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래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삼한시대 변한의 독로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동래군, 동래부로 불렸다. 1957년 구제 실시로 동래구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충렬사, 동래읍성, 동래부 동헌 등이 있으며, 사직야구장과 사직실내체육관, 동래온천 등이 위치해 있다. 교통은 부산 도시철도 1, 3, 4호선과 동해선 광역전철이 지나며, 자매 도시로 국내는 이천시, 하동군, 고창군, 서천군과, 해외는 후에, 훙커우 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동래구의 행정 구역 - 안락동
    안락동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여러 학교와 충렬사를 포함한 문화재, 그리고 다양한 건설사에서 지은 아파트 단지들이 있는 지역이다.
  • 부산 동래구 - 동래읍성도서관
    동래읍성도서관은 2015년 10월 29일에 신축 개관하여 종합자료실, 자유열람실, 어린이자료실 등을 갖춘 도서관이다.
  • 부산 동래구 - 복천박물관
    복천박물관은 복천동고분군 발굴 조사와 정비 사업을 통해 1996년 개관한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박물관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동래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동래구
원어 이름동래구
한자 표기東萊區
로마자 표기Dongnae-gu
맥큔-라이샤워 표기Tongnae-ku
행정 구역 종류자치구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광역자치단체부산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14개 행정동
면적16.7 km²
인구 (2024년 9월)269,086명
인구 밀도16,991명/km²
방언경상 방언
웹사이트동래구청
동래구 깃발
동래구 깃발
정치
구청장장준용
구청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국회의원서지영 (국민의힘, 동래구)
상징
구화매화
구조
구목소나무
상징 동물뚜기와 뚜미
기타 정보
법정동9개
행정동13개
구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로 359번길 70

2. 역사

동래구는 삼한시대 변한 독로국의 터전이었으며, 신라에 병합된 후 757년 경덕왕 때 '동래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동래라는 이름은 '동쪽의 내산'이라는 뜻으로,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의 줄임말로 풀이된다. 고려 시대에는 잦은 왜구의 침략으로 군 치소가 현재의 동래읍 자리로 옮겨졌다.

조선 시대에는 국방과 대일 외교의 중요성으로 인해 1547년 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임진왜란 최초의 패전지라는 이유로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99년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914년 동래부는 부산부와 분리되어 동래군이 되었다가 1942년 부산부에 편입되어 동래출장소가 되었다.

1957년 동래구 설치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75년 남구, 1980년 해운대구, 1988년 금정구, 1995년 연제구가 분구되면서 현재의 관할 구역이 형성되었다.

1973년 제1만덕터널이, 1988년에는 제2만덕터널이 완공되었다.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부산광역시 동래구로 개칭되었다. 2011년 명륜제1,2동을 명륜동으로 통합하였다. 2020년 구청 청사 재건축으로 인해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

2. 1. 삼한시대 ~ 조선 초기

삼한시대에는 변한 독로국의 터전이며 한때 거칠산국의 중심지로서 신라에 병합되면서 거칠산군으로 되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지방행정제도를 개편할 때 ‘동래군’으로 이름이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래’(東萊)라 함은 ‘동쪽의 내산’(萊山)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蓬萊山)의 줄임말로 풀이되고 있다.

군청 소재지는 원래 수영 부근에 있었지만, 고려 때 잦은 왜구의 침략으로 현재의 동래읍 자리로 성을 옮겼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울주 동래현으로 되었으나, 1397년 조선 태조 6년 ‘동래진’이 설치되었다.[10]

2. 2. 조선 중기 ~ 일제강점기

삼한시대에는 변한 독로국의 터전이며 한때 거칠산국의 중심지로서 신라에 병합되면서 거칠산군으로 되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지방행정제도를 개편할 때 ‘동래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동래’(東萊)는 ‘동쪽의 내산’(萊山)을 뜻하며, 이는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蓬萊山)의 줄임말로 풀이된다.[10]

원래 군청 소재지는 수영 부근에 있었지만, 고려 때 잦은 왜구의 침략으로 현재의 동래읍 자리로 성을 옮겼다. 고려 현종 9년(1018년) 울주 동래현으로 되었으나, 조선 태조 6년(1397년) ‘동래진’이 설치되었다. 조선 명종 2년(1547년) 국방과 대일 외교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도호부로 승격되어 당상관인 정3품 문관이 목민관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최초의 패전지라는 이유로 일시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선조 32년(1599년)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10]

1914년 부제 실시로 동래부는 부산부와 분리되어 부산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과 기장군 일대를 관할하는 동래군이 되었다가, 1942년 부산부에 편입되어 동래출장소가 되었다.[10]

2. 3. 해방 이후 ~ 현재

1957년 1월 1일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가 설치되었다.[11] 1963년 1월 1일 동래군 북면이 편입되었다.[12][13]

1973년 11월 14일 제1만덕터널이 완공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남구가 신설되었고, 북면출장소가 폐지되었다. 이와 동시에, 연산제2동, 동상동, 반송동을 각각 연산제2/5동, 동상제1~3동, 반송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14] 1976년 4월 9일 해운대출장소가 시 직할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980년 4월 1일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해운대구가 신설되었다.[15] 1988년 1월 1일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금정구가 신설되었으며,[16] 같은 해 4월 9일 제2만덕터널이 완공되었다.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래구로 개칭되었고,[17] 같은 해 3월 1일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연제구가 신설되었다.[18] 2011년 3월 1일 명륜제1,2동을 명륜동으로 합동하였다.[19] 2020년 1월 28일, 현 구청 청사 재건축 공사 관계로 낙민동에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

3. 행정 구역

동래구 행정 구역


동래구는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동래경찰서와 동래소방서, 금정소방서 산하 119 안전센터들이 구의 치안과 소방을 담당한다.

; 경찰
; 소방

  • 동래소방서
  • * 수안119안전센터
  • * 온천119안전센터
  • * 사직119안전센터
  • 금정소방서
  • * 서동119안전센터

3. 1. 법정동

동래구는 7개의 법정동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2]

행정동과 법정동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3. 2. 행정동

201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동래구의 행정동별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20]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수민동壽民洞1.21km212,00334,176
복산동福山洞0.78km25,36613,494
명륜동明倫洞1.35km26,06715,720
온천1동溫泉1洞2.12km29,39519,869
온천2동溫泉2洞2.33km28,68623,185
온천3동溫泉3洞1.77km213,29335,498
사직1동社稷1洞0.32km23,6909,607
사직2동社稷2洞1.86km29,83230,914
사직3동社稷3洞0.8km26,78316,901
안락1동安樂1洞0.97km26,84817,601
안락2동安樂2洞1.34km211,71233,603
명장1동鳴藏1洞0.9km26,49317,137
명장2동鳴藏2洞0.88km26,07616,944
동래구東萊區16.63km2106,244284,649



동래구의 행정동과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4. 인구

2011년 12월 31일 기준 동래구의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20]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수민동壽民洞1.21km212,00334,176
복산동福山洞0.78km25,36613,494
명륜동明倫洞1.35km26,06715,720
온천1동溫泉1洞2.12km29,39519,869
온천2동溫泉2洞2.33km28,68623,185
온천3동溫泉3洞1.77km213,29335,498
사직1동社稷1洞0.32km23,6909,607
사직2동社稷2洞1.86km29,83230,914
사직3동社稷3洞0.8km26,78316,901
안락1동安樂1洞0.97km26,84817,601
안락2동安樂2洞1.34km211,71233,603
명장1동鳴藏1洞0.9km26,49317,137
명장2동鳴藏2洞0.88km26,07616,944
동래구東萊區16.63km2106,244284,649


  • 행정동인 수민동은 법정동인 수안동, 낙민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행정동인 복산동은 법정동인 복천동, 칠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도총인구 (명)비고
1966년191,340
1969년285,147
1972년443,042
1975년642,388
1978년707,4011975년 남구 신설[21]
1981년678,1651980년 해운대구 분구
1984년766,505
1987년852,605
1990년595,8441988년 금정구 분구
1993년592,753
1996년313,0591995년 연제구 분구
1999년300,286
2002년295,306
2005년279,184
2008년284,675
2011년283,649
2014년277,711
2017년273,394
2018년270,230
2019년266,502
2020년271,562
2021년270,695


5. 문화

부산 사직구장


금강케이블카


동래구에는 충렬사, 복천박물관, 동래읍성, 동래부 동헌, 동래향교, 사직야구장, 동래온천, 금강케이블카, 우장춘 박사 기념관, 복천동 고분군[4] 등 다양한 문화 유적 및 시설이 있다. 사직동에는 부산 사직야구장(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과 사직실내체육관(다양한 농구팀의 홈구장)이 있으며,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야구, 농구, 체조, 수영, 다이빙 경기를 개최했다. 온천동에는 허심청이 있다.

5. 1. 문화 유적


송상현을 모신 사우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이다. 임진왜란 때 부산진첨절제사로 부산진성 싸움에서 전사한 정발이 배향되었으며, 1735년 영조 11년에는 다대첨사 윤흥신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부산 사직야구장(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과 사직실내체육관(다양한 농구팀의 홈구장)이 있다. 이 시설들은 인근의 사직수영장과 함께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야구, 농구, 체조, 수영, 다이빙 경기를 개최했다.[4]
온천동에 허심청이 있다.

  • 금강케이블카
  • 우장춘 박사 기념관
  • 복천동 고분군[4]


5. 2. 자연 환경

북쪽에서 흐르는 온천천은 구의 중앙부를 남쪽으로 흐르다 방향을 동쪽으로 바꾸어 연제구와의 경계를 이루며 수영강으로 합류한다. 동래온천온천천 서쪽에 있다.

5. 3. 축제

동래읍성 역사축제는 1996년부터 매년 10월에 개최된다.

5. 4. 특산물

6. 스포츠

동래구에는 프로 스포츠 구단들의 연고지가 있다.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사직야구장여자프로농구 부산 BNK 썸의 홈구장인 사직실내체육관이 있다.

6. 1. 프로 스포츠

6. 2. 스포츠 시설



사직동에는 사직야구장(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과 사직실내체육관(여자프로농구 부산 BNK 썸 및 다양한 농구팀의 홈구장) 등 두 개의 주요 스포츠 시설이 있다. 이 두 시설은 인근의 사직수영장과 함께 부산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야구, 농구, 체조, 수영, 다이빙 경기를 개최했다.

7. 교육

동래구에는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다.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에서 관할하고 있다.[1]

종류기관명
유치원민들레유치원
특수학교부산맹학교
기타대성학원


7. 1. 고등학교

대명여자고등학교, 동인고등학교, 사직여자고등학교, 용인고등학교, 학산여자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중앙여자고등학교, 사직고등학교, 충렬고등학교, 금정고등학교, 혜화여자고등학교, 동래고등학교가 있다.

7. 2. 중학교

7. 3. 초등학교

8. 교통

동래구는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도로와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이 발달해 있다.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광역전철부산 도시철도 1, 3, 4호선이 동래구를 지난다. 특히, 동래역은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이며, 미남역은 3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으로 중요한 교통 요지이다.

8. 1. 도로

국도 제7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중앙대로
국도 제14호선반송로, 충렬대로, 만덕대로
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번영로


8. 2. 도시 철도

노선구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대역온천장역명륜역동래역교대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만덕역 ↔ 미남역 ↔ 사직역 ↔ 종합운동장역거제역
부산 도시철도 4호선시/종점 ↔ 미남역 ↔ 동래역 ↔ 수안역 ↔ 낙민역 ↔ 충렬사역 ↔ 명장역 ↔ 서동역
동해선 광역전철교대역동래역안락역부산원동역재송역

9. 자매 도시

중국 虹口|훙커우중국어는 1997년 5월 23일에, 고창군은 1997년 6월 28일에 동래구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9. 1. 국내



고창군과는 1997년 6월 28일에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1]

9. 2. 해외

국가도시
후에
훙커우



중국 상하이시(上海市) 훙커우구(虹口区)와 1997년 5월 23일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웹사이트 TLPD - SC2 Korea - Player Information - DongRaeGu http://www.teamliqui[...]
[3] 웹사이트 DongRaeGu in a Local Newspaper (Korean) https://web.archive.[...] 2012-04-24
[4] 웹사이트 Bokcheon Museum — Ancient Tombs Park https://museum.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text
[7] text
[8] 웹인용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웹사이트 동래구의 역사 http://www.dongnae.g[...] 2013-06-06
[11]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12] 법률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11-21
[13]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12-31
[14] 법률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15] 법률
[16] 법률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7]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2
[18] 법률
[19] 조례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1-02-15
[20] 웹사이트 동래구 2012년 통계연보 http://www.dongnae.g[...] 2014-02-15
[21]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