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미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미루는 1742년 동래부사 김석일에 의해 동래부 동헌 앞에 세워진 문루이다. 한양에서 부임한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망미루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1919년 동래 3·1 운동은 이 누각에서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 시가지 정리 계획에 따라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팔작지붕 건물로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관아 문루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2년 작품 - 장성 김인후 신도비
장성 김인후 신도비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김인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으로, 숙종 8년에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영조 18년에 이재가 비문을 쓰고 김진상이 전서를 써서 건립되었으며, 김인후의 생애와 학문적 업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 - 1742년 작품 - 목욕하고 나오는 다이아나
"목욕하고 나오는 다이아나"는 목욕 후 젖은 머리카락을 정돈하는 다이아나 옆에 님프가 다가와 그녀의 다리를 바라보는 모습과 화살통, 활, 사냥개, 사냥 동물 등 사냥의 여신을 상징하는 물건들이 묘사되어 있으며, 고급 실크 원단으로 몸을 가린 다이아나의 신분을 강조하는 그림으로, 1930년경 조각 작품 "Diane des tropiques"로 차용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고려사
《고려사》는 조선 건국 직후부터 1451년까지 편찬된 총 139권의 기전체 역사서로, 고려왕조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세종과 김종서 등의 감독하에 완성되었으나, 조선 건국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역사적 객관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부산 충렬사
부산 충렬사는 부산박물관 소장 문화재인 동래무청선생안, 경상좌수영선생안, 다대진선생안 등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망미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이름 | 망미루 |
한자 표기 | 望美樓 |
위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 (수안동, 동래부 동헌 충신당) |
좌표 | 35°12′11.7″N 129°05′11.9″E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4 |
지정일 | 1972년 6월 26일 |
참고 사항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면적 | 42.97m2 |
수량 | 1동 |
상세 정보 | |
시대 | 조선후기 동래부 동헌의 문루 |
관리자 | 동래구 |
문화재청 ID | 21,00040000,21 |
2. 역사
이 누각은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동래부 청사인 동헌(東軒) 앞에 세운 문루이다.[2]
옛날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
전면에는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이라고 쓰여진 큰 편액이 걸려 있고, 후면에는 망미루(望美樓)라는 큰 편액이 걸려 있다.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 누각 위에는 동래성 4대문의 여는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 일제시대에 시가지 정리계획에 따라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2]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다. 팔작(八作)지붕으로 된 2층 누각이며,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다. 마루는 귀틀마루이며,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 이 누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로 부산지방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
2. 1. 건립 배경
망미루는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동래부 청사인 동헌(東軒) 앞에 세운 문루이다.[2]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2]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2. 2. 명칭 유래
옛날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 전면에는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이라고 쓰여진 큰 편액이 걸려 있고, 후면에는 망미루(望美樓)라는 큰 편액이 걸려 있다.2. 3. 동래 3.1 운동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2. 4. 이전과 보존
망미루는 일제시대에 시가지 정리계획에 따라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2]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3. 건축 양식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다.[2] 팔작(八作)지붕으로 된 2층 누각이며,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다.[2] 마루는 귀틀마루이며,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2]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2] 이 누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로 부산지방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
3. 1. 구조
망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세워져 있다.[2] 지붕은 팔작(八作)지붕 형태를 띠고 있으며,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다.[2] 마루는 귀틀마루이고,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이 둘러져 있다.[2]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2]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 양식을 보여주는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3. 2. 세부 양식
망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다. 2층 누각이며 팔작(八作)지붕 형태이다.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며, 귀틀마루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3. 3. 건축학적 의의
망미루는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로 부산 지방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으며, 팔작(八作)지붕으로 된 2층 누각이다.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며, 마루는 귀틀마루이고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2]4. 현판
망미루에는 여러 현판이 걸려있다. 전면에는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이라고 쓰여진 큰 편액이 걸려 있고, 후면에는 '망미루(望美樓)'라는 큰 편액이 걸려 있다.[2]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2]
4. 1.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
망미루는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동래부 청사인 동헌 앞에 세운 문루이다.[2] 전면에는 '동래도호아문(東萊都護衙門)'이라고 쓰여진 큰 편액이 걸려 있는데,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2]옛날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며,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 누각 위에는 동래성 4대문의 여는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2]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다. 팔작지붕으로 된 2층 누각이며,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다. 마루는 귀틀마루이며,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 이 누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로 부산지방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 일제시대에 시가지 정리계획에 따라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2]
4. 2. 망미루(望美樓)
망미루는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동래부 청사인 동헌 앞에 세운 문루이다.[2] 옛날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2]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후면에는 '망미루(望美樓)'라는 큰 편액이 걸려 있다.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2] 누각 위에는 동래성 4대문의 여는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2] 일제강점기에 시가지 정리계획에 따라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2]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높은 주초석(柱礎石) 위에 놓여 있다. 팔작(八作)지붕으로 된 2층 누각이며, 두공(枓栱) 양식은 2익공(二翼工)이다. 마루는 귀틀마루이며,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다. 처마는 부연(浮椽)이 붙은 겹처마이다. 이 누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문루로 부산지방의 대표적인 건물이다.[2]
5. 과거 활용
이 누각은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동래부 청사인 동헌 앞에 세운 문루이다.[2]
옛날 한양으로부터 부임해온 어느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이 누각을 망미루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1919년 동래의 3․1운동은 이 누각에서의 만세 삼창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2]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렀다. 누각 위에는 동래성 4대문의 여는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 일제시대에 시가지 정리계획에 따라 아무런 연고도 없는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2]
5. 1. 포정사(布政司)
1895년(고종 32)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東萊觀察使營)으로 승격됨에 따라 망미루는 일명 포정사(布政司)라고도 불렸다.[2] 누각 위에는 동래성 4대문의 개폐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2]5. 2. 시보(時報) 기능
망미루에는 동래성 4대문의 여는 시각과 정오를 알리기 위해 치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2]참조
[1]
고시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소재지 변경 및 보호구역 지정해제 등 고시
부산광역시장
2014-05-07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