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신은 불교 용어로, 설일체유부와 유식유가행파에서 각각 다르게 정의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명신을 심불상응행법의 하나로 설명하며, 아비달마 논서들을 통해 그 정의가 발전해왔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미륵과 무착, 세친, 10대 논사 시기를 거치며 명신 개념이 발전했고, 특히 세친의 저술에서 심불상응행법의 하나로 명확히 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불교) - 구신
    구신은 불교 용어로, 설일체유부에서는 심불상응행법으로 정의되며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심불상응행법, 득(得), 득(得)과 세(勢)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되고 유식학에서 여러 학자들에 의해 해석이 발전되어 왔다.
  • 언어 (불교) - 문신 (불교)
    불교 논서들은 문신을 신체 훼손, 잘못된 견해, 쾌락 추구, 외모 집착, 세속적 아름다움 추구 등 수행에 방해되는 행위로 다양하게 정의한다.
  • 심불상응행법 - 도리
    도리는 불교 용어로서 관대도리, 작용도리, 증성도리, 법이도리의 네 가지를 포함하며, 각기 현상의 발생, 결과의 성립, 깨달음의 도리, 우주의 법칙을 의미한다.
  • 심불상응행법 - 이생성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명신
명신
명신공주
명신공주 영정
개인 정보
이현숙(李玄淑)
생몰년1636년 ~ 1637년
순강원(順康園)
가족 관계
아버지효종
어머니인선왕후
배우자김세룡
자녀
아들김석연(金錫然)
1명
작위 정보
봉작공주

2.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부파불교의 한 분파로, 명신에 대한 정의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켰다. 학자들은 설일체유부의 논서들이 세 단계의 발전 단계를 거친 것으로 본다.[1]


  • 1단계:
  • *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아비달마법온족론(阿毘達磨法蘊足論)》
  • 2단계
  • *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
  • * 《아비달마식신족론(阿毘達磨識身足論)》
  • * 《아비달마계신족론(阿毘達磨界身足論)》
  • *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 *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
  • 3단계
  • *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
  •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 *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 *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이 아비달마 논서들은 발전 순서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각 논서에서 나타나는 명신(名身: 낱말, 특히 명사)에 대한 정의를 기술하고 있다.[1]

2. 1. 아비달마집이문족론

2. 2. 아비달마법온족론

2. 3. 아비달마시설족론

2. 4. 아비달마식신족론

2. 5. 아비달마계신족론

2. 6. 아비달마품류족론

명신은 설일체유부의 2단계 논서 중 하나인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심불상응행법의 하나로 설명된다.

2. 7. 아비달마발지론

2. 8. 아비담심론

2. 9. 아비달마구사론

설일체유부의 대표적인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명신을 심불상응행법의 하나로 포함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이후 불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0. 아비달마순정리론

설일체유부의 3단계 논서 중 하나로, 아비달마구사론의 명신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 11. 아비달마장현종론

3.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인도불교의 유식학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뉜다.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이며, 제3기는 호법과 안혜 등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 제1기와 제2기를 합쳐 초기 유식학이라고도 부른다.

3. 1.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 (제1기)

3. 1. 1. 유가사지론

심불상응행법의 하나이다.

분류:유식유가행파

분류:심불상응행법

분류:유가사지론

3. 1. 2. 현양성교론

유식유가행파의 초기 논서로, 유가사지론의 명신 개념을 계승한다.

3. 1. 3.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유식유가행파의 초기 논서로, 명신에 대한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다.

3. 2. 세친의 유식학 (제2기)

3. 2. 1. 대승오온론·광오온론

세친(世親)의 저술에서 명신(名身)은 오온(五蘊)의 하나인 행온(行蘊)에 포함된다.

3. 2. 2. 대승백법명문론·해

심불상응행법의 하나이다. 세친의 저술에서 명신을 심불상응행법의 하나로 명확히 규정한다.

3. 3. 10대 논사의 유식학 (제3기)

3. 3. 1. 성유식론

성유식론(成唯識論)은 10대 논사 중 호법의 저술로, 유식유가행파의 명신(名身) 개념을 집대성한 논서이다.

4. 한국 불교에의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