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의 국가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몽골 인터내셔널"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1950년에 현재 국가의 원형이 되는 곡이 제정되었다. 이 곡은 1961년, 1991년, 2006년에 가사가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2006년 개정된 가사가 사용되고 있다. 몽골 헌법은 방송 매체가 방송 종료 전에 매일 국가를 방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노래 - Adoro a mi tierra
  • 1950년 노래 - I Don't Care if the Sun Don't Shine
    엘비스 프레슬리가 선 레코드에서 녹음한 "I Don't Care if the Sun Don't Shine"은 그의 초기 로커빌리 스타일을 대표하는 곡으로, 경쾌한 리듬과 멜로디가 특징이며 여러 영화에 삽입되기도 했다.
  • 몽골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몽골의 상징 - 몽골의 국기
    몽골의 국기는 몽골의 역사를 담아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1992년 민주주의 헌법 채택 이후 현재의 국기가 사용되고 파랑, 빨강, 노랑의 색상과 2011년 제정된 색상 기준을 가진다.
몽골의 국가
몽골 국가 정보
1950년 법령에 따른 원본 가사
국가몽골
작사가체덴디인 담딘수렌
작곡가빌레긴 담딘수렌, 로브산자빈 묠도르지
채택일1950년

2. 역사

1911년 보그드 칸 정부 성립 후, 1914년에 러시아 작곡가이자 마린스키 극장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카드레츠 산이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양학부에 소장되어 있던 몽골 민요 선율을 바탕으로 국가를 작곡했다. 몽골 인민공화국 성립 후 몽골의 국가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소놈발지린 부얀네멕이 작사하고 몽골 민요 선율을 활용한 노래가 국가 대신 불렸다. 1950년에는 담딘수렌과 뫼르도르지가 작곡한 현재 국가의 원형이 공식 제정되었으나, 1961년1991년, 그리고 2006년에 가사가 변경되었다.

2. 1. 제정 배경

20세기 초부터 몽골은 두 개의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국가는 1924년부터 195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소놈발지린 부얀네멕이 작사하고 마그사르자비인 두가르자브가 작곡한 "몽골 인터내셔널(Mongol Internationale)"이었다.[3] 이 노래는 제목이 비슷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인터내셔널(The Internationale)"의 몽골어 버전으로 잘못 분류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거의 공통점이 없다.[4] "인터내셔널"의 몽골어 번역본은 따로 존재하며, "몽골 인터내셔널"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5]

두 번째 국가는 담딘수렌과 뫼르도르지가 작곡하였으며, 1950년부터 "몽골 인터내셔널"을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1961년에 가사가 약간 변경되어 몽골 인민혁명당에 대한 언급이 추가되고 소련 및 몽골 지도자들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1991년 초, 공산 정권이 끝나기 1년 전에 원래 가사가 복원되었다.[6] 1991년 이후로는 1950년 가사의 대부분이 다시 사용되었지만, 블라디미르 레닌, 요셉 스탈린, 담딘 수흐바타르, 호를로기인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2절은 삭제되었다. 2006년 7월 6일, 몽골 의회는 칭기즈칸을 기념하기 위해 가사를 개정했다.[7]

몽골의 현행 헌법은 방송 매체가 전송 종료 전에 매일 국가를 방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몽골 국가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11년 보그드 칸 정부가 성립된 후, 1914년에 러시아 작곡가이자 마린스키 극장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카드레츠 산이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양학부에 소장되어 있던 몽골 민요 선율을 바탕으로 작곡한 국가가 제정되었다. 몽골 인민공화국 성립 후인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소놈발지린 부얀네멕이 작사하고 몽골 민요 선율을 활용한 노래가 국가 대신 불렸다. 1950년에 담딘수렌과 뫼르도르지가 작곡한 현재 국가의 원형이 공식 제정되었으나, 1961년에 가사가 변경되어 1991년까지 사용되었다. 1991년에는 1950년 판에서 블라디미르 레닌, 요셉 스탈린, 담딘 수흐바타르, 호를로기인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가사를 제거한 버전이 채택되었고, 2006년 7월 6일에는 가사 일부를 변경한 수정안이 의회에서 승인되었다.

2. 2. 초기 국가 (1924-1950)

1924년부터 1950년까지 몽골의 국가는 "몽골 인터내셔널"이었다. 이 곡은 소놈발지린 부얀네멕이 작사하고 마그사르자비인 두가르자브가 작곡했다.[3] "몽골 인터내셔널"은 제목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인터내셔널의 몽골어 번안곡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두 곡 사이에 공통점이 거의 없다.[4] 그러나 "인터내셔널"은 몽골어 번안곡이 존재하며, "몽골 인터내셔널"과는 다른 곡이다.[5]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몽골 문자 가사

ᠳᠠᠷᠬᠠᠨ ᠮᠠᠨᠠᠶ ᠬᠤᠪᠰᠭᠠᠯᠲ ᠤᠯᠤᠰ

ᠳᠠᠶᠠᠷ ᠮᠣᠩᠭᠣᠯ ᠤᠨ ᠠᠷᠢᠭᠤᠨ ᠭᠤᠯᠤᠮᠲᠠ

ᠳᠠᠢᠰᠨᠢ ᠺᠥᠯᠳ ᠺᠡᠽᠡᠡ ᠴ ᠣᠷᠣᠺᠭᠦᠢ

ᠳᠠᠩᠳᠠ ᠡ᠊ᠩᠬᠡᠵᠢᠵᠦ᠂ ᠡᠭᠦᠷᠢᠳᠡ ᠮᠦᠩᠬᠡᠵᠢᠨᠠ᠃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

ᠵᠣᠷᠭᠳ ᠮᠣᠩᠭᠣᠯ ᠤᠨ ᠽᠣᠯᠳᠣᠢ ᠠᠷᠳᠤᠳ

ᠵᠣᠪᠯᠣᠩᠭ ᠳᠣᠨᠢᠯᠭᠭᠣᠵ ᠵᠠᠷᠭᠠᠯᠢᠭ ᠡᠳ᠋ᠯᠡᠪᠡ

ᠵᠠᠷᠭᠠᠢᠨ ᠳᠦᠯᠬᠦᠦᠷ ᠬᠥᠭᠵᠯᠢᠢᠨ ᠳᠤᠯᠭᠤᠤᠷ

ᠵᠢᠪᠬᠤᠯᠠᠩᠲᠤ ᠮᠠᠨᠠᠶ ᠤᠷᠤᠨ ᠮᠠᠨᠳᠤᠲᠤᠭᠠᠢ᠃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

;한국어 번역

:우리의 신성한 혁명의 나라는

:모든 몽골인이 선물받은 보금자리

:적에게 결코 굴복하지 않으며

:영원히 번영을 누리리라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용맹스런 몽골의 영예로운 국민들은

:고통을 물리치고 기쁨을 맛보았다

:기쁨의 열쇠, 발전의 지지대인

:위대한 우리 나라 만세!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작가 소놈발지린 부얀네멕(1902년-1937년)이 작사하고 몽골 민요 선율을 활용한 노래가 국가 대신 불렸다.

2. 3. 현재 국가의 원형 (1950)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 몽골 문자 가사

ᠳᠠᠷᠬᠠᠨ ᠮᠠᠨᠠᠶ ᠬᠤᠪᠰᠭᠠᠯᠲ ᠤᠯᠤᠰ|다르한 마내 호브스갈트 올로스mn

ᠳᠠᠶᠠᠷ ᠮᠣᠩᠭᠣᠯ ᠤᠨ ᠠᠷᠢᠭᠤᠨ ᠭᠤᠯᠤᠮᠲᠠ|다야르 몽골 온 아리곤 골롬타mn

ᠳᠠᠢᠰᠨᠢ ᠺᠥᠯᠳ ᠺᠡᠽᠡᠡ ᠴ ᠣᠷᠣᠺᠭᠦᠢ|대스니 콜드 케제에 처 오로큉mn

ᠳᠠᠩᠳᠠ ᠡ᠊ᠩᠬᠡᠵᠢᠵᠦ᠂ ᠡᠭᠦᠷᠢᠳᠡ ᠮᠦᠩᠬᠡᠵᠢᠨᠠ|당다 엥케지지, 에구리데 뭉케지나mn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하목 델렝 쉬도르고 올로스 태mn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함토란 니게독센 에비옌 베히지굴주mn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하톤 조릭 부휠라 치달리야리얀mn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해라태 몽골 오론얀 만도골링mn

ᠵᠣᠷᠭᠳ ᠮᠣᠩᠭᠣᠯ ᠤᠨ ᠽᠣᠯᠳᠣᠢ ᠠᠷᠳᠤᠳ|조르그드 몽골 온 졸도이 아르도드mn

ᠵᠣᠪᠯᠣᠩᠭ ᠳᠣᠨᠢᠯᠭᠭᠣᠵ ᠵᠠᠷᠭᠠᠯᠢᠭ ᠡᠳ᠋ᠯᠡᠪᠡ|조블롱그 도닐그오지 자르갈릭 에들레베mn

ᠵᠠᠷᠭᠠᠢᠨ ᠳᠦᠯᠬᠦᠦᠷ ᠬᠥᠭᠵᠯᠢᠢᠨ ᠳᠤᠯᠭᠤᠤᠷ|자르개인 돌쿠르 큭질리인 돌고르mn

ᠵᠢᠪᠬᠤᠯᠠᠩᠲᠤ ᠮᠠᠨᠠᠶ ᠤᠷᠤᠨ ᠮᠠᠨᠳᠤᠲᠤᠭᠠᠢ|지브홀랑토 마내 오론 만도토개mn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하목 델렝 쉬도르고 올로스 태mn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함토란 니게독센 에비옌 베히지굴주mn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하톤 조릭 부휠라 치달리야리얀mn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해라태 몽골 오론얀 만도골링mn

; 한국어 번역

: 우리의 신성한 혁명의 나라는

: 모든 몽골인이 선물받은 보금자리

: 적에게 결코 굴복하지 않으며

: 영원히 번영을 누리리라

::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 용맹스런 몽골의 영예로운 국민들은

: 고통을 물리치고 기쁨을 맛보았다

: 기쁨의 열쇠, 발전의 지지대인

: 위대한 우리 나라 만세!

::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두 번째 국가는 담딘수렌과 뫼르도르지가 작곡하였으며, "몽골 인터내셔널"을 대체하여 1950년부터 사용되고 있다.[6] 1991년에는 1950년판에서 레닌, 스탈린, 수흐바타르,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가사를 제거한 것이 채택되었다.[7]

2. 4. 가사 변경 (1961, 1991, 2006)

몽골 국가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61년에는 가사가 약간 변경되어 몽골 인민당에 대한 언급이 추가되고 여러 소련 및 몽골 지도자들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다.[6] 1991년에는 공산 정권이 끝나기 1년 전, 1950년 가사의 대부분이 복원되었으나, 레닌, 스탈린, 수흐바타르,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2절은 삭제되었다.[6] 2006년 7월 6일, 몽골 의회는 칭기즈칸을 기념하기 위해 가사를 개정했다.[7]

{| class="wikitable"

|-

! 1961년

! 1991년

! 2006년

|-

|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Урьдийн бэрх дарлалыг устгажUridiin berkh darlaliig ustgaj우리디인 베르히 달라리익 우슷가즤



|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Дархан манай хувьсгалт улсDarkhan manai khuwisgalt uls다르한 마내 훕스갈트 울르스



|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Дархан манай хувьсгалт улсDarkhan manai khuwisgalt uls,다르한 마내 훕스갈트 울르스



|}

3. 가사

몽골의 국가는 여러 차례 가사가 변경되었다. 1950년에 채택된 국가는 담딘수렌과 뫼르도르지가 작곡했으며, "몽골 인터내셔널"을 대체했다. 1961년에는 가사가 일부 수정되어 몽골 인민당에 대한 언급이 추가되고 레닌, 스탈린, 수흐바타르,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내용이 삭제되었다.[6] 2006년 7월 6일, 몽골 의회는 칭기즈칸을 기념하기 위해 가사 일부를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다.[7]

20세기 초부터 몽골은 두 개의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 사용된 첫 번째 국가는 소놈발지린 부얀네멕이 작사하고 마그사르자비인 두가르자브가 작곡한 "몽골 인터내셔널"이었다.[3]

1961-1991년 키릴문자1961-1991년 로마자1961-1991년 한글 표기



;1961-1991년 몽골 문자 가사

{{lang|mn-Mong|ᠳᠠᠷᠬᠠᠨ ᠮᠠᠨᠠᠶ ᠬᠤᠪᠰᠭᠠᠯᠲ ᠤᠯᠤᠰ

ᠳᠠᠶᠠᠷ ᠮᠣᠩᠭᠣᠯ ᠤᠨ ᠠᠷᠢᠭᠤᠨ ᠭᠤᠯᠤᠮᠲᠠ

ᠳᠠᠢᠰᠨᠢ ᠺᠥᠯᠳ ᠺᠡᠽᠡᠡ ᠴ ᠣᠷᠣᠺᠭᠦᠢ

ᠳᠠᠩᠳᠠ ᠡ᠊ᠩᠬᠡᠵᠢᠵᠦ᠂ ᠡᠭᠦᠷᠢᠳᠡ ᠮᠦᠩᠬᠡᠵᠢᠨᠠ᠃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

ᠵᠣᠷᠭᠳ ᠮᠣᠩᠭᠣᠯ ᠤᠨ ᠽᠣᠯᠳᠣᠢ ᠠᠷᠳᠤᠳ

ᠵᠣᠪᠯᠣᠩᠭ ᠳᠣᠨᠢᠯᠭᠭᠣᠵ ᠵᠠᠷᠭᠠᠯᠢᠭ ᠡᠳ᠋ᠯᠡᠪᠡ

ᠵᠠᠷᠭᠠᠢᠨ ᠳᠦᠯᠬᠦᠦᠷ ᠬᠥᠭᠵᠯᠢᠢᠨ ᠳᠤᠯᠭᠤᠤᠷ

ᠵᠢᠪᠬᠤᠯᠠᠩᠲᠤ ᠮᠠᠨᠠᠶ ᠤᠷᠤᠨ ᠮᠠᠨᠳᠤᠲᠤᠭᠠᠢ᠃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 ᠅}}

;1961-1991년 한국어 번역

:우리의 신성한 혁명의 나라는

:모든 몽골인이 선물받은 보금자리

:적에게 결코 굴복하지 않으며

:영원히 번영을 누리리라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용맹스런 몽골의 영예로운 국민들은

:고통을 물리치고 기쁨을 맛보았다

:기쁨의 열쇠, 발전의 지지대인

:위대한 우리 나라 만세!

::세계의 모든 정의로운 나라와

::단결과 통일을 강화하여

::굳건한 의지와 능력으로

::사랑하는 몽골을 발전시키자

3. 1. 현재 가사 (2006-)

2006년에 일부 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몽골 문자 가사

{{lang|mn-Mong|ᠳᠠᠷᠬᠠᠨ ᠮᠠᠨᠠᠶ ᠲᠤᠰᠠᠭᠠᠷ ᠤᠯᠥᠰ

ᠳᠠᠶᠠᠭᠠᠷ ᠮᠤᠩᠭᠣᠯ ᠤᠨ ᠠᠷᠢᠭᠤᠨ ᠭᠤᠯᠤᠮᠲᠠ

ᠳᠠᠯᠠᠢ ᠶᠡᠬᠡ ᠳᠡᠭᠡᠳᠦᠰ ᠤᠨ ᠭᠡᠭᠡᠨ ᠦᠢᠯᠡᠰ

ᠳᠠᠩᠳᠠ ᠡ᠊ᠩᠬᠡᠵᠢᠵᠦ᠂ ᠡᠭᠦᠷᠢᠳᠡ ᠮᠦᠩᠬᠡᠵᠢᠨ᠎ᠠ᠃

ᠬᠠᠮᠤᠭ ᠳᠡᠯᠡᠭᠡᠢ ᠢᠨ ᠰᠢᠳᠤᠷᠭᠤ ᠤᠯᠤᠰ ᠲᠠᠢ

ᠬᠠᠮᠲᠤᠷᠠᠨ ᠨᠢᠭᠡᠳᠦᠭᠰᠡᠨ ᠡᠪ ᠢᠶᠡᠨ ᠪᠡᠬᠢᠵᠢᠭᠦᠯᠵᠦ

ᠬᠠᠲᠤᠨ ᠵᠤᠷᠢᠭ ᠪᠦᠬᠦᠶᠢᠯᠠ ᠴᠢᠳᠠᠯ ᠢᠶᠠᠷ ᠢᠶᠠᠨ

ᠬᠠᠢᠢᠷᠠᠲᠠᠢ ᠮᠣᠩᠭᠤᠯ ᠤᠷᠤᠨ ᠢᠶᠠᠨ ᠮᠠᠨᠳᠤᠭᠤᠯᠤᠢ᠎ᠠ᠃

ᠦᠨᠳᠦᠷ ᠲᠦᠷᠦ ᠢᠨ ᠮᠢᠨᠢ ᠰᠦᠯᠳᠡ ᠢᠪᠡᠭᠡᠵᠦ

ᠦᠷᠭᠡᠨ ᠲᠦᠮᠡᠨ ᠦ ᠮᠢᠨᠢ ᠵᠠᠶᠠᠭ᠎ᠠ ᠲᠦᠰᠢᠵᠦ

ᠦᠨᠳᠦᠰᠦ ᠢᠵᠠᠭᠤᠷ᠂ ᠬᠡᠯᠡ᠂ ᠰᠤᠶᠤᠯ ᠢᠶᠠᠨ

ᠦᠷ᠎ᠡ ᠢᠨ ᠦᠷ᠎ᠡ ᠋ᠳ᠋ᠡᠭᠡᠨ ᠦᠪᠯᠡᠨ ᠪᠠᠳᠠᠷᠠᠭᠠᠶ᠎ᠠ᠃

ᠡᠷᠡᠯᠬᠡᠭ᠌ ᠮᠣᠩᠭᠤᠯ  ᠤᠨ ᠵᠤᠯ ᠲᠠᠢ ᠠᠷᠠᠳ ᠦᠳ

ᠡᠷᠬᠡ ᠴᠢᠯᠦᠭᠡ ᠵᠢᠷᠭᠠᠯ ᠢ ᠡᠳ᠋ᠯᠡᠪᠡ

ᠵᠢᠷᠭᠠᠯ ᠤᠨ ᠲᠦᠯᠬᠢᠭᠦᠷ᠂ ᠬᠦᠭ᠍ᠵᠢᠯ  ᠦᠨ ᠲᠤᠯᠭᠠᠭᠤᠷᠢ

ᠵᠢᠪᠬᠤᠯᠠᠩᠲᠤ ᠮᠠᠨᠠᠶ ᠤᠷᠤᠨ ᠮᠠᠨᠳᠤᠲᠤᠭᠠᠢ᠅}}[15][16]

;한국어 번역

:우리의 신성한 독립 국가는

:모든 몽골인의 선물받은 보금자리요

:온 세계의 훌륭한 장소로서

:영원히 번영을 누리리라

::세상의 모든 올바른 나라들과

::더불어 관계를 강화하여

::우리의 모든 의지와 힘으로

::사랑스런 몽골을 발전시켜 나가자

:위대한 국가의 상징이 우리를 축복하고

:사람들의 운명이 도움을 주리니

:우리의 전통, 문화, 언어를

:대에서 대로, 영원히 보전하리라

::용맹한 몽골의 뛰어난 국민들은

::자유와 행복을 쟁취하였으니

::행복의 열쇠, 진보의 길이 되는

::우리의 위대한 나라여 영원하라

3. 2. 역대 가사

2006년에 일부 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키릴문자로마자한글 표기



1950년에 채택된 몽골의 국가는 담딘수렌(Damdinsüren)과 뫼르도르지(Mördorj)가 작곡하였으며, "몽골 인터내셔널"을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1961년에 가사가 약간 변경되어 몽골 인민당에 대한 언급이 추가되고 여러 소련 및 몽골 지도자들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원래 가사는 공산 정권이 끝나기 1년 전인 1991년 초에 복원되었다.[6]

1991년에는 1950년 판에서 레닌, 스탈린, 수흐바타르, 초이발산을 찬양하는 가사를 제거한 것이 채택되었고, 2006년 7월 6일에는 몽골 의회가 칭기즈칸을 기념하기 위해 가사 일부를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다.[7]

20세기 초부터 몽골은 두 개의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국가는 1924년부터 1950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소놈발지린 부얀네멕(Sonombaljiriin Buyannemekh)의 작사와 마그사르자비인 두가르자브(Magsarjabhiin Dugarjabh)의 작곡으로 만들어진 "몽골 인터내셔널(Mongol Internationale)"이었다.[3]

4. 상징성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결과를 그대로 출력합니다.)

5. 기타

1절

: Дархан манай хувьсгалт улс|다르항 마내 후브스갈트 올스|굳건한 우리 혁명 국가mn

: Даяар монголын ариун голомт|다야르 몽골링 아리옹 골롬트|온 세상 몽골의 성스러운 중심mn

: Дайсны хөлд хэзээ ч орохгүй|다이스니 횔드 헤제 척 오로흐구이|적의 발자취에 결코 짓밟히지 않으리mn

: Дандаа энхжиж үүрд мөнхжинө|단다 엥흐지쥐 위르드 묑흐지네|언제나 평화롭게 영원히 빛나리mn

코러스

: Хамаг дэлхийн шударга улстай|하마그 델힝 슈다르가 올스테|온 세상 정의로운 국가들과mn

: Хамтран нэгдсэн эгнээг бэхжүүлж|함트랑 네그드셍 에그네그 베흐쥘쥐|함께 단결된 대열을 강화하며mn

: Хатан зориг, бүхий чадлаар|하탕 조리그, 부히 차들라르|굳건한 용기, 모든 능력으로mn

: Хайрт Монгол орноо мандуулья|해르트 몽골 오르노 만둘리야|사랑하는 몽골 땅을 번영시키세mn

2절

: Ачит Ленин Сталины заасан|아치트 레닝 스탈리니 자상|위대한 레닌과 스탈린이 가르쳐준mn

: Ардын чөлөө, жаргалын замаар|아르딩 춸료, 자르갈링 자마르|인민의 해방, 행복의 길을 따라mn

: Агуу Монгол орноо удирдсан|아고 몽골 오르노 우디르드상|위대한 몽골을 이끌었던mn

: Ачит Сүхбаатар, Чойбалсан|아치트 수흐바타르, 처이발상|위대한 수흐바토르, 초이발산mn

3절

: Зоригт Монголын золтой ардууд|조릭트 몽골링 졸토이 아르두드|용감한 몽골의 행복한 백성들mn

: Зовлонг тонилгож, жаргалыг эдлэв|조블롱그 토닐고쥐, 자르갈릭 에들레브|고통을 없애고, 행복을 누리네mn

: Жаргалын түлхүүр, хөгжлийн тулгуур|자르갈링 튈휘르, 혁질링 툴구르|행복의 열쇠, 발전의 기둥mn

: Жавхлант манай орон мандтугай|자브흘랑트 마내 오롱 만드투개|영광스러운 우리 나라여 번영하라mn

5. 1. 한국과의 관계

몽골의 국가한국어는 한국과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고려 시대 몽골의 침입과 지배는 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sing of the Anthem and The Internationale on vinyl at Discogs. https://www.discogs.[...]
[2] 웹사이트 Pressing of the Anthem and The Anthem of the Mongoli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on vinyl at Discogs. https://www.discogs.[...]
[3] 웹사이트 Mongolia (1924-1950) http://www.nationala[...] 2013-02-22
[4] 웹사이트 Монгол Интернационал - Mongol Internationale (Anthem of Mongolia, 1924-1950) [Vocal] https://www.youtube.[...] 2017-08-30
[5]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e: Mongolian (Интернационал: Монгол) [Original Recording] https://www.youtube.[...] 2017-09-02
[6] 웹사이트 The Mongolian National Anthem http://www.linguamon[...] 2019-01-11
[7]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лын түүх http://www.sonin.mn/[...] 2012-03-15
[8]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https://www.legalinf[...] 2019-01-11
[9]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http://www.mnb.mn/i/[...] 2018-02-04
[10] 웹사이트 nationalanthems.info - Mongolia 1961-1990 lyrics http://www.nationala[...]
[11] 웹사이트 http://www.eki.ee/wg[...]
[12] 웹사이트 The Mongolian National Anthem http://www.linguamon[...]
[13]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лын түүх http://www.sonin.mn/[...] 2012-03-15
[14]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ЛЫН ТҮҮХ http://www.baabar.mn[...] 2011-06-29
[15]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https://www.legalinf[...]
[16]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 http://www.mnb.mn/i/[...] 2018-02-04
[17] 웹사이트 Mongolia (1961-1990) – nationalanthems.info http://www.nationa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