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 원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먼지 원반은 별 주위를 둘러싼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 형태의 구조이다. 1984년 IRAS 위성이 베가 주위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포말하우트, 화가자리 베타 등에서도 발견되었다. 먼지 원반은 외계 행성의 존재를 암시하는 지표로 활용되며, 2008년 화가자리 베타 b의 발견으로 확인되었다. 먼지 원반은 미행성체 간 충돌로 생성되며, 2014년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HD 141943, HD 191089 등 젊은 별들의 먼지 원반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2021년에는 VVV-WIT-08과 같은 별이 먼지 원반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이 관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성 목록 - 유사 태양
유사 태양은 생명체 거주 가능성을 기준으로 태양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G형, K형, M형 주계열성 등의 별들을 통칭하며,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구역을 형성하여 케플러-186f, 트라피스트-1e, 글리제 581g와 같은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 별주위원반 - 원시 행성계 원반
원시 행성계 원반은 별의 형성 과정에서 별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행성, 위성의 재료가 되는 가스와 먼지 원반이다. - 별주위원반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먼지 원반 | |
---|---|
개요 | |
![]() | |
유형 | 천체 원반 |
구성 요소 | 먼지 미행성체 소행성 혜성 행성 파편 |
위치 | 항성 주위 |
관련 천체 | 항성 행성 |
상세 정보 | |
설명 | 별 주위를 공전하는 먼지와 파편으로 이루어진 원반 |
형성 원인 | 미행성체 충돌 혜성 파괴 |
진화 | 행성계 형성의 부산물로 점차 소멸 |
관측 방법 | 적외선 관측 서브밀리미터파 관측 |
특징 | |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 (SED) | 과도한 적외선 방출 |
온도 | 항성과의 거리 및 원반 구성에 따라 다양함 |
밀도 | 원반 내 위치에 따라 다름 |
중요성 | |
행성계 형성 연구 | 행성 진화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 제공 |
외계 행성 탐색 | 외계 행성 존재 가능성 시사 |
예시 | |
알려진 먼지원반 | 베가 포말하우트 황소자리 AU별 |
관련 연구 | |
연구 방법 | 스피처 우주 망원경 등을 이용한 관측 및 분석 |
주요 발견 | 먼지 원반 내 명왕성 크기 천체 충돌 흔적 발견 행성 형성 가능성 시사 |
2. 관측 역사
1984년 IRAS 위성이 베가를 비롯한 여러 별 주위에서 먼지 원반을 발견하면서, 먼지 원반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의 관측에서는 원반의 중심이 별에서 벗어나 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행성급 천체의 존재를 시사하는 증거로 해석되었다.[42]
1990년대 후반에는 게자리 55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주위에서도 먼지 원반이 발견되면서, 외계 행성 탐색과 먼지 원반 연구가 함께 진행되기 시작했다.[43][44] 특히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의 먼지 원반은 비대칭적인 구조를 보였는데, 이는 행성의 존재를 암시하는 또 다른 증거였다.[9]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허블 우주 망원경 등 첨단 관측 장비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2014년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개선된 이미징 프로세스를 통해 HD 141943과 HD 191089 등 젊은 별 주위의 먼지 원반이 발견되었다.[10]
2021년에는 VVV-WIT-08이라는 별이 200일 동안 가려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지구와 별 사이를 통과하는 먼지 원반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1]
2. 1. 주요 관측 사례
1984년 IRAS 위성이 베가 주위에서 먼지 원반을 발견했다. 처음에는 원시행성계원반으로 생각했으나, 가스 물질이 없어 먼지 원반으로 보고 있다. 이후 관측 결과 원반 중심이 베가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있어, 행성급 천체가 베가를 돌고 있다고 추측한다.[42] 포말하우트와 화가자리 베타에서도 비슷한 원반이 발견되었다.1998년 게자리 55(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주위에서 먼지 원반이 발견되었으며,[43]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의 원반 구조에서도 행성 존재를 암시하는 비대칭성이 발견되었다.[44]
IRAS로 발견된 최초의 네 개 먼지 원반은 "환상의 4인방"으로 알려져 있는데, 베가, 베타 픽토리스, 포말하우트,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이 해당한다. 이후 베타 픽토리스 원반의 직접 이미지는 먼지의 불규칙성을 보였고, 이는 보이지 않는 외계 행성의 중력 섭동 때문으로 여겨졌다.[5] 이 설명은 2008년 외계 행성 베타 픽토리스 b 발견으로 확증되었다.[6]
직접 이미징으로 처음 발견된 HR 8799 등 다른 외계 행성을 거느린 별들도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섯 개 행성이 있는 55 캔크리 또한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지만,[7] 확인되지는 않았다.[8]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주변 먼지 원반 구조는 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체에 의한 섭동을 시사하며, 이는 행성 질량과 궤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
2014년 4월 24일, NASA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1999년에서 2006년 사이 처음 관측된 HD 141943과 HD 191089 등 몇몇 젊은 별들의 기록 이미지에서 새로 개선된 이미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먼지 원반을 감지했다고 보고했다.[10]
2021년에는 200일 동안 가려진 별 VVV-WIT-08 관측이, 지구 관측자와 별 사이를 통과하는 먼지 원반의 결과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1] 엡실론 마차부와 TYC 2505-672-1이라는 두 별은 정기적으로 가려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주기로 그들을 공전하는 원반의 결과로 판명되었다. 이는 VVV-WIT-08이 유사하며 지구 관측자가 경험한 것보다 훨씬 더 긴 궤도 주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VVV-WIT-08은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태양의 10배 크기이다.
3. 기원
태양과 유사한 별이 형성되는 동안, 이 천체는 가스가 풍부하고 원반 모양의 성운으로 둘러싸인 T-Tauri 단계를 거친다. 이 물질에서 미행성체가 형성되며, 이는 다른 미행성체 및 원반 물질을 계속 흡수하여 행성을 형성할 수 있다. 성운은 주계열 전 단계 별을 1000만~2000만 년 동안 계속 공전하며, 이는 방사선 압력 및 기타 과정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지속된다. 그 후 2세대 먼지가 미행성체 간의 충돌로 인해 별 주위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편 원반이 형성된다. 이러한 별의 최소 45%는 일생 동안 파편 원반으로 둘러싸이게 되며, 이는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먼지의 열 방출로 감지할 수 있다. 반복적인 충돌은 별의 수명 대부분 동안 원반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12]
파편 원반의 존재는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의 존재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14] 또한, 많은 파편 원반은 먼지 내부에 구조(예: 덩어리 및 휨 또는 비대칭)를 보여주며, 이는 원반 내에 하나 이상의 외계 행성이 존재함을 나타낸다.[6] 우리 자신의 해왕성 외 천체대 내 비대칭의 존재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존재할 수 있다.[15]
3. 1. 먼지 생성 및 유지
평범한 먼지 원반은 1 ~ 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어머니 항성에서 나오는 복사 에너지의 영향 때문에 먼지들은 보통 바깥쪽으로 이동되지만, 이 복사 에너지의 마찰력 효과인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원반 안의 작은 먼지 물질들은 항성 안쪽으로 끌려 들어가기도 한다. 먼지 입자들의 수명은 먼지 원반에 의해서 매우 짧기 때문에, 항성 주위에 원반이 계속 존재하려면 미행성 등의 천체끼리 충돌하는 등의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45]충돌이 일어나려면 천체들 사이에 중력 섭동이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큰 충돌 속도를 얻어야 한다. 항성 주위에 형성된 행성계에서 이런 섭동이 생겨날 수 있다. 쌍성의 동반성 또는 가까이 있는 별이 지나면서 중력 섭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45]
태양과 유사한 별이 형성되는 동안, 이 천체는 가스가 풍부하고 원반 모양의 성운으로 둘러싸인 T-Tauri 단계를 거친다. 이 물질에서 미행성체가 형성되며, 이는 다른 미행성체 및 원반 물질을 계속 흡수하여 행성을 형성할 수 있다. 성운은 주계열 전 단계 별을 1000만~2000만 년 동안 계속 공전하며, 이는 방사선 압력 및 기타 과정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지속된다. 그러면 두 번째 세대 먼지가 미행성체 간의 충돌로 인해 별 주위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편으로 원반이 형성된다. 일생 동안, 이러한 별의 최소 45%는 파편 원반으로 둘러싸이게 되며, 이는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먼지의 열 방출로 감지할 수 있다. 반복적인 충돌은 별의 수명 대부분 동안 원반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12]
전형적인 파편 원반은 크기가 1–100 μm인 작은 입자를 포함한다. 충돌은 이러한 입자를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로 분쇄하며, 이는 모항의 방사선 압력에 의해 시스템에서 제거된다. 태양계의 것과 같은 매우 희박한 원반의 경우, 포인팅-로버트슨 효과로 인해 입자가 대신 안쪽으로 나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두 과정 모두 원반의 수명을 1000만 년 이하로 제한한다. 따라서 원반이 온전하게 유지되려면 원반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더 큰 물체 간의 충돌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어서 물체를 관찰된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13]
파편 원반에서 충돌이 발생하려면 물체가 중력적으로 충분히 섭동되어 비교적 큰 충돌 속도를 생성해야 한다. 별 주위의 행성계는 그러한 섭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쌍성 동반성 또는 다른 별의 접근도 가능합니다.[13] 파편 원반의 존재는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의 존재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14] 또한, 많은 파편 원반은 먼지 내부에 구조(예: 덩어리 및 휨 또는 비대칭)를 보여주며, 이는 원반 내에 하나 이상의 외계 행성이 존재함을 나타낸다.[6]
4. 먼지 원반 천체 목록
태양 외에도 많은 별들이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음은 먼지 원반을 가진 항성들의 목록이다.
항성 | 분광형[46] | 거리 (광년) | 궤도 (AU) | 출처 |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 K2V | 10.5 | 35–75 | [44] |
고래자리 타우 | G8V | 11.9 | 35–50 | [47] |
베가 | A0V | 25 | 86–200 | [42][48] |
포말하우트 | A3V | 25 | 133–158 | [42] |
현미경자리 AU | M1Ve | 33 | 50–150 | [49] |
HD 181327 | F5.5V | 51.8 | 89-110 | [50] |
HD 69830 | K0V | 41 | <1 | [51] |
HD 207129 | G0V | 52 | 148–178 | [52] |
HD 139664 | F5IV–V | 57 | 60–109 | [53] |
까마귀자리 에타 | F2V | 59 | 100–150 | [54] |
HD 53143 | K1V | 60 | ? | [53] |
화가자리 베타 | A6V | 63 | 25–550 | [48] |
사자자리 제타 | A2Vann | 70 | 2–8 | [55] |
HD 92945 | K1V | 72 | 45–175 | [56] |
HD 107146 | G2V | 88 | 130 | [57] |
뱀주인자리 감마 | A0V | 95 | 520 | [58] |
HR 8799 | A5V | 129 | 75 | [59] |
뱀주인자리 51 | B9 | 131 | 0.5–1200 | [60] |
HD 12039 | G3–5V | 137 | 5 | [61] |
HD 98800 | K5e (?) | 150 | 1 | [62] |
HD 15115 | F2V | 150 | 315–550 | [63] |
HR 4796 A | A0V | 220 | 200 | [64][65] |
HD 141569 | B9.5e | 320 | 400 | [65] |
HD 113766 A | F4V | 430 | 0.35–5.8 | [66] |
HD 141943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10] | |
HD 191089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10] |
먼지 원반의 궤도장반경은 평균 거리로, 직접 관측 및 원반 띠의 온도를 통한 관측 두 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구한 것이다.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이다.
1984년, IRAS 위성을 이용하여 별 베가 주변에서 먼지 원반이 감지되었다. 처음에는 이것이 원시 행성 원반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원반 내 가스의 부재와 별의 나이로 인해 먼지 원반으로 알려져 있다. IRAS로 발견된 최초의 네 개의 먼지 원반은 "환상의 4인방"으로 알려져 있는데, 베가, 화가자리 베타, 포말하우트, 그리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가 이에 해당한다. 그 후, 화가자리 베타 원반의 직접적인 이미지는 먼지에서 불규칙성을 보였고, 이는 보이지 않는 외계 행성의 중력 섭동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졌다.[5] 이러한 설명은 2008년 외계 행성 화가자리 베타 b의 발견으로 확증되었다.[6]
직접 이미징으로 처음 발견된 HR 8799을 포함한 다른 외계 행성을 거느린 별들도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섯 개의 행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근처의 별 게자리 55 또한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지만,[7] 해당 감지는 확인되지 못했다.[8]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주변의 먼지 원반 구조는 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체에 의한 섭동을 시사하며, 이는 행성의 질량과 궤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
2014년 4월 24일, NASA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1999년에서 2006년 사이에 처음 관측된 HD 141943과 HD 191089와 같은 몇몇 젊은 별들의 기록 이미지에서 새로 개선된 이미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먼지 원반을 감지했다고 보고했다.[10]
2021년에는 200일 동안 가려진 별 VVV-WIT-08의 관측이, 지구의 관측자와 별 사이를 통과하는 먼지 원반의 결과일 수 있다.[11] 마차부자리 엡실론과 TYC 2505-672-1이라는 두 개의 다른 별들은 정기적으로 가려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 현상은 다양한 주기로 그들을 공전하는 원반의 결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VVV-WIT-08이 유사하며 지구 관측자가 경험한 것보다 훨씬 더 긴 궤도 주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VVV-WIT-08은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태양의 10배 크기이다.
참조
[1]
논문
A debris disk around an isolated young neutron star
2006
[2]
뉴스
Spitzer Sees Dusty Aftermath of Pluto-Sized Collision
http://www.spitzer.c[...]
NASA
2007-01-03
[3]
웹사이트
Debris Disk Database
http://www.roe.ac.uk[...]
Royal Observatory Edinburgh
2007-01-03
[4]
웹사이트
Mysterious Ripples Found Racing Through Planet-forming Disc
http://www.eso.org/p[...]
2015-10-08
[5]
논문
Space Telescope Imaging Spectrograph Coronagraphic Observations of Beta Pictoris
2000
[6]
논문
The position of Beta Pictoris b position relative to the debris disk
https://www.aanda.or[...]
2012
[7]
웹사이트
University Of Arizona Scientists Are First To Discover Debris Disk Around Star Orbited By Planet
https://www.scienced[...]
2006-05-24
[8]
논문
NICMOS Coronagraphic Observations of 55 Cancri
2001
[9]
논문
Structure in the Epsilon Eridani Debris Disk
2005
[10]
웹사이트
RELEASE 14-114 Astronomical Forensics Uncover Planetary Disks in NASA's Hubble Archive
http://www.nasa.gov/[...]
2014-04-25
[11]
뉴스
Giant Star Obscured By Mysterious "Dark, Large, Elongated" Object Spotted By Astronomers
https://www.iflscien[...]
IFL Science
2021-06-11
[12]
서적
Comets and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13]
웹사이트
Stellar Flybys & Planetary Debris Disks
http://www.cfa.harva[...]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2007-07-23
[14]
논문
Debris disks as signposts of terrestrial planet formation
2011
[15]
논문
Twisted extreme trans-Neptunian orbital parameter spac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ymmetries confirmed
https://academic.oup[...]
2022-05-01
[16]
웹사이트
SIMBAD: Query by identifier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7
[17]
논문
The debris disc around tau Ceti: a massive analogue to the Kuiper Belt
2004
[18]
간행물
Astronomers discover possible new Solar Systems in formation around the nearby stars Vega and Fomalhaut
http://outreach.jach[...]
Joint Astronomy Centre
2006-04-24
[19]
논문
Dust in beta PIC / VEGA Main Sequence Systems
1996
[20]
뉴스
Dust around nearby star like powder snow
http://www.berkeley.[...]
UC Berkeley News
2007-01-11
[21]
논문
An icy Kuiper belt around the young solar-type star HD 181327
2012
[22]
논문
On the Nature of the Dust in the Debris Disk around HD 69830
[23]
논문
HST and Spitzer Observations of the HD 207129 Debris Ring
2010-10
[24]
논문
First Scattered Light Images of Debris Disks around HD 53143 and HD 139664
2006
[25]
논문
Submillimeter Images of a Dusty Kuiper Belt around Corvi
2005
[26]
논문
Mid-infrared resolution of a 3 AU-radius debris disk around Zeta Leporis
2006
[27]
웹사이트
Observations and Models of the Debris Disk around K Dwarf HD 92945
http://astro.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stronomy Department
2007-07-17
[28]
논문
Detection of cool dust around the G2V star HD 107146
2004
[29]
논문
The exceptionally large debris disk around γ Ophiuchi
2008
[30]
논문
Direct Imaging of Multiple Planets Orbiting the Star HR 8799
2008-11
[31]
논문
51 Ophiuchus: A Possible Beta Pictoris Analog Measured with the Keck Interferometer Nuller
2009
[32]
논문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Planetary Systems (FEPS): Discovery of an Unusual Debris System Associated with HD 12039
2006
[33]
논문
HD 98800: A 10-Myr-Old Transition Disk
2007-05-02
[34]
논문
Discovery of Extreme Asymmetry in the Debris Disk Surrounding HD 15115
2007
[35]
논문
Mid-Infrared Imaging of a Circumstellar Disk around HR 4796: Mapping the Debris of Planetary Formation
1998
[36]
웹사이트
Hubble Views of Dust Disks and Rings Surrounding Young Stars Yield Clues
http://hubblesite.or[...]
HubbleSite
1999-01-08
[37]
뉴스
Belt of Material Around Star May Be First Step in Terrestrial Planet Formation
http://sse.jpl.nasa.[...]
University of Arizona, NASA
2002-01-08
[38]
논문
홀로 존재하는 젊은 중성자별 주위에 있는 먼지 원반(''A debris disk around an isolated young neutron star'')
http://adsabs.harvar[...]
[39]
뉴스
스피처 팀이 먼지 원반 내에서 외계 지구형 행성들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다(''Spitzer Team Says Debris Disk Could Be Forming Infant Terrestrial Planets'')
http://www.spitzer.c[...]
NASA
2005-12-14
[40]
뉴스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명왕성 크기 천체가 충돌한 후의 잔해를 관측하다(''Spitzer Sees Dusty Aftermath of Pluto-Sized Collision'')
http://www.spitzer.c[...]
NASA
2005-01-10
[41]
웹인용
Debris Disk Database
http://www.roe.ac.uk[...]
Royal Observatory Edinburgh
2008-06-15
[42]
웹인용
Astronomers discover possible new Solar Systems in formation around the nearby stars Vega and Fomalhaut
http://outreach.jach[...]
Joint Astronomy Centre
2007-10-29
[43]
뉴스
University Of Arizona Scientists Are First To Discover Debris Disk Around Star Orbited By Planet
http://www.scienceda[...]
ScienceDaily
1998-10-03
[44]
논문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먼지 원반의 구조(''Structure in the Epsilon Eridani Debris Disk'')
[45]
웹인용
Stellar Flybys & Planetary Debris Disks
http://www.cfa.harva[...]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46]
웹인용
SIMBAD: Query by identifier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7-07-17
[47]
논문
The debris disc around tau Ceti: a massive analogue to the Kuiper Belt
2004
[48]
논문
Dust in beta PIC / VEGA Main Sequence Systems
1996
[49]
뉴스
Dust around nearby star like powder snow
http://www.berkeley.[...]
UC Berkeley News
2007-01-08
[50]
논문
An icy Kuiper belt around the young solar-type star HD 181327
2012
[51]
논문
On the Nature of the Dust in the Debris Disk around HD 69830
1999
[52]
논문
HST and Spitzer Observations of the HD 207129 Debris Ring
2010-10
[53]
논문
First Scattered Light Images of Debris Disks around HD 53143 and HD 139664
2006
[54]
논문
Submillimeter Images of a Dusty Kuiper Belt around Corvi
2005
[55]
논문
Mid-infrared resolution of a 3 AU-radius debris disk around Zeta Leporis
2006
[56]
웹인용
Observations and Models of the Debris Disk around K Dwarf HD 92945
http://astro.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stronomy Department
2007
[57]
논문
Detection of cool dust around the G2V star HD 107146
2004
[58]
논문
The exceptionally large debris disk around γ Ophiuchi
2008
[59]
논문
Direct Imaging of Multiple Planets Orbiting the Star HR 8799
http://exoplanet.eu/[...]
2008-11
[60]
논문
51 Ophiuchus: A Possible Beta Pictoris Analog Measured with the Keck Interferometer Nuller
2009
[61]
논문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Planetary Systems (FEPS): Discovery of an Unusual Debris System Associated with HD 12039
https://archive.org/[...]
2006
[62]
논문
HD 98800: A 10-Myr-Old Transition Disk
2007-05-02
[63]
논문
Discovery of Extreme Asymmetry in the Debris Disk Surrounding HD 15115
2007
[64]
논문
Mid-Infrared Imaging of a Circumstellar Disk around HR 4796: Mapping the Debris of Planetary Formation
1998
[65]
웹사이트
Hubble Views of Dust Disks and Rings Surrounding Young Stars Yield Clues
http://hubblesite.or[...]
HubbleSite
1999-01-08
[66]
뉴스
Belt of Material Around Star May Be First Step in Terrestrial Planet Formation
http://sse.jpl.nasa.[...]
University of Arizona, NASA
2002-01-08
[67]
웹인용
RELEASE 14-114 Astronomical Forensics Uncover Planetary Disks in NASA's Hubble Archive
http://www.nasa.gov/[...]
2014-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