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프먼 다항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프먼 다항식은 매듭 이론에서 사용되는 다항식 불변량이다. 뒤틀림 수와 카우프먼 다항식의 정의를 통해 연환 그림에 대한 로랑 다항식을 정의하며, 이를 통해 카우프먼 다항식을 계산한다. 카우프먼 다항식은 특수 직교군 및 심플렉틱 군 천-사이먼스 이론에 대응되며, 윌슨 고리 연산자의 기댓값과 관련이 있다. 1990년 루이스 허시 카우프먼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듭 불변량 - 매듭군
매듭군은 매듭 이론에서 매듭을 제거한 공간의 기본군으로 정의되며, 매듭의 대수적 구조를 연구하고 매듭을 분류하는 불변량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과학 분야와 암호 기술에도 응용되는 개념이다. - 매듭 불변량 - 삼색 칠하기 가능
삼색 칠하기 가능은 매듭 이론에서 매듭 다이어그램의 가닥을 세 가지 색으로 칠하는 규칙이며,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의해 보존되는 동위 불변량으로 매듭의 불변량을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카우프먼 다항식 | |
---|---|
일반 정보 | |
유형 | 매듭 다항식 |
변수 | a, z |
기호 | L(K) |
발견자 | 루이스 카우프만 |
정의 | |
정의 | L(O) = 1 L(sr) = aL(s) L(sℓ) = a-1L(s) |
상세 정보 | |
설명 | 카우프만 다항식은 매듭 이론에서 꼬임수에 의존하는 매듭 다항식이다. 이 다항식은 정칙 동위사상 하에서 불변량이다. |
공식 | 카우프만 다항식은 브래킷 다항식 F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방향성 있는 링크 L에 대해 카우프만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수식 | F(a, z) = a-w(K)L(K)(a, z) |
변수 | w(K)는 K의 꼬임수이다. L(K)는 방향성 있는 絡み目 K의 카우프만 다항식이다. |
성질 | 카우프만 다항식은 전역 동위 하에서 불변량이 아니다. |
추가 정보 | 카우프만 다항식은 SO(N) 또는 SU(N)의 천-사이먼스 이론과 관련이 있다. 에드워드 위튼은 카우프만 다항식이 천-사이먼스 이론의 상관 함수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
2. 정의
카우프먼 다항식은 매듭 이론에서 다루는 중요한 다항식 위상 불변량 중 하나로, (방향이 없는) 연환 그림 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이 다항식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적인 규칙과 개념이 필요하다.
먼저, 가장 간단한 자명한 매듭 그림에 대한 값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연환 그림의 교차점을 국소적으로 변형하는 규칙인 타래 관계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그림을 변형해도 연환의 위상적 성질이 변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라이데마이스터 변형, 특히 Ⅰ종 변형에 대한 규칙을 적용한다.
이러한 규칙들을 통해 연환 그림 에 대응하는 로랑 다항식 를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자체는 Ⅰ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대해 불변이 아니므로, 연환의 완전한 불변량이 되지는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림의 뒤틀림 수 라는 값을 이용하여 를 보정한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카우프먼 다항식 는 연환 그림의 표현 방식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즉 연환 자체의 불변량이 된다.
자세한 정의 과정과 계산 규칙은 하위 섹션에서 더 구체적으로 다룬다.
2. 1. 뒤틀림 수 (Writhe)
유향 연환 그림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림의 각 교차점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 ⤲ |
양의 교차점 | 음의 교차점 |
유향 연환 그림의 방향을 바꾸어도 양의 교차점은 그대로 양의 교차점으로 남으며, 음의 교차점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무향) 연환 그림에서도 양의 교차점 수와 음의 교차점 수를 정의할 수 있다.
연환 그림의 양의 교차점 수에서 음의 교차점 수를 뺀 값을 연환 그림의 '''뒤틀림'''(writhe|리드영어)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2. 2. 카우프먼 다항식의 정의
(무향) 연환 그림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그림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규칙을 만족하는 로랑 다항식 을 정의할 수 있다.- '''(A) 자명한 매듭''': 자명한 매듭 그림 에 대해서는 이다.
- '''(B) 타래 관계'''(skein relation영어): 다음 네 가지 그림 , , , 사이에는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그림 종류 | 기호 | 모양 |
---|---|---|
양(+) 교차 | ⤫ | |
음(-) 교차 | ⤬ | |
풀린(0) 교차 | ≍ | |
무한(∞) 교차 | 𐠷 |
::
- '''(C) Ⅰ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 꼬임이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Ⅰ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대해서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
Ⅰ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 - : (그림에서 양의 꼬임()과 음의 꼬임()은 평면 그림()과 변형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 : (즉, 이고 이다.)
이렇게 정의된 로랑 다항식 는 Ⅱ종 및 Ⅲ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대해서는 불변이지만, Ⅰ종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대해서는 위 (C) 규칙에 따라 값이 또는 배만큼 변한다. 따라서 자체는 연환의 불변량이 아니다.
연환 의 불변량을 얻기 위해, 그림 의 뒤틀림 수(writhe) 를 이용하여 보정한다. 연환 의 임의의 그림 를 선택했을 때, 의 '''카우프먼 다항식'''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렇게 정의된 는 모든 라이데마이스터 변형에 대해 불변이므로, 연환 의 위상 불변량이다.
(일부 문헌에서는 위 정의와 약간 다른 형태의 타래 관계나 정규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서로 동등한 정의들이다.)
3. 성질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3. 1. 천-사이먼스 이론과의 관계
홈플리 다항식이 특수 유니터리 군(SU(N)) 천-사이먼스 이론에 대응되는 것처럼, 카우프먼 다항식은 특수 직교군(SO(N)) 및 심플렉틱 군(USp(2N)) 천-사이먼스 이론에 대응된다.[5]구체적으로, 준위(level) 인 천-사이먼스 이론을 생각해 보자. 변수 와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이때, 특정 경로를 따라가는 윌슨 고리(Wilson loop) 연산자의 기댓값(expectation value)은 (복소수 위상 인자를 제외하면) 카우프먼 다항식 와 같다.
:
천-사이먼스 이론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카우프먼 다항식이 정의된다.
4. 역사
루이스 카우프먼(Louis Hirsch Kauffmaneng, 1945~)이 1990년에 도입하였다.[6]
참조
[1]
논문
An invariant of regular isotopy
http://homepages.mat[...]
1990
[2]
논문
Quantum field theory and the Jones polynomial
https://projecteucli[...]
1989
[3]
논문
An Invariant of Regular Isotopy
http://homepages.mat[...]
2016-09-02
[4]
논문
Quantum field theory and the Jones polynomial
https://projecteucli[...]
2016-09-02
[5]
논문
Kauffman knot invariant from SO(''N'') or Sp(''N'') Chern–Simons theory and the Potts model
[6]
논문
An invariant of regular isotopy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