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리구치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구치촌은 에히메현 이마바리시 북쪽에 위치한 세토 내해의 게이요 제도에 속했던 촌이다. 지리적으로는 오시마섬 북동부에 위치하며, 산악 지형으로 평지가 적다. 1889년 모리와 이구치 2개 촌이 합병하여 발족했으며, 1955년 세토자키촌과 합병하여 가미우라촌이 되었다. 주요 산업은 쌀, 보리, 콩류 등을 생산하는 농업이었으며, 1902년 귤 재배가 도입된 이후에는 귤이 주요 작물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치군 (에히메현) - 니부카와촌
    니부카와촌은 과거 이마바리번의 영지로, 1889년 3개 촌이 합병하여 둔천촌으로 발족, 1954년 옥천촌으로 합병되었다가 2005년 이마바리시에 편입된 지역이다.
  • 오치군 (에히메현) - 가가미촌 (에히메현)
    가가미촌은 과거 에히메현 기타군 오미시마 서북부에 위치했던 촌으로, 1889년 세 촌의 합병으로 발족하여 농업을 중심으로 메이지 시대 후기에는 수건 공장과 석회석 채굴 등의 산업 활동을 펼쳤으나 1955년 다른 촌과 합병되어 오미시마정으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이마바리시의 역사 - 이마바리성
    이마바리성은 1604년 도도 다카토라가 건설하여 에도 시대에는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의 거성이었으나, 메이지 시대 폐성령으로 해체되었고 현재는 재건된 천수각과 일부 성벽, 해자가 남아 있는 일본 100대 명성이다.
  • 이마바리시의 역사 - 이마바리번
    이마바리번은 에도 시대 이요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1600년 도도 다카토라가 봉해지면서 시작되어 도도 가문 이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이 다스렸으며, 막부 말기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협력하여 존속하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이마바리현이 되었다가 에히메현에 병합되었다.
  • 에히메현의 폐지된 시정촌 - 다노스지촌
    다노스지 촌은 1889년 4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된 일본 에히메현의 촌으로, 우와 분지 동부에 위치하며 쌀을 주요 농산물로 생산했고, 1955년 우와정에 편입되었으며 아카시 사찰이 있다.
  • 에히메현의 폐지된 시정촌 - 우와정
    우와정은 에히메현의 산간 분지에 위치했던 정으로, 에도 시대 우와지마 번의 영지로서 농업과 역참 마을로 번영했으나 2004년 사이요시에 편입되어 소멸되었으며, 쌀 생산과 독특한 풍습, 역사적 유적들이 있는 지역이었다.
모리구치촌
기본 정보
자치체 명칭모리구치촌
한자 표기盛口村
읽는 법모리구치무라
구분
폐지일1955년 3월 31일
폐지 이유합병
폐지 상세세토자키촌모리구치촌가미우라촌
현재 자치체이마바리시
도도부현에히메현
오치군
인구5,032
인구 시점1950년
인접 자치체가가미촌, 미야우라촌, 세토자키촌 (폐지 시점)
소재지에히메현 오치군 모리구치촌 오아자 이구치

2. 지리

오시마섬 북동부에 위치하며, 서쪽은 니탄야마와 산본에노키 사이 기슭에서 카가미촌 및 미야우라촌과 접하고, 남쪽은 다타라곶을 경계로 세토자키촌과 접한다. 섬 서쪽에 위치한 미야우라촌과는 섬 중앙의 산무라 고개를 통해 왕래한다.

마을 이름은 구 마을인 '사카리(盛)'와 '이노쿠치(井口)'에서 한 글자씩 따온 합성 지명이다. 사카리의 유래에 대해서는 오시마의 사카리,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의 신하 미요시 스케모리, 혹은 타이라노 타다모리와 관련된 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3]. 가미우라정에서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아버지인 타이라노 타다모리가 이 지역을 지배했기 때문에, 맞은편 지역은 타다모리의 '충(忠)' 자를 따서 '다다노우미정'으로, 오시마섬 쪽은 '사카리(盛)'를 따서 명명했다는 타이라노 타다모리 설을 채택하고 있다[4].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 측에서도 거의 동일한 설을 따른다[5]. 이노쿠치는 전국 시대에 이 지역을 다스린 이쿠치 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옛날에는 이노구치(猪ノ口, 井ノ口) 등으로도 표기되었다[6].

2. 1. 자연 지형

오시마섬 북동부에 위치하며, 세토 내해의 게이요 제도 중 하나이다. 에히메현의 최북단에 해당하며, 북쪽으로는 오쿠노섬을 사이에 두고 혼슈와 마주하고, 동쪽으로는 이쿠치섬, 타카네섬과 마주한다. 배후에는 300m급 산들이 해안 가까이까지 뻗어 있어 평지가 적은 편이다. 이노구치 혼카와 하구 부근에 약간의 평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이 강의 선상지이거나 에도 시대에 개척된 땅으로 여겨진다.

  • : 이노구치 혼카와, 타케시타 강
  • : 니탄야마(394m), 아오카리야마(346m) - 인접 마을과의 경계를 형성한다.
  • : 표주박섬(히로시마현과의 현 경계에 위치한 무인도), 요토섬(오쿠노섬과의 사이에 있는 작은 무인도)
  • : 돗토리 곶

3. 역사

이하 내용 외의 역사에 대해서는 오오미시마 및 가미우라정 문서를 참조하라.

3. 1. 약사

'''중세'''

다이라노 타다모리가 이 지역을 포함한 세토 내해 일대와 산요 지방에서 활동하던 해적을 토벌한 것과 관련하여 '盛(성)'이라는 지명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근세'''

번정기에는 이요 마쓰야마번의 영지였다. 모리무라(盛村)는 타카하시(高橋) 가문이, 이구치무라(井口村)는 콘도(近藤) 가문이 대대로 촌장을 맡았으며, 이는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일자리가 부족하여, 주민들은 인근 하토하마의 염전이나 이마바리성 아래의 양조장 등지로 돈을 벌러 나가기도 했다.

  • 1716년 (쇼토쿠 6년) - 모리무라에 역병이 크게 유행하여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
  • 1724년 (교호 9년) - 가뭄과 해일로 피해를 입었다.
  • 1725년 (교호 10년) - 벼멸구가 대량 발생하여 심각한 기근을 겪었다.


이구치 지역 뒤편의 산들은 화강암 지질로 이루어져 있어 지반이 약했으며, 이로 인해 비가 올 때마다 토사 유실이 자주 발생하여 하류 농지가 매몰되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한편, 하구 지역은 얕은 해안이 넓게 펼쳐져 있어 19세기 중반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간척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토이타하마(戸板浜), 하야시가야(林ヶ谷), 요시미하마(吉海浜) 등 마을 남부 지역이 새롭게 형성되었다.

'''근대'''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근대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 1878년 (메이지 11년) - 모리무라에 행도학교(杏堂学校)가 개설되었고, 이후 1887년(메이지 20년) 모리 간이 소학교(盛簡易小学校), 1892년(메이지 25년) 모리 심상 소학교(盛尋常小学校)로 개편되었다.
  • 1878년 (메이지 11년) - 이구치무라에도 성적 소학교(誠績小学校)가 문을 열었으며, 1887년(메이지 20년) 이구치 간이 소학교(井口簡易小学校)로 이름을 바꾸었다.
  • 1902년 (메이지 35년) - 도이 겐시로(土居原四郎)에 의해 온주 밀감 재배가 처음 도입되었다.
  • 1907년 (메이지 40년) - 모리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기선 "오시마마루(大島丸)"를 건조했다.
  • 1910년 (메이지 43년) - 모리무라에서 경지 정리 사업이 시작되어, 10여 년의 기간과 약 11만의 비용을 투입하여 완료되었다.
  • 1913년 (다이쇼 2년) - 제충국과 잎담배 재배가 새로운 작물로 도입되었다.
  • 1917년 (다이쇼 6년) - 현도(県道) 이구치-모리선이 개통되었다.
  • 1937년 (쇼와 12년) - 현도 미야우라선(宮浦線)이 개통되었다.
  • 1939년 (쇼와 14년) - 태평양 전쟁 준비의 일환으로 이구치 연안부 약 69.4ha의 토지가 육군 연료 창고 부지로 징수되기 시작했으며, 1942년(쇼와 17년)에는 연료 탱크 12기가 설치되었다.


'''행정 구역 변화'''

  • 1889년 (메이지 22년) 12월 15일 - 정촌제 시행에 따라, 기존의 모리(盛) 촌과 이구치(井口) 촌이 합병하여 오치군 소속의 '''모리구치촌'''이 새롭게 발족했다.
  • 1955년 (쇼와 30년) 3월 30일 – 모리구치촌은 인접한 세토자키촌(瀬戸崎村)과 합병하여 가미우라촌이 되었고, 이로써 모리구치촌이라는 자치체는 소멸하였다.

4. 사회

모리구치촌의 사회는 합병 이전의 사카리盛일본어이노쿠치井口일본어 두 개 촌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이 두 지역은 합병 후 대자大字일본어로 이어졌으며, 이는 이후 가미우라정 시기에도 유지되었다. 행정 중심지인 역소役場일본어는 대자 이노쿠치에 설치되었다. 20세기 초에서 중반까지 인구는 약 5,000명 내외를 유지하였다.[7] 교육 시설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있었으나, 후일 통합 과정을 거쳐 현재의 카미우라 초등학교와 오오미시마 중학교로 이어졌다.

4. 1. 지역 및 마을

모리구치촌은 합병 이전의 구 2개 촌 이름을 그대로 대자(大字)로 사용했다. 이 대자는 합병 후 가미우라 촌(上浦村) 및 가미우라 정(上浦町)이 된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 대자(大字):
  • 사카리(盛)
  • 이노쿠치(井口)


합병 후 역소(役場, 면사무소 해당)는 대자 이노쿠치(井口)로 이전했다.

현재 이마바리 시(今治市)에 편입된 이후의 지명은 "가미우라 정(上浦町)" 뒤에 구 대자 이름을 붙여 표기하며, '대자'라는 표기는 생략한다.

  • 예시: 이마바리 시 가미우라 정 이노쿠치 (今治市 上浦町 井口)

4. 2.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1915년905호5,257명
1953년1,090호4,960명[7]


4. 3. 행정

역소(役場)는 오아자 이구치에 두었다.

4. 4. 교육


  • 모리 초등학교와 이구치 초등학교는 통합되어 현재의 카미우라 초등학교가 되었다.
  • 모리구치 중학교는 통합되어 현재의 오오미시마 중학교가 되었다.

5. 산업

, 보리, 콩류, 고구마 등을 주로 생산했다. 1902년(메이지 35년)에는 귤이 도입되었다.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는 제충국과 잎담배 재배가 도입되어 다이쇼 시대 중반에 생산량이 정점에 달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에는 귤 재배가 마을의 핵심 산업으로 발전했다. 마을 뒤편의 산이 해발 100m 전후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감귤원은 주로 이 높이까지 분포하게 되었다.

과거 번성했던 해운업 역시 발달하여, 메이지 시대 말에는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기선을 건조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6. 교통

철도는 통과하지 않는다.

6. 1. 항만


  • 이구치항 (현재는 우와우라항)
  • 모리항

7. 명소 및 특산품


  • 이구치 성터

참조

[1]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38愛媛県
[2] 문서 今治市の名を継承したものの、形態としては新設合併
[3]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38愛媛県 角川
[4] 간행물 想 わたしたちの心のふるさと上浦町 上浦町
[5] 문서 平忠盛は当時暗躍し交易の妨げともなっていた海賊追討使に任命され、平定した。さらに、忠盛自ら忠海、盛を名づけしたとしている。詳細は「[[忠海]]」の記事参照。
[6] 문서 ただし、井口にある港は「井ノ口港」とする(今日では港湾行政上では同港を含む3港を一括して「上浦港」と呼ぶ。定期旅客航路はない。)
[7] 서적 愛媛県百科大辞典
[8] 간행물 百年のアルバム 上浦町思い出の写真集 上浦町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