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 불변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듭 불변량은 매듭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불변량이다. 연환수는 두 고리의 얽힘 정도를 나타내는 불변량이며, 유한형 불변량은 매듭의 특이점을 분석하여 얻어진다. 막대수는 매듭을 직선 막대들로 표현할 때 필요한 최소 막대 개수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매듭 불변량 | |
---|---|
정의 | |
설명 | 매듭 이론에서, 매듭 불변량(영어: knot invariant)은 동등한 매듭에 대해 동일한 값을 갖는 매듭의 함수다. 예를 들어, 매듭 군은 매듭 불변량이다. |
예시 | 매듭 다이어그램에서 정의된 조합적 양으로, 두 매듭 다이어그램이 일부 매듭 불변량에 대해 다르면 다른 매듭을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위상 불변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매듭 다이어그램이 단일 매듭 불변량에 대해 동일한 값을 공유하더라도 매듭이 동일하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
화학 | 매듭 이론은 현대 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추가 정보 | |
성질 | 임의의 매듭 에 대한 매듭 불변량은 함수 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와 }}}}가 동등한 매듭이면, φ()}}이다. |
활용 | 매듭 불변량은 주어진 매듭 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관련 개념 | 변이(영어: Mutation)는 매듭의 불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
참고 | 어떤 매듭은 en과 같은 대수적 불변량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된다. |
기호 | 매듭 의 불변량은 보통 와 같이 표기된다. 여기서 는 매듭 의 어떤 성질이다. |
관련 연구 | Waldhausen 정리(영어: Waldhausen theorem)는 충분히 큰 비가약 3차원 다양체에 대한 중요한 결과이다. |
관련 항목 | 밧줄 길이(영어: ropelength) |
2. 매듭 불변량
매듭 불변량은 주어진 매듭을 연속적으로 변형해도 변하지 않는 값으로, 두 매듭이 본질적으로 같은 매듭인지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매듭 불변량에는 연환수, 유한 유형 불변량(바실리예프 불변량 또는 바실리예프-구사로프 불변량), 막대수 등이 있다.
2. 1. 연환수
연환수(Linking number)는 두 개의 고리가 서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나타내는 불변량이다.2. 2. 유한형 불변량
유한형 불변량(Finite type invariant)은 바실리예프 불변량(Vassiliev invariant) 또는 바실리예프-구사로프 불변량(Vassiliev-Goussarov invariant)이라고도 불리며, 매듭의 특이점(singularities)을 분석하여 얻어지는 불변량이다.2. 3. 막대수
막대수는 매듭을 직선 막대들로 구성된 형태로 나타낼 때 필요한 최소 막대 개수이다.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3-manifold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4
[2]
서적
Hyperbolic Knot Theor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0
[3]
서적
Topology Now!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8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eometry and Topology of Fluid Flows
Springer Netherlands
2012
[5]
서적
Knots and Primes: An Introduction to Arithmetic Topology
Springer London
2011
[6]
서적
Understanding Topology: A Practical Introdu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8
[7]
간행물
Knot theory in modern chemistry
https://pubs.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6-08-20
[8]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Knot Theory
https://carmamaths.o[...]
2003-06-27
[9]
웹사이트
Basic Knot Theory
https://www.dk-compm[...]
2010-02-02
[10]
간행물
On Irreducible 3-Manifolds Which are Sufficiently Large
https://www.jstor.or[...]
1968
[11]
서적
Introduction to 3-manifold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4
[12]
서적
Hyperbolic Knot Theor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0
[13]
서적
Topology Now!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8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eometry and Topology of Fluid Flows
Springer Netherland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