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리크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리크샤는 1096년경에 태어난 룸 술탄국의 술탄으로, 클르츠 아르슬란 1세의 아들이다. 1107년 부친 사망 후 이스파한에 억류되었다가 1109년 소아시아로 돌아와 이코니온에 자리를 잡았다. 1110년 아나톨리아에서 왕위에 올랐으나 비잔틴 제국과의 필로멜리온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동생 메수드 1세에게 폐위당하고 살해당했다. 안나 콤네나는 멜리크샤를 어리석은 자로 묘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룸 술탄 - 킬리지 아르슬란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룸 셀주크 왕조의 술탄으로, 말리크샤 1세 사망 후 왕조를 재건하고 십자군 전쟁에 맞서 싸우며 영토를 확장했으나, 카부르 강 전투에서 패배 후 익사했다.
  • 룸 술탄 - 메수드 1세
    킬리즈 아르슬란 1세의 아들인 메수드 1세는 룸 셀주크의 술탄으로, 형으로부터 왕위를 찬탈하여 코니아를 점령하고 비잔틴 제국과 제2차 십자군을 격퇴했으며, 알라에딘 모스크 건설과 주화 발행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 1096년 출생 - 스티븐 (잉글랜드)
    스티븐은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지명을 어기고 왕위를 차지하여 "무정부 시대"로 불리는 내전을 야기했으나, 헨리 피츠엠프레스(훗날 헨리 2세)를 후계자로 인정하며 평화를 이룬 혼란의 시대의 왕이다.
  • 1096년 출생 - 이자슬라프 2세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거쳐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하다가 1154년 사망했다.
멜리크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룸 셀주크의 군주
재위1110년 - 1116년
전임자클르츠 아르슬란 1세
후임자메수드 1세
멜리크샤
별호샤힌샤
사망일1116년
사망지이코니온
왕조룸 셀주크
가문셀주크 왕조
종교수니파 이슬람
인물 정보
로마자 표기Malik Shah
페르시아어ملک شاه
또 다른 페르시아어شاهنشاه
아버지클르츠 아르슬란 1세

2. 생애

멜리크샤는 클르츠 아르슬란 1세의 아들로, 1096년 즈음에 태어났다. 1107년 3월 22일 모술을 정복한 아버지에 의해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나, 아버지가 전사한 후 이스파한에 억류되었다. 1109년 중순 소아시아로 돌아와 이코니온에 자리를 잡고 룸 술탄국의 술탄으로 즉위했다.

멜리크샤는 비잔틴 제국과 갈등을 빚었다. 소아시아 서부의 비잔틴 제국령을 약탈하자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가 반격했고, 다니쉬멘드 왕조와 협력하여 멜리크샤를 압박했다. 1116년 필로멜리온 전투에서 패배한 멜리크샤는 결국 동생 메수드 1세에게 항복하고 폐위되었다. 메수드 1세는 멜리크샤의 눈을 멀게 한 뒤 1117년에 교살했다.[4]

안나 콤네나는 멜리크샤를 어리석은 자로 묘사했으며, 경험 많은 장군들의 전략을 자주 무시하고 조롱했다고 기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억류

멜리크샤는 클르츠 아르슬란 1세의 아들로, 1096년 즈음에 태어났다. 1107년 3월 22일, 클르츠 아르슬란 1세는 모술을 정복하고 멜리크샤를 도시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클르츠 아르슬란 1세가 전사한 후, 멜리크샤는 차블르에 의해 이스파한으로 보내져 무함마드 타파르의 보호 아래에 있게 되었다. 클르츠 아르슬란 1세의 남은 영토에서는, 그의 부인 아이셰 하툰이 보즈므쉬 베이와 손을 잡고 아들 투으룰 아르슬란을 군주로 옹립했다.[4]

2. 2. 룸 술탄국의 술탄 즉위

1109년 중순, 멜리크샤는 소아시아로 돌아와 이코니온에 자리를 잡았다.[4][5]

2. 3. 비잔틴 제국과의 갈등

멜리크샤는 군대를 모아 에미르 모놀루그, 콘토그멘, 무함마드에게 맡긴 뒤 소아시아 서부의 비잔틴 제국령에 대한 대대적인 약탈을 실시했다. 이에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군대를 이끌고 이코니온에 대한 반격 원정을 감행했다. 이때 알렉시오스는 다니쉬멘드 왕조와 협조하였다. 다니쉬멘드 왕조는 멜리크샤의 동생 메수드 1세의 왕위 계승을 요구하며 이코니온으로 진군했다. 그 결과 멜리크샤의 군대는 무너져내렸다.[4]

1116년 필로멜리온 전투에서 멜리크샤는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에게 패배했다.[2] 이후 멜리크샤는 황제와 조약을 맺고 비잔틴 제국이 아나톨리아의 모든 영토를 되찾도록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멜리크샤가 폐위되고 눈이 멀었으며 결국 그의 형제인 메수드 1세에게 살해되면서 조약은 무효가 되었다.[2][3]

2. 4. 폐위와 죽음

다니쉬멘드 왕조는 멜리크샤의 동생 메수드 1세의 왕위 계승을 요구하며 이코니온으로 진군했다. 멜리크샤의 군대는 무너졌고, 1116년 멜리크샤는 메수드에게 항복하였다. 메수드는 멜리크샤의 눈을 뽑았고, 그 이듬해인 1117년에는 교살시켰다.[4]

3. 평가

멜리크샤의 통치는 짧았으며, 내분과 외침으로 얼룩졌다.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했고, 결국 동생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그의 통치는 룸 술탄국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2][3]

안나 콤네나는 멜리크샤를 어리석은 자로 묘사했으며, 경험 많은 장군들의 전략을 자주 무시하고 조롱하며 비판하기까지 했다고 전한다.

참조

[1] 간행물 MELİKŞAH ملكشاه (ö. 511/1117) Anadolu Selçuklu hükümdarı (1110-1116). https://islamansiklo[...]
[2] 문서 Komnene
[3] 문서 Birkenmeier
[4] 웹인용 Melikşah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19-01-20
[5] 웹인용 Saljuqs ⅲ. Saljuqs of Rum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Foundation 2019-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