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각은 나무를 깎아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을 만드는 기술과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양,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으며, 불교, 유교, 기독교 등 종교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왔다. 목조는 재료, 도구, 제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나뉘며, 직접법과 간접법이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는 소나무, 느티나무 등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전동 도구와 창의적인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각 - 줄인형
    줄인형은 줄로 조종하는 인형극의 한 형태로, '작은 마리아'를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고대부터 의식, 오락, 예술 공연에 사용되었고, 현대에도 여러 극단에서 그 전통을 이어가며 텔레비전과 영화에서도 활용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목각
개요
종류공예
재료나무
기법조각
용도장식, 실용품, 예술품
역사
기원선사 시대
주요 문화권이집트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도구 및 기법
도구
조각칼
망치

연마 도구
기법돋을새김
투각
환조
상감
종류
전통 목각불상 조각
탈 조각
가구 장식
건축 장식
현대 목각조형 작품
생활 소품
주문 제작 가구
재료
사용되는 나무 종류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오동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흑단
박달나무
황벽나무
향목
보존 및 관리
주의사항온도, 습도 변화에 민감
관리법직사광선 피하기
습도 유지
정기적인 먼지 제거
왁스 또는 오일 코팅
참고 자료
관련 서적Wood Identification and Use

2. 목조의 역사

목조는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된 가장 오래된 조각 형태 중 하나이다.

2. 1. 한국 목조의 역사

한국의 목조는 고대부터 불교 문화와 함께 발전하였다.

2. 2. 세계 목조의 역사

주어진 결과물은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결과물 자체에 대한 수정은 불가능하며,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추가적인 원본 자료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립니다.

3. 목조의 기법

목조는 사용하는 재료와 도구, 제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나뉜다. 재료와 기술면에서 정면으로 곧은 결을 내는 것이 좋을 때도 있고, 널빤지의 결을 내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나무결에 거슬러 칼을 움직이면 거꾸로결이 생겨 작업하기 어려우므로, 거꾸로결이 생길 때는 칼을 옆으로 밀어 작업한다. 칼자국은 작품에 큰 영향을 주며, 거친 칼자국은 개성을 표현하는 요소이자 시대를 구분하는 중요한 조형 요소이기도 하다.[6]

목조 기법은 크게 직접법간접법으로 나눌 수 있다.


  • 직접법 (바로 새기기): 목재에 직접 데생을 하고 조각하는 방법이다. 용재(목재)에 형상의 정면과 측면을 그린 후, 톱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끌로 조각한다. 양감과 재질감을 잘 살릴 수 있지만, 형체와 움직임에 제약이 있다. 나무, 기교, 작가의 정신이 조화를 이루는 방법이다.[6]

  • 간접법: 찰흙이나 유토로 원형을 만들고, 이를 나무에 옮겨 조각하는 방법이다. 목조에 적합한 원형을 제작해야 하며(나무의 특성 고려), 전사기를 사용하여 원형을 정확하게 나무에 옮긴다. 최종 마무리는 조각가의 직관에 따라 , 창칼로 새긴다.[6]


그 외 다양한 목조 기법은 다음과 같다.

  • 칩 카빙
  • 부조 조각
  • 스칸디나비아 평면 스타일
  • 러브스푼
  • 트린
  • 나무 깎기
  • 체인톱 조각
  • 플로렌틴 조각

3. 1. 재료

목조에 사용되는 나무는 종류에 따라 강도, 질감, 색상 등이 다르다. 경재는 모양을 만들기 어렵지만 광택과 수명이 더 길다. 반면 연재는 조각하기 쉽지만 손상되기 쉽다. 어떤 나무라도 조각할 수 있지만, 나무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조각가는 만들고자 하는 작품의 특성에 맞는 나무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섬세한 조각에는 나뭇결이 강하지 않은 나무가 적합하다.[3]

조각가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조각상의 크기와 모양에 가까운 나무 조각을 선택한다. 큰 조각의 경우 여러 개의 나무 조각을 적층하여 필요한 크기를 만들기도 한다. 조각과 마무리가 완료된 후에는 나무를 보호하고 아름다움을 더하기 위해 호두아마인유와 같은 다양한 천연 오일로 마감 처리를 한다. 천연 오일은 나무를 먼지와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광택을 부여하여 조각의 형태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반면, 광택 바니시는 너무 반짝이는 표면을 만들어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왁스층으로 마무리하여 나무를 보호하고 부드러운 광택을 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실내 조각에 적합하다.[3]

3. 1. 1. 한국의 목재

목조는 목재를 재료로 한 조각이다. 목조에서는 재료가 갖는 양감과 질감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목조는 만드는 사람의 정신과 기술 연마 정도가 그대로 드러난다. 따라서 나무의 장점과 단점을 잘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나무의 내구성을 기준으로 보면, 기품이 높은 장목(樟木), 노송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등이 목조에 적합하다.[6]

좋은 목재(良木)는 잘랐을 때 단면을 보면, 순조롭게 성장했는지 알 수 있다. 심(芯)이 중앙에 있고 나이테가 가늘며, 뿌리 밑부분과 끝부분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한다. 겉재목(邊材)이 많은 목재는 광택이 있다. 목재에는 목표(木表), 목리(木裏), 거꾸로결 등이 있다. 나무껍질(樹皮)에 가까운 쪽인 목표는 수축과 균열은 크지만, 광택과 나뭇결이 아름다워 목조가는 목표를 정면에 사용한다. 다만, 형태(姿體)에 따라 곧은결을 정면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6]

구입한 목재는 침목(沈木)을 놓고 통풍이 잘 되도록 보관하며, 햇볕에 직접 쬐지 않도록 한다. 나쁜 목재(惡木)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심이 기울어져 있거나 보푸라기가 많은 나무는 제대로 자라지 못한 것이다. 오랫동안 보존할 때에는 통나무를 잘라진 틈을 통해 잘라 놓는다.[6]

3. 1. 2. 외국의 목재

영어 문서에 따르면 아마(basswood영어, 린든 또는 라임이라고도 함)와 튜펠로는 북미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조각용 목재이며, 둘 다 가공이 비교적 쉬운 경재이다.[4] 밤나무, 버터넛, 참나무, 미국산 호두나무, 마호가니, 티크도 매우 좋은 목재이다. 세밀한 작업을 할 때에는 이탈리아산 호두나무, 시커모어 메이플, 사과나무, 배나무, 황양목, 자두나무를 일반적으로 선택한다.[3] 도색을 할 예정이고 너무 섬세하지 않은 장식은 비교적 부드럽고 저렴한 소나무로 조각하는 경우가 많다.[3][5]

3. 2. 도구

목조에는 톱, 끌, 망치, 조각칼, 대패 등 다양한 도구가 사용된다. 목공용 연장으로 충분하며, 오랜 경험과 전문가들의 연구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우선 톱이 필요하며, 거칠게 파기 위한 끌칼과 다양한 크기의 둥근 끌을 준비한다. 나무망치와 쇠망치는 필수적이며, 창칼과 평칼도 여러 개 준비한다. 숫돌은 인조숫돌, 거친 숫돌, 약간 거친 숫돌, 중치 숫돌, 마무리 숫돌 등 다양한 종류가 필요하다. 간접적으로는 대패, 까뀌, 금반(金盤), 쇠자(직각자) 등이 사용된다.[6]

톱은 형을 강력하게, 그리고 양으로서 크게 면(面)으로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칼이나 끌은 가능한 한 최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6]

체인톱을 이용한 목각 조각

3. 2. 1. 한국의 전통 도구

한국의 전통 목공 도구로는 톱, 끌칼, 둥근 끌, 나무망치, 쇠망치, 창칼, 평칼, 숫돌, 대패, 까뀌, 금반(金盤), 쇠자(직각자)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톱은 목조 작업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톱을 먼저 사용하면 형상을 강력하고 크게, 면으로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칼이나 끌은 가능한 한 마지막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6]

마무리 도구로는 창칼, 둥근칼, 평칼 세 종류가 주로 사용된다. 예로부터 칼을 다루는 방법인 운도법(運刀法)은 형상과 미적 감성을 잇는 중요한 기술로 여겨졌다. 한국뿐만 아니라 이집트, 그리스에서도 운도법을 தீவிர적으로 가르치고 연마시킨 예가 유물을 통해 잘 나타나 있다. 목조에서는 칼을 사용하는 기초 연습으로 '널빤지 파기(板彫)'를 통해 창칼로 선을 자르고, 둥근칼로 홈을 파는 연습을 했다. 또한, '면과 면의 이음매 파기' 연습을 통해 창칼, 평칼, 둥근칼을 사용하여 얇은 부조를 만드는 엄격한 수련을 반복했다.[6]

3. 2. 2. 현대의 도구

현대에는 전동 조각기, 체인톱 등 다양한 도구가 사용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다.[6]

조각칼


목재 모서리를 다듬는 데 사용되는 조각칼


선을 나누고 V자형 홈을 파는 데 사용되는 V자 도구

3. 3. 제작 방법

목조는 크게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나눌 수 있다.

목공 작업에는 톱, 끌칼, 둥근 끌, 나무망치, 쇠망치, 창칼, 평칼, 숫돌, 대패, 까뀌, 금반, 쇠자 등 다양한 연장이 필요하다. 톱은 형상을 크게 잡고 면으로 표현하는 데 유용하며, 칼과 끌은 마무리 작업에 사용된다.

한국을 포함한 이집트, 그리스 등에서는 예로부터 '운도법(運刀法)'이라 하여 칼의 움직임을 중요하게 여겼다. 널빤지 파기 연습을 통해 창칼, 둥근칼, 평칼 등을 이용한 음각 및 양각 기술을 연마했다.[6]

목재는 경재연재로 나뉘는데, 경재는 단단하여 가공이 어렵지만 광택과 수명이 좋고, 연재는 가공이 쉽지만 손상되기 쉽다. 나무의 결을 따라 조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형태를 만든 후에는 정맥 도구, 홈 파는 도구, V자형 도구 등을 사용하여 세부 묘사를 한다. 표면 마무리는 줄, 리플러, 연마지 등을 사용하며, 천연 오일로 마감하여 나무를 보호하고 광택을 낸다.

3. 3. 1. 직접법

'바로 새기기'라고도 하며, 목재에 직접 데생을 하고서 파나가는 방법이다. 우선 용재에 형상의 정면을 그린다. 다음으로 용재의 측면에 정면과 연계된 형상의 데생을 그린다. 여분이 되는 곳을 가능한 한 톱으로 잘라내고, 끌로 파나간다.[6] 이 방법은 목재의 취급, 형의 제약, 동세(動勢)의 제약 등이 있는데, 양감이나 재질감 따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목조의 특질로서 중량감, 긴장감, 충실감을 받게 된 것은 나무와 기교와 작자의 시혼(詩魂)이 교차되는 바로 파기(直彫)의 재주가 낳았다고 할 수 있다.[6]

맘빌라 조각상, 나이지리아

3. 3. 2. 간접법

찰흙이나 유토(油土)로 만든 원형을 바탕으로, 이를 나무에 옮겨 조각하는 방법이다. 원형은 최종 목적인 목조로서 만들어진 것이어야 한다.[6]

찰흙이나 석고 원형은 목조용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목조와 소조는 재료와 표현 수단이 다르기 때문에, 형상 표면의 느낌도 전혀 다르다. 따라서 처음부터 나무로 바꾸었을 때의 효과를 항상 생각하면서 찰흙 원형을 만들어야 한다. 전사기(轉寫機)를 사용하는 목적은 원형의 형상을 가장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나무에 베껴내는 데 있다. 전사기는 나무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측정하고, 톱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톱을 사용하여 형체를 좁혀 가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원형을 재현시키는 기계이다. 그러나 최후의 마무리는 목조각가의 직관(直觀)에 따라 , 창칼로 새겨나간다.[6]

3. 3. 3. 기타 기법


  • 칩 카빙
  • 부조 조각
  • 스칸디나비아 평면 스타일
  • 러브스푼
  • 트린
  • 나무 깎기
  • 체인톱 조각
  • 플로렌틴 조각

4. 갤러리

발 가르데나의 소형 인물이 있는 조각된 풍속화, 18세기


제거 --> 1940년대 칼 요한 트뤼그의 부랑자


우르네 스타브 교회의 조각은 우르네 양식의 한 예시이다, 노르웨이


공룡과 다른 동물들의 부조가 새겨진 나무 조각, 라오스


해변에서 판매되는 조각품


세클리 땅의 문, 세클리 국립 박물관 앞, 루마니아 선투게오르게

참조

[1] 서적 A shorter history of Greek ar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2] 웹사이트 Wood Carving: History, Types, Characteristics http://www.visual-ar[...] 2023-08-09
[3] 백과사전 Wood-Carving (EB1911 참조 - URL 없음)
[4] 간행물 Woods suitable for carving http://www.woodcraft[...] Woodcraft Guild 2016-11-18
[5] 웹사이트 Best types of wood to use for carving https://www.langevin[...] Langevin Forest 2016-11-18
[6] 웹사이트 목조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