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리너 3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리너 3호는 1964년 11월 5일 화성 탐사를 위해 발사된 미국의 무인 우주 탐사선이다. 4개의 태양 전지판, TV 카메라,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했으나, 발사 과정에서 페어링 분리 실패로 인해 임무가 실패했다. 이로 인해 매리너 3호는 화성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배터리 소모로 인해 임무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 아틀라스-아제나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매리너 2호
    매리너 2호는 NASA가 1962년에 발사하여 금성 탐사에 성공한 최초의 우주선으로, 금성의 표면 온도, 자기장 유무, 태양풍을 측정하여 금성의 높은 표면 온도와 대기 특성, 태양풍 존재를 입증하는 데 기여했다.
  • 1964년 발사한 우주선 - 레인저 7호
  • 1964년 발사한 우주선 - A-102
    A-102는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 미션으로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나, 긍정적인 결과와 더불어 정보 공개 부족, 윤리적 문제 등의 논란도 발생하며 대한민국 우주 기술 발전에 대한 관심을 촉발했다.
  • 매리너 계획 - 매리너 2호
    매리너 2호는 NASA가 1962년에 발사하여 금성 탐사에 성공한 최초의 우주선으로, 금성의 표면 온도, 자기장 유무, 태양풍을 측정하여 금성의 높은 표면 온도와 대기 특성, 태양풍 존재를 입증하는 데 기여했다.
  • 매리너 계획 - 매리너 7호
    매리너 7호는 매리너 6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텔레비전 영상과 과학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탐사선이다.
매리너 3호
기본 정보
매리너 3호와 4호
매리너 3호는 매리너 4호와 디자인이 동일함
임무 유형화성 근접 통과
운영 기관NASA / JPL
임무 기간발사 실패
COSPAR ID1964-073A
SATCAT923
제작사제트 추진 연구소
전력310 와트 (화성 조우 시)
발사일1964년 11월 5일 19:22:05 UTC
발사 로켓아틀라스 LV-3 아제나-D
발사 장소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3
발사 계약자컨베어
궤도 기준태양 중심
원점태양 근지점
프로그램매리너 계획
이전 임무매리너 2호
다음 임무매리너 4호

2. 개발 배경

마리너 2호는 레인저 달 탐사선을 수정했지만, 매리너 3호는 4개의 태양 전지판, TV 카메라, 추가 계측 장비를 갖춘 새롭고 더 큰 기체를 사용했다. 더 커진 질량 때문에 아제나 D 로켓을 아제나 B 대신 사용했다. 매리너 3호는 또한 새롭고 더 큰 유리 섬유 페이로드 페어링을 사용했다.[1]

3. 발사 실패

1964년 11월 5일 동부 표준시 오후 2시 22분에 케네디 우주 센터 발사 단지 13에서 매리너 3호가 발사되었다. 부스트 단계는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아제나는 탐사선을 화성 궤도에 올리기 위한 연소를 완료했다. 발사 1시간 후, 첫 번째 원격 측정 전송에서 과학 기기들은 제대로 작동했지만, 태양 전지판 작동 징후는 없었다. 지상 관제소는 문제 파악을 위해 속도 자이로를 끄라는 명령을 내렸다. 탑재체 덮개를 수동으로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중간 궤도 수정 엔진을 발사하는 방안도 고려되었지만 시간 부족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발사 8시간 후, 탐사선의 배터리가 소모되어 임무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덮개가 제거되었더라도, 낮은 속도로 인해 매리너 3호는 화성을 크게 빗나갔을 것이다.[1]

3. 1. 원인 분석

원격 측정 데이터는 아제나 로켓 또는 탑재체 페어링의 분리 실패를 시사했다. 정상 이하의 속도는 페어링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

4. 과학 장비

매리너 3호에는 다음과 같은 과학 장비들이 탑재되었다.


  • 텔레비전 카메라: 화성 표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하여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었다.
  • 자력계
  • 플라스마 랑뮈어 탐침
  • 우주선 망원경
  • 갇힌 방사선 감지기
  • 우주선 이온화 챔버
  • 우주 먼지 감지기


이 장비들은 화성 환경을 탐사하고, 우주 공간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었다. 특히 텔레비전 카메라는 화성 표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하여 당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큰 기대를 모았으나, 발사 실패로 인해 이러한 기대는 실현되지 못했다.

5. 영향

매리너 3호의 실패는 미국의 우주 개발 계획에 차질을 빚게 했지만, 3주 후인 1964년 11월 28일에 발사된 매리너 4호가 성공적으로 화성에 도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매리너 3호의 실패는 발사체와 탐사선의 신뢰성, 특히 페어링 분리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실패는 대한민국 우주 개발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은 이 사건을 통해 발사 전 철저한 점검과 시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체 개발한 우주 발사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