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뮴은 광택이 있는 단단한 금속으로, 주로 합금, 도금, 안료, 보석 등에 사용된다. 실온에서 반강자성을 띠는 유일한 금속 원소이며,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갖는다. 크로뮴은 지각에 널리 분포하며, 크롬철광에서 주로 생산된다. 크롬은 인슐린 작용에 관여하는 미량 원소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6가 크롬은 독성이 강해 건강에 유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뮴 - 크로뮴 동위 원소
    크로뮴 동위 원소는 크로뮴 원자핵 내 중성자 수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형태를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4개의 안정 동위 원소와 핵의학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 원소 51Cr이 존재한다.
  • 전이 금속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전이 금속 - 백금
    백금은 은백색의 귀금속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촉매, 전기 접점 재료, 장신구,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러시아에서 주로 생산된다.
  • IARC 1군 발암 물질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IARC 1군 발암 물질 - 황화 카드뮴
    황화 카드뮴은 카드뮴 염을 황 이온으로 침전시켜 제조하며, 반도체, 안료 등으로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어 흡입 시 위험하고 발암 물질로 분류된다.
크로뮴
기본 정보
크로뮴 결정 및 1cm3 큐브
크로뮴 결정 및 1cm3 큐브
원자 번호24
원소 기호Cr
이름크로뮴
일본어 이름クロム (쿠로무)
영어 발음/ˈkroʊmiəm/ (KROH-mee-eom)
독일어 이름Chrom (크롬)
독일어 발음/ˈkroːm/ (크롬)
라틴어 이름chromium (크로미움)
중국어 이름鉻 (gè)
이전 원소바나듐
다음 원소망가니즈
해당 없음
아래Mo
6
주기4
분류전이 금속
겉모습은백색
물리적 성질
상태고체
밀도 (상온)7.19 g/cm³
밀도 (융점)6.3 g/cm³
녹는점2180 K (1907 °C, 3465 °F)
끓는점2944 K (2671 °C, 4840 °F)
융해열21.0 kJ/mol
기화열339.5 kJ/mol
열용량23.35 J/(mol·K)
증기압P (Pa)
1 1656 K
10 1807 K
100 1991 K
1 k 2223 K
10 k 2530 K
100 k 2942 K
결정 구조체심 입방
모스 굳기8.5
비커스 굳기1060 HV
브리넬 굳기1120 HB
영률279 GPa
전단 탄성 계수115 GPa
부피 탄성 계수160 GPa
푸아송 비0.21
음속 (20 °C 막대)5940 m/s
전기 저항 (20 °C)125 nΩ·m
열전도율93.9 W/(m·K)
열팽창 계수 (25 °C)4.9 µm/(m·K)
원자 정보
산화 상태6, 5, 4, 3, 2, 1, −1, −2
전기 음성도1.66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1차: 652.9 kJ/mol
2차: 1590.6 kJ/mol
3차: 2987 kJ/mol
원자 반지름128 pm
공유 반지름139±5 pm
기타 정보
자기 정렬반강자성 (스핀 밀도파)
CAS 등록 번호7440-47-3
안정 동위 원소
동위 원소50Cr
52Cr
53Cr
54Cr
존재 비율50Cr: 4.345%
52Cr: 83.789%
53Cr: 9.501%
54Cr: 2.365%
반감기50Cr: > 1.8 x 10^17 년
붕괴 방식50Cr: εε
붕괴 에너지해당 없음
붕괴 후 원소50Cr: Ti
중성자 수52Cr: 28
53Cr: 29
54Cr: 30
건강
건강 정보미국 국립 보건원, 식이 보충제 사무소오리건 주립 대학, 라이너스 폴링 연구소에서 크로뮴에 대한 정보 제공
식이 기준 섭취량유럽 식품 안전청에서 크로뮴에 대한 식이 기준 섭취량 정보 제공
추가 정보
ECHA 정보유럽 화학 물질 관리청 (ECHA)의 크로뮴 정보

2. 성질

크로뮴은 광택이 나는 단단한 금속 원소이다.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표면에 얇고 안정적인 보호 피막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크로뮴이 부식에 강한 이유 중 하나이다. 실온에서는 반강자성을 나타내는 독특한 자기적 성질을 지니는데, 이는 고체 원소 중 크로뮴만이 가지는 특징이다. 크로뮴은 +2, +3, +6 등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중 +3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자연 상태의 크로뮴은 네 가지 안정한 동위 원소(50Cr, 52Cr, 53Cr, 54Cr)로 구성되며, 이 중 52Cr이 약 83.8%로 가장 풍부하다. 50Cr은 이론적으로 방사성 붕괴가 가능하지만 관측상 안정하며, 반감기는 1.3×1018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25가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와 두 가지 핵 이성질체도 알려져 있다. 동위 원소 53Cr은 53Mn(반감기 374만 년)의 방사 생성 붕괴 생성물로,[15] 동위 원소 지질학에서 태양계 초기 역사 연구 등에 활용된다.[16] 또한 53Cr은 과거 대기 중 산소 농도를 추정하는 지표로도 제안된 바 있다.[17]

2. 1. 물리적 성질

순도 99.999% 크로뮴 결정과 1cm³ 큐브.


크로뮴 금속 샘플


크로뮴은 광택이 나는 단단한 은백색 금속이다. 녹는점은 1907°C이고 끓는점은 2671°C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녹는점 1857°C, 끓는점 2200°C 또는 2690°C로 제시되기도 한다.)[150] 크로뮴은 탄소(다이아몬드)와 붕소 다음으로 세 번째로 단단한 원소로, 모스 경도는 8.5이다. 이는 석영과 토파즈를 긁을 수 있지만 강옥에는 긁힐 수 있는 정도이다.

실온에서 반강자성을 띠는 유일한 금속 원소이며, 네엘 온도인 38°C (다른 자료에서는 34.85°C[150]) 이상에서는 상자성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독특한 자기적 특성은 크로뮴의 높은 정반사율과 관련이 있다. 적외선 영역에서 425 μm 파장에서 약 72%의 최대 반사율을 보이며, 750 μm에서는 최소 62%로 감소했다가 4000 μm에서는 90% 이상으로 다시 증가한다.[1] 크로뮴이 스테인리스강 합금에 사용되어 연마될 경우, 다른 금속이 포함됨에 따라 정반사율은 감소하지만 여전히 다른 합금에 비해 높다. 연마된 스테인리스강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40%에서 60%를 반사한다.[1] 크로뮴의 높은 반사율은 맥스웰 방정식과 크로뮴의 반강자성에서 유도된 주파수 의존적 상대 유전율 때문이다.[12]

크로뮴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면 원자 몇 개 두께의 매우 얇지만 밀도가 높은 산화 피막을 빠르게 형성하여 내부 금속을 보호한다. 이 피막은 산소 침투를 막아 부식과 변색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이러한 보호막 형성 현상은 산화제와 반응할 때 더욱 활발해지며, 과 접촉하여 생긴 피막은 질산과 같은 강산에도 잘 반응하지 않는다. 반대로 환원제와 반응하면 피막이 쉽게 제거되므로, 순수한 크로뮴은 약산 용액에 보관하기도 한다.

이나 니켈과 달리 수소와 반응해도 연성이 약해지지 않지만, 고온의 공기 중에서 질소와 반응하면 부서지기 쉬운 질화물이 형성된다.

바닥 상태의 크로뮴 원자는 일반적인 전자 배치 규칙에서 벗어나 가장 바깥쪽 s오비탈과 d오비탈에 전자를 반씩 채운 [Ar] 4s13d5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이는 주기율표에서 오비탈 채움 규칙을 따르지 않는 첫 번째 원소이며, 구리, 니오븀, 몰리브덴 등에서도 유사한 예외가 나타난다.[8] 크로뮴은 3d 계열 원소 중 3d 전자가 내핵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는 첫 번째 원소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금속 결합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아져, 바로 앞 원소인 바나듐보다 녹는점, 끓는점, 원자화 엔탈피가 낮다.[9]

크로뮴은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2, +3, +6이 주요하고 +3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드물게 -2, -1, +1, +4, +5 상태도 존재한다. 산화수가 +3인 크로뮴 화합물은 주로 녹색이나 보라색을 띠는 팔면체형 구조를 가지며, 순수한 크로뮴을 염산이나 황산에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산화 알루미늄(Al2O3) 결정에서 일부 알루미늄 이온(Al3+)을 Cr3+ 이온으로 치환하면 붉은색 보석루비가 된다. 산화수가 +6인 크로뮴 화합물은 강한 산화제로 작용한다.[9] 예를 들어, 중크로뮴산 이온(Cr2O72-)은 음주 측정 시 에탄올을 산화시키고 자신은 녹색의 Cr3+으로 환원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20°C에서 크로뮴의 전기 저항률은 125 나노Ω·m이다.

크로뮴에는 세 가지의 동소체(α, β, γ)가 있으며, 각각의 결정 구조는 체심입방격자구조, 면심입방격자구조, 육방최밀충진구조이다.

2. 2. 화학적 성질



크로뮴은 광택이 있는 단단한 금속으로 잘 녹지 않지만 쉽게 산화된다. 실온에서 반강자성을 띠는 유일한 금속 원소이며, 38°C 이상에서는 상자성으로 전환된다.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면 빠르게 얇고 보호적인 산화 피막(Cr2O3)을 형성하여 내부의 금속을 보호하는데, 이 과정을 수동화라고 한다. 이 산화 피막은 원자 몇 개 두께에 불과하지만 코런덤 구조를 가져 매우 치밀하고 금속에 잘 부착되어 산소의 추가적인 침투를 막는다. 이는 쉽게 부스러져 계속 이 스는 철의 산화물과는 대조적이다. 수동화는 질산과 같은 산화성 산과 접촉하면 더욱 강화되어 산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반면, 강력한 환원제는 이 보호막을 파괴하여 크로뮴이 약산에도 쉽게 용해되도록 만든다.[1] 상온에서 형성된 산화 피막은 매우 얇지만, 온도가 올라가면 금속 이온의 외부 확산으로 두꺼워진다. 그러나 950°C 이상에서는 휘발성 삼산화크로뮴(CrO3)이 생성되어 피막의 성장을 방해하고 보호 효과를 제한한다.[13]

크로뮴은 이나 니켈과 달리 수소취성을 겪지 않는다. 그러나 고온의 공기 중에서 질소와 반응하면 취성이 있는 질화물이 형성되어 부서지기 쉬워지는 질소 취성을 나타낸다.[14]

바닥 상태에서 크로뮴 원자의 전자 배치는 [Ar] 4s13d5로, 에너지적으로 안정된 반쯤 채워진 d 오비탈 구조를 가지기 위해 4s 오비탈의 전자 하나가 3d 오비탈로 이동한 형태이다.



크로뮴은 전이 금속6족에 속하며, -4에서 +6까지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2, +3, +6 상태가 가장 흔하며, +3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19][21]

크로뮴의 산화 상태와 예시 화합물[20][21]
−4 (d10)Na4[Cr(CO)4][22]
−2 (d8)Na2[Cr(CO)5]
−1 (d7)Na2[Cr2(CO)10]
0 (d6)Cr(C6H6)2
+1 (d5)K3[Cr(CN)5NO]
+2 (d4)CrCl2
+3 (d3)CrCl3
+4 (d2)K2CrF6
+5 (d1)K3Cr(O2)4
+6 (d0)K2CrO4



=== 주요 산화 상태별 화합물 ===

탄화 크로뮴(Cr3C2)

  • Cr(0): 비스(벤젠)크롬 (Cr(C6H6)2)과 크롬 헥사카보닐 (Cr(CO)6) 등이 유기크롬 화학에서 중요한 예시이다.
  • Cr(II): +2 상태의 화합물은 공기 중에서 쉽게 +3 상태로 산화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대표적인 예는 염화크로뮴(II) (CrCl2)로, 아연으로 염화크로뮴(III)을 환원시켜 얻을 수 있으며 물에 녹아 밝은 청색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은 중성 pH에서 안정하다.[28] 다른 예로는 산화크로뮴(II) (CrO), 황산크로뮴(II) (CrSO4), 그리고 Cr-Cr 사중 결합을 가진 붉은색의 초산크로뮴(II) (Cr2(O2CCH3)4) 등이 있다.[23]

무수 삼염화 크로뮴(CrCl3)

  • Cr(III): 가장 안정한 산화 상태로, 다양한 화합물이 존재한다. 질산 크로뮴(III), 아세트산 크로뮴(III), 산화 크로뮴(III) (Cr2O3) 등이 있다.[24] Cr(III) 이온은 금속 크로뮴을 염산이나 황산에 녹여 얻거나,[28] Cr(VI) 화합물을 시토크롬 c7 등으로 환원시켜 만들 수도 있다.[25] Cr3+ 이온(반지름 63 pm)은 알루미늄 이온 Al3+(반지름 50 pm)과 크기가 비슷하여 크롬 명반이나 명반과 같은 결정에서 서로 치환될 수 있다. 산화 알루미늄(Al2O3) 결정(커런덤)에 미량의 Cr3+ 이온이 Al3+ 자리를 치환하면 붉은색 보석인 루비가 된다. 크로뮴(III)은 주로 녹색이나 보라색을 띠는 팔면체 착물을 형성한다. 시판되는 염화 크로뮴(III) 수화물은 짙은 녹색의 [CrCl2(H2O)4]Cl이며, 연한 녹색의 [CrCl(H2O)5]Cl2와 보라색의 [Cr(H2O)6]Cl3도 존재한다. 무수 염화 크로뮴(III) (CrCl3)은 보라색인데, 물에 녹이면 배위된 염화 이온이 물 분자로 점차 치환되면서 용액 색깔이 녹색으로 변한다.[26] 수산화 크로뮴(III) (Cr(OH)3)는 양쪽성 물질로, 산성 용액에서는 [Cr(H2O)6]3+ 이온으로, 염기성 용액에서는 [Cr(OH)6]3- 이온으로 존재한다. 이를 가열하면 탈수되어 안정한 녹색 산화 크로뮴(III)(Cr2O3)가 된다.[28]
  • Cr(VI): +6 상태의 화합물은 강한 산화제이다. 대표적인 예로 주황색의 다이크로뮴산 칼륨(K2Cr2O7)과 노란색의 크롬산 칼륨(K2CrO4)이 있다. 다이크로뮴산 이온(Cr2O72-)은 에탄올과 반응하여 녹색의 Cr3+ 이온으로 환원되는데, 이 색깔 변화는 과거 음주 측정에 이용되었다.

2. 3. 전자 배치

바닥 상태에서 크로뮴의 전자 배치는 \[\[아르곤|Ar]] 3d5 4s1이다. 이는 일반적인 오비탈 채움 규칙(예: 아우프바우 원리)을 따르지 않고, 제일 바깥쪽의 4s s오비탈과 3d d오비탈전자를 반씩 채우는 형태이다. 크로뮴은 주기율표에서 이러한 전자 배치 규칙의 예외가 나타나는 첫 번째 원소이다. 비슷한 예외는 구리(Cu), 니오븀(Nb), 몰리브덴(Mo) 등에서도 발견된다.[8]

크로뮴은 3d 전자가 원자가 전자보다는 내핵 전자처럼 행동하기 시작하는 첫 번째 원소로, 이로 인해 금속 결합에 기여하는 정도가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크로뮴의 녹는점, 끓는점, 원자화 엔탈피는 바로 앞 원소인 바나듐(V)보다 낮다.[9]

크로뮴은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주로 +2, +3, +6 상태를 나타낸다. 이 중 +3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드물게 -2, -1, +1, +4, +5 산화 상태도 존재한다. +6 산화 상태의 크로뮴 화합물(크로뮴(VI))은 같은 족의 몰리브덴(VI)이나 텅스텐(VI) 화합물과 달리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한다.[9]

3. 동위 원소

자연 상태의 크로뮴은 네 가지 안정 동위 원소(50Cr, 52Cr, 53Cr, 54Cr)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52Cr이 83.789%의 동위 원소 존재비로 가장 풍부하다. 50Cr은 관측상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론적으로는 이중 전자 포획을 통해 50Ti로 붕괴될 수 있다. 다만, 이 붕괴의 반감기는 1.3×1018년 이상으로 매우 길 것으로 예측된다.

크로뮴에는 42Cr부터 70Cr까지 총 25가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반감기가 27.7일인 51Cr이다. 나머지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모두 반감기가 24시간 미만이며, 대부분은 1분보다 짧다. 크로뮴은 두 가지 준안정 핵 이성질체도 가지고 있다. 가장 풍부한 안정 동위 원소인 52Cr보다 가벼운 동위 원소들의 주된 붕괴 모드는 전자 포획이며, 52Cr보다 무거운 동위 원소들의 주된 붕괴 모드는 베타 붕괴이다.53Cr은 반감기가 374만 년인 53Mn의 방사 생성 붕괴 생성물이다.[15] 크로뮴 동위 원소는 일반적으로 망가니즈 동위 원소와 함께 발견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는 동위 원소 지질학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망가니즈-크로뮴 동위 원소 비율은 26Al107Pd 연구 결과와 더불어 태양계 초기 역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러 운석에서 발견되는 53Cr/52Cr 및 Mn/Cr 비율의 변화는 초기 53Mn/55Mn 비율을 알려주며, 이는 분화된 행성체 내에서 53Mn이 붕괴하여 53Cr이 생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53Cr은 태양계가 형성되기 직전의 핵합성 과정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며,[16] 과거 대기 중 산소 농도를 추정하는 대용 지표로도 제안되었다.[17]

4. 역사

크로뮴은 18세기 서구에서 그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1761년 독일의 광물학자 요한 고틀로브 레만이 우랄산맥에서 발견한 붉은색 홍연석이 그 시작이었다.[42][43] 처음에는 다른 원소의 화합물로 여겨졌으나,[44] 이후 안료로서의 가치가 알려지며 주목받기 시작했다.[45]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니콜라 보클랭은 1797년 홍연석 연구를 통해 삼산화 크로뮴(CrO3)을 만들고, 이를 숯가마에서 가열하여 처음으로 순수한 금속 크로뮴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44][47][48] 그는 또한 루비에메랄드 같은 보석의 색이 크로뮴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44][49][149]

19세기에는 크로뮴이 주로 페인트 안료와 가죽 무두질 염으로 사용되었다.[50] 이후 전기도금 기술이 발전하면서 크로뮴은 특유의 광택과 내식성 덕분에 자동차 부품, 배관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호 및 장식용 코팅으로 널리 활용되기 시작했다.[52]

한편, 기원전 3세기 중국 진나라 병마용 유물에서 크로뮴 성분이 발견되어 고대 도금 기술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151] 후속 연구를 통해 이는 병마용 채색에 사용된 도료에서 유래한 것으로, 의도적인 내식 처리의 증거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52]

4. 1. 초기 역사

기원전 3세기 말 중국 진나라병마용에서 출토된 청동 무기 중 일부가 거의 부식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과거에는 이것이 크로뮴 산화물 도금 처리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1] 그러나 2019년 연구 결과, 무기 표면의 크로뮴은 병마용 채색에 사용된 도료에서 유래한 것이며 의도적인 부식 방지 처리의 증거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52]

서구 사회에서 크로뮴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761년, 독일의 광물학자 요한 고틀로브 레만(Johann Gottlob Lehmann)이 우랄산맥의 베료조프스코예 광산에서 주황색을 띤 붉은 광물을 발견하면서부터이다. 그는 이를 '시베리아 적연'이라 명명하고 , 셀레늄, 의 화합물로 잘못 판단했으나,[42][43] 실제로는 크로뮴산 납(PbCrO4)인 크로코이트(crocoite)였다.[44] 1770년, 페테르 시몬 팔라스(Peter Simon Pallas)는 같은 장소에서 이 광물이 안료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후 시베리아 적연은 안료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45] 크로코이트는 이후 크로마이트(chromite)가 발견되기 전까지 주요 크로뮴 공급원이었다.[46]

루비의 붉은색은 루비 속에 포함된 미량의 크로뮴 때문이다.


1794년,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니콜라 보클랭(Louis Nicolas Vauquelin)은 크로코이트 광석 샘플을 받아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크로코이트를 염산과 반응시켜 삼산화 크로뮴(CrO3)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44] 1797년, 보클랭은 이 산화물을 숯가마에서 가열하여 금속 크로뮴을 분리하는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크로뮴 원소를 최초로 분리한 인물로 인정받게 되었다.[47][48] 그는 또한 루비에메랄드와 같은 보석의 색상이 미량의 크로뮴 때문임을 밝혀냈다.[44][49][149]

19세기에는 크로뮴이 페인트 안료뿐만 아니라 가죽을 무두질하는 염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러시아산 크로코이트가 주 공급원이었으나, 1827년 미국 볼티모어 근처에서 더 큰 규모의 크로마이트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미국의 크로뮴 생산량이 크게 늘었다.[50] 미국은 1848년 터키 부르사 근처에서 더 큰 크로마이트 광산이 발견되기 전까지 세계 최대의 크로뮴 생산국 지위를 유지했다.[35] 야금술과 화학 산업의 발달로 크로뮴 수요는 계속 증가했다.[51]

크로뮴은 연마 시 반짝이는 금속 광택을 내는 특성으로도 주목받았다. 1848년부터 전기도금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널리 보급된 것은 1924년 개선된 공정이 개발된 이후이다.[52] 이를 통해 자동차 부품, 배관 설비, 가구 등 다양한 제품의 보호 및 장식용 코팅으로 활용되었다.

4. 2. 서구 사회 발견



서구 사회에서 크로뮴에 대한 인식은 18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761년 7월 26일, 독일의 광물학자 요한 고틀로브 레만은 러시아 우랄산맥의 베료조프스코예 광산(Beryozovskoye mines)에서 주황색을 띤 붉은 광물을 발견하고 '시베리아 적연(Siberian red lead)'이라고 이름 붙였다.[42][43] 당시에는 이 광물이 , 셀레늄, 의 화합물이라고 잘못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크로코이트(crocoite, PbCrO4)라는 크로뮴산 납 화합물이었다.[44]

1770년, 페테르 시몬 팔라스는 레만과 같은 장소를 방문하여 이 붉은 광물이 안료로서 유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시베리아 적연은 안료로서 빠르게 사용되기 시작했으며,[45] 나중에 크로마이트가 발견되기 전까지 주요 크로뮴 안료 공급원이었다.[46]

크로뮴 원소를 처음으로 분리한 사람은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니콜라 보클랭이다. 1794년 크로코이트 광석 샘플을 받은 그는 연구를 시작하여, 크로코이트와 염산을 반응시켜 삼산화 크로뮴(chromium trioxide, CrO3)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44] 그리고 1797년, 보클랭은 이 산화물을 숯가마에서 가열하여 금속 크로뮴을 분리하는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크로뮴 원소 발견자로 공식 인정받게 되었다.[47][48] 보클랭은 또한 루비에메랄드와 같은 보석의 독특한 색깔이 미량의 크로뮴 불순물 때문에 나타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44][49][149]

19세기에 들어 크로뮴은 페인트 안료뿐만 아니라 가죽을 무두질하는 데 필요한 염의 재료로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크로코이트가 주요 공급원이었으나, 1827년 미국 볼티모어 근처에서 더 큰 규모의 크로마이트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 발견으로 미국은 크로뮴 제품의 주요 생산국이 되었으며,[50] 이 지위는 1848년 터키 부르사 근처에서 더 큰 크로마이트 매장지가 발견될 때까지 유지되었다.[35] 서구 사회에서 야금술과 화학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크로뮴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다.[51]

크로뮴은 표면을 연마하면 밝은 금속 광택을 내는 특징이 있어 전기도금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자동차 부품, 배관 설비, 가구 부품 등 다양한 제품에 보호 및 장식용 코팅으로 사용된다. 크로뮴 전기도금 기술은 1848년 초기에 이미 사용되었지만, 1924년 더욱 개선된 공정이 개발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52]

4. 3. 명칭

1797년, 루이 니콜라 보클랭은 크로뮴이 산화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띠는 것을 보고 그리스어 χρωμα|크로마grc(chrōma, 색)에서 이름을 따와 명명했다.[149]

5. 발견 지역

크로뮴은 지각 속에 평균 100ppm 농도로 포함되어 있으며, 지각에서 22번째로 많은 원소이다. 자연에서는 크로뮴을 포함한 암석이 풍화되거나 화산 폭발로 인해 크로뮴 화합물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토양에는 지역에 따라 100~300ppm까지 다양한 농도로 나타나며, 해수에는 약 500~800ppb 정도로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 하천에서는 약 26ppb, 호수에서는 5.2ppm 정도 포함되어 있다.

주로 크롬철광(FeCr2O4)에서 산출되며, 주요 생산국은 다음과 같다.



드물기는 하지만 순수한 형태로도 발견된다.

6. 생산

세계 크롬 생산 추세


알루미늄 환원법으로 생산된 크롬 조각


수평 아크 영역 정련기에서 재용융된 크롬으로, 큰 가시적인 결정 입자가 보임




2013년 기준으로 약 2880만ton의 판매 가능한 크로마이트 광석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750만ton의 페로크롬으로 전환되었다.[53]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존 F. 파프(John F. Papp)에 따르면, 페로크롬은 크로마이트 광석의 주요 최종 사용처이며, 스테인리스강은 페로크롬의 주요 최종 사용처이다.[53]

2013년 크롬 광석 생산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48%), 카자흐스탄(13%), 터키(11%), 인도(10%) 순이었으며, 나머지 여러 국가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약 18%를 담당했다.[53]

크롬 광석을 제련하여 얻는 주요 제품은 페로크롬과 금속 크롬이다. 이 두 제품을 생산하는 광석 제련 공정은 상당히 다르다. 페로크롬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크로마이트 광석(FeCr2O4)을 대규모 전기 아크로에서 환원하거나, 소규모 제련소에서 알루미늄이나 실리콘을 이용한 알루미늄 환원법으로 환원한다.[54]

순수한 금속 크롬을 생산하려면 철을 크롬에서 분리하기 위해 두 단계의 배소 및 침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크로마이트 광석을 공기가 있는 환경에서 탄산칼슘과 탄산나트륨 혼합물과 함께 가열한다. 이 과정에서 크롬은 6가 형태로 산화되고, 철은 안정적인 산화철(III)(Fe2O3)을 형성한다. 이후 고온에서 침출하면 크로메이트는 용해되고 불용성인 산화철은 남게 된다. 용해된 크로메이트는 황산을 첨가하여 다이크로메이트로 전환시킨다.[54]

:4 FeCr2O4 + 8 Na2CO3 + 7 O2 → 8 Na2CrO4 + 2 Fe2O3 + 8 CO2

:2 Na2CrO4 + H2SO4 → Na2Cr2O7 + Na2SO4 + H2O

생성된 다이크로메이트는 탄소로 환원하여 산화크롬(III)(Cr2O3)으로 만들고,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환원 반응을 통해 순수한 크롬 금속을 얻는다.[54]

:Na2Cr2O7 + 2 C → Cr2O3 + Na2CO3 + CO

:Cr2O3 + 2 Al → Al2O3 + 2 Cr

2019년 국가별 크롬 광석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154]

순위국가크롬 광석 생산량 (천 톤)
1남아프리카 공화국1700만ton
2터키1000만ton
3카자흐스탄670만ton
4인도409.99999999999994만ton
5핀란드220.00000000000003만ton
6기타 국가400만ton


7. 용도

크로뮴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합금 제조로, 전체 사용량의 약 85%를 차지한다.[56] 크로뮴을 첨가하면 금속의 부식 저항성과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고속도강과 같은 다양한 합금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57] 또한, 단단하고 내식성이 강한 특성을 이용해 금속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한 크롬 도금에도 널리 쓰인다.[64]

나머지 약 15%는 화학 산업, 내화물주조 산업 등에서 사용된다.[56] 크롬 옐로(PbCrO4)와 같은 크로뮴 화합물은 과거에 노란색 안료로 널리 사용되었으나,[68] 환경 및 건강 문제로 인해 점차 다른 물질로 대체되고 있다. 산화크롬(III)은 녹색 안료나 유리 착색제, 적외선 반사 페인트 등으로 사용된다.[69][70]

보석 루비의 특징적인 붉은색은 산화 알루미늄 결정 구조 내에 포함된 소량의 3가 크로뮴 이온(Cr3+) 때문이다.[71] 인공 루비 합성 및 레이저 기술에도 크로뮴이 활용된다.[72][73][74]

이 외에도 6가 크로뮴 화합물은 독성을 이용해 목재 보존 처리제나[75] 살충제에 사용되며,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크롬산은 실험 기구 세척에 쓰이기도 했다.[87] 3가 크로뮴 화합물은 가죽 무두질 과정에서 콜라겐 섬유를 안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6] 높은 내열성 때문에 내화물 재료[54][79]촉매[80][81][82][83], 자기 테이프[84]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7. 1. 합금 및 도금



크로뮴을 각종 합금에 첨가하면 잘 부식되지 않고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도금합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57] 특히 과의 합금으로 많이 쓰이는데, 고속도강에는 3~5% 정도의 크로뮴이 첨가되며,[57] 주요 내식성 합금인 스테인리스 스틸에는 보통 11% 이상이 들어간다.[57] 스테인리스 스틸은 주로 용융된 철에 페로크로뮴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며,[57] 크로뮴이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이 거의 슬지 않기 때문에 차량, 기계 같은 중공업 제품부터 싱크대, 주방용품까지 폭넓게 활용된다.

니켈 기반 합금 역시 크로뮴 첨가를 통해 강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결정립계에 안정적인 금속 탄화물 입자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코넬 718에는 18.6%의 크로뮴이 포함되어 있으며,[58] 이러한 니켈 초합금은 우수한 고온 특성 덕분에 제트 엔진이나 가스터빈 등 일반 구조 재료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쓰인다.[58] ASTM B163 표준은 콘덴서와 열교환기 튜브에 크로뮴 사용을 규정하고 있으며,[59] 고온에서 높은 강도를 지닌 크로뮴 함유 주물은 ASTM A567로 표준화되어 있다.[59] 고온으로 인해 탄화, 산화, 부식이 우려되는 환경에서는 AISI 332형이나 인코로이 800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60][61] 니크롬 합금은 토스터나 전기 히터 등의 발열체 저항선으로 사용된다.

크로마르간(Cromargan) 18/10으로 만들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식기류(18% 크롬 함유)


이처럼 크로뮴은 산업적으로 중요성이 매우 높지만, 산출지가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공급 구조가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전략 물자로 분류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본은 국내에서 소비되는 광물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국제 정세 급변에 대비한 안보 대책으로 크로뮴을 포함한 희소 금속에 대해 국내 소비량의 최소 60일분을 국가에서 비축하도록 정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미국은 크로뮴을 "독일 전쟁 산업에 필수적인 물질"로 간주하고 나치 독일로의 유입을 막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며,[63] 자국 내에서도 노란색 도로 페인트에 크로뮴 사용을 제한하기도 했다.[62]

오토바이의 장식용 크롬 도금


순수한 크로뮴 금속 자체도 비교적 단단하고(모스 경도 8.5)[10] 부식과 변색에 강해[1] 금속 표면을 보호하는 크롬 도금에 널리 사용된다.[64] 주로 전기도금 기술을 이용해 금속 표면에 얇은 크로뮴 층을 입히는데, 두께에 따라 용도가 나뉜다. 1μm 미만으로 얇게 도금하는 경우는 주로 장식용으로 쓰이며, 더 두껍게 도금하는 경우는 표면의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52] 도금 용액으로는 주로 산성 크로뮴산 이온(CrO42-)이나 중크로뮴산 이온(Cr2O72-)을 포함하는 용액이 사용된다.[52]

그러나 도금 공정에 사용되는 6가 크로뮴(Cr(VI)) 화합물은 독성이 강하고 환경오염 및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52],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3가 크로뮴(Cr(III)) 황산염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52] 안전 및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기존 공정을 대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6]

크로뮴 화합물은 다른 표면 처리 기술에도 이용된다. 크로메이트 변환 피막 공정은 크로메이트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해 알루미늄, 아연, 카드뮴 같은 금속 표면에 보호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피막은 금속 표면을 수동화시키고, 손상 시 자가 치유하는 특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65] 하지만 이 역시 크로메이트의 유해성 문제로 인해 대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66] 알루미늄의 크롬산 양극 산화(Type I 양극 산화)는 크로뮴을 직접 도금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해질로 크롬산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표면에 독특한 특성의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67]

7. 2. 안료 및 염료

크로뮴 화합물은 다양한 안료염료로 널리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크롬 옐로(PbCrO4)는 선명한 노란색을 내는 데 가장 많이 쓰인 염료 중 하나였다. 색이 강렬하여 도로 중앙선을 칠하거나,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학교 버스, 독일우편과 같은 우편 서비스 차량 도색에 사용되었다.[68] 크로코이트(PbCrO4) 광물 역시 발견 초기부터 노란색 안료로 사용되었다.[68] 그러나 크롬 옐로는 빛에 의해 산화크롬(III)이 생성되면서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다.[68]

프러시안 블루와 크롬 옐로를 섞으면 크롬 그린을 만들 수 있다.[68] 크롬 그린은 프러시안 블루와 크롬 옐로의 혼합물을 의미하기도 하고, 산화크롬(III)(Cr2O3)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68] 또한 크롬 레드(PbCrO4·Pb(OH)2)는 붉은색 염료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수산화납(II)을 포함하는 염기성 크롬산 납이다.[68]

산화크롬(III)(Cr2O3)은 유리 제조 시 녹색을 내는 안료나 세라믹 유약으로 사용된다.[69] 이 산화물은 내광성이 매우 뛰어나 외부 코팅에도 적합하며,[69] 특히 식물의 녹색 잎과 유사한 적외선 반사율을 가지기 때문에 군용 차량 위장 도색용 페인트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된다.[70]

과거 금속 표면 처리에는 크롬산 아연이 중요한 부식 방지 안료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인산 아연으로 대체되었다.[68] 알루미늄 항공기 동체 처리를 위해 폴리비닐 부티랄 용액에 크롬산테트라옥시 아연을 분산시킨 워시 프라이머가 개발되기도 했다.[68]

그러나 크로뮴을 포함하는 안료와 염료는 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환경 오염 및 인체 유해성 문제가 제기되었다.[68] 이러한 환경 및 안전 문제로 인해 크롬 기반 안료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유기 화합물이나 다른 무기 화합물 기반의 안전한 대체 안료로 전환되는 추세이다.[68]

7. 3. 보석



천연 루비산화 알루미늄 결정 속에 3가 크로뮴 이온이 포함되어 붉은색을 나타내는 것이다. 타이타늄 이온이 포함되면 사파이어가 된다. 루비를 인공적으로 합성할 때도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인조 루비는 1960년에 만들어진 최초의 레이저에도 사용되어 붉은색을 내는 데 쓰였다.

7. 4. 기타 용도


  • 6가 크로뮴 화합물은 독성이 강하여 살충제에 사용된다. 또한 목재 보존에도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크로메이트 처리된 구리 비산염(CCA)은 목재를 부패균, 흰개미와 같은 목재 공격 곤충, 해양 굴착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쓰인다.[75] CCA 제형에는 산화물 CrO3를 기준으로 35.3%에서 65.5%의 크롬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1996년에 65300ton의 CCA 용액이 사용되었다.[75] 크롬산은 강력한 산화제로서 실험실 유리 기구에 남아 있는 미량의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87] 이는 진한 황산에 이크롬산칼륨을 용해시켜 만들며, 때로는 용해도가 더 높은 이크롬산나트륨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높은 독성과 환경 문제로 인해 이크롬산 세척액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88] 이크롬산칼륨은 화학 시약으로 적정에 사용된다.[89] 크롬산염은 습한 환경에서 강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드릴링 머드에 첨가되기도 한다.[90]

  • 3가 크로뮴 화합물은 가죽무두질할 때 쓰인다. 특히 크롬 명반과 황산크롬(III)이 사용되며, 크롬(III)은 가죽의 콜라겐 섬유를 가교 결합하여 안정화시킨다.[76] 크롬으로 무두질된 가죽은 단백질에 단단히 결합된 크롬을 4~5% 함유할 수 있다.[35] 무두질에 사용되는 크롬(III)은 독성이 있는 6가 크롬은 아니지만, 무두질 산업에서는 크롬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 회수 및 재사용, 직접/간접 재활용,[77] 그리고 "크롬 없는" 또는 "무크롬" 무두질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78]

최초 루비 레이저의 구성 요소.
루비 레이저의 붉은 결정

  • 코런덤(알루미늄 산화물) 결정에 크롬(III) 이온이 존재하면 결정이 붉은색을 띠게 되는데, 이것이 보석 루비이다. 크롬(III) 이온이 없으면 사파이어로 알려져 있다.[71] 인공 코런덤 결정에 크롬(III)을 첨가하여 인공 루비를 만들 수 있다.[72][73] 이러한 합성 루비 결정은 1960년에 제작된 최초의 레이저의 핵심 부품이었으며, 이 레이저는 루비 결정 내 크롬 원자의 유도 방출 원리를 이용했다. 루비 레이저는 694.3nm 파장의 짙은 붉은색 빛을 방출한다.[74]
  • 산화크롬(III)(Cr2O3)은 두 가지 주요 용도로 사용된다. 첫째, 높은 내열성과 녹는점으로 인해 크로마이트와 함께 용광로, 시멘트 소성로, 벽돌 소성용 금형 및 금속 주조용 주형 모래 등 내화물 재료로 활용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6가 크롬이 생성될 가능성 때문에 환경 규제로 인해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다.[54] [79] 둘째, 녹색 연마제로 알려진 금속 광택제로도 사용된다.[85][86]
  • 크롬 명반(황산크로뮴칼륨)은 직물에 염료를 고착시키는 매염제로도 사용된다.[91]

  • 몇몇 크롬 화합물은 탄화수소 처리를 위한 촉매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산화크롬으로 제조된 필립스 촉매는 전 세계 폴리에틸렌 생산량의 약 절반에 사용된다.[80] 철-크롬 혼합 산화물은 수성가스 전환 반응을 위한 고온 촉매로 사용된다.[81][82] 구리 크로마이트는 유용한 수소화 촉매이다.[83]
  • 사산화크로뮴(CrO2)은 자성을 띠는 화합물이다. 높은 보자력과 잔류 자화 특성으로 인해 고성능 오디오 테이프와 표준 오디오 카세트에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 제조에 쓰인다.[84]

  • 금속 크로뮴은 광택이 있고 단단하며 내식성이 우수하여 크롬 도금에 널리 이용된다. 또한, 철과 10.5% 이상의 크롬을 포함하는 합금(페로크롬)은 스테인리스강이라고 불린다. 스테인리스강은 크롬이 형성하는 부동태 피막 덕분에 거의 이 슬지 않아, 차량이나 기계와 같은 중공업 제품에서부터 싱크대, 등의 주방용품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게 사용된다.

8. 생물학적 역할 및 건강 문제

크로뮴(Cr)은 그 형태에 따라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다르다. 삼가크롬(Cr3+)은 과거 인슐린 활성에 관여하는 '인체 미량 원소'로 여겨졌으나, 필수 영양소인지와 그 역할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155][92][93][4][5][6] 건강한 사람에게 크롬(III) 결핍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보충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4][5]

반면, 육가크롬(Cr6+)은 강한 독성을 지닌 돌연변이원이자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94][155] 육가크롬은 기관지염, 아토피,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 피부, 신장, 등 여러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155] 물을 통해 섭취할 경우 위암 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으며, 피부 접촉 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95]

크로뮴 화합물은 염료, 페인트, 가죽 무두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사용 후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토양이나 지하수로 버려질 경우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정화 작업이 필요하다.[1] 특히 독성이 강한 육가크롬은 환경 및 건강 문제로 인해 사용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8.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Cr3+(삼가크롬)은 인슐린 활성에 관여하는 '인체 미량 원소'로 알려져 있지만, 그 영양적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55][92][93] 크롬은 오랫동안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 작용에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 역할은 아직 충분히 확립되지 않았다.[4][5] 체내에서의 정확한 작용 기전이 불분명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크롬이 필수적인 생물학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4][5][6] 반면, Cr6+(육가크롬)은 강한 독성을 지닌 돌연변이원이자 발암성 물질로,[94] 기관지염, 아토피,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 피부, 신장, 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5] 물 속의 육가크롬 섭취는 위암과 관련이 있으며,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95]
영양소로서의 역할 및 논란과거에는 체내 크롬(III) 부족이나 특정 복합체(예: 포도당 내성 인자) 부족을 "크롬 결핍증"이라고 불렀으나, 건강한 사람은 특별한 증상이 없고 크롬 보충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의학적 상태로 인정되지 않는다.[4][5] 일부 연구에서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크롬(III) 형태가 저분자량 크롬 결합 물질(크로모듈린)이라는 올리고펩타이드를 통해 체내에서 운반되며, 이것이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4][96]
식품 내 함량 및 보충제일반적인 식품의 크롬 함량은 1회 섭취량당 1~13 마이크로그램(μg) 정도로 낮은 편이다.[4][97] 식품의 크롬 함량은 토양의 무기질 함량, 재배 시기, 식물 품종, 가공 과정에서의 오염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5][97]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경우 크롬(및 니켈)이 용출될 수 있는데, 특히 새 조리기구를 사용하거나 산성 식품을 오랫동안 조리할 때 그 양이 늘어날 수 있다.[98][99]

크롬은 총정맥영양 (TPN)의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크롬이 포함되지 않은 TPN을 장기간 투여받을 경우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119] 미숙아를 위한 영양 제품에도 첨가된다.[112] 미국 등지에서는 크롬 함유 제품이 50~1,000μg 범위의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111] 미국 성인의 약 31%가 섭취하는 종합 비타민/미네랄 보충제에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111] 이러한 보충제에는 염화크롬, 구연산크롬, 피콜린산크롬(III), 폴리니코틴산크롬(III) 등이 사용되지만,[4] 그 효능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4][113]
건강 효과에 대한 연구크롬이 포도당 대사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개념은 1950년대 쥐 실험에서 비롯되었다. 크롬이 부족한 식단을 먹은 쥐는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졌으나, 크롬이 풍부한 맥주 효모를 공급하자 포도당 대사가 개선되는 것이 관찰되었다.[114]

  • 당뇨병 및 혈당 조절: 크롬 보충이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여러 차례 진행되었으나 결과는 일관되지 않다. 여러 메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일부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포도당 수치나 당화혈색소(HbA1c)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120][121][122]), 다른 연구에서는 효과가 없다는 결과도 나왔다.[123] 2016년에 발표된 한 검토 논문은 여러 연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났을지라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개선을 보인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결론지었다.[124]
  •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피콜린산 크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건부 건강 관련 주장을 승인했다: "소규모 연구 하나에서 피콜린산 크롬이 인슐린 저항성 위험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2형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FDA는 피콜린산 크롬과 인슐린 저항성 또는 2형 당뇨병 사이의 그러한 관계의 존재가 매우 불확실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115] 이 결정은 2024년 3월 현재 유효하다.[116]
  • 2010년 캐나다 보건부는 피콜린산 크롬(III)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승인하며 "건강 유지에 중요한 요소", "건강한 포도당 대사 지원" 등의 표기를 허용했다.[117]
  •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2010년 크롬이 정상적인 거대 영양소 대사와 혈당 농도 유지에 기여한다는 주장은 인정했지만, 체중 유지나 피로 감소 관련 주장은 기각했다.[118] 이후 2014년 재평가에서는 "본 위원회는 생리 기능 수행을 위한 크롬의 평균 요구량(Average Requirement)과 인구 참고 섭취량(Population Reference Intake)을 정의할 수 없다고 결론짓습니다." 그리고 "본 위원회는 건강한 피험자에서 크롬 섭취와 관련된 유익한 효과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본 위원회는 크롬에 대한 적절한 섭취량(Adequate Intake)을 설정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결론짓습니다."라고 밝히며, 크롬의 필수 영양소 지위에 의문을 제기했다.[6]

  • 체중 관리: 과체중 및 비만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크롬 보충제의 체중 감량 효과 연구 역시 결과가 미미하다. 두 건의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약간의 체중 감소(한 연구는 약 0.50kg 감소,[125] 다른 연구는 0.5kg(약 약 0.50kg) 감소[126])가 보고되었으나, 연구자들은 이러한 미미한 변화의 임상적 중요성은 불확실하거나 신뢰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125] EFSA 역시 체중 감량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했다.[6]

  • 스포츠 성능: 크롬은 인슐린 활성 증강 효과를 통해 근육량 증가나 운동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로 스포츠 보충제로 홍보되기도 했다.[113][127][128] 그러나 여러 임상 시험 결과를 검토한 결과, 크롬 보충제가 운동 능력이나 근력을 향상시킨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29]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역시 2018년 검토에서 운동선수가 크롬 섭취를 늘릴 필요가 없으며, 체지방 감소 효과 주장도 근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130]

독성크롬의 독성은 형태에 따라 크게 다르다.

  • 크롬(III) 및 금속 크롬: 물에 녹지 않는 크롬(III) 화합물과 금속 크롬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34][153] 세포로 유입되는 양이 제한적이며, 급성 경구 독성은 50 mg/kg에서 150 mg/kg 범위이다.[135] 2008년의 한 검토에 따르면, 식이 보충제를 통한 중간 정도의 크롬(III) 섭취는 유전 독성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36] 미국 직업안전보건청(OSHA)은 작업장 공기 중 크롬(III) 허용 노출 한계(PEL)를 시간 가중 평균(TWA) 1 mg/m3로, 국립 직업안전보건연구소(NIOSH)는 권장 노출 한계(REL)를 TWA 0.5 mg/m3로 설정했다. IDLH(생명 및 건강에 즉각적으로 위험한 수준) 값은 250 mg/m3이다.[137]

  • 크롬(VI) (육가크롬): 육가크롬 화합물은 독성이 매우 높고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134][153] 급성 경구 독성은 1.5 mg/kg에서 3.3 mg/kg 범위이다.[135] 육가크롬은 체내에서 삼가크롬으로 환원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세포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혈류에 도달하면 신장, , 혈구를 손상시켜 용혈, 신부전, 간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138] 크롬산염 분진의 발암성은 1890년대부터 알려졌으며,[139][140] IARC는 육가크롬 화합물을 인체 발암성 물질 (Group 1)로 분류하고 있다. 유전독성 기전으로는 환원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산소, 중간 생성물(Cr(V), Cr(IV))의 DNA 직접 결합, 최종 생성물(Cr(III))의 DNA 결합 등이 제시된다.[141][142] 또한, 크롬산염은 일부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접촉성 피부염이나 피부 궤양("크롬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도금, 가죽 무두질, 페인트, 시멘트 등 관련 산업 종사자에게서 흔히 나타날 수 있다.[143][144] 육가크롬은 과거 도금 등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환경 오염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며, 담배 연기에도 포함된 발암 물질 중 하나이다.[153]

권장 섭취량 및 함유 식품크롬은 인체에 필요한 미량 필수 영양소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그 필요성과 적정 섭취량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과거에는 1일 필요량이 50~200 마이크로그램(μg)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153] EFSA 등에서는 필요량 설정 근거가 부족하다고 본다.[6] 크롬을 비교적 많이 함유한 식품으로는 맥주효모, 간, 새우, 정제되지 않은 곡류, 콩류, 버섯류, 흑후추 등이 있다.[153] 크롬은 인슐린 감수성 인자의 구성 요소로서 인슐린이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며, 부족할 경우 당 대사 이상으로 이어져 당뇨병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153]

8. 2. 영양 권장량

크롬이 필수 영양소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뉜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 일본 정부는 크롬을 필수 영양소로 간주하지만,[101][102][103] 미국유럽 연합의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4][6]

미국 국립의학원(National Academy of Medicine, NAM)은 2001년 크롬에 대한 섭취 기준량(DRI)을 설정하면서, 평균 필요량 추정치(EARs)나 권장 섭취량(RDAs)을 정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대신 적정 섭취량(AIs)을 추정하여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14세에서 50세 사이 여성의 크롬 AI는 하루 25 μg, 50세 이상 여성은 하루 20 μg이다. 임신 중인 여성은 하루 30 μg, 수유 중인 여성은 하루 45 μg이다. 14세에서 50세 사이 남성의 AI는 하루 35 μg, 50세 이상 남성은 하루 30 μg이다. 1세에서 13세 사이 어린이의 AI는 나이에 따라 하루 0.2 μg에서 최대 25 μg까지 증가한다.[4] 안전성 측면에서 상한 섭취량(ULs)은 아직 정보 부족으로 설정되지 않았다.[100]

다른 국가들의 크롬 섭취 권장량은 다음과 같다.

국가/기관별 크롬 섭취 권장량 (성인 기준, 단위: μg/일)
국가/기관여성남성임신/수유비고상한 섭취량(UL)
미국 국립의학원 (NAM)[4]20~25 (AI)30~35 (AI)30/45 (AI)14-50세 / 50세 이상 구분설정되지 않음[4][101][103]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101]25 (AI)35 (AI)30/45 (AI)
인도[102]33 (RDA)
일본[103]10 (AI)10 (AI)
유럽식품안전청 (EFSA)[6]필수 영양소로 간주하지 않으며, 권장 기준 없음해당 없음


  • AI: 적정 섭취량(Adequate Intake), RDA: 권장 섭취량(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크롬의 잠재적 영양 가치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건강한 사람에게 크롬 섭취가 이롭다는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으며, 유럽 내 권장 기준 설정을 거부했다.[6][104][105]

미국에서는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표시에 일일 영양소 기준치(Daily Value, %DV)를 사용한다. 크롬의 경우, 과거 1회 제공량당 100% DV는 120 μg이었으나, 2016년 5월 27일부로 공식적인 권장 섭취량과 맞추기 위해 35 μg으로 개정되었다.[106][107]

미국 농무부(USDA) 등에서 관리하는 식품 성분 데이터베이스에는 일반적으로 식품의 크롬 함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108] 크롬은 다양한 동물성 및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지만,[4][100] 그 함량은 식물이 자란 토양의 크롬 농도, 동물의 사료, 그리고 가공 방식(예: 스테인리스 스틸 기구 사용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109] 멕시코에서 진행된 한 식단 분석 연구에서는 평균 일일 크롬 섭취량이 30 μg으로 보고되었다.[110] 미국 성인의 약 31%는 종합 비타민/미네랄 보충제를 통해 하루 25~60 μg의 크롬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11]

크롬은 인슐린이 체내 수용체와 잘 결합하도록 돕는 인슐린 감수성 인자(Glucose Tolerance Factor, GTF)의 구성 요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크롬이 부족하면 당 대사에 이상이 생겨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153]

8. 3. 환경 오염 문제

크로뮴 화합물은 염색, 페인트, 가죽 무두질 등에 널리 사용되지만, 사용 후 토양이나 지하수에 버려져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오염된 지역은 정화 작업이 필요하다.[1]

크로뮴 화합물 중 특히 6가 크로뮴(Cr(VI)) 화합물은 독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3] 과거에는 도금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토양 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 현재는 아연 도금 상의 크로메이트 처리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크롬 도금 작업에서는 산화크롬(VI)을 사용한 도금액이 주로 쓰인다.[145][153] 또한, 6가 크로뮴은 담배 연기에 포함된 발암 물질 중 하나이기도 하다.[153]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 암 연구소(IARC)는 6가 크로뮴 화합물을 인체에 대한 발암성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고 있다.[153] 이에 비해 크로뮴 금속 자체나 3가 크로뮴(Cr(III)) 화합물은 독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153]

크로뮴 화합물이 사용되었던 산업 현장 주변의 토양과 지하수에서는 크로뮴 오염이 자주 발견된다. 2010년 미국의 환경운동단체가 35개 주요 도시의 식수를 조사한 결과, 31개 도시의 수돗물에서 6가 크로뮴이 검출되었다. 특히 노먼을 포함한 25개 도시에서는 당시 캘리포니아주가 제안한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6가 크로뮴이 검출되어 식수 오염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46]

토양과 지하수 환경에서 크로뮴의 형태는 주변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독성이 강한 6가 크로뮴은 토양 내 유기물, 2가 철, 황화물 등 환원제에 의해 상대적으로 용해도가 낮고 독성이 약한 3가 크로뮴으로 환원될 수 있다. 이러한 환원 반응은 알칼리성 조건보다는 산성 조건에서 더 빠르게 일어난다. 반대로, 3가 크로뮴이 토양 내 산화망간(Mn(III), Mn(IV))과 같은 산화제에 의해 다시 6가 크로뮴으로 산화될 수도 있다. 6가 크로뮴은 3가 크로뮴보다 용해도가 높고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 두 산화 상태 간의 변환은 토양과 지하수에서 크로뮴의 이동성 및 생물학적 유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147]

이러한 환경 오염 문제 때문에 폐쇄되거나 운영 중인 산업 현장 주변의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정화 노력이 요구된다. 한편, 6가 크로뮴을 함유한 프라이머 페인트는 여전히 항공우주 산업 및 자동차 재도장 작업 등 일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45]

8. 4. RoHS 규제

육가크롬은 독성이 높고 토양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153]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 연구 기관(IARC)은 4가 크롬 화합물을 발암성이 있는 물질(Type 1)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 때문에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 연합(EU)의 RoHS에서는 전기·전자 제품 내 육가크롬 함유량을 중량 기준으로 0.1% 이하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중국의 RoHS(관리방법)에서도 육가크롬의 의도적인 첨가 및 관련 처리를 규제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육가크롬 검출에는 주로 디페닐카르바지드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육가크롬이 1,5-디페닐카르바조히드라지드와 산성 용액에서 반응하여 생성되는 크롬-디페닐카르바존 착물의 흡광도를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농도를 구하는 원리이다. 다만, 이 검출 방법은 3가 , 5가 바나듐, 6가 몰리브덴과 같은 다른 원소가 함께 존재할 경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참조

[1] 논문 Ductility in Chromium 1956
[2] 웹사이트 Reflecting power of beryllium, chromium, and several other metals https://nvlpubs.nist[...] NIST Publications 2018-10-11
[3] 웹사이트 χρῶμα https://web.archive.[...] 2021-04-22
[4] 웹사이트 Chromium https://ods.od.nih.g[...]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6-02
[5] 웹사이트 Chromium https://lpi.oregonst[...]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24-01-01
[6]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Chromium https://efsa.onlinel[...]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4-09-18
[7] 웹사이트 Substance Information – ECHA https://echa.europa.[...]
[8] 웹사이트 The Nature of X-Ray Photoelectron Spectra http://www.casaxps.c[...] Casa Software Ltd. 2005
[9] 서적 Greenwood and Earnshaw
[10] 문서 The melting/boiling point of transition metals are usually higher compared to the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nonmetals, which is why the range of elements compared to chromium differed between comparisons
[11] 논문 The infrared reflectivity of chromium and chromium-aluminium alloys https://lib.dr.iasta[...] Iowa State University 1972
[12] 논문 Optical properties of chromium-manganese alloys https://lib.dr.iasta[...] Iowa State University 1969
[13] 논문 The oxidation of alloys 1976
[14] 서적 High-temperature oxidation-resistant coatings: coatings for protection from oxidation of superalloys, refractory metals, and graphite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70
[15] 웹사이트 Live Chart of Nuclides https://www-nds.iaea[...]
[16] 논문 53Mn-53Cr evolution of the early solar system 1999
[17] 논문 Fluctuations in Precambrian atmospheric oxygenation recorded by chromium isotopes 2009
[18] 웹사이트 Hydra/Medusa Chemical Equilibrium Database and Plotting Software http://www.kth.se/ch[...]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6-05
[19] 웹사이트 Oxidation states (oxidation numbers) https://www.chemguid[...]
[20] 문서 Most common oxidation states of chromium are in bold. The right column lists a representative compound for each oxidation state.
[21]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Butterworth-Heinemann
[22] 백과사전 Chromium: Organometall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Ltd 2011-12-15
[23] 서적 Multiple Bonds Between Metal Atom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4] 웹사이트 Chromium(III) compounds http://www.npi.gov.a[...] Commonwealth of Australia
[25] 논문 NMR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reduction of chromium(VI) to chromium(III) by cytochrome c7 https://www.rcsb.org[...] 2002-07-31
[26] 서적 Inorganic Chemistry for Geochemistry & Environmental Sciences: Fundamentals &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16
[27] 논문 Incorporation of CrIII into a Keggin Polyoxometalate as a Chemical Strategy to Stabilize a Labile {CrIIIO4} Tetrahedral Conformation and Promote Unattended Single-Ion Magnet Properties 2020-02-19
[28]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1985
[29] 논문 Molecular Hexafluorides 2015-01-28
[30] 논문 Preparation, Structure and Vibrational Spectroscopy of Tetraperoxo Complexes of CrV+, VV+, NbV+ and TaV+ http://dokumentix.ub[...] University of Siegen 2003
[31] 논문 Structure and reactivity of chromium(4+) tert-butoxide 1989-06-01
[32] 논문 Synthesis of a stable compound with fivefold bonding between two chromium(I) centers 2005
[33]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4] 서적 The Elemen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14
[35] 서적 Chromium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74
[36] 뉴스 How a Trump SoHo Partner Ended Up With Toxic Mining Riches From Kazakhstan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8-01-11
[37] 논문 New Mineral Names http://www.minsocam.[...] 1982
[38] 웹사이트 Chromium https://www.mindat.o[...]
[39] 웹사이트 Chromium from Udachnaya-Vostochnaya pipe, Daldyn, Daldyn-Alakit kimberlite field, Saha Republic (Sakha Republic; Yakutia), Eastern-Siberian Region, Russia https://www.mindat.o[...]
[40] 논문 Chromium occurrence in the environment and methods of its speciation 2000
[41] 논문 Natural Occurrence of Hexavalent Chromium in the Aromas Red Sands Aquifer, California 2005
[42] 서적 Chrom: Teil A – Lieferung 1. Geschichtliches · Vorkommen · Technologie · Element bis Physikalische Eigenschaften Springer Berlin Heidelberg Imprint Springer
[43] 서적 De Nova Minerae Plumbi Specie Crystallina Rubra, Epistola http://www.mdz-nbn-r[...]
[44] 서적 Chromium (VI) Handbook https://archive.org/[...] CRC Press 2005
[45]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V.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and uranium
[46] 웹사이트 Chromite mining https://oregonencycl[...] Portland State University and the Oregon Historical Society
[47] 논문 Memoir on a New Metallic Acid which exists in the Red Lead of Siberia https://books.google[...] 1798
[48] 논문 Chrome in the Southern Appalachian Region https://babel.hathit[...]
[49] 웹사이트 Chromium http://elements.vand[...]
[50] 웹사이트 Soldier's Delight, Baltimore Country http://www.mgs.md.go[...] Maryland Geological Survey
[51] 서적 Klasikten Moderne Osmanlı Ekonomisi https://www.bkmkitap[...] Kronik Kitap
[52] 서적 Nickel and Chromium Plating https://archive.org/[...] Woodhead Publishing 1993
[53] 웹사이트 Mineral Yearbook 2015: Chromium https://minerals.usg[...]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54] 서적 Industrial Minerals & Rocks: Commodities, Markets, and Uses SME 2006
[55] 웹사이트 Mineral Yearbook 2002: Chromium http://mineral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56] 서적 Environmental Forensics: Contaminant Specific Guid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0-08-04
[57] 서적 Alloy digest sourcebook: stainless steels https://www.asminter[...] ASM International
[58] 웹사이트 Nickel-Based Superalloys http://www.msm.cam.a[...] University of Cambridge
[59] 논문 Chromium, Nickel and Welding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90
[60] 뉴스 Stainless Steel Grade 332 (UNS S33200) https://www.azom.com[...] AZoNetwork 2013-03-05
[61] 뉴스 Super Alloy INCOLOY Alloy 800 (UNS N08800) https://www.azom.com[...] AZoNetwork 2013-07-03
[62] 웹사이트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War Emergency Edition) https://ceprofs.civi[...] American Associan of State Highway Officials 1942-11
[63] 웹사이트 Allied Relations and Negotiations with Turkey https://1997-2001.st[...]
[64] 웹사이트 Thermal Spraying versus Hard Chrome Plating https://www.azom.com[...] AZoNetwork 2002-08-15
[65] 서적 Coating and Surface Treatment Systems for Metals Finishing Publications Ltd. and ASMy International 1997
[66] 논문 Effects of chromate and chromate conversion coatings on corrosion of aluminum alloy 2024-T3 2001
[67] 서적 ASM Handbook: Surfac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ASM International 1994
[68] 서적 Painting Materials: A Short Encyclopaedia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66
[69] 서적 Chromium Compounds Wiley-VCH, Weinheim 2005
[70] 서적 The chemistry and physics of coatings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4
[71] 문서 Any color of corundum (disregarding red) is known as a sapphire.
[72] 문서 When Cr3+ replaces Al3+ in corundum (aluminium oxide, Al2O3), pink sapphire or ruby is form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chromium.
[73] 논문 The chromium position in ruby http://rruff.geo.ari[...] 2009-04-27
[74] 서적 Handbook of Laser Technology and Applications: Laser design and laser systems https://books.google[...] CRC Press
[75] 논문 Leaching of chromated copper arsenate wood preservatives: a review 2001
[76] 논문 A Conformational Study of Collagen as Affected by Tanning Procedures 1997
[77] 논문 Sustaining tanning process through conservation, recovery and better utilization of chromium 2003
[78] 논문 A Chrome-Free and Chrome-Less Tanning System Based on the Hyperbranched Polymer 2015-12-09
[79] 논문 Occurrences, Uses, and Properties of Chromium
[80] 논문 Olefin polymerization over supported chromium oxide catalysts https://dspace.libra[...] 2018-10-05
[81] 서적 Catalyst Handbook Taylor & Francis 1989
[82] 논문 Water-gas shift reaction: Finding the mechanistic boundary 1995
[83] 간행물 Copper Chromite Catalyst
[84] 서적 The foundations of magnetic recording Academic Press 1993
[85] 서적 Advances in CMP Polishing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William Andrew 2011-11-30
[86] 논문 Chromium-based regulations and greening in metal finishing industries in the USA
[87] 웹사이트 Oxidizing Agents https://chem.librete[...] MindTouch 2019-06-03
[88] 서적 Vacuum Sealing Techniqu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9] 웹사이트 Determination of iron using potassium dichromate: Redox indicators http://wwwchem.uwimo[...] The Department of Chemistry UWI, Jamaica 2008-10-27
[90] 서적 Corrosion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https://books.google[...] ASM International 2020-06-05
[91] 서적 Plant-Based Natural Products: Derivativ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Wiley 2018-10-17
[92] 서적 Interrelations between Essential Metal Ions and Human Diseases Springer 2013
[93] 서적 Essential Metals in Medicine:Therapeutic Use and Toxicity of Metal Ions in the Clinic; In: Metal Ions in Life Sciences de Gruyter GmbH 2019
[94] 논문 Chromium and genomic stability
[95] 웹사이트 ToxFAQs: Chromium https://wwwn.cdc.gov[...] Agency for Toxic Substances & Disease Registr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10-02
[96] 논문 Is the Pharmacological Mode of Action of Chromium(III) as a Second Messenger? 2015
[97] 논문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veness and reliability of the chromium composition of foods in the literature 2011
[98] 논문 Stainless steel leaches nickel and chromium into foods during cooking 2013
[99] 논문 Purity of food cooked in stainless steel utensils 1997
[100] 웹사이트 Chromium.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A, Vitamin K, Arsenic, Boron, Chromium, Chromium, Iodine, Iron, Manganese, Molybdenum, Nickel, Silicon, Vanadium, and Chromium https://www.ncbi.nlm[...] 2018-10-03
[101] 웹사이트 Chromium https://www.nrv.gov.[...] 2018-10-04
[102] 웹사이트 Nutrient Requirements and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Indians: A Report of the Expert Group of the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pp.283–295 (2009) http://icmr.nic.in/f[...] 2018-10-03
[103] 웹사이트 DRIs for Chromium (μg/day) http://www.mhlw.go.j[...] 2018-10-04
[104] 웹사이트 Overview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the EU population as derived by the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https://www.efsa.eur[...] 2017-09-05
[105] 간행물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For Vitamins And Minerals http://www.efsa.euro[...]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6-07-24
[106]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May 27, 2016 Food Labeling: Revision of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R page 33982 https://www.gpo.gov/[...] 2017-08-31
[107] 웹사이트 Daily Value Reference of the Dietary Supplement Label Database (DSLD) https://www.dsld.nlm[...] 2020-05-16
[108] 웹사이트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https://fdc.nal.usda[...] 2018-10-04
[109] 논문 Chromium content of foods and diets 1992
[110] 논문 Chromium content in foods and dietary intake estimation in the Northwest of Mexico 2001
[111] 논문 Trends in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US Adults From 1999–2012 2017-10-11
[112] 논문 Review of trace mineral requirements for preterm infants: What are the current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2015-02
[113] 논문 Chromium: Celebrating 50 years as an essential element? 2010
[114] 논문 Chromium(III) and the glucose tolerance factor
[115] 웹사이트 FDA Qualified Health Claims: Letters of Enforcement Discretion, Letters of Denial https://wayback.arch[...]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08
[116] 웹사이트 Qualified Health Claims: Letters of Enforcement Discretio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10-19
[117] 웹사이트 Monograph: Chromium (from Chromium picolinate) http://webprod.hc-sc[...] Health Canada 2009-12-09
[118] 웹사이트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chromium and contribution to normal macronutrient metabolism (ID 260, 401, 4665, 4666, 4667), maintenance of normal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ID 262, 4667), contribution to the maintenance or achievement of a normal body weight (ID 339, 4665, 4666), and reduction of tiredness and fatigue (ID 261) pursuant to Article 13(1) of Regulation (EC) No 1924/2006 https://efsa.onlinel[...]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0
[119] 논문 Parenteral trace element provision: recent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al conclusions 2014-04-06
[120] 논문 Chromium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high risk of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6
[121] 논문 Effect of chromium on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review of randomized trials 2013
[122]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romium supplementation in diabetes 2013-03-17
[123] 논문 Improved meta-analytic methods show no effect of chromium supplements on fasting glucose 2014-01
[124] 논문 Chromium supplements for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limited evidence of effectiveness 2016-05-30
[125] 논문 Chromium picolinate supplementation for overweight or obese adults 2013
[126] 논문 Chromium supplementation in overweight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3
[127] 논문 Efficacy of chromium supplementation in athletes: emphasis on anabolism 1992
[128] 논문 The potential value and toxicity of chromium picolinate as a nutritional supplement, weight loss agent and muscle development agent 2003
[129] 논문 Supplements and sports 2008
[130] 논문 IOC Consensus Statement: Dietary Supplements and the High-Performance Athlete 2018
[131] 논문 Heavy Metal and Metalloid Pollution of Soil, Water and Foods in Bangladesh: A Critical Review 2018
[132]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n chromium induced alterations in fresh water fishes 2018
[133] 논문 The efficacy of chromium as a growth enhancer for mirror carp (Cyprinus carpio L): an integrated study using biochemical, genetic, and histological responses 2012
[134] 논문 Chromium 1999
[135] 논문 The toxicology of chromium with respect to its chemical speciation: A review 1992
[136] 논문 Trivalent Chromium: Assessing the Genotoxic Risk of an Essential Trace Element and Widely Used Human and Animal Nutritional Supplement 2008
[137] 문서 PGCH
[138] 논문 Mechanisms of chromium toxicity, carcinogenicity and allergenicity: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85 to 2000 2001
[139] 논문 A case of adeno-carcinoma of the left inferior turbinated body, and perforation of the nasal septum, in the person of a worker in chrome pigments 1890
[140] 논문 One Hundred Years of Chromium and Cancer: A Review of Epidemiological Evidence and Selected Case Reports 1990
[141] 논문 Mechanisms of chromium carcinogenicity and toxicity 1993-01-01
[142] 간행물 Methods to Develop Inhalation Cancer Risk Estimates for Chromium and Nickel Compounds https://purl.fdlp.g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Air Quality Planning and Standards,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s Division 2015-03-19
[143] 웹사이트 Chrome Allergy http://dermnetnz.org[...] DermNet NZ 2008-06-07
[144] 논문 Investigation of the threshold for allergic reactivity to chromium 2000-01-01
[145] 서적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Biomedical Publications 2008-01-01
[146] 뉴스 US water has large amounts of likely carcinogen: study https://news.yahoo.c[...] 2010-12-19
[147] 논문 The challenge of remediating chromium-contaminated soil 1996-01-01
[148] 논문 Spin-density-wave antiferromagnetism in chromium
[149] 웹사이트 Chromium History, Uses, Facts, Phys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https://periodic-tab[...] Interactive Periodic Table
[150] 웹사이트 クロム生産量(国別) 資源について http://resource.ashi[...]
[151] 웹사이트 Terracotta Warriors (Terracotta Army) http://www.chinatour[...] China Tour Guide
[152] 논문 Surface chromium on Terracotta Army bronze weapons is neither an ancient anti-rust treatment nor the reason for their good preservation 2019-04-04
[153] 웹사이트 クロムとは https://kotobank.jp/[...]
[154] 웹사이트 USGS クロムの統計と情報2020年版 https://pubs.usgs.go[...]
[155] 웹사이트 Occupation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Chromium (VI) (Hexavalent Chromium) https://web.archive.[...] 2014-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