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태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사 태양은 태양과 여러 면에서 유사한 별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천문 기술 발전으로 태양과 비슷한 별들을 태양형 항성, 유사 태양, 쌍둥이 태양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한다. 유사 태양은 측광학적으로 태양과 유사하며, 표면 온도, 중원소 함량, 동반체 유무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쌍둥이 태양은 표면 온도, 중원소 함량, 나이, 단독성 등에서 태양과 매우 흡사한 별을 의미하며, 현재까지 태양과 완벽히 일치하는 쌍둥이 태양은 발견되지 않았다. 유사 태양은 인류 거주 가능성을 기준으로도 분류되며, 밝기 변화, 질량, 나이, 짝별 유무 등이 고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성 목록 - 먼지 원반
먼지 원반은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진 원반 형태의 구조물로, 미행성체 간의 충돌로 생성 및 유지되며, 원반의 구조와 형태는 주변 행성체의 존재와 궤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항성 - 항성 핵합성
항성 핵합성은 별 내부의 핵융합 반응을 통해 가벼운 원소에서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별의 에너지원이며 우주 원소의 기원을 설명하고, 별의 진화 단계에 따라 다양한 핵반응을 거쳐 수소, 헬륨부터 철, 니켈까지 합성한다. - 항성 - 격변변광성
격변변광성은 쌍성계에서 한 별이 다른 별에게 질량을 전달하여 밝기가 불규칙하게 변하는 별로, 백색 왜성의 자기장, 강착 원반, 폭발 메커니즘 등에 따라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아마추어 천문가들도 흔히 발견한다. - 항성의 형태 - 중성자별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태양 질량의 1.4배에서 3배 정도 되는 질량을 가진 고밀도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른 자전과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펄서, 마그네타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쌍성 중성자별의 합병은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발생시키며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항성의 형태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유사 태양 | |
---|---|
개요 | |
유형 | 항성 |
분광형 | G형 주계열성 |
질량 | 태양과 유사 |
표면 온도 | 태양과 유사 |
연령 | 태양과 유사 |
행성계 | 행성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음 |
특징 | |
정의 | 태양과 매우 유사한 항성 |
유사성 기준 | 온도 표면 중력 금속성 광도 연령 회전 속도 |
중요성 | 외계 행성 탐색 생명체 존재 가능성 연구 |
연구 | |
연구 방법 | 분광 분석 측광 시선 속도 측정 |
연구 목표 | 태양의 진화 과정 이해 외계 생명체 탐색 태양계의 특이성 연구 |
추가 정보 | |
다른 명칭 | 태양 유사체, 태양형 별 |
관련 연구 분야 | 천문학 우주생물학 행성 과학 |
2. 태양과 비슷한 정도에 따른 분류
wikitext
천문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태양과 비슷한 별을 분류하는 기준은 점점 더 정교해졌다. 초기에는 태양형 항성을 찾는 수준이었지만, 기술 발전으로 유사 태양, 쌍둥이 태양 등으로 더 세분화되었다.
- '''태양형 항성''' (Solar-type): 태양과 대체로 비슷한 특징을 가진 주계열성이다.
- '''유사 태양''' (Solar analog): 태양형 항성 중에서도 측광학적으로 태양과 유사한 항성들이다.
- '''쌍둥이 태양''' (Solar twin): 표면 온도, 중원소 함량, 나이, 단독성 등 여러 면에서 태양과 매우 흡사한 별들이다.
태양과 얼마나 비슷한지를 판단하는 데에는 여러 물리적 값을 태양과 비교하는 방법을 쓰는데, 대표적인 수치로 표면온도가 있다. 표면온도는 색지수를 통해 알 수 있다.
=== 태양형 항성 (Solar-type) ===
태양형 항성은 태양과 대체로 비슷한 특징을 가진 주계열성이다. 분광형은 F8V에서 K2V 사이로, B-V 색지수는 0.48에서 0.80 사이이다. 태양의 색지수는 0.65이다. 태양형 항성은 자기 제동으로 인해 주계열성 수명 동안 회전 속도가 느려져, 채층 활동(칼슘, 수소, 칼륨 방출선 이용)을 통해 나이를 측정하기 어렵다.[2] 마마이엑-힐렌브랜드(2008년)는 지구로부터 16 파섹 이내에 있는 태양형 항성(F8V ~ K2V) 108 개의 채층 활동을 관측하여 나이를 측정했다.

지구로부터 50광년 이내에 있는 태양형 항성으로는 고래자리 타우,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공작자리 델타 등이 있다. 아래 표는 이 기준을 충족하는 별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천체명 | J2000 좌표 | 거리 (ly) | 분광형 | 표면온도 (K) | 중원소함량 (지수) | 출처 | |
---|---|---|---|---|---|---|---|
적경 | 적위 |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 03h 32m 55.8s | −09° 27′ 29.7″ | 10.5 | K2V | 5,153 | −0.11 | |
고래자리 타우 | 01h 44m 04.1s | −15° 56′ 15″ | 11.9 | G8V | 5,344 | –0.52 | |
에리다누스자리 40 A | 04h 15m 16.3s | −07° 39′ 10″ | 16.5 | K1V | 5,126 | –0.31 | |
에리다누스자리 82 | 03h 19m 55.7s | −43° 04′ 11.2″ | 19.8 | G8V | 5,338 | –0.54 | |
공작자리 델타 | 20h 08m 43.6s | −66° 10′ 55″ | 19.9 | G8IV | 5,604 | +0.33 | |
HR 7722 | 20h 15m 17.4s | −27° 01′ 59″ | 28.8 | K2V | 5,166 | −0.04 | |
글리제 86 A | 02h 10m 25.9s | −50° 49′ 25″ | 35.2 | G9V | 5,163 | −0.24 | |
물고기자리 54 | 00h 39m 21.8s | +21° 15′ 02″ | 36.1 | K0V | 5,129 | +0.19 | |
마차부자리 V538 | 05h 41m 20.3s | +53° 28′ 51.8″ | 39.9 | K1V | 3,500–5,000 | −0.20 | |
HD 14412 | 02h 18m 58.5s | −25° 56′ 45″ | 41.3 | G5V | 5,432 | −0.46 | |
HR 4587 | 12h 00m 44.3s | −10° 26′ 45.7″ | 42.1 | G8IV | 5,538 | 0.18 | |
HD 172051 | 18h 38m 53.4s | −21° 03′ 07″ | 42.7 | G5V | 5,610 | −0.32 | |
허큘리스자리 72 | 17h 20m 39.6s | +32° 28′ 04″ | 46.9 | G0V | 5,662 | −0.37 | |
HD 196761 | 20h 40m 11.8s | −23° 46′ 26″ | 46.9 | G8V | 5,415 | −0.31 | |
이리자리 누2 | 15h 21m 48.1s | −48° 19′ 03″ | 47.5 | G4V | 5,664 | −0.34 |
=== 유사 태양 (Solar analog) ===
유사 태양은 태양형 항성 중에서도 측광학적으로 태양과 유사한 항성들이다. 이들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태양 표면 온도와의 차이는 500K 이하여야 한다.(5200 ~ 6300K)
- 중원소 함유량이 태양의 50~200% 사이여야 한다.(지수로는 ± 0.3) 이는 해당 항성이 태어날 적 원시행성계 원반에 있던 무거운 물질의 양이 태양계의 초기 상태와 비슷해야 한다는 뜻이다.
- 근처에 공전주기 10일 이내의 동반체(同伴體)가 없어야 한다. 이들 동반체는 항성의 표층(表層) 활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지구로부터 50 광년 이내에 있는 유사 태양으로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 용자리 시그마, 사냥개자리 베타, 처녀자리 61 등이 있다.
천체명 | J2000 좌표 | 거리 (ly) | 분광형 | 표면온도 (K) | 중원소함량 (지수) | 출처 | |
---|---|---|---|---|---|---|---|
적경 | 적위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14h 39m 36.5s | −60° 50′ 02″ | 4.37 | G2V | 5,847 | +0.24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B | 14h 39m 35.0s | −60° 50′ 14″ | 4.37 | K1V | 5,316 | +0.25 | |
뱀주인자리 70 A | 18h 05m 27.3s | +02° 30′ 00″ | 16.6 | K0V | 5,314 | −0.02 | |
용자리 시그마 | 19h 32m 21.6s | +69° 39′ 40″ | 18.8 | K0V | 5,297 | −0.20 | |
카시오페이아자리 에타 A | 00h 49m 06.3s | +57° 48′ 55″ | 19.4 | G0V | 5,941 | −0.17 | |
물고기자리 107 | 01h 42m 29.8s | +20° 16′ 07″ | 24.4 | K1V | 5,242 | −0.04 | |
사냥개자리 베타 | 12h 33m 44.5s | +41° 21′ 27″ | 27.4 | G0V | 5,930 | −0.30 | |
처녀자리 61 | 13h 18m 24.3s | −18° 18′ 40″ | 27.8 | G5V | 5,558 | −0.02 | |
큰부리새자리 제타 | 00h 20m 04.3s | –64° 52′ 29″ | 28.0 | F9.5V | 5,956 | −0.14 | |
오리온자리 키1 A | 05h 54m 23.0s | +20° 16′ 34″ | 28.3 | G0V | 5,902 | −0.16 | |
머리털자리 베타 | 13h 11m 52.4s | +27° 52′ 41″ | 29.8 | G0V | 5,970 | −0.06 | |
HR 4523 A | 11h 46m 31.1s | –40° 30′ 01″ | 30.1 | G5V | 5,629 | −0.29 | |
큰곰자리 61 | 11h 41m 03.0s | +34° 12′ 06″ | 31.1 | G8V | 5,483 | −0.12 | |
HR 4458 A | 11h 34m 29.5s | –32° 49′ 53″ | 31.1 | K0V | 5,629 | −0.29 | |
HR 511 | 01h 47m 44.8s | +63° 51′ 09″ | 32.8 | K0V | 5,333 | +0.05 | |
테이블산자리 알파 | 06h 10m 14.5s | –74° 45′ 11″ | 33.1 | G5V | 5,594 | +0.10 | |
그물자리 제타1 | 03h 17m 46.2s | −62° 34′ 31″ | 39.5 | G3–5V | 5,733 | −0.22 | |
그물자리 제타2 | 03h 18m 12.8s | −62° 30′ 23″ | 39.5 | G2V | 5,843 | −0.23 | |
게자리 55 | 08h 52m 35.81s | +28° 19′ 51″ | 40.3 | G8V | 5,235 | +0.25 | |
HD 69830 | 08h 18m 23.9s | −12° 37′ 56″ | 40.6 | K0V | 5,410 | −0.03 | |
HD 10307 | 01h 41m 47.1s | +42° 36′ 48″ | 41.2 | G1.5V | 5,848 | −0.05 | |
HD 147513 | 16h 24m 01.3s | −39° 11′ 35″ | 42.0 | G1V | 5,858 | +0.03 | |
에리다누스자리 58 | 04h 47m 36.3s | −16° 56′ 04″ | 43.3 | G3V | 5,868 | +0.02 |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 | 01h 36m 47.8s | +41° 24′ 20″ | 44.0 | F8V | 6,212 | +0.13 | |
HD 211415 A | 22h 18m 15.6s | –53° 37′ 37″ | 44.4 | G1–3V | 5,890 | −0.17 | |
큰곰자리 47 | 10h 59m 28.0s | +40° 25′ 49″ | 45.9 | G1V | 5,954 | +0.06 | |
화로자리 알파 A | 03h 12m 04.3s | −28° 59′ 21″ | 46.0 | F6V | 6,275 | −0.19 | |
뱀자리 프시 A | 15h 44m 01.8s | +02° 30′ 55″ | 47.9 | G5V | 5,636 | −0.03 | |
HD 84117 | 09h 42m 14.4s | –23° 54′ 56″ | 48.5 | F8V | 6,167 | −0.03 | |
HD 4391 | 00h 45m 45.6s | –47° 33′ 07″ | 48.6 | G3V | 5,878 | −0.03 | |
작은사자자리 20 | 10h 01m 00.7s | +31° 55′ 25″ | 49.1 | G3V | 5,741 | +0.20 | |
봉황자리 누 | 01h 15m 11.1s | –45° 31′ 54″ | 49.3 | F8V | 6,140 | +0.18 | |
페가수스자리 51 | 22h 57m 28.0s | +20° 46′ 08″ | 50.9 | G2.5IVa | 5,804 | +0.20 |
=== 쌍둥이 태양 (Solar twin) ===
쌍둥이 태양은 표면 온도, 중원소 함량, 나이, 단독성 등 여러 면에서 태양과 매우 흡사한 별들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쌍둥이 태양 후보로는 전갈자리 18, HD 150248, HD 164595 등이 있다. 백조자리 16 B와 같이 과거 쌍둥이 태양 후보로 언급되었으나, 현재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별들도 있다.[3]
쌍둥이 태양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태양의 표면 온도와 50K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5720~5830K)
- 중원소 함유량은 태양의 89~112%이다.(지수로는 ± 0.05 차이) 이는 항성 탄생 초기 원시행성계원반에 있던 무거운 물질의 양이 태양계와 거의 같아야 한다는 뜻이다.
- 단독성(單獨星)이어야 하고, 동반성이 있으면 안 된다. 태양은 단독성이다.
- 나이는 35억~56억 살 사이이다.
현재까지 태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태양 쌍둥이는 발견되지 않았다.[3] 그러나 태양과 매우 가깝게 일치하는 별들이 있으며, 천문학계에서는 이러한 별들을 태양 쌍둥이로 간주한다. 정확한 태양 쌍둥이는 5,778 K의 표면 온도를 가진 G2V형 별로, 46억 년의 나이, 올바른 금속 함량, 0.1%의 태양광도 변화를 가져야 한다.[4] 46억 년의 나이를 가진 별들은 가장 안정적인 상태에 있다. 적절한 금속 함량, 반경, 화학 조성, 자전, 자기 활동 및 크기도 낮은 광도 변화에 매우 중요하다.[5][6][7][8]
아래는 솔라 트윈 목록이다. 태양은 비교를 위해 기재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white-space: nowrap;"
|-
!rowspan="2"| 이름
!colspan="2"| 좌표
!rowspan="2"| 거리
(광년)
!rowspan="2"| 스펙트럼형
!rowspan="2"| 광구면 온도
(K)
!rowspan="2"| 금속량
(dex)
!rowspan="2"| 나이
(10억 년)
!rowspan="2"| 행성 수
!rowspan="2"| 비고
|-
! 적경
! 적위
|-
|style="text-align:left;"| 태양
| —
| —
| 0.00
| G2V
| 5,778
| +0.00
| 4.6
| 8
|
|-
|style="text-align:left;"| 전갈자리 18
|
|
| 45.1
| G2Va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5,835
| +0.04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3.4
| 0
|
|-
|style="text-align:left;"| HD 44594영어
|
|
| 84
| G3V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5,840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0.15
| 4.1
| 0
|
|-
|style="text-align:left;"| HD 150248영어
|
|
| 88
| G2
| 5,750
| −0.04
| style="background-color:Moccasin;"|6.2
| 0
|
|-
|style="text-align:left;"| HD 164595영어
|
|
| 91
| G2
| 5,810
| style="background-color:Moccasin;"|−0.06
| 4.5
| 1
|
|-
|style="text-align:left;"| HD 195034영어
|
|
| 92
| G5
| 5,760
| −0.04
| style="background-color:Moccasin;"|2.9
| 0
|
|-
|style="text-align:left;"| HD 117939영어
|
|
| 98
| G3
| 5,730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0.10
| style="background-color:Moccasin;"|6.1
| 0
|
|-
|style="text-align:left;"| HD 138573영어
|
|
| 101
| G5IV-V
| 5,710
| –0.03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7.8
| 0
|
|-
|style="text-align:left;"| HD 142093
|
|
| 103
| G2V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5,841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0.15
| 5.0
| 0
|
|-
|style="text-align:left;"| HD 98618
|
|
| 126
| G5V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5,851
| +0.03
| 4.7
| 0
|
|-
|style="text-align:left;"| HD 143436영어
|
|
| 141
| G0
| 5,768
| +0.00
| 3.8
| 0
|
|-
|style="text-align:left;"| HD 129357영어
|
|
| 154
| G2V
| 5,749
| –0.02
|style="background-color:Moccasin;"| 8.2
| 0
|
|-
|style="text-align:left;"| HD 133600영어
| {{RA|1
2. 1. 태양형 항성 (Solar-type)
태양형 항성은 태양과 대체로 비슷한 특징을 가진 주계열성이다. 분광형은 F8V에서 K2V 사이로, B-V 색지수는 0.48에서 0.80 사이이다. 태양의 색지수는 0.65이다. 태양형 항성은 자기 제동으로 인해 주계열성 수명 동안 회전 속도가 느려져, 채층 활동(칼슘, 수소, 칼륨 방출선 이용)을 통해 나이를 측정하기 어렵다.[2] 마마이엑-힐렌브랜드(2008년)는 지구로부터 16 파섹 이내에 있는 태양형 항성(F8V ~ K2V) 108 개의 채층 활동을 관측하여 나이를 측정했다.지구로부터 50광년 이내에 있는 태양형 항성으로는 고래자리 타우,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공작자리 델타 등이 있다. 아래 표는 이 기준을 충족하는 별들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천체명 | J2000 좌표 | 거리 (ly) | 분광형 | 표면온도 (K) | 중원소함량 (지수) | 출처 | |
---|---|---|---|---|---|---|---|
적경 | 적위 |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 03h 32m 55.8s | −09° 27′ 29.7″ | 10.5 | K2V | 5,153 | −0.11 | |
고래자리 타우 | 01h 44m 04.1s | −15° 56′ 15″ | 11.9 | G8V | 5,344 | –0.52 | |
에리다누스자리 40 A | 04h 15m 16.3s | −07° 39′ 10″ | 16.5 | K1V | 5,126 | –0.31 | |
에리다누스자리 82 | 03h 19m 55.7s | −43° 04′ 11.2″ | 19.8 | G8V | 5,338 | –0.54 | |
공작자리 델타 | 20h 08m 43.6s | −66° 10′ 55″ | 19.9 | G8IV | 5,604 | +0.33 | |
HR 7722 | 20h 15m 17.4s | −27° 01′ 59″ | 28.8 | K2V | 5,166 | −0.04 | |
글리제 86 A | 02h 10m 25.9s | −50° 49′ 25″ | 35.2 | G9V | 5,163 | −0.24 | |
물고기자리 54 | 00h 39m 21.8s | +21° 15′ 02″ | 36.1 | K0V | 5,129 | +0.19 | |
마차부자리 V538 | 05h 41m 20.3s | +53° 28′ 51.8″ | 39.9 | K1V | 3,500–5,000 | −0.20 | |
HD 14412 | 02h 18m 58.5s | −25° 56′ 45″ | 41.3 | G5V | 5,432 | −0.46 | |
HR 4587 | 12h 00m 44.3s | −10° 26′ 45.7″ | 42.1 | G8IV | 5,538 | 0.18 | |
HD 172051 | 18h 38m 53.4s | −21° 03′ 07″ | 42.7 | G5V | 5,610 | −0.32 | |
허큘리스자리 72 | 17h 20m 39.6s | +32° 28′ 04″ | 46.9 | G0V | 5,662 | −0.37 | |
HD 196761 | 20h 40m 11.8s | −23° 46′ 26″ | 46.9 | G8V | 5,415 | −0.31 | |
이리자리 누2 | 15h 21m 48.1s | −48° 19′ 03″ | 47.5 | G4V | 5,664 | −0.34 |
2. 2. 유사 태양 (Solar analog)
유사 태양은 태양형 항성 중에서도 측광학적으로 태양과 유사한 항성들이다. 이들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태양 표면 온도와의 차이는 500K 이하여야 한다.(5200 ~ 6300K)
- 중원소 함유량이 태양의 50~200% 사이여야 한다.(지수로는 ± 0.3) 이는 해당 항성이 태어날 적 원시행성계 원반에 있던 무거운 물질의 양이 태양계의 초기 상태와 비슷해야 한다는 뜻이다.
- 근처에 공전주기 10일 이내의 동반체(同伴體)가 없어야 한다. 이들 동반체는 항성의 표층(表層) 활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지구로부터 50 광년 이내에 있는 유사 태양으로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 용자리 시그마, 사냥개자리 베타, 처녀자리 61 등이 있다.
천체명 | J2000 좌표 | 거리 (ly) | 분광형 | 표면온도 (K) | 중원소함량 (지수) | 출처 | |
---|---|---|---|---|---|---|---|
적경 | 적위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14h 39m 36.5s | −60° 50′ 02″ | 4.37 | G2V | 5,847 | +0.24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B | 14h 39m 35.0s | −60° 50′ 14″ | 4.37 | K1V | 5,316 | +0.25 | |
뱀주인자리 70 A | 18h 05m 27.3s | +02° 30′ 00″ | 16.6 | K0V | 5,314 | −0.02 | |
용자리 시그마 | 19h 32m 21.6s | +69° 39′ 40″ | 18.8 | K0V | 5,297 | −0.20 | |
카시오페이아자리 에타 A | 00h 49m 06.3s | +57° 48′ 55″ | 19.4 | G0V | 5,941 | −0.17 | |
물고기자리 107 | 01h 42m 29.8s | +20° 16′ 07″ | 24.4 | K1V | 5,242 | −0.04 | |
사냥개자리 베타 | 12h 33m 44.5s | +41° 21′ 27″ | 27.4 | G0V | 5,930 | −0.30 | |
처녀자리 61 | 13h 18m 24.3s | −18° 18′ 40″ | 27.8 | G5V | 5,558 | −0.02 | |
큰부리새자리 제타 | 00h 20m 04.3s | –64° 52′ 29″ | 28.0 | F9.5V | 5,956 | −0.14 | |
오리온자리 키1 A | 05h 54m 23.0s | +20° 16′ 34″ | 28.3 | G0V | 5,902 | −0.16 | |
머리털자리 베타 | 13h 11m 52.4s | +27° 52′ 41″ | 29.8 | G0V | 5,970 | −0.06 | |
HR 4523 A | 11h 46m 31.1s | –40° 30′ 01″ | 30.1 | G5V | 5,629 | −0.29 | |
큰곰자리 61 | 11h 41m 03.0s | +34° 12′ 06″ | 31.1 | G8V | 5,483 | −0.12 | |
HR 4458 A | 11h 34m 29.5s | –32° 49′ 53″ | 31.1 | K0V | 5,629 | −0.29 | |
HR 511 | 01h 47m 44.8s | +63° 51′ 09″ | 32.8 | K0V | 5,333 | +0.05 | |
테이블산자리 알파 | 06h 10m 14.5s | –74° 45′ 11″ | 33.1 | G5V | 5,594 | +0.10 | |
그물자리 제타1 | 03h 17m 46.2s | −62° 34′ 31″ | 39.5 | G3–5V | 5,733 | −0.22 | |
그물자리 제타2 | 03h 18m 12.8s | −62° 30′ 23″ | 39.5 | G2V | 5,843 | −0.23 | |
게자리 55 | 08h 52m 35.81s | +28° 19′ 51″ | 40.3 | G8V | 5,235 | +0.25 | |
HD 69830 | 08h 18m 23.9s | −12° 37′ 56″ | 40.6 | K0V | 5,410 | −0.03 | |
HD 10307 | 01h 41m 47.1s | +42° 36′ 48″ | 41.2 | G1.5V | 5,848 | −0.05 | |
HD 147513 | 16h 24m 01.3s | −39° 11′ 35″ | 42.0 | G1V | 5,858 | +0.03 | |
에리다누스자리 58 | 04h 47m 36.3s | −16° 56′ 04″ | 43.3 | G3V | 5,868 | +0.02 |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 | 01h 36m 47.8s | +41° 24′ 20″ | 44.0 | F8V | 6,212 | +0.13 | |
HD 211415 A | 22h 18m 15.6s | –53° 37′ 37″ | 44.4 | G1–3V | 5,890 | −0.17 | |
큰곰자리 47 | 10h 59m 28.0s | +40° 25′ 49″ | 45.9 | G1V | 5,954 | +0.06 | |
화로자리 알파 A | 03h 12m 04.3s | −28° 59′ 21″ | 46.0 | F6V | 6,275 | −0.19 | |
뱀자리 프시 A | 15h 44m 01.8s | +02° 30′ 55″ | 47.9 | G5V | 5,636 | −0.03 | |
HD 84117 | 09h 42m 14.4s | –23° 54′ 56″ | 48.5 | F8V | 6,167 | −0.03 | |
HD 4391 | 00h 45m 45.6s | –47° 33′ 07″ | 48.6 | G3V | 5,878 | −0.03 | |
작은사자자리 20 | 10h 01m 00.7s | +31° 55′ 25″ | 49.1 | G3V | 5,741 | +0.20 | |
봉황자리 누 | 01h 15m 11.1s | –45° 31′ 54″ | 49.3 | F8V | 6,140 | +0.18 | |
페가수스자리 51 | 22h 57m 28.0s | +20° 46′ 08″ | 50.9 | G2.5IVa | 5,804 | +0.20 |
2. 3. 쌍둥이 태양 (Solar twin)
쌍둥이 태양은 표면 온도, 중원소 함량, 나이, 단독성 등 여러 면에서 태양과 매우 흡사한 별들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쌍둥이 태양 후보로는 전갈자리 18, HD 150248, HD 164595 등이 있다. 백조자리 16 B와 같이 과거 쌍둥이 태양 후보로 언급되었으나, 현재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별들도 있다.[3]쌍둥이 태양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태양의 표면 온도와 50K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5720~5830K)
- 중원소 함유량은 태양의 89~112%이다.(지수로는 ± 0.05 차이) 이는 항성 탄생 초기 원시행성계원반에 있던 무거운 물질의 양이 태양계와 거의 같아야 한다는 뜻이다.
- 단독성(單獨星)이어야 하고, 동반성이 있으면 안 된다. 태양은 단독성이다.
- 나이는 35억~56억 살 사이이다.
현재까지 태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태양 쌍둥이는 발견되지 않았다.[3] 그러나 태양과 매우 가깝게 일치하는 별들이 있으며, 천문학계에서는 이러한 별들을 태양 쌍둥이로 간주한다. 정확한 태양 쌍둥이는 5,778 K의 표면 온도를 가진 G2V형 별로, 46억 년의 나이, 올바른 금속 함량, 0.1%의 태양광도 변화를 가져야 한다.[4] 46억 년의 나이를 가진 별들은 가장 안정적인 상태에 있다. 적절한 금속 함량, 반경, 화학 조성, 자전, 자기 활동 및 크기도 낮은 광도 변화에 매우 중요하다.[5][6][7][8]
아래는 솔라 트윈 목록이다. 태양은 비교를 위해 기재했다.
이름 | 좌표 | 거리 (광년) | 스펙트럼형 | 광구면 온도 (K) | 금속량 (dex) | 나이 (10억 년) | 행성 수 | 비고 | |
---|---|---|---|---|---|---|---|---|---|
적경 | 적위 | ||||||||
태양 | — | — | 0.00 | G2V | 5,778 | +0.00 | 4.6 | 8 | |
전갈자리 18 | 45.1 | G2Va | 5,835 | +0.04 | 3.4 | 0 | |||
HD 44594영어 | 84 | G3V | 5,840 | +0.15 | 4.1 | 0 | |||
HD 150248영어 | 88 | G2 | 5,750 | −0.04 | 6.2 | 0 | |||
HD 164595영어 | 91 | G2 | 5,810 | −0.06 | 4.5 | 1 | |||
HD 195034영어 | 92 | G5 | 5,760 | −0.04 | 2.9 | 0 | |||
HD 117939영어 | 98 | G3 | 5,730 | −0.10 | 6.1 | 0 | |||
HD 138573영어 | 101 | G5IV-V | 5,710 | –0.03 | 7.8 | 0 | |||
HD 142093 | 103 | G2V | 5,841 | –0.15 | 5.0 | 0 | |||
HD 98618 | 126 | G5V | 5,851 | +0.03 | 4.7 | 0 | |||
HD 143436영어 | 141 | G0 | 5,768 | +0.00 | 3.8 | 0 | |||
HD 129357영어 | 154 | G2V | 5,749 | –0.02 | 8.2 | 0 | |||
HD 133600영어 | 171 | G0 | 5,808 | +0.02 | 6.3 | 0 | |||
label=HD 101364/HIP 56948영어 | 217 | G5V | 5,783 | +0.01 | 4.7 | 0 | |||
HD 197027 | 250 | G3V | 5,723 | −0.013 | 8.2 | 0 | |||
케플러-452(Kepler-452) | 1400 | G2V | 5,757 | +0.21 | 6.0 | 1 | [22] | ||
YBP 1194영어 | 2934 | G5V | 5,780 | +0.023 | ~ 4.2 | 1 |
태양과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가질 가능성을 기준으로 별을 분류하기도 한다.[23] 주요 기준으로는 밝기의 변화량, 질량, 나이, 중원소(重元素) 함유량, 짝별 유무 등이 있다.
3. 인류 거주 가능성에 의한 분류
항성이 주계열 단계에서 최소 30억 년 머무를 수 있기 위한 질량 상한선은 태양의 1.5배로 분광형상 F5 V에 해당된다.[24] 밝기 변화량의 허용치는 전체 밝기의 1% 이내이나 측정 자료의 한계 때문에 실질적 허용치는 전체 밝기 3% 이내이다. 짝별의 공전 궤도가 타원일 경우 가상 행성에 가하는 빛의 양이 증가할 수 있는데 이 점도 고려할 사안이다.[24]
세 개 이상 항성으로 이루어진 다중성계 내 암석 행성은 안정적인 공전 궤도를 오랫동안 갖지 못할 것이다. 쌍성계에서 안정적인 궤도가 형성되는 모형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S형으로 두 별 중 한 별의 주위를 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P형으로 두 별을 하나의 항성처럼 삼아 쌍성의 주위를 도는 것이다. 타원궤도 가스행성 역시 생물권 내 행성의 궤도를 뒤틀어 놓을 수 있다.[24]
지구와 비슷한 암석 행성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항성계의 중원소 함량이 태양계의 40%([Fe/H] = −0.4)는 넘어야 한다. 중원소가 많은 항성계에는 가스 행성이 태어날 확률도 높으나 이것이 생명체 탄생에 반드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생물권을 도는 가스 행성이 지구 크기의 위성을 거느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24]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예 중 하나로 HD 70642를 꼽을 수 있다.[24] HD 70642는 온도가 5533 K인 G5V이지만 태양보다 훨씬 젊고, 19억 년 되었다.[17] 또 다른 예는 HIP 11915로, 목성형 행성이 목성이 태양계에서 공전하는 것과 비슷한 거리를 공전하는 행성계를 가지고 있다.[18] 별은 G5V 등급이고, 온도는 5750 K이며, 태양과 같은 질량과 반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보다 5억 년밖에 젊지 않다. 따라서 생명 가능 영역은 태양계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약 1 AU까지 확장된다. 이를 통해 지구형 행성이 약 1 AU 주변에 존재할 수 있다.[19]
4. 한국 천문학계의 연구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Classification of Stars
http://www.atlasofth[...]
[2]
논문
Chromospheric variations in main-sequence stars
https://ntrs.nasa.go[...]
1995-01-01
[3]
웹사이트
Solar Variability and Terrestrial Climate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4]
웹사이트
Solar Variability and Terrestrial Climate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5]
논문
Solar twins in the ELODIE archive
https://www.aanda.or[...]
2016-03-01
[6]
웹사이트
Stellar Luminosity Calculator
http://astro.unl.edu[...]
[7]
서적
The Effects of Solar Variability on Earth's Climate: A Workshop Report
http://www.nap.edu/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11-12
[8]
웹사이트
Most of Earth's twins aren't identical, or even close! | ScienceBlogs
https://scienceblogs[...]
[9]
논문
15.1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Sun
https://pressbooks.o[...]
2017-01-23
[10]
간행물
The G Dwarf Problem: Analysis of a New Data Set
http://aa.springer.d[...]
Bjarne Rosenkilde Jørgensen
2000-11
[11]
논문
The Solar Twin Planet Search II. A Jupiter twin around a solar twin
http://www.eso.org/p[...]
2015-07-17
[12]
백과사전
Planet Kepler-452 b
https://exoplanet.eu[...]
2016-07-06
[13]
논문
Comet C/2018 V1 (Machholz–Fujikawa–Iwamoto): dislodged from the Oort Cloud or coming from interstellar space?
https://academic.oup[...]
2019-10-11
[14]
웹사이트
Sol Company, solstation.com, Stars and Habitable Planets, 2012
http://www.solstatio[...]
[15]
웹사이트
Habitable zone | Astrobiology, Exoplanets & Habitabilit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6]
웹사이트
Double-Star Systems Can Be Dangerous for Exoplanets
https://www.space.co[...]
2013-01-06
[17]
뉴스
Solar System 'twin' found
http://news.bbc.co.u[...]
2003-07-03
[18]
웹사이트
Jupiter Twin Discovered Around Solar Twin
http://www.eso.org/p[...]
2015-07-16
[19]
웹사이트
Solar Variability and Terrestrial Climate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13-01-08
[20]
논문
Solar-Type Stars: Basic Information on Their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http://www.lowell.ed[...]
2008-02-26
[21]
논문
Improved Age Estimation for Solar-Type Dwarfs Using Activity-Rotation Diagnostics
https://ui.adsabs.ha[...]
2008-12-28
[22]
웹사이트
Planet Kepler-452 b
http://exoplanet.eu/[...]
2016-07-06
[23]
논문
Target Selection for SETI. I. A Catalog of Nearby Habitable Stellar Systems
https://arxiv.org/ab[...]
2009-06-08
[24]
뉴스
Solar System 'twin' found
http://news.bbc.co.u[...]
200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