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자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자안은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시기에 활동한 인물이다. 1378년 밀직부사가 되었고, 1379년 전라도부원수 겸 도순문사로 임명되어 전라도 지역의 왜구를 소탕했다. 1385년에는 강릉도도체찰사로서 평해읍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천 목씨 -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충정공 목서흠 묘역은 조선시대 문신 목서흠과 부인 안동 권씨의 묘소로, 동분이실 구조와 석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조경이 비문을 짓고 이정영과 조위명이 글씨를 쓴 신도비가 있어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사천 목씨 - 목요상
    목요상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 국회의원, 주요 당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 고려의 무신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고려의 무신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정치인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고려의 정치인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목자안
기본 정보
본관순천 목씨(順天 睦氏)
출생1381년
사망1453년
자(字)가정(可正)
시호(諡號)정평(靖平)
관력
주요 관직좌찬성
영의정

2. 생애

고려 말,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가 고조되던 시기에 활동한 무신이다. 그는 1378년 밀직부사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1379년에는 전라도부원수 겸 도순문사로서 전라도 지역에서, 1385년에는 강릉도도체찰사로서 강릉도 지역 평해부에서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는 등 국방에 기여하였다.

2. 1. 관직 임명

1378년 (우왕 4년) 상의(商議)로서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임명되었다.[1][4]

1379년 3월에는 전라도부원수(全羅道副元帥) 겸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임명되었고,[2][5] 같은 해 10월에는 밀직부사로서 찬성사(贊成事) 목인길(睦仁吉)과 함께 전라도에 침입한 왜구를 소탕하였다.[2][6]

1385년 6월에는 강릉도도체찰사(江陵道都體察使)로서 평해읍(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3][7]

2. 2. 왜구 격퇴

1379년 3월 전라도부원수(全羅道副元帥) 겸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임명되었고,[5][2] 같은 해 10월에는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찬성사(贊成事) 목인길(睦仁吉)과 함께 전라도(全羅道)에 침입한 왜구를 소탕하였다.[6][2] 1385년 6월에는 강릉도도체찰사(江陵道都體察使)로서 평해부(平海府,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7][3]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2]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3] 웹사이트 『고려사』 https://terms.naver.[...] ネイバー 2008-08-30
[4] 웹사이트 고려사》 권133 열전 권제46 신우(禑王) 4년 10월 http://db.history.go[...]
[5] 웹사이트 고려사》 권134 열전 권제47 우왕(禑王) 5년 10월 http://db.history.go[...]
[6] 웹사이트 고려사》 권134 열전 권제47 우왕(禑王) 5년 10월 http://db.history.go[...]
[7] 웹사이트 고려사》 권135 열전 권제48 우왕(禑王) 11년 6월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