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0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102는 새턴 I 로켓과 아폴로 우주선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진행된 실험이다. 기체에 미치는 공기력, 온도, 진동 등의 영향을 조사하고, 비상 탈출 로켓 분리 방식을 개선했다. 또한, 새턴 로켓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유도 컴퓨터를 탑재한 첫 번째 사례였다. 1964년 9월 18일 발사되어 59회 지구를 공전하며 데이터를 전송했고, 모든 주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비행 중 카메라 포드 일부를 회수하지 못했으나, 두 달 후 해안에서 발견되어 필름을 확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재진입한 우주선 - A-101
A-101은 아폴로 계획의 일환으로 사령선 및 기계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보스토크 3KA 1호와 동일 사양의 우주선 발사체로, 1961년 12월 1일 발사되어 궤도 진입 실패 등의 문제점을 겪으며 54바퀴를 돌고 태평양에 추락했다. - 1964년 재진입한 우주선 - 제미니 1호
제미니 1호는 제미니 계획에 따라 타이탄 II 발사체와 제미니 캡슐의 구조적 견고성을 시험하고 유인 우주 비행에 안전한지 평가하기 위해 발사된 미국의 무인 시험 비행이다. - 1964년 9월 - 1964년 인터콘티넨털컵
1964년 인터콘티넨털컵은 유러피언컵 우승팀 인테르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인데펜디엔테의 축구 대결로, 1, 2차전과 플레이오프 끝에 인테르가 우승했으며 경기는 아베야네다, 밀라노, 마드리드에서 열렸다. - 1964년 9월 - 1964년 9월 베트남 공화국 쿠데타 시도
- 1964년 발사한 우주선 - 레인저 7호
- 1964년 발사한 우주선 - 매리너 3호
1964년 발사된 미국의 화성 탐사선 매리너 3호는 마리너 2호의 후속으로 새로운 장비를 갖추었으나, 발사 직후 페어링 분리 실패로 임무에 실패했고, 설계 변경을 통해 매리너 4호의 성공에 기여했다.
A-102 | |
---|---|
AS-102 | |
![]() | |
개요 | |
임무 유형 | 우주선 공기역학 |
운영자 | NASA |
COSPAR ID | 1964-057A |
SATCAT | 883 |
임무 기간 | 약 7시간 30분 |
궤도 회전 | 59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 아폴로 BP-15 |
제조사 | 해당 없음 |
착륙 질량 | 해당 없음 |
발사 정보 | |
발사일 | UTC |
발사 로켓 | 새턴 I SA-7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네디 LC-37B |
임무 종료 | |
폐기 유형 | 통제되지 않은 재진입 |
마지막 교신 | UTC |
붕괴 날짜 | UTC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시점 | 1964년 9월 20일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
궤도 영역 | 저궤도 |
궤도 경사 | 31.7도 |
궤도 주기 | 88.32분 |
원점 | 해당 없음 |
임무 연대기 | |
이전 임무 | AS-101 |
다음 임무 | AS-103 |
프로그램 | 아폴로 계획 |
2. 목적
A-102의 주요 목적은 이전의 A-101과 같이, 새턴 I 로켓과 아폴로 우주선의 성능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A-102의 큰 특징은 기계선 외벽에 모의 자세 제어용 로켓을 설치하여 상승 중에 기체에 미치는 공기력, 온도, 진동 등의 영향을 조사하는 데 있었다.[3]
1964년 7월 초, 1단 로켓의 6번 엔진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발사가 2주간 연기되었다. 이후 클레오, 도라의 영향으로 발사가 추가적으로 지연되었다.[3] 허리케인 글래디스의 영향으로 예상 착륙 지점이 변경되어 필름 카메라 포드 회수에 어려움을 겪었다.[3]
A-102는 다른 다섯 개의 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계속 전송했고, 지구를 59바퀴 돈 후 대기권 재진입하여 인도양에 낙하했다. 모든 목적을 달성하여 계획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3]
A-102는 A-101과 마찬가지로 우주선과 로켓의 성능 시험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A-102는 기계선 외벽에 모의 자세 제어용 로켓을 설치해 상승 중에 기체에 미치는 공기력 등의 영향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었다. 또한, 이전에는 비상 탈출 로켓 분리에 소형 로켓을 사용했지만, 이번에는 탈출용 로켓 본체를 분사하여 기체로부터 분리했다.[1]
[1]
웹사이트
Satellite Catalog
http://planet4589.or[...]
2013-10-31
비상 탈출 로켓(LES) 분리 방식도 개선되었는데, 이전에는 분리용 소형 로켓을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했지만, 이번에는 탈출 로켓 본체를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했다.[3]
AS-102는 새턴 로켓이 ST-124 프로그래밍 가능한 유도 컴퓨터를 탑재한 첫 번째 사례였다. 이전 발사에서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온보드 "블랙 박스"를 사용했지만,[3] AS-102에서는 비행 중 컴퓨터를 재프로그래밍하여 잠재적인 이상 동작을 수정할 수 있도록 했다.
3. 비행
1964년 9월 18일, A-102는 플로리다주 케이프 케네디에서 발사되었다. 1단 로켓은 발사 후 147.7초에 연소 정지 후 0.8초 후에 분리되었고, 2단 로켓은 1.7초 후에 점화되었다. 발사 후 160.2초에는 비상 탈출 로켓(LES)이 분리되었다.[3] 2단 로켓은 발사 후 621.1초에 연소 정지되어, 사령선 및 기계선 모형을 근지점 212.66km, 원지점 226.50km의 타원 궤도에 진입시켰다.[3]
우주선은 59회 지구를 공전하며 데이터를 전송했고, 인도양 상공에서 대기권에 재진입했다.[3] 비행 상태를 촬영한 필름을 담은 8개의 용기 중 2개는 2개월 후 해안에서 발견되었는데, 따개비로 덮여 있었지만 필름은 손상되지 않았다.[3]
4. 결과
비행 상태를 촬영한 필름을 담은 8개의 용기가 폭풍우가 몰아치는 예정 해역 밖으로 낙하했기 때문에 회수하지 못한 것이 유일한 오산이었다. 하지만 그 중 2개는 2개월 후에 해안으로 떠밀려온 것이 발견되었다. 용기는 따개비로 덮여 있었지만, 안의 필름에는 손상이 없었다.[3] 이는 당시 기술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부분이지만, 전반적으로는 성공적인 시험으로 평가된다.
5. 의의
참조
[2]
웹사이트
SA-7
https://nssdc.gsfc.n[...]
[3]
간행물
Results of The Seventh Saturn I Launch Vehicle Test Flight SA-7
https://www.scribd.c[...]
NASA
1964-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