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시 의미 분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시 의미 분석(ESA)은 텍스트 모음을 역색인으로 변환하여 단어 간의 의미적 관련성을 분석하는 모델이다. ESA는 위키백과 문서들을 활용하여 각 단어를 개념으로 간주하고, 단어-문서 간 점수 벡터를 통해 단어 간의 관련성을 코사인 유사도로 계산한다. 이 모델은 단어 관련성, 문서 관련성 계산에 활용되며, 교차 언어 명시 의미 분석(CL-ESA)과 같은 확장된 형태로 다국어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ESA는 지식 베이스의 직교성 가정 없이도 텍스트 분석에 효과적이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다른 알고리즘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벡터 공간 모델 - 일반화 벡터 공간 모델
    일반화 벡터 공간 모델은 단어 간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문서와 질의의 유사도를 계산하며, 단어 벡터를 여러 벡터의 선형 조합으로 표현하고 단어 간의 의미적 상관도를 계산하여 의미 정보를 처리한다.
  • 벡터 공간 모델 - Tf-idf
    TF-IDF는 단어 빈도와 역문서 빈도를 곱하여 계산하며, 텍스트 마이닝, 정보 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법이다.
  • 자연어 처리 - 정보 추출
    정보 추출은 비정형 또는 반구조화된 텍스트에서 구조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술로,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개체명 인식, 관계 추출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웹의 방대한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된다.
  • 자연어 처리 -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WSD)는 문맥 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계산 언어학 과제로, 다양한 접근 방식과 외부 지식 소스를 활용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다국어 및 교차 언어 WSD 등으로 발전하며 국제 경연 대회를 통해 평가된다.
명시 의미 분석
명시 의미 분석
유형자연어 처리
분야정보 검색
텍스트 마이닝
설명텍스트를 위키백과의 개념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

2. 모델

명시 의미 분석 모델은 텍스트 모음(예: 모든 위키백과 문서, 문서 수는 N)에서 시작한다. 이 문서들은 "단어들의 가방"(용어 빈도 히스토그램)으로 변환되어 역색인에 저장된다. 역색인을 사용하면 위키백과 문서에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문서를 찾을 수 있다. Egozi, Markovitch 및 Gabrilovitch는 "위키백과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단어는 그것이 역색인에서 가리키는 각각의 개념을 트리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라고 표현했다.

하나의 단어 질의에 대한 역색인의 출력은 색인된 문서 목록(위키백과 문서 목록)이 되며, 각 문서에 단어가 등장하는 빈도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다. (문서의 전체 단어 개수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 목록은 N차원의 단어-문서 간 점수 벡터가 되며, 질의어를 포함하지 않는 문서 점수는 0으로 처리된다.

2. 1. 역색인

텍스트 모음의 각 문서는 "단어들의 가방"(용어 빈도 히스토그램)으로 변환된다. 역색인이 생성되어,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문서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위키백과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단어는 그것이 역색인에서 가리키는 각각의 개념을 트리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2. 벡터 표현 및 의미 유사도 계산

하나의 단어 질의에 대한 역색인의 출력은 색인된 문서(위키백과 문서 목록)와 각 문서에 해당 단어가 등장하는 빈도에 따른 점수로 구성된다. 이 목록은 N차원(N은 문서의 총 개수)의 단어-문서 간 점수 벡터로 표현되며, 질의어를 포함하지 않는 문서의 점수는 0으로 처리된다. 두 단어 간의 관계성은 다음과 같이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mathsf{sim}(\mathbf{u}, \mathbf{v})

= \frac{\mathbf{u} \cdot \mathbf{v}}{\|\mathbf{u}\| \|\mathbf{v}\|}

= \frac{\sum_{i=1}^N u_i v_i}{\sqrt{\sum_{i=1}^N u_i^2}\sqrt{\sum_{i=1}^N v_i^2}}



이 수치는 두 의미의 관계성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텍스트 내의 모든 단어들 각각의 벡터를 모두 합함으로써 여러 단어에 대해서도 사용 가능하게 확장할 수 있다.

3. 분석

초기 ESA 모델은 지식 베이스의 개념들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 잘 작동한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직교성을 가지지 않은 로이터 뉴스 기사 코퍼스에서도 ESA가 정보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13][4] ESA의 작동 원리는 일반화 벡터 공간 모델과의 관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14][5]

4. 응용

명시 의미 분석(ESA)은 의미 관련성을 파악하는 척도로, 의미 유사성과는 구별된다. 단어 관련성 평가에서 ESA는 WordNet 의미 유사성 척도나 skip-gram 신경망 언어 모델(Word2vec)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6]

ESA는 상업용 소프트웨어에서 문서 관련성 계산에 활용되며,[7] 특정 도메인 정보를 활용하면 문서 매칭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8]

4. 1. 단어 관련성

ESA는 (의미 유사성과는 대조적으로) 의미 관련성 척도로 간주된다. 단어 관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집합에서 ESA는 WordNet 의미 유사성 척도 및 skip-gram 신경망 언어 모델(Word2vec)을 포함한 다른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뛰어나다.[6]

4. 2. 문서 관련성

ESA는 상업용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 문서 관련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7] 도메인 특화 정보를 활용하여 문서 매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8]

5. 확장

교차 언어 명시 의미 분석(CL-ESA)은 명시 의미 분석의 다국어 일반화 버전이다.[15] 이는 다국어 참조로 이루어진 문서 모음(예: 위키백과)을 이용해 언어로부터 독립적인 개념 벡터를 표현한다. 서로 다른 언어의 문서 간의 관계성은 각각의 벡터 표현의 코사인 유사도로 정의된다.

5. 1. 교차 언어 명시적 의미 분석 (CL-ESA)

교차 언어 명시 의미 분석(CL-ESA)은 명시 의미 분석(ESA)의 다국어 일반화 버전이다.[15] 다국어 참조 문서 모음(예: 위키백과)을 활용하여 언어 독립적인 개념 벡터를 생성한다. 서로 다른 언어의 문서 간 관련성은 해당 벡터 표현 간의 코사인 유사도로 평가된다.[9] 한국어 위키백과는 CL-ESA 모델에서 한국어 텍스트의 의미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논문 Concept-Based Information Retrieval using Explicit Semantic Analysis http://www.cs.techni[...] 2015-01-03
[2] 간행물 Overcoming the brittleness bottleneck using Wikipedia: enhancing text categorization with encyclopedic knowledge http://www.aaai.org/[...]
[3] 간행물 Computing semantic relatedness using Wikipedia-based Explicit Semantic Analysis https://www.cs.techn[...]
[4] 문서 The ESA retrieval model revisited http://www.uni-weima[...] 2009
[5] 문서 Insights into explicit semantic analysis http://www.uni-weima[...] 2011
[6] 문서 Antonyms are similar: Towards paradigmatic association approach to rating similarity in SimLex-999 and WordSim-353. https://www.scienced[...]
[7] 웹사이트 Explicit Semantic Analysis (ESA) for Text Analytics https://blogs.oracle[...] 2023-03-31
[8] 문서 A Domain Specific ESA Inspired Approach for Document Semantic Description https://doi.org/10.1[...]
[9] 문서 A Wikipedia-based multilingual retrieval model http://www.uni-weima[...] 2008
[10] 간행물 Overcoming the brittleness bottleneck using Wikipedia: enhancing text categorization with encyclopedic knowledge http://www.aaai.org/[...]
[11] 저널 Concept-Based Information Retrieval using Explicit Semantic Analysis http://www.cs.techni[...] 2015-01-03
[12] 간행물 Computing semantic relatedness using Wikipedia-based Explicit Semantic Analysis http://www.cs.techni[...] 2017-01-03
[13] 문서 Maik Anderka and Benno Stein.
[14] 문서 Thomas Gottron, Maik Anderka and Benno Stein.
[15] 문서 Martin Potthast, Benno Stein, and Maik Ander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