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하지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하지룬은 무함마드 시대에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무슬림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무함마드가 이끄는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다양한 원정에 참여했다. 알-이 원정을 시작으로 와단 침공, 부와트 침공 등이 있었으며, 바드르 전투, 우후드 전투, 참호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도 활약했다. 무하지룬은 이슬람의 확립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아부 바크르, 우마르, 알리 등 초기 칼리파와 무함마드의 가족, 동료들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지라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헤지라 - 안사르
    안사르는 이슬람 초기에 무함마드와 메카 이주민들을 지지하고 도운 메디나 시민들을 지칭하며, 부족 갈등 해소, 무함마드 지도자 추대, 초기 이슬람 정복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정권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이 되기도 했다.
  • 아랍인 집단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아랍인 집단 - 안사르
    안사르는 이슬람 초기에 무함마드와 메카 이주민들을 지지하고 도운 메디나 시민들을 지칭하며, 부족 갈등 해소, 무함마드 지도자 추대, 초기 이슬람 정복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정권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이 되기도 했다.
무하지룬
개요
이름무하지룬 (Muhajirun)
의미이주민, 망명자
대상무함마드와 함께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초기 무슬림 공동체
중요성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후 이슬람 국가의 형성에 기여함
역사적 배경
박해메카에서 무슬림들은 종교적 박해와 사회적 차별을 받음
이주 결정무함마드는 신도들에게 메디나로 이주할 것을 권고함
헤지라622년, 무함마드와 그의 추종자들은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 (헤지라)
메디나 정착메디나에서 무하지룬은 현지 무슬림 공동체 (안사르)의 환대를 받음
역할 및 중요성
초기 이슬람 공동체 형성무하지룬은 메디나에서 초기 이슬람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군사적 기여무하지룬은 이슬람 확장을 위한 여러 전투에 참여함
정치적 영향력무하지룬은 초기 이슬람 국가의 정치적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함
사회적 지위무하지룬은 이슬람 사회에서 높은 존경을 받으며, 중요한 사회적 지위를 차지함
안사르와의 관계
상호 협력무하지룬과 안사르는 서로 협력하여 메디나 사회를 발전시킴
경제적 지원안사르는 무하지룬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함
사회적 통합무하지룬과 안사르는 점차 사회적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룸
유산
이슬람 역사무하지룬의 이주는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됨
신앙의 상징무하지룬은 신앙을 지키기 위해 고향을 떠난 사람들의 상징으로 여겨짐
이슬람 국가의 토대무하지룬의 노력은 이후 이슬람 국가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함

2. 무함마드 시대의 원정

무함마드메카에서 박해받던 초기 무슬림 공동체를 이끌고 메디나로 이주(헤지라)한 후, 새로운 종교 공동체를 건설하고 방어하기 위한 여러 차례의 원정을 수행했다. 초기 원정은 쿠라이쉬 부족의 대상을 습격하는 등 제한적인 군사 활동이었으나, 이후 바드르 전투, 우후드 전투, 참호 전투 등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전투들을 치렀다.[1]

2. 1. 초기 원정 (메디나 이주 직후)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직후, 무함마드는 쿠라이쉬 부족의 대상을 습격하는 등 제한적인 군사 활동을 전개했다. 초기에는 주로 정찰과 소규모 습격이 주를 이루었으며, 큰 규모의 전투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함자 이븐 압드 알무탈리브, 우바이다 이븐 알-하리스,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등이 이끄는 소규모 부대가 파견되었다. 이들은 쿠라이쉬 부족의 대상(隊商)을 목표로 활동했지만, 실제 교전으로 이어진 경우는 드물었다.

2. 1. 1. 주요 원정

알-이 원정, 사프완 원정, 부와트 원정, 두 알-우샤이라 원정, 압와 원정 등이 초기 주요 원정으로 기록되어 있다.[1]

무함마드는 함자의 첫 번째 공격 실패 후, 60명의 무하지룬을 우바이다에게 맡겨 시리아에서 돌아오는 쿠라이쉬 대상을 공격하는 작전을 수행하게 했다. 이 대상은 아부 수피얀 이븐 하르브가 이끌었으며, 100명의 병사로 보호받고 있었다. 무슬림 부대는 히자즈의 타니야툴-무라까지 진격했으나, 쿠라이쉬가 예상 공격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가 쿠라이쉬에게 화살을 쏘았는데, 이것이 이슬람 최초의 화살로 알려져 있다.[1]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는 세 번째 급습을 이끌었으며, 약 20명의 무하지르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메카로 가는 길에 있는 카라르 계곡에 매복하여 시리아에서 돌아오는 메카 대상을 기다렸으나, 대상은 이미 지나간 후였다.[3][7][4][5]

와단 침공으로 알려진 네 번째 급습은 무함마드가 직접 참여한 최초의 공격으로, 70명의 병력(대부분 무하지르)이 참여했다. 무함마드는 와단(알-압와)으로 대상 습격을 이끌었으나, 쿠라이쉬를 만나지 못했다.[7][5]

부와트 침공으로 알려진 다섯 번째 급습 역시 무함마드가 지휘했다.[7] 그는 2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쿠라이쉬 상인들의 대상 경로에 있는 부와트로 향했다. 1,500마리의 낙타 떼와 우마이야 이븐 칼라프가 이끄는 100명의 기병이 동행했다. 이 급습의 목적은 쿠라이쉬의 종교 박해를 피해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하면서 잃어버린 것을 되찾는 것이었다. 쿠라이쉬는 무슬림이 남긴 재산과 소지품을 압수하여 판매했다.[2][5][8]

2. 2. 주요 전투 및 사건

무함마드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여러 차례의 중요한 전투에 참여하여 이슬람 공동체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바드르 전투, 우후드 전투, 참호 전투(칸다크 전투) 등은 초기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전투들이다.[1]

무함마드가 직접 참여한 초기 원정에는 와단 침공이 있으며, 70여 명의 병력(대부분 무하지룬)이 참여했다. 부와트 침공 또한 무함마드가 직접 지휘한 원정으로, 무하지룬과 안사르를 포함한 200명의 병력이 동원되었다.[7] 이 원정의 목적은 쿠라이쉬의 종교 박해를 피해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하면서 잃어버린 재산을 되찾는 것이었다.[2][5][8]

2. 2. 1. 주요 전투 목록

다음은 무하지룬이 참여한 주요 전투 목록이다.

전투명설명
바드르 전투무슬림 군대가 수적으로 우세한 메카 군대를 상대로 승리한 최초의 대규모 전투이다.
우후드 전투메카 군대의 반격으로 무슬림 군대가 큰 피해를 입었으나, 이슬람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호 전투 (칸다크 전투)메카 연합군이 메디나를 포위 공격했으나, 무슬림 군대가 참호를 파고 방어에 성공하였다.
바누 쿠라이자 사건참호 전투 이후, 무함마드는 메카 연합군과 내통한 혐의로 유대 부족인 바누 쿠라이자를 공격하였다.
후다이비야 조약메카와 맺은 평화 조약으로, 이슬람 세력 확장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카이바르 전투메디나 북쪽의 유대인 거주 지역인 카이바르를 정복하였다.
메카 정복무함마드가 이끄는 무슬림 군대가 메카를 무혈 점령하고 이슬람의 성지로 선포하였다.
후나인 전투메카 정복 직후, 주변 부족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이슬람의 지배권을 확고히 하였다.
타부크 원정비잔티움 제국과의 충돌을 피하고 북방 국경 지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원정이다.


3. 관련 인물

무함마드의 원정에 참여한 주요 인물들은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남자 중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트만, 알리 등은 정통 칼리파로 선출되어 이슬람 공동체를 이끌었다. 함자 이븐 압드 알무탈리브는 용맹한 전사였고, 자이드 이븐 하리타는 무함마드의 양자였다. 살만 알 파르시는 참호 전투에서 참호 건설을 제안했다.

여자 중에서는 아이샤(아부 바크르의 딸), 파티마(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아내), 루카이야와 움 쿨숨(우스만 이븐 아판의 아내), 자이납 등이 무함마드의 가족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3. 1. 남자

아부 바크르는 무함마드의 가장 가까운 동료이자 장인으로, 초대 정통 칼리파였다. 우마르는 무함마드의 동료이자 장인으로, 제2대 정통 칼리파였다. 우트만은 무함마드의 사위로, 제3대 정통 칼리파였다. 알리는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로, 제4대 정통 칼리파였다. 함자 이븐 압드 알무탈리브는 무함마드의 삼촌으로, 초기 이슬람의 용맹한 전사였다. 자이드 이븐 하리타는 무함마드의 양자였다. 살만 알 파르시는 페르시아 출신 동료로, 참호 전투에서 참호 건설을 제안했다.

이 외에도 알 아바스 이븐 압드 알무탈리브, 빌랄 이븐 라바, 사이드 빈 자이드, 탈하 빈 오바이드울라, 오바이드울라 빈 알자라, 무사브 빈 우마이르, 자파르 빈 아비 탈리브, 사아드 이븐 아비 와카스, 주바이르 빈 아왐, 우스만 빈 마자운, 카밥 빈 알 아라트, 아부 후다이파 빈 야만, 압둘 라흐만 빈 아우프, 압둘라 빈 마수드, 수하입 루미, 타밈 다리, 후나이스 이븐 후다이파, 아부 다르 알가파리, 미크다드 이븐 아스와드, 아마르 이븐 야시르, 아부 부라이다 알 아슬라미, 칼리드 이븐 사드 등이 있다.

3. 2. 여자

참조

[1] Hadith
[2] 웹사이트 Witness Pioneer "Pre-Badr Missions and Invasions" https://web.archive.[...]
[3] 서적 The Sealed Nectar
[4] 서적 Sealed Nectar
[5] 서적 The Journey of Prophecy; Days of Peace and War http://www.islamic-b[...] Islamic Book Trust
[6] 서적 Mukhtaṣar zād al-maʻād
[7] 서적 The Life of Muhammad https://books.google[...] Islamic Book Trust
[8] 서적 Mukhtaṣar zād al-maʻād
[9] 서적 The Sealed Nectar (Free Version)
[10] 웹사이트 IslamWeb http://www.islamweb.[...]
[11] 웹사이트 Peshawar Nights http://www.al-isl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