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랑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랑자는 역사적으로 사회의 주변인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법적, 종교적, 사회적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다. 고대에는 동정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파괴적이고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인 이유로 부랑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근대에는 각 국가별로 부랑자를 규제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벨기에는 부랑자를 투옥하고 강제 노역에 처했으며, 핀란드와 스웨덴에서는 강제 징병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부랑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가혹하게 처벌했으며, 미국에서는 남북 전쟁 이후 흑인들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랑자 법이 악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험 여행 - 정글 크루즈
    정글 크루즈는 디즈니랜드 어드벤처랜드의 어트랙션으로, 숙련된 선장의 유쾌한 안내와 함께 보트를 타고 세계 여러 지역의 정글을 탐험하며, 월트 디즈니의 영감과 여러 차례의 리뉴얼을 거쳐 아마존강, 나일강, 이라와디강 등 다양한 강을 재현한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 모험 여행 - 집라인
    집라인은 도르래를 이용하여 경사진 와이어 로프나 케이블을 타고 활강하는 시설 또는 활동으로, 과거 물자 수송 수단에서 현재는 레저 스포츠로 활용되며, 안전 기준이 마련되어 있고 다양한 기록을 가진 시설들이 존재한다.
  • 유랑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유랑 - 배낭여행
    배낭여행은 저렴한 예산으로 장기간 해외를 여행하며 현지 경험과 자아 성찰을 추구하는 여행 형태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윤리적 문제와 안전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부랑자

2. 역사적 관점

부랑자는 역사적으로 정착 사회의 외부인으로 간주되어 다양한 시각으로 인식되었다. 이들은 이질적인 존재, 조롱이나 불신의 대상, 또는 도움과 자선의 대상으로 여겨졌다.[3]

고대 자료에서는 부랑자를 동정하여 관대함과 구걸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보기도 했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파괴적이거나 무법적인 존재로 묘사하며 도둑질, 공포, 위협을 통해 기생적인 삶을 산다고 보기도 했다.

역사적으로나 현재에도 많은 세계 종교에서 부랑자 전통을 가지고 있거나 부랑자를 언급하고 있다. 기독교에서 예수성경에서 거지, 매춘부,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보이는 것으로 묘사된다. 가톨릭교회 또한 부랑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가져야 한다고 가르친다.[4] 수도회와 같은 기독교 운동에서도 부랑자의 생활 방식이 나타난다. 영지주의, 헤시카즘 등 다양한 기독교적 관행에 의해 보존된 유럽, 아프리카, 근동과 같은 곳에서 여전히 많은 수도회가 존재한다.

일부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국가에서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이슬람 수피 전통의 종교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부랑 상태가 오랫동안 종교 생활과 관련되어 왔다. 사두, 데르비시, 비구,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라만 전통이 그 예이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부랑자는 역사적으로 정착하고 질서 잡힌 공동체의 외부인으로 여겨져 왔다. 이질적인 존재, 조롱이나 불신의 대상, 또는 도움과 자선의 적절한 수혜자로 인식되었다.

일부 고대 자료에는 부랑자를 동정의 대상으로 묘사하여 관대함과 구걸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나타낸다. 반면 다른 자료에서는 부랑자를 파괴적인 존재나 무법자로 묘사하며, 도둑질, 공포, 위협을 통해 기생적인 삶을 산다고 묘사한다.

순례 수도자는 초기 중세 시대의 이동 수도자였다. 중세 유럽의 일부 동화에서는 거지가 자신을 모욕하거나 인색하게 대한 사람에게 저주를 내리는 것으로 묘사된다.[3] 튜더 시대 영국에서는 "우유, 효모, 음료, 죽"을 구걸하는 사람들 중 일부가 마녀로 여겨지기도 했다.[3]

2. 2. 근대

1349년 잉글랜드웨일스에서 제정된 노동자 칙령은 흑사병 이후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랑 행위를 범죄로 규정했다. 이 법에 따르면, 일할 수 있는데도 일하지 않고 구걸하는 사람들은 부랑자로 간주되어 화형이나 태형을 당했다.[16] 헨리 8세1530년 부랑자 법을 통해 부랑자 처벌을 강화했다. 부랑자는 피가 날 때까지 태형을 당하고, 출생지나 3년간 거주한 곳으로 돌아가 일하겠다는 맹세를 해야 했다. 재범 시에는 귀의 절반이 잘리고, 세 번째에는 상습범으로 처형되었다.[16]

1547년 에드워드 6세는 부랑자 법을 통해 일하기를 거부하는 사람을 고발한 사람의 노예로 삼고, 주인은 채찍과 사슬로 강제 노동을 시킬 수 있도록 했다. 2주 이상 도망치면 종신 노예가 되고 이마나 등에 낙인이 찍혔으며, 세 번 도망치면 중범죄자로 처형되었다.[17] 부랑자는 3일 동안 게으름을 피우면 출생지로 끌려가 가슴에 낙인이 찍히고, 사슬에 묶여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17]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1572년 부랑자 법은 토지, 주인, 직업, 수입원이 없는 사람을 악당으로 규정하고, 부랑자나 방랑자 계급에 포함시켰다. 악당으로 체포되면 태형을 당하고 오른쪽 귀에 낙인이 찍혔다.[18] 재범 시에는 중범죄로 처형될 수 있었고, 세 번째 범죄는 고용되지 않으면 사형을 면할 수 없었다. 같은 법은 "완고한 게으름뱅이"를 해외로 강제 추방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며, 당시에는 버지니아주식회사 농장으로 추방되었다. 추방지에서 돌아오면 교수형에 처해졌다.[19] 1597년 부랑자 법은 "교정 불가능하고 위험한 악당"을 해외로 추방했다.

칼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제임스 1세 시대의 법을 인용하며, 구걸하는 사람은 악당이자 부랑자로 간주되어 공개 태형과 투옥을 당했다고 언급했다. 교정 불가능한 악당은 왼쪽 어깨에 낙인이 찍히고 강제 노역을 했으며, 다시 구걸하다 발각되면 처형되었다. 이러한 법령들은 18세기 초까지 유효했다.[20]

18세기 후반, 미들섹스에서는 부랑 의심자를 구금하여 판사 앞에 데려갈 수 있었고, 판사는 신분 확인을 위해 면접할 권한을 가졌다.[21] 부랑자로 판명되면 태형을 받고 카운티에서 쫓겨났다. 부랑자 계약자는 이들을 카운티 경계까지 데려가 다음 카운티 계약자에게 넘겼다.[21] 이 과정은 합법적인 거주지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795년 스피넘랜드 제도(버크셔 빵 법)는 농촌 빈곤을 완화하기 위한 외부 구호의 일종으로, 엘리자베스 빈민법의 개정안이었다.[22] 이는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에 대한 영국의 개입의 간접적인 결과였다.[23]

1821년, 하원 특별위원회는 기존 부랑자 법을 검토하여 보고서를 발표했다.[24] 위원회는 법이 복잡하고, 단일 법률로 개정 및 통합되어야 하며, 부랑자 체포에 대한 보상금 지급은 남용으로 이어졌다고 판단했다. 빈민 구호는 출생 교구에서 받아야 했고, '이송' 시스템은 부랑자 계약자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사기와 남용에 취약했다. 처벌이 불충분하여 특정 유형의 부랑자에게는 더 긴 징역형과 강제 노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24]

1821년 하원 특별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라, 1824년 부랑자 법이 제정되었다.[25] 이 법은 이전의 부랑자 법을 통합하고, 사기와 남용 문제를 해결했다. 1824년 이후에도 많이 개정되었지만, 여전히 일부 범죄는 집행되고 있다.[26]

3. 법률적 관점

1536년경 목판화. 튜더 시대 영국의 거리에서 처벌받는 부랑자


각 국가별 법률에 따른 부랑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국가부랑자에 대한 법률적 정의 및 처벌
벨기에안정적인 거주지, 생존에 필요한 수단, 그리고 직업이 없는 자[5] (1993년 1월 12일, 벨기에 부랑자법 폐지[6])
덴마크(중세 시대) 스토드컨게(Stodderkonge)라는 관리가 부랑자를 통제, 도시나 지역을 담당하고 허가 없이 거주하는 자들을 추방, 역할은 경찰에게 이관
핀란드, 스웨덴(근대 이전) 강제 노역 또는 강제 징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범죄, 신분 제도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법적 보호" 의무에 따라 고용되어야 했고, 그렇지 않으면 부랑 혐의로 기소 (1987년 부랑 방지법 폐지[8])
독일(1871년) 형법 제361조에 따라 부랑은 강제노역소에 수감되는 근거 중 하나[9][10],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완화, 나치 독일에서 강화, "반사회적 행위"로 분류되어 강제 수용소 수감)
루마니아(2006년 7월까지) 형법 제327조에 따라 부랑 행위에 대해 1개월에서 3년의 징역형[11][12]
러시아(러시아 제국)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수 없거나 당국의 허가 없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 단순 배회나 생계 수단이 없는 경우는 해당 없음, 법전 《우로제니예》에 따라 처벌, (소비에트 연방) 1961년 형법에서 상습 부랑에 대해 최대 2년 징역형[13], 1991년 폐지[14], (현재) 부랑 자체는 범죄가 아니지만, 미성년자를 부랑 상태로 빠뜨리는 행위는 범죄
멕시코(19세기 초) 구걸하면서도 건강하고 일할 수 있는 젊은 남성, "부랑자 재판소" 설립, 멕시코-미국 전쟁 중 폐지[15]
영국노동자 칙령(1349년, 흑사병 이후), 부랑자 법(1530년, 헨리 8세), 부랑자 법(1547년, 에드워드 6세), 부랑자 법(1572년, 엘리자베스 1세), 부랑자 법(1597년), 1824년 부랑자 법 등 다양한 법률을 통해 부랑자 처벌
미국(식민지 시대) 영국의 부랑자 법 도입, (남북 전쟁 이후) 흑인 법전(Black Codes)을 통해 해방 노예 통제, 1972년 파파크리스투 대 잭슨빌 시 판결에서 부랑죄 법 위헌 판결[31][30]


3. 1. 벨기에

벨기에 형법은 부랑자를 안정적인 거주지, 생존에 필요한 수단, 그리고 직업이 없는 자로 정의했다.[5] 1867년 벨기에 형법은 높은 재범률을 보여, 부랑자 문제 해결에 대한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5]

1891년 11월 27일부터 부랑자는 투옥될 수 있었다. 부랑자, 거지, 매춘 알선자는 플랑드르의 호그스트라텐(Hoogstraten), 메르크스플라스(Merksplas), 보르텔(Wortel, Belgium)에 있는 부랑자 감옥에 수감되었다. 수감자들은 땅에서 일하거나 감옥에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해야 했고, 충분한 돈을 벌면 "식민지"(당시 불리던 명칭)를 떠날 수 있었다.

1993년 1월 12일, 벨기에 부랑자법(Vagrancy Act (Belgium))이 폐지되었다.[6] 당시 보르텔 식민지에는 260명의 부랑자가 여전히 거주하고 있었다.

3. 2. 덴마크

중세 시대에는 스토드컨게(Stodderkonge)라는 관리가 부랑자를 통제했다. 이들은 도시나 지역을 담당하며 허가 없이 거주하는 사람들을 추방하는 역할을 맡았다. 스토드컨게의 역할은 결국 경찰에게 이관되었다.

3. 3. 핀란드와 스웨덴

근대 이전 핀란드스웨덴에서 부랑은 강제 노역 또는 강제 징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범죄였다. 신분 제도(귀족, 성직자, 시민 또는 토지 소유자)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법적 보호"(핀란드어: ''laillinen suojelu'') 의무에 따라 고용되어야 했고, 그렇지 않으면 부랑 혐의로 기소될 수 있었다. 법적 보호는 이미 중세 스웨덴 법에서 의무 사항이었지만, 구스타프 1세 (스웨덴)는 일자리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이 조항을 엄격히 시행하기 시작했다. 핀란드에서는 1883년에 법적 보호 조항이 폐지되었지만, "부도덕한" 또는 "저속한" 행동과 관련된 경우 부랑은 여전히 불법으로 남아 있었다.[7] 1936년 새로운 법은 범죄화에서 사회 지원으로 중점을 이동시켰다. 강제 노역 형은 1971년에 폐지되었고, 부랑 방지법은 1987년에 폐지되었다.[8]

3. 4. 독일

독일에서는 1871년 형법 제361조에 따라 부랑은 강제노역소에 수감되는 근거 중 하나였다.[9][10]

바이마르 공화국에서는 부랑에 대한 법이 완화되었지만, 나치 독일에서는 훨씬 더 엄격해졌다. 부랑은 구걸, 매춘, 그리고 "게으름"(arbeitsscheu)과 함께 "반사회적 행위"(Asoziale)로 분류되어 강제 수용소 수감으로 처벌받았다.

3. 5. 루마니아

2006년 7월까지 루마니아에서는 형법 제327조에 따라 부랑 행위에 대해 1개월에서 3년의 징역형을 선고했다.[11][12]

3. 6. 러시아

러시아 제국에서 "부랑"( бродяжничество|brodyazhnichestvoru)은 서유럽과는 다르게 정의되었다. 러시아 법은 단순히 배회하거나 생계 수단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수 없거나 당국의 허가 없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를 부랑자로 인정하여 처벌했다. 처벌은 가혹하여, 법전인 《우로제니예》에 따르면 자신의 친족 관계, 신분 또는 상주지를 설명하지 못하거나 허위 증언을 한 부랑자는 4년의 징역형과 그 후 시베리아 또는 다른 먼 지방으로의 유배형을 선고받았다.

소비에트 연방 시절, 196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Уголовный кодекс РСФСР 1960 года|러시아 SFSR 형법 (1960)ru에서는 상습적인 부랑 행위(2회 이상 적발)에 대해 최대 2년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었다.[13] 1991년 12월 5일 제209조가 폐지되면서 부랑은 더 이상 형사 범죄로 간주되지 않게 되었다.[14]

현재 러시아에서 부랑 행위 자체는 범죄가 아니지만, 18세 이상의 사람이 미성년자(18세 미만)를 부랑 상태로 빠뜨리는 행위는 범죄로 간주된다. 이는 러시아연방 형법 제20장 151조(Уголовный кодекс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Глава 20#Статья 151. Вовлечение несовершеннолетнего в совершение антиобщественных действий|러시아 연방 형법/제20장#제151조. 미성년자 반사회적 행위 연루ru)에 명시되어 있다.

3. 6. 1.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에서 법적 용어 "부랑"( бродяжничество|brodyazhnichestvoru)은 서유럽과는 다르게 정의되었다. 러시아 법은 단순히 배회하거나 생계 수단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수 없거나 당국의 허가 없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를 부랑자로 인정하여 처벌했다. 또한 러시아 제국에서 두 번 추방당하고 귀국 금지 처분을 받은 후 다시 러시아에서 체포된 외국인도 부랑자로 간주되었다. 처벌은 가혹했다. 법전인 《우로제니예》에 따르면, 자신의 친족 관계, 신분 또는 상주지를 설명하지 못하거나 허위 증언을 한 부랑자는 4년의 징역형과 그 후 시베리아 또는 다른 먼 지방으로의 유배형을 선고받았다.

3. 6. 2. 소비에트 연방

소비에트 연방 시절, 196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Уголовный кодекс РСФСР 1960 года|러시아 SFSR 형법 (1960)ru에서는 상습적인 부랑 행위(2회 이상 적발)에 대해 최대 2년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었다.[13]

이 조항은 1991년 12월 5일 제209조가 폐지되면서 부랑은 더 이상 형사 범죄로 간주되지 않게 되었다.[14]

3. 6. 3. 러시아 연방

현재 러시아에서는 부랑 행위 자체는 범죄가 아니지만, 18세 이상의 사람이 미성년자(18세 미만)를 부랑 상태로 빠뜨리는 행위는 범죄로 간주된다. 이는 러시아연방 형법 제20장 151조(Уголовный кодекс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Глава 20#Статья 151. Вовлечение несовершеннолетнего в совершение антиобщественных действий|러시아 연방 형법/제20장#제151조. 미성년자 반사회적 행위 연루ru)에 명시되어 있다. 2003년 12월 8일 제162호 연방법에 의해 도입된 이 조항은 생계 수단 상실 또는 거주지 부재로 인한 극심한 생활 환경 속에서 미성년자의 부모가 이러한 행위를 저지른 경우에는 해당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3. 7. 멕시코

19세기 초, 멕시코의 정치 지도자들은 부랑자를 구걸하면서도 건강하고 일할 수 있는 젊은 남성으로 정의하며 "부랑자 재판소(Vagrant Tribunal)"를 설립해야 했다.[15] 비센테 게레로 대통령이 1829년 노예 제도를 폐지한 후 멕시코가 지속적인 노동력 공급원을 잃게 되면서 이러한 재판소가 필요해졌다.[15] 이 제도에 따라 처벌받은 사람들은 단기간 동안 현지 감옥에 수감되거나 군대에 강제로 차출되었다.[15] 이 제도는 멕시코-미국 전쟁 중에 징집병을 늘리기 위해 폐지되었다.[15]

3. 8. 영국

영국에서 부랑자 문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1349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제정된 노동자 칙령(Ordinance of Labourers 1349)은 흑사병 이후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실업 상태를 범죄로 규정하였다. 이 칙령에 따르면, 일할 수 있지만 일하지 않고 구걸하는 사람은 부랑자로 간주되어 화형이나 태형 등의 처벌을 받았다. 부랑자는 고령이나 질병으로 스스로를 부양할 수 없는 무능력한 빈민과는 구별되었다.[16]

헨리 8세는 1530년 부랑자 법(Vagabonds Act 1530)을 통해 부랑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했다. 이 법에 따르면, 부랑자는 피가 날 때까지 태형을 받고 출생지나 3년간 생활했던 곳으로 돌아가 일해야 했다. 재범 시에는 태형과 함께 귀의 절반이 잘렸고, 세 번째 범죄를 저지르면 상습범으로 처형되었다.[16]

에드워드 6세는 1547년 부랑자 법(Vagabonds Act 1547)을 통해 부랑자를 노예로 삼는 규정을 도입했다. 일하기를 거부하는 사람은 고발한 사람의 노예가 되어 채찍과 사슬로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 2주간 결근하면 종신 노예가 되고 이마나 등에 낙인이 찍혔으며, 세 번 도망치면 중범죄자로 처형되었다. 부랑자는 가슴에 낙인이 찍히고, 목, 팔, 다리에 철 링을 착용해야 했다.[17]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1572년 부랑자 법(Vagabonds Act 1572)은 토지, 주인, 합법적인 직업이나 수입원이 없는 사람을 '악당(rogue)'으로 정의하고 부랑자와 방랑자 계급에 포함시켰다. 악당으로 체포되면 태형을 받고 오른쪽 귀에 낙인이 찍혔다. 재범 시에는 중범죄로 처형될 수 있었고, 세 번째 범죄는 사형을 면할 수 없었다.[18] 같은 법률은 "완고한 게으름뱅이"를 해외로 강제 추방하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추방 장소는 추밀원이 지정했다. 당시에는 미국 버지니아주식회사 농장으로 일정 기간 추방하는 것을 의미했으며, 불법으로 돌아온 자는 교수형에 처해졌다.[19]

1597년 부랑자 법(Vagabonds Act 1597)은 "교정 불가능하고 위험한 악당"을 해외로 추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칼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제임스 1세 시대의 부랑자 법을 언급하며, 부랑자와 악당에 대한 가혹한 처벌을 비판했다. 이 법령은 18세기 초까지 유효했다.[20]

18세기 후반, 미들섹스에서는 부랑자로 의심되는 사람을 경찰관이나 야경꾼이 구금하여 판사 앞에 데려갈 수 있었다. 판사는 이들의 신분을 확인하고 부랑자로 판명되면 태형을 가하고 카운티에서 추방했다.[21]

1795년 스피넘랜드 제도(Speenhamland system)는 농촌 빈곤을 완화하기 위한 외부 구호의 일종으로, 엘리자베스 빈민법의 개정안이었다. 이는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에 대한 영국의 개입의 간접적인 결과로 만들어졌다.[22][23]

1821년 하원 특별위원회는 기존 부랑자 법을 검토하고, ''부랑자 관련 기존 법률에 관한 특별위원회 보고서''를 발표했다.[24] 특별위원회는 기존 법률의 복잡성과 남용 문제를 지적하고, 단일 법률로 개정 및 통합할 것을 권고했다.

1824년 부랑자 법(Vagrancy Act 1824)은 1821년 하원 특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정되었다.[24] 이 법은 이전의 부랑자 법을 통합하고 많은 문제점을 해결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25][26]

3. 9. 미국

아트 영(Art Young)의 정치 풍자 만화, ''매시즈(The Masses)'', 1917년

3. 9. 1. 식민지 시대

식민지 개척자들은 북아메리카에 정착하면서 영국의 부랑자 법을 도입하였다. 식민지 시대와 초기 국민 시대에 걸쳐 부랑자 법은 빈곤층의 이동성과 경제 활동을 통제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노숙자와 소수 민족은 부랑자로 체포될 위험이 컸다. 식민지 시대와 초기 국민 시대에 수천 명의 주민들이 부랑죄로 투옥되었는데, 형기는 보통 30일에서 60일 사이였지만 때로는 그보다 더 길기도 했다.[27]

3. 9. 2. 남북 전쟁 이후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일부 남부 주들은 수십만 명의 해방 노예를 통제하려는 법인 흑인 법전(Black Codes)을 통과시켰다. 1866년, 버지니아주는 "방탕하고 버려진 인물들로 넘쳐날 것"을 우려하여 '부랑자 처벌에 관한 법률'(Act Providing for the Punishment of Vagrants)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 따르면 집 없는 사람이나 실업자는 매우 낮은 임금으로 최대 3개월 동안 공공 또는 사설 사업에 강제 노역을 할 수 있었고, 도망쳤다가 다시 잡히면 최소한의 생계비만으로 남은 기간을 수감하며, 족쇄를 차야 했다.[28] 선언된 의도는 아니었지만, 사실상 이 법은 빈곤한 해방 노예들이 자신의 가족을 찾고 삶을 재건하려는 시도를 범죄화했다. 버지니아 주의 사령관 알프레드 H. 테리(Alfred H. Terry)는 이 법을 "이름만 다를 뿐 노예 제도의 재도입" 시도로 규탄하고, 시행을 금지했다.[28] 이 법이 얼마나 자주 적용되었는지, 또는 시행을 막기 위해 어떤 조치가 취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1904년까지 버지니아주의 법률로 남아 있었다.[28] 다른 남부 주들도 흑인들을 강제 노역 제도(convict leasing)에 편입시키기 위한 유사한 법률을 제정했다.

4. 종교적 관점

많은 종교에서 부랑자 전통을 가지고 있거나 부랑자를 언급하고 있다. 기독교에서 예수는 성경에서 거지, 매춘부,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보이는 것으로 묘사된다. 가톨릭 교회 또한 부랑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가져야 한다고 가르친다.[4] 수도회와 같은 기독교 운동에서도 부랑자의 생활 방식이 나타난다.

일부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국가에서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이슬람 수피 전통의 종교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부랑 상태가 오랫동안 종교 생활과 관련되어 왔다. 사두, 데르비시, 비쿠 등이 그 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Vagrant – Definition of vagrant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www.lexico.c[...]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vagabond https://web.archive.[...]
[3] 서적 The Discovery of Witchcraft https://archive.org/[...] London
[4] 웹사이트 Evangelii Gaudium : Apostolic Exhortation on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Today's World https://www.vatican.[...] 2013-11-24
[5] 간행물 Poor Laws: A Historiography of Vagrancy in Australia http://proxy.library[...] 2013-08
[6] 웹사이트 Colonies of Benevolence https://www.kolonien[...] Colonies of Benevolence 2022-11-20
[7] 문서 Original definition of vagrancy in Finnish
[8] 웹사이트 Teema: Irtolaisuus – Portti https://portti.kansa[...]
[9] 웹사이트 The unsettled, "asocials" http://www.chgs.umn.[...]
[10] 서적 Das Arbeitshaus Breitenau. Bettler, Landstreicher, Prostituierte, Zuhälter und Fürsorgeempfänger in der Korrektions- und Landarmenanstalt Breitenau (1874–1949)
[11] 웹사이트 Art 327 Vagabondajul {{!}} Codul Penal https://lege5.ro/Gra[...] 2024-03-02
[12] 웹사이트 LEGE 278 04/07/2006 - Portal Legislativ https://legislatie.j[...] 2024-05-06
[13] 법률 Закон об утверждении Уголовного кодекса РСФСР 1960 года https://ru.wikisourc[...] 1960-10-27
[14] 법률 Закон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й и дополнений в Уголовный кодекс РСФСР, Уголовно-процессуальный кодекс РСФСР и кодекс РСФСР об административных правонарушениях» https://ru.wikisourc[...] 1991-12-05
[15] 간행물 Policing the Pueblo: Vagrancy and Indigenous Citizenship in Oaxaca, 1848-1876 http://proxy.library[...] 2023-07
[16] 서적 Capital Volume I Pelican Books
[17] 법률 An Act for the Punishing of Vagabonds
[18] 백과사전 Theatre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19] 법률 An Act for the Punishment of Vagabonds
[20] 서적 Capital Volume I Pelican Books
[21] 학술지 Loose, idle and disorderly: vagrant removal in late eighteenth-century Middlesex http://sro.sussex.ac[...] 2014-12-13
[22] 서적 The Village Labourer 1760–1832 Longman Green & Co
[23]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24] 웹사이트 Report from the Select Committee on The Existing Laws Relating to Vagrant https://parlipapers.[...] 1821-01-01
[25] 웹사이트 The Vagrancy Act 1824 (as originally enacted) https://www.legislat[...]
[26] 웹사이트 The Vagrancy Act 1824 (current version) https://www.legislat[...]
[27] 서적 Vagrants and Vagabonds: Poverty and Mobility in the Early American Republic NYU Press
[28] 웹사이트 Vagrancy Act of 1866 https://encyclopedia[...] 2015-08-25
[29] 법률 LA Rev Stat § 14:107 http://legis.la.gov/[...]
[30] 학술지 Constitutional Law: Vagrancy Laws- A Fourteenth Amendment Violation https://contentdm.wa[...] 1972-09
[31] 판례 Papachristou v. Jacksonville https://www.courtlis[...] 1972
[32] 웹사이트 Legal Opinion 2008-1 (On Aggressive Panhandling) http://www.nashville[...] 2008-02-20
[33] 웹사이트 Aggressive Panhandling & Solicitation – It's a Crime and You Can Help! http://www.ci.minn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