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성 김인후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 김인후 신도비는 조선 시대 학자 김인후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신도비이다. 김인후는 울산 김씨로, 모재 김안국과 신재 최산두에게 수학하고 1540년 문과에 급제하여 인종의 스승이 되었으며, 기묘사화 관련자 신원 복원을 주장하다가 고향으로 돌아가 성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그의 학문은 16세기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며, 저서로 『하서집』 등이 있다. 1742년에 건립된 신도비는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이재가 글씨를 썼으며, 1982년에는 추기 신도비가 추가로 건립되었다.

2. 생애

김인후는 울산 김씨로,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담재(湛齋),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김안국과 최산두에게 배웠으며, 1540년 과거에 급제하여 인종의 스승이 되었다. 기묘명현의 복권을 주장했으나 실패했고, 을사사화 이후 고향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그의 성리학 이론은 조선 성리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서로는 『하서집』, 『주역관상편』 등이 있다. 도학과 절의, 문장을 겸비한 인물로 추앙받으며, 장성 필암서원 등에 배향되었고, 1796년 문묘에 종사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1. 가계와 수학

김인후의 본관은 울산이며,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ㆍ담재(湛齋)이다. 모재 김안국과 신재 최산두에게서 수학하였다.

2. 2. 관직 생활과 낙향

김인후1540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에 등용되고 호당(湖堂)에 들어가 사가독서하였다. 홍문관 박사 겸 세자시강원 설서가 되어 인종의 스승이 되었다.[1]

홍문관 부수찬에 올라 기묘명현의 신원 복원을 문신으로서 최초로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부모 봉양을 이유로 옥과 현감(玉果 縣監)으로 나갔다.[1]

인종이 갑자기 승하하고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병을 핑계로 사직하고 고향 장성으로 돌아가 평생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1]

2. 3. 성리학 연구와 저술 활동

김인후는 평생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1] 그의 성리학 이론은 16세기 조선 성리학계를 이끈 대표적 이론으로 자리 잡아 이와 기에 관한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우리나라 유학사에 있어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시문에도 능하여 10여 권의 시문집이 있으며, 저서로는 『하서집』, 『주역관상편』, 『서명사천도』, 『홍범설시작괘도』, 『백련초해』 등이 있고, 문집으로 『하서전집』이 있다.[1] 그는 도학(道學)과 절의(節義), 문장(文章)을 두루 갖춘 인물로 널리 추앙받는다.[1]

3. 사상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 결과도 없어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4. 평가와 영향

김인후는 도학(道學), 절의(節義), 문장(文章)을 두루 갖춘 인물로 널리 추앙받는다.[1] 그의 성리학 이론은 16세기 조선 성리학계를 이끈 대표적 이론으로 자리 잡아 이와 기에 관한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한국 유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시문에도 능하여 10여 권의 시문집을 남겼다.[1]

장성 필암서원 및 옥과 영귀서원 등에 배향되었으며, 1796년(정조 20년) 문묘에 종사되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5. 유적과 기념물

김인후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김인후의 증손 김형지와 그의 아들 김기하가 송시열에게 비문을 청하여 1682년(숙종 8)에 완성되었다.[1] 1742년(영조 18)에는 김인후의 묘역 입구에 신도비가 건립되었으며, 비문의 글씨는 이재가, 전서는 김진상이 썼다.

5. 1. 신도비

1675년(숙종 원년) 김인후의 증손 김형지(金亨祉)가 우암(尤庵) 송시열에게 비문을 청문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별세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각재(覺齋) 김기하(金器夏)가 선친의 유업을 계승하여 예송 논쟁으로 귀양 가서 해배된 송시열에게 비문을 청문하여 1682년(숙종 8) 비문이 완성되었다.[1]

1742년(영조 18)에 김인후의 묘역 입구에 거북이 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신도비를 건립하였다. 비문의 글씨는 도암 이재(李縡)가, 전서는 대사헌 김진상(金鎭商)이 썼다. 비문은 전ㆍ후면 각 19행, 양 측면 각 8행, 모두 54행, 1행 54자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장성 김인후 신도비'''는 도학과 절의와 문장을 모두 갖추고 문묘에 종사된 그의 생애와 행적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립 당시 명유(名儒) 우암 송시열이 10여년을 거쳐 지은 명문장으로, 도암 이재가 글씨를 쓰는 등 기록 사료로서의 가치와 역사적ㆍ학술적ㆍ향토사적 가치도 크다.

하서 김인후 추기 신도비


기존의 신도비에 1796년(정조 20) 정조 대왕이 하교하신 문묘(文廟) 승배(陞配), 문정(文正)으로 개시(改諡), 증직(贈職), 명부조(命不祧) 등 추가 사적이 등재되지 않아, 1979년 정월 유림(儒林)의 총의(總意)를 거쳐 추기 신도비를 건립키로 결의하였다.

1980년 봄 본손(本孫) 담운(湛雲) 김상일(金相一)이 주축이 되어 화산(花山) 권용현(權龍鉉)에게 비문을 청문하여 늦여름에 완성을 보고, 진원(珍原) 박하주(朴廈柱)가 글씨를 써서 1982년 8월 기존의 신도비 우측에 추기 신도비(追記 神道碑)를 건립하였다.

추기 신도비문의 주요 내용은 기존의 신도비문에 성균관 유생들의 문묘 종향 상소, 정조대왕의 하교, 6세 때 지은 상원(上元)의 망월시, 천명도 저술 내용 등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