온 방사성 이력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적인 변동성을 보인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은 특정 원소에 대해 예상되는 원자량의 범위를 나타낸다. CIAAW는 값을 결정할 때 출처를 지구 기원으로 제한하는데, 이는 값의 분산을 줄이고 실제 지구상 물질에서 발견되고 사용되는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에 대해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CIAAW에서 발표하는 값은 질량 계산에 사용되며 때로는 법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 값들은 불확실성(괄호 안에 표시)을 포함하거나 예상되는 간격으로 표시된다(위 그림의 예시 참조). 이 불확실성은 측정 자체의 불확실성(고품질 장비에서는 매우 작음)보다는 해당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가 자연적으로 다양하다는 사실을 반영한다.[1]

표준 원자량 값은 지구상에서의 변동 범위를 포괄하려고 하지만, 표준 원자량 범위를 벗어나는 원자량을 가진 원소를 포함하는 광물 샘플이 발견된 사례도 있다.[2]

합성 원소의 경우, 생성되는 동위 원소는 합성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연 동위 원소 존재비라는 개념 자체가 의미가 없다. 따라서 합성 원소에 대해서는 표준 원자량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즉, 반감기가 가장 긴 동위 원소)의 총 핵자 수를 괄호 안에 표시한다.

화학 분야에서 "원자량"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는 일반적으로 더 구체적인 개념인 표준 원자량을 의미한다. 주기율표나 일반적인 지구 화학 관련 참고 자료에서 사용되는 값이 바로 이 표준 원자량이다.

리튬은 자연 동위 원소의 존재비가 일부 경우에는 인간의 동위 원소 분리 활동에 의해 교란되어 강과 같은 자연 출처에서 얻은 샘플에서도 표준 원자량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독특한 경우를 나타낸다.

표준 원자량 값을 제시할 때 "전형적인 지구 기원"을 명시해야 하는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시로 아르곤을 들 수 있다. 아르곤의 원자량은 태양계 내 위치에 따라 동위원소 조성의 극심한 차이로 인해 최대 10%까지 변동할 수 있다. 암석 내 40K의 붕괴가 아르곤의 주요 공급원인 경우, 40Ar이 우세한 동위원소가 된다. 이러한 환경은 수성, 화성, 그리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 등에서 발견된다. 지구에서는 세 동위원소 36Ar : 38Ar : 40Ar의 비율이 대략 5 : 1 : 1600이며, 이로 인해 지구 기원 아르곤의 표준 원자량은 39.948(1)이다.

그러나 우주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별 핵합성 과정에서 직접 생성된 아르곤은 알파 과정 핵종인 36Ar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태양의 아르곤은 84.6%가 36A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태양풍 측정 결과 기준),[3] 외행성 대기에서는 세 동위원소 36Ar : 38Ar : 40Ar의 비율이 8400 : 1600 : 1 정도이다.[4] 결과적으로 태양과 우주 대부분에서 아르곤의 원자량은 약 36.3에 불과하다.[5]

2. 3. 불확실성



''표준'' 원자량은 상대 원자 질량의 특별한 값으로, IUPAC 원자량 및 동위 원소 존재비 위원회(CIAAW)가 결정한 값이다. 이는 지각과 대기와 같은 특정 환경 내 출처에서 얻어진 상대 원자 질량의 "권장 값"으로 정의된다.[2] 일반적으로 다른 출처에서 얻은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 값은 해당 출처가 겪어온 방사성 이력의 차이 때문에 자연적인 변동성을 보인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은 특정 원소에 대해 예상되는 원자량의 범위를 나타낸다. CIAAW가 결정한 값은 출처를 지구상 물질로 한정함으로써 값의 분산을 줄이고, 실제 자연에서 발견되어 사용되는 물질의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에 대해 더 정확한 값을 제공한다.

CIAAW에서 발표하는 값은 질량 계산 등에 사용되며 때로는 법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 값에는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값 뒤 괄호 안의 숫자로 표시되거나 예상되는 값의 간격(구간 표기법, 위 그림의 예시 참조)으로 나타낸다. 이 불확실성은 측정 자체의 불확실성(정밀 장비 사용 시 매우 작음)보다는, 자연 상태에서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가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는 것을 반영한다.[1]

표준 원자량 값은 지구상에서의 일반적인 변동 범위를 포함하도록 정해지지만, 알려진 광물 샘플 중에는 표준 원자량 범위를 벗어나는 원자량을 가진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2]

합성 원소의 경우, 생성되는 동위 원소는 합성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연적인 동위 원소 존재비라는 개념 자체가 의미 없다. 따라서 합성 원소의 표준 원자량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즉, 반감기가 가장 긴 동위 원소)의 총 핵자 수를 괄호 안에 표시한다. 화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원자량"이라고 할 때는 더 구체적인 의미인 표준 원자량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주기율표나 일반적인 지상 화학 관련 참고 자료에 사용되는 값이 바로 이 표준 원자량이다.

리튬은 자연 동위 원소의 존재비가 인간의 동위 원소 분리 활동에 의해 교란된 독특한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교란은 강과 같은 자연 출처에서 얻은 샘플에서도 발견되며, 리튬의 표준 원자량 값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표된 원자량 값에는 불확실성이 따른다. 이러한 불확실성(및 관련: 정밀도)은 표준 원자량이 "지구상에서 통용되고 안정적인" 값이라는 정의 자체에서 비롯된다.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체계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측정 한계: 모든 물리적 측정이 그렇듯, 원자량 측정 역시 완벽하게 정확할 수는 없다. 항상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새로운 세부 정보가 밝혀질 수 있다. 이는 발견된 모든 ''단일'' 순수 동위 원소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자연 상태의 주요 플루오린 동위 원소(플루오린-19)의 질량은 소수점 이하 11자리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18.998403163(6). 하지만 더 정밀한 측정 시스템이 개발되면 더 많은 소수점 자리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불완전한 동위 원소 혼합물: 채취하여 측정하는 샘플 내에서 해당 원소를 구성하는 동위 원소들의 ''혼합 비율''(상대 존재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위 원소가 각각 약 69.15%와 30.85%의 비율로 존재하지만, 측정되는 자연 ''샘플''은 동위 원소들이 완전히 균일하게 섞이지 않았을 수 있으므로 샘플마다 비율이 다를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샘플을 측정하면 정밀도가 향상되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의 원인 자체는 여전히 남는다. (예: 샘플은 동위원소 비율 변화가 매우 커서 원자량을 유효 숫자 4자리 이상으로 표기하기 어렵다: 207.2)

# 다른 역사를 가진 지구적 기원: ''기원''은 연구 대상 물질이 유래한 더 넓은 환경을 의미한다(예: '해수' 또는 '화산암'. 이는 조사 대상 물질의 단일 덩어리인 '샘플'과는 구별된다). 일부 원소는 그 기원에 따라 서로 다른 ''동위 원소 혼합 비율''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화성암 속의 탈륨은 가벼운 동위 원소를 더 많이 포함하는 반면, 퇴적암 속의 탈륨은 무거운 동위 원소를 더 많이 포함한다. 따라서 지구 전체의 평균적인 동위 원소 비율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원소들은 표준 원자량을 구간 표기법으로 나타낸다: ''A''r°(Tl) = [204.38, 204.39]. 실용적인 이유로, 단순화된 '관례적인' 단일 값도 함께 발표된다(탈륨의 경우: 204.38).

이 세 가지 불확실성 요인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발표되는 표준 원자량 값은 이러한 모든 요인을 고려한 결과이다.

3. 상대 원자 질량 결정 방법

현대의 상대 원자 질량(특정 원소 시료에 대한 용어)은 각 핵종의 원자 질량과 시료의 동위 원소 조성을 측정한 값으로부터 계산된다.[8][9]

3. 1. 단일 핵종 원소

현대 상대 원자 질량(특정 원소 시료에 대한 용어)은 각 핵종의 원자 질량과 시료의 동위 원소 조성을 측정한 값으로부터 계산된다. 매우 정확한 원자 질량은 사실상 모든 비방사성 핵종에 대해 구할 수 있지만, 동위 원소 조성은 고정밀도로 측정하기가 더 어렵고 시료 간의 변동에 더 민감하다.[8][9] 이러한 이유로, 22개의 단일 핵종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이는 이들 원소의 단일 자연 발생 핵종 각각에 대한 동위 원소 질량과 동일하다)은 특히 높은 정확도로 알려져 있다.

동위 원소원자 질량[7]존재비[8]
표준범위
28Si27.976 926 532 46(194)92.2297(7)%92.21–92.25%
29Si28.976 494 700(22)4.6832(5)%4.67–4.69%
30Si29.973 770 171(32)3.0872(5)%3.08–3.10%



이 계산은 계량에서 상대 원자 질량이 특히 중요한 규소에 대해 예시로 제시된다. 규소는 자연계에 28Si, 29Si, 30Si의 세 가지 동위 원소의 혼합물로 존재한다. 이들 핵종의 원자 질량은 28Si의 경우 140억 분의 1, 나머지는 약 10억 분의 1의 정밀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위 원소의 자연 존재비 범위는 표준 존재비를 약 ±0.001%로만 표시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표 참조).

계산은 다음과 같다.

:''A''r(Si) = (27.97693 × 0.922297) + (28.97649 × 0.046832) + (29.97377 × 0.030872) = 28.0854

측정 불확도의 추정은 복잡하며,[10] 특히 시료 분포가 반드시 대칭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IUPAC 표준 상대 원자 질량은 추정된 대칭 불확도와 함께 인용되며,[11] 규소의 값은 28.0855(3)이다. 이 값의 상대 표준 불확도는 1×10-5 또는 10 ppm이다. 이러한 자연적 변동성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2010년 IUPAC는 10개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을 고정된 숫자가 아닌 구간으로 나열하기로 결정했다.[12]

3. 2. 계산 예시: 규소 (Si)

현대의 상대 원자 질량(특정 원소 시료에 대한 용어)은 각 핵종의 원자 질량과 시료의 동위 원소 조성을 측정한 값으로부터 계산된다. 매우 정확한 원자 질량은 거의 모든 비방사성 핵종에 대해 구할 수 있지만, 동위 원소 조성은 고정밀도로 측정하기가 더 어렵고 시료 간의 변동에 더 민감하다.[8][9] 이러한 이유로, 22개의 단일 핵종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이는 이들 원소의 단일 자연 발생 핵종 각각에 대한 동위 원소 질량과 동일하다)은 특히 높은 정확도로 알려져 있다.

동위 원소원자 질량[7]존재비[8]
표준범위
28Si27.976 926 532 46(194)92.2297(7)%92.21–92.25%
29Si28.976 494 700(22)4.6832(5)%4.67–4.69%
30Si29.973 770 171(32)3.0872(5)%3.08–3.10%



이 계산은 계량에서 상대 원자 질량이 특히 중요한 규소(Si)에 대해 예시로 제시된다. 규소는 자연계에 28Si, 29Si, 30Si의 세 가지 동위 원소의 혼합물로 존재한다. 이들 핵종의 원자 질량은 28Si의 경우 140억 분의 1, 나머지는 약 10억 분의 1의 정밀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위 원소의 자연 존재비 범위는 표준 존재비를 약 ±0.001%로만 표시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표 참조).

계산은 다음과 같다.

:''A''r(Si) = (27.97693 × 0.922297) + (28.97649 × 0.046832) + (29.97377 × 0.030872) = 28.0854

측정 불확도의 추정은 복잡하며,[10] 특히 시료 분포가 반드시 대칭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IUPAC 표준 상대 원자 질량은 추정된 대칭 불확도와 함께 인용되며,[11] 규소의 값은 28.0855(3)이다. 이 값의 상대 표준 불확도는 10-5 또는 10 ppm이다. 이러한 자연적 변동성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2010년 IUPAC는 10개 원소의 상대 원자 질량을 고정된 숫자가 아닌 구간으로 나열하기로 결정했다.[12]

4. 표준 원자량 표기법 및 종류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각 안정적인 화학 원소에 대해 "표준 원자량"이라는 공식 값을 발표한다.[16] 이 값은 지각과 대기의 지역 환경에 있는 원소들의 상대 원자 질량에 대한 권장 값으로 정의되며,[2] 질량 계산 등에 사용된다. 표준 원자량 값은 격년(홀수 해)으로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2015년에는 이터븀의 원자량이 업데이트되었고,[16] 2017년에는 아르곤을 포함한 14개 원소의 값이 변경되었다.[17][18]

표준 원자량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된다.


  • 단일 값과 불확실성: 네온의 경우 20.1797(6)처럼 표기하며, 괄호 안 숫자는 마지막 자릿수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이 불확실성은 주로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가 자연적으로 변하는 정도를 반영한다.[1]
  • 구간 값: 붕소의 경우 [10.806, 10.821]처럼 표기하며, 이는 지구상 출처에 따라 원자량이 해당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합성 원소는 자연적인 동위 원소 존재비 개념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표준 원자량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질량수를 괄호 안에 넣어 표기한다.

화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원자량"이라고 할 때는 표준 원자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주기율표 등 여러 표준 참조 자료에 사용된다. 표준 원자량은 특정 원소 E에 대해 ''A''r°(E)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4. 1. 표기법



''표준'' 원자량은 상대 원자 질량의 특별한 값이다. 이는 "IUPAC 원자량 및 동위 원소 존재비 위원회(CIAAW)가 결정한 지각과 대기의 지역 환경에 있는" 출처의 상대 원자 질량의 "권장 값"으로 정의된다.[2] 일반적으로, 다른 출처의 값은 출처의 다른 방사성 이력으로 인해 자연적인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은 일련의 샘플 또는 출처에서 예상되는 원자량 범위이다. CIAAW가 결정한 값은 출처를 지구 기원으로 제한함으로써 분산이 적고, 실제로 발견되어 세상의 물질에 사용되는 상대 원자 질량(원자량)에 대해 더 정확한 값이다.

CIAAW에서 발행한 값은 질량 계산에 사용되며 때로는 법적으로 요구되기도 한다. 이 값에는 불확실성(괄호 안에 표시)이 있거나 예상 간격(바로 위의 그림에서 예 참조)으로 표기된다. 이 불확실성은 측정의 불확실성(품질 장비에서는 훨씬 작음)보다는 원소의 동위 원소 분포의 자연적인 가변성을 반영한다.[1]

표준 원자량 수치로 지구상의 변동 범위를 포함하려고 하지만, 표준 원자량 범위를 벗어나는 원자량을 가진 원소를 포함하는 광물 샘플의 알려진 사례도 있다.[2]

합성 원소의 경우 형성된 동위 원소는 합성 방법에 따라 다르므로 자연 동위 원소 존재비의 개념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합성 원소의 경우 표준 원자량 대신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즉, 반감기가 가장 긴 동위 원소)의 질량수가 괄호 안에 나열된다.

화학에서 "원자량"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는 일반적으로 더 구체적인 표준 원자량을 의미한다. 주기율표와 일반적인 지상 화학의 많은 표준 참조에 사용되는 것은 표준 원자량이다.

리튬은 자연 동위 원소의 존재비가 일부 경우에는 인간의 동위 원소 분리 활동에 의해 교란되어 강과 같은 자연 출처에서 얻은 샘플에서도 표준 원자량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독특한 경우를 나타낸다.

4. 2. 요약 원자량 (Abridged Atomic Weight)

'''요약 원자량'''은 CIAAW에서 발표하며, 표준 원자량으로부터 파생되어 숫자를 5자리(유효 숫자 5자리)로 줄인 값이다. 이름에 "반올림"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구간 값의 경우, 하한값(가장 낮은 값)은 ''내림''하고 상한값(가장 높은 값)은 ''올림''한다. 이를 통해 원래의 더 정확한 표준 원자량 구간이 완전히 포함되도록 한다.

예시:

  • 칼슘: ''A''r°(Ca) = 40.078(4) → ''A''r, 요약°(Ca) = 40.078
  • 헬륨: ''A''r°(He) = 4.002602(2) → ''A''r, 요약°(He) = 4.0026
  • 수소: ''A''r°(H) = [1.00784, 1.00811] → ''A''r, 요약°(H) = [1.0078, 1.0081]

4. 3. 관례적 원자량 (Conventional Atomic Weight)

수소, 리튬, 붕소, 탄소, 질소, 산소, 마그네슘, 규소, , 염소, 아르곤, 브로민, 탈륨, 의 14개 화학 원소는 표준 원자량이 단일 값이 아닌 범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수소의 경우 ''A''r°(H) = [1.00784, 1.00811]이다. 이러한 표기 방식은 지구상의 다양한 출처에서 얻은 해당 원소의 동위 원소 구성이 상당히 다르며, 제시된 두 숫자 사이의 범위가 이러한 차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원소들의 경우 '지구 평균' 구성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며, 범위의 중간값(수소의 경우 1.007975)이 '올바른' 값이라고 할 수도 없다.

그러나 무역과 같이 덜 정밀한 값이 허용되는 상황에서는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 산하 동위원소 존재비 및 원자량 위원회(CIAAW)에서 단일 값으로 된 관례적 원자량(Conventional Atomic Weighteng)을 발표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수소의 관례적 원자량은 ''A''r, conventional°(H) = 1.008이다.

5. 원자량 목록 (List of Atomic Weights)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각 안정적인 화학 원소에 대해 "표준 원자량"이라고 하는 하나의 공식 값을 발표한다.[16] 모든 업데이트는 격년(홀수 해)으로 발표된다. 2015년에는 이터븀의 원자량이 업데이트되었으며,[16] 2017년 기준으로 14개 원소의 원자량이 변경되었고, 아르곤의 경우 단일 숫자에서 구간 값으로 변경되었다.[17][18]

발표된 값은 불확실성을 가질 수 있으며, 네온의 경우 20.1797(6)과 같이 표기되거나, 붕소의 경우 [10.806, 10.821]과 같이 구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IUPAC는 이 84개의 표준 원자량 값 외에도, "요약된" 값(숫자당 최대 5자리)과 12개의 구간 값에 대한 "관례적인" 값(단일 숫자 값)도 발표한다.

기호 ''A''r은 특정 샘플의 상대 원자 질량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표준 원자량은 ''A''r°(E)로 표기할 수 있으며, 여기서 (E)는 원소 기호이다.

원소의 표준 원자량 (IUPAC 2009–2021[19])
Z기호이름Ar, 표준약칭변경 연도


6. 표준 원자량 논쟁

"원자량"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3] 이 용어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보통 "상대 원자 질량"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데, 이는 원자 질량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반대하는 주된 이유는 원자량이 무게가 아니라는 점이다. 즉, 중력장 내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으로, 뉴턴이나 파운달과 같은 힘의 단위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14]

이에 대해 "원자량"이라는 용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여러 주장을 펼친다.[13]


  • 이 용어는 1808년 처음 개념이 만들어진 이후 같은 양을 나타내는 데 계속 사용되어 왔다.[15]
  • 오랫동안 원자량은 실제로 무게를 재는 방식(중량 분석)으로 측정되었으며, 물리량의 측정 방법이 바뀌었다는 이유만으로 용어를 변경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 "상대 원자 질량"은 특정 핵종이나 동위 원소의 질량을 나타낼 때 사용하고, "원자 ''량''"은 샘플 내 모든 원자의 원자 질량을 ''가중'' 평균한 값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역사적인 이유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물리량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고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예를 든다.
  • * 기전력: 실제로는 힘이 아니다.
  • * 분해능: 일률이 아니다.
  • * 몰 농도: 몰의 양(물질의 양)이 아니다.


또한, 원자량은 개별 원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원자적"이지 않다는 점도 지적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비판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상대 원자 질량"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7. 한국의 표준 원자량 활용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여 문서를 완성해 보세요.

참조

[1] 논문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05 (IUPAC Technical Report) https://www.iupac.or[...]
[2] 논문 IUPAC Goldbook http://goldbook.iupa[...] 2019-07-12
[3] 논문 The solar argon abundance 2008
[4] 논문 Elemental and isotopic abundances of the volatile elements in the outer planets
[5] 문서 This can be determined from the preceding figures per the definition of atomic weight and [[WP:CALC]]
[6] 웹사이트 Atomic Weights and Isotopic Compositions for All Elements https://physics.nist[...]
[7] 간행물 The AME2003 Atomic Mass Evaluation http://www.nndc.bnl.[...]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8] 논문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Elements 1997 http://media.iupac.o[...]
[9] 논문 Isotopic Abundance Variations of Selected Elements http://www.iupac.org[...]
[10] 논문 Uncertainty propagation of atomic weight measurement results
[11] 논문 Atomic We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mmittee—A Historical Review https://media.iupac.[...]
[12] 웹사이트 IUPAC –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Atomic Weights of Ten Chemical Elements About to Change https://archive.usgs[...] 2019-07-12
[13] 논문 'Atomic Weight' — The Name, Its History, Definition, and Units http://www.iupac.org[...]
[14] 보고서 Atomic weight versus atomic mass controversy https://www.osti.gov[...] Brookhaven National Lab., Upton, NY (US) 1985-01-01
[15] 서적 A New System of Chemical Philosophy https://archive.org/[...]
[16] 웹사이트 Standard Atomic Weights 2015 http://www.ciaaw.org[...] Commission on Isotopic Abundances and Atomic Weights 2015-10-12
[17] 웹사이트 Standard atomic weights of 14 chemical elements revised https://iupac.org/st[...] CIAAW 2018-06-05
[18] 논문 Standard Atomic Weights of 14 Chemical Elements Revised 2018
[19] 문서 align right nowrap 1 1=This list: edit template=Standard atomic weight of the elements/ciaaw-list-of-updates CIAAW may publish changes to atomic weights (including its precision and derived values). Since 1947, any update this is done in odd years nominally; the actual date of publication may be some time later.*2009 main other{{tlx|CIAAW2009}} (introducing interval notation; Ge)::{{CIAAW2009|plain}}*2011 main other{{tlx|CIAAW2011}} (interval for Br, Mg)::{{CIAAW2011|plain}}*2013 main other{{tlx|CIAAW2013}} (all elements listed)::{{CIAAW2013|plain}}*2015 main other{{tlx|CIAAW2015}} (ytterbium changed)::{{CIAAW2015|plain}}*2017 main other{{tlx|CIAAW2017}} (14 values changed): :{{CIAAW2017|plain}}*2019 (hafnium value changed): cite web|url=https://iupac.org/standard-atomic-weight-of-hafnium-revised/|title=Standard atomic weight of hafnium revised|date=2019-12-09|publisher=CIAAW|first1=Juris|last1=Meija|display-authors=et al|access-date=2020-02-25*2020 (lead value changed): cite web|url=https://www.degruyter.com/document/doi/10.1515/pac-2018-0916/html|title=Variation of lead isotopic composition and atomic weight in terrestrial materials (IUPAC Technical Report)|doi=10.1515/pac-2018-0916|first1=Xiang-Kun |last1=Zhu |first2=Jacqueline |last2=Benefield |first3=Tyler B. |last3=Coplen |first4=Zhaofu |last4=Gao |first5=Norman E. |last5=Holden|date=1 October 2020::"2020" is an inconsistent year for change publication: CIAAW maintains that only odd years, changes are publicised.*2021 main other{{tlx|CIAAW2021}} (all elements listed); (4 values changed; introduced new symbol; merge "conventional" into "abridged" columns; change uncertainty notation (use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