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드르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드르 전투는 624년 무함마드가 이끄는 무슬림 군대와 아부 수피얀이 이끄는 메카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메카의 대상 습격을 결정한 무함마드는 아부 수피안의 상단이 공격을 피하자, 메카 군대를 토벌하기 위해 바드르로 진군했다. 무슬림 군은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전투에서 승리하여 메카 군의 지도자를 포함한 많은 사상자를 냈고, 포로를 인도적으로 대우했다. 이 전투는 무슬림의 신앙심을 고취시키고, 메디나 공동체 지도자로서 무함마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바드르 전투는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이후 여러 군사 작전과 대중문화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디나의 역사 - 헤지라
헤지라는 혈연, 지연 관계로부터의 분리를 넘어 종교적 이유로 인한 이동을 의미하며, 이슬람교에서 메카에서 메디나로의 무함마드와 무슬림의 이주 사건을 가리키며 이슬람력의 기원이 되었다. - 메디나의 역사 - 우후드 전투
625년 3월, 쿠라이쉬 부족이 바드르 전투 패배에 대한 복수로 메디나를 공격하여 우후드 전투가 발발했으며, 무슬림군의 초기 우세에도 불구하고 궁수 부대의 실수로 메카군의 반격에 무함마드와 무슬림 공동체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무슬림들에게 교훈과 결속력을 강화하고 쿠란과 하디스에도 언급된 사건이다. - 무슬림 정복전쟁 - 라시둔 칼리파국
라시둔 칼리파국(632-661년)은 무함마드 사후 네 명의 칼리프가 통치한 시대로, 수니파 무슬림에게 이슬람의 황금기로 여겨지며 급속한 영토 확장과 이슬람 내전, 그리고 칼리프 정통성에 대한 논쟁을 겪으며 우마이야 칼리파국으로 이어졌다. - 무슬림 정복전쟁 - 투르 푸아티에 전투
투르 푸아티에 전투는 732년 프랑크 왕국의 카를 마르텔이 이슬람 세력을 격퇴하여 서유럽 진출을 막고 카롤링거 왕조 성립의 기반을 마련한 전투이다.
바드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전투 | 바드르 전투 |
일부 | 무슬림-쿠라이시 전쟁 |
![]() | |
날짜 | 624년 3월 13일 (AH 2년 라마단 17일) |
위치 | 헤자즈 바드르, 아라비아 |
결과 | 무슬림의 승리 무슬림 생존 무슬림-쿠라이시 전쟁 시작 |
교전 세력 | |
교전 1 | 메디나의 무슬림군 |
교전 2 | 메카의 쿠라이시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무슬림 지휘관 | 무함마드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주바이르 이븐 알-아왐 알-미크다드 빈 암르 함자 이븐 아브드 알-무탈리브 우마르 우바이다 빈 알-하리스 빌랄 이븐 라바 알-하바시 |
쿠라이시 지휘관 | 암르 이븐 히샴 우트바 이븐 라비아 우마이야 이븐 할라프 샤이바 이븐 라비아 왈리드 이븐 우트바 우크바 이븐 아비 무아이트 |
병력 규모 | |
무슬림 병력 | 총합: 313명 무하지룬: 82명 안사르: 231명 아우스: 61명 카즈라즈: 170명 말 2필 낙타 70마리 |
쿠라이시 병력 | 총합: 1,000명 말 100필 낙타 170마리 |
사상자 및 피해 | |
무슬림 사상자 | 총합: 14명 사망 무하지룬: 6명 안사르: 8명 카즈라즈: 6명 아우스: 2명 |
쿠라이시 사상자 | 70명 사망, 70명 포로 |
2. 배경
622년 헤지라(메디나로의 이주) 이후, 메디나 사람들은 무함마드를 공동체의 지도자로 선택했다. 무함마드의 추종자들은 메카인들이 무슬림을 박해하고 히즈라 이후 무슬림의 토지와 재산을 강제로 몰수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메카인들의 대상(隊商)이 메디나를 지나갈 때 습격하기로 결정했다.[4]
624년 초, 아부 수피안 이븐 하르브가 이끄는 쿠라이시 대상은 레반트(아마도 가자)에서 재산과 상품을 싣고 메카로 돌아오고 있었다. 대상은 50,000 디나르 상당의 상품을 운반했으며 70명의 경비병이 호위했다. 메카의 모든 주요 재정가들은 이 무역에 참여했으며, 대상의 무사 귀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무함마드는 대상에 대한 소식을 듣고 두 가지 이유로 이를 가로채기로 결정했다. 첫째, 쿠라이시가 히즈라 이후 메카에서 무슬림의 재산을 몰수했기에, 쿠라이시로부터 재산을 회수하려는 정책을 지속하기 위해서였다. 둘째, 성공적인 공격은 메카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미래에 메디나에 대한 공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아부 수피안은 대상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메카에 전했고, 메디나를 지나갈 때 대상을 보호하기 위한 증원을 요청했다. 그는 정기적으로 스파이를 보내 무함마드를 감시하고 그 지역에서 무슬림의 움직임이 있으면 경고했다.[18][5]
무함마드는 대상을 가로채기 위해 약 300명의 작은 원정 부대를 모았다. 아부 수피안은 무슬림이 자신의 대상을 매복하려는 계획을 알게 되었고, 메신저 담담 빈 '암르 알-기파리를 쿠라이시에 보냈다. 담담은 카바에 도착하자 낙타의 코와 귀를 자르고, 안장을 뒤집고, 셔츠를 찢고, 구조를 요청했다.[5] 아부 수피안은 담담이 메카에 도착하기 전에 그의 대상을 홍해 방향으로 우회시켜 무슬림의 위협에서 벗어났다.
2. 1. 메카와 무함마드의 갈등
622년 헤지라(메디나로의 이주) 이후, 메디나 사람들은 무함마드를 공동체의 지도자로 선택했다. 무함마드의 추종자들은 메카인들의 대상이 메디나를 지나갈 때 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메카인들이 무슬림을 박해하고 히즈라 이후 무슬림의 토지와 재산을 강제로 몰수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4]무함마드는 메카의 대상단을 습격하여 경제 기반을 확대하고, 자신을 추방한 메카에 복수하고자 했다. 이는 지하드의 일환이기도 했다.[42] 624년 초, 아부 수피안 이븐 하르브가 이끄는 쿠라이시 대상은 레반트에서 재산과 상품을 싣고 메카로 돌아오고 있었다. 무함마드는 이 소식을 듣고, 쿠라이시가 히즈라 이후 메카에서 무슬림의 재산을 몰수한 것에 대한 보복과 메카에 대한 공격 억제라는 두 가지 이유로 대상단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2. 2. 바드르 전투의 발단
622년 히즈라(메디나로의 이주) 이후, 메디나 사람들은 무함마드를 공동체의 지도자로 선택했다. 무함마드의 추종자들은 메카인들이 무슬림을 박해하고 히즈라 이후 무슬림의 토지와 재산을 강제로 몰수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메카인들의 대상이 메디나를 지나갈 때 습격하기로 결정했다.[4]624년 초, 아부 수피안 이븐 하르브가 이끄는 쿠라이시 대상은 레반트(아마도 가자)에서 재산과 상품을 싣고 메카로 돌아오고 있었다. 이 대상은 매우 컸는데, 50,000 디나르 상당의 상품을 운반했으며 70명의 경비병이 호위했고, 메카의 모든 주요 재정가들은 이 무역에 참여했으며, 따라서 대상의 무사 귀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무함마드는 대상에 대한 소식을 듣고 두 가지 이유로 이를 가로채기로 결정했다. 첫째, 쿠라이시가 히즈라 이후 메카에서 무슬림의 재산을 몰수했기에, 쿠라이시로부터 재산을 회수하려는 정책을 지속하기 위해서였다. 둘째, 성공적인 공격은 메카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미래에 메디나에 대한 공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아부 수피안은 대상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메카에 보내 메디나를 지나갈 때 대상을 보호하기 위한 증원을 요청했다. 아부 수피안은 정기적으로 스파이를 보내 무함마드를 감시하고 그 지역에서 무슬림의 움직임이 있으면 경고했다.[18][5]
무함마드는 대상을 가로채기 위해 약 300명의 작은 원정 부대를 모았다. 아부 수피안의 스파이는 무슬림이 자신의 대상을 매복하려는 계획을 알려주었다. 곧 다가올 재산 손실을 두려워한 아부 수피안은 메신저 담담 빈 '암르 알-기파리를 쿠라이시에 보냈다. 담담은 카바에 도착하자 낙타의 코와 귀를 자르고, 안장을 뒤집고, 셔츠를 찢고 외쳤다.[5]
> "오 쿠라이시여! 당신들의 상품이여! 아부 수피안과 함께 있습니다. 대상은 무함마드와 그의 동료들에게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을지 알 수 없습니다. 도와주세요! 도와주세요!"[5]
아부 수피안은 담담이 메카에 도착하기 전에 그의 대상을 홍해 방향으로 우회시켜 무슬림의 위협에서 벗어났다.
622년7월 16일의 히즈라(성천) 이후, 메디나 헌장을 체결하여 움마를 조직한 무함마드는 624년에 아부 수피안의 대규모 상단이 시리아에서 도착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습격하기 위해 메디나를 출발하여 홍해에 면한 바드르에서 상단을 기다렸다. 메카의 대상단을 습격하는 것은 무함마드를 추방한 메카에 대한 복수이기도 했지만, 그 물자를 획득하여 경제 기반을 확대하는 것은 지하드(노력 목표)이기도 했다. 아부 수피안의 요청을 받은 메카에서 아부 자흐르가 지휘하는 군대가 파견되었지만, 대상단이 무사히 바드르를 우회하여 메카로 향했다는 소식을 듣자 줌라족 병사들은 목적을 달성했기에 메카로 돌아갔고, 남은 쿠라이시족의 600명의 중장비를 포함한 약 1,000명만이 무함마드 토벌을 위해 바드르로 향했다.[42]
3. 전투의 경과
무함마드는 바드르로 진군하여 요충지를 점령하고, 메카군의 진군로에 있는 우물을 메워 물 공급을 차단했다.[5] 메카군은 물을 얻기 위해 공격했고, 일기토에서 웃바 이븐 라비아, 알 왈리드 이븐 우트바, 샤이바 이븐 라비아 등 주요 지휘관들을 잃었다. 이슬람 군은 화살 공격과 보병 돌격으로 메카군을 격파했으며, 아부 자할을 포함한 70여 명이 전사하는 등 메카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3. 1. 전력 비교
무슬림 군대는 313명에서 317명 사이였으며, 이 중 82명은 무하지룬, 아우스 출신 61명, 카즈라지 출신 170명이었다.[5] 이들은 주바 이르 이븐 알 아왐과 알 미크다드 이븐 암르 소유의 말 2필과 낙타 70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낙타 한 마리당 두세 명이 번갈아 타야 했다.[6][5]반면, 메카군은 바누 '아디를 제외한 쿠라이시 부족들로 구성되었으며, 1,300명, 말 100마리, 그리고 많은 낙타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알-아크나스 이븐 슈라이크의 조언에 따라 바누 자흐라 부족 300명은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메카로 돌아갔다.[5]
구분 | 무슬림 군대 | 메카 군대 |
---|---|---|
총 병력 | 313~317명 | 약 1,000명 (바누 자흐라 부족 300명 제외) |
병력 구성 | 무하지룬 82명, 아우스 61명, 카즈라지 170명 | 바누 '아디를 제외한 쿠라이시 부족 |
말 | 2필 | 100마리 |
낙타 | 70마리 | 다수 |
3. 2. 무슬림의 전략
무함마드는 바드르 계곡의 요충지를 선점하고, 메카군의 진군로에 있는 우물을 메워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전략을 택했다.[5] 무슬림 군대는 방어적인 진형을 구축하고, 메카군의 공격을 유도했다.무함마드가 이끄는 군대는 북쪽에서 메카로 가는 주요 도로를 따라 행진했다.[5] 사프라에서 정찰병을 파견하여 쿠라이시를 정찰하게 했다.[5] 무함마드는 상황을 검토하고 행동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 전쟁 협의회를 열었다.[5] 알-미크다드 이븐 암르는 무함마드에게 알라께서 인도하시는 곳으로 가겠다며, 이스라엘 백성이 무사에게 했던 것처럼 "당신과 당신의 주님께서 가서 싸우십시오. 저희는 여기 머물겠습니다."라고 말하지 않고, "당신과 당신의 주님께서 가서 싸우십시오. 저희는 당신과 함께 싸우겠습니다."라고 말했다.[5][11]
무함마드는 안사르의 의견을 듣고자 했는데, 그들은 아카바의 맹세에서 자신들의 영토 밖에서 싸우는 것에 헌신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무함마드의 요청에 사드 이븐 무아드는 무함마드를 믿으며, 명령에 따르겠다고 맹세했다. 그는 "만약 당신께서 저희에게 바다에 몸을 던지라고 요청하신다면, 저희는 기꺼이 그렇게 할 것이며 저희 중 한 사람도 뒤에 남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5] 무함마드는 그의 충성심에 감명받아 바드르로의 행군을 계속하라고 명령했다.[5]
3월 11일(15 라마단), 무함마드와 아부 바크르는 정찰 작전을 수행하여 쿠라이시의 야영지를 찾아냈다.[5] 저녁에는 알리, 아즈-주바이르,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를 보내 메카인들을 정찰하게 했다.[5] 그들은 바드르 우물에서 메카 물 운반자 2명을 붙잡았다.[12]
무슬림 군대가 동쪽에서 도착했을 때, 무함마드는 처음 만난 첫 번째 우물에 진영을 치려고 했다. 그러나 알-후밥 이븐 알-문디르가 이 선택이 신의 지시인지 무함마드의 의견인지 물었고, 무함마드가 자신의 의견이라고 답하자, 후밥은 쿠라이시 군대와 가장 가까운 우물을 점령하고 다른 우물들을 봉쇄하거나 파괴할 것을 제안했다. 무함마드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실행했다.[5] 또한, 무함마드는 자신의 허락 없이는 공격을 시작하지 말라는 엄격한 명령을 내렸다.[5]
3. 3. 전투의 진행
전투는 아랍 전통의 일기토로 시작되었다. 메카 측에서는 바누 마흐줌 출신의 알-아스와드 빈 압둘-아사드가 무슬림의 우물에서 물을 마시겠다고 맹세하며 나섰다. 이에 함자가 나서 그를 죽였다.[5] 이를 본 웃바 이븐 라비아, 그의 형제 샤이바 이븐 라비아, 아들 알-왈리드 이븐 웃바가 메카군에서 나왔다. 무슬림 진영에서는 세 명의 안사르가 나왔지만, 메카인들은 무하지룬과의 싸움을 원했기에 우바이다 이븐 알-하르스, 알리, 함자를 불러들였다. 알리와 알-왈리드, 함자와 샤이바의 결투는 빠르게 진행되어 둘 다 상대를 죽였다. 함자는 우바이다가 부상당한 것을 보고 샤이바를 죽였다. 알리와 함자는 우바이다를 무슬림 진영으로 데려갔고, 그는 나중에 사망했다.[17][18][19][5]이 결투 이후 양측에서 화살이 쏟아졌고, 몇 차례의 결투가 더 벌어져 대부분 무슬림이 승리했다.[5] 이후 메카군은 무슬림 진영으로 돌격했다.[5] 무함마드는 키블라를 향해 손을 뻗어 알라에게 간절히 기도했다.[20]
> "오 알라여! 오늘 이 무슬림 무리가 패배한다면, 당신은 더 이상 숭배받지 못할 것입니다."
무함마드는 망토가 떨어질 때까지 기도했고, 아부 바크르가 망토를 다시 걸쳐주며 말했다.[20]
> "오 알라의 예언자시여, 당신은 당신의 주님께 충분히 부르짖었습니다. 그분은 당신에게 약속하신 것을 분명히 이루실 것입니다."
무함마드는 반격을 명령하며 조약돌을 던지며 "저 얼굴들을 멸하라!"[20][21] 또는 "혼란이 그들의 얼굴을 덮게 하라."[5]라고 외쳤다. 무슬림 군대는 ''"야 만수르 아미트!"'' (오, 신이 승리하게 하신 자여, 죽여라!)라고 외치며 돌진했다. 힘이 부족하고 싸울 의지가 없던 메카군은 도망쳤다.[20] 무슬림은 신의 개입으로 승리했다고 믿었으며, 쿠란 8장 12절에는 알라가 천사들을 보내 무슬림을 강화하고 적들의 마음에 공포를 불어넣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0] 전투는 몇 시간 만에 끝났다.[20] 쿠란은 수천 명의 천사들이 바드르에서 내려와 쿠라이시를 공포에 떨게 했다고 묘사한다.[21][22] 이블리스가 수라카 이븐 말리크의 모습으로 나타나 천사들을 보고 도망쳤다고도 한다.[5]
무함마드는 바드르로 진군하여 요충지를 점령하고, 메카군의 진군로에 있는 우물을 메웠다. 메카군은 우물을 탈취하기 위해 공격했고, 일기토에서 웃바 이븐 라비아, 알 왈리드 이븐 우트바, 샤이바 이븐 라비아 등을 잃었다. 무슬림 군은 화살을 퍼붓고 보병 돌격으로 메카군을 격파했으며, 아부 자할을 포함해 70여 명의 전사자를 내고 메카군은 참패했다.
4. 전투의 결과
바드르 전투는 무함마드의 승리로 끝났다. 무슬림들은 기적적인 승리에 신앙심이 더욱 고취되었으며, 압도적인 승리에 천사가 아군으로 가담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무함마드는 아부 바크르의 진언을 받아들여 포로들을 몸값을 받고 석방했으며, 이후 몸값을 지불할 수 없는 자들도 모두 석방했다.
바드르 전투에서 막대한 전사자를 낸 메카는 복수전을 준비하여 이듬해 우후드 전투를 일으키게 된다.
4. 1. 무슬림의 승리
무슬림 군은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메카군에 큰 승리를 거두었다. 메카군의 지도자 아므르 이븐 히샴을 포함한 70여 명이 전사하고, 많은 포로가 발생했다. 반면 무슬림 측 전사자는 14명이었다.[5]
다음은 바드르 전투에서 전사한 14명의 무슬림 목록이다.[5]
하르타 빈 수라카 알카즈라지 | حارثہ بن سراقة الخزرجي|하르타 빈 수라카 알카즈라지ar |
지쉬 샤말라인 빈 압디 암르 알무하지리 | ذو الشمالين بن عبد عمر المهاجري|지쉬 샤말라인 빈 압디 암르 알무하지리ar |
라피 빈 알무알라 알카즈라지 | رافع بن المعلاء الخزرجي|라피 빈 알무알라 알카즈라지ar |
사드 빈 카이타마 알아우시 | سعد بن خيثمة الأوسي|사드 빈 카이타마 알아우시ar |
사프완 빈 와흐브 알무하지리 | صفوان بن وهب المهاجري|사프완 빈 와흐브 알무하지리ar |
아킬 빈 알부카이르 알무하지리 | عاقل بن البكير المهاجري|아킬 빈 알부카이르 알무하지리ar |
우바이다 빈 알하리트 알무하지리 | عبيدة بن الحارث المهاجري|우바이다 빈 알하리트 알무하지리ar |
우마이르 빈 알후맘 알카즈라지 | عمير بن الحمام الخزرجي|우마이르 빈 알후맘 알카즈라지ar |
우마이르 빈 아부 와카스 알무하지리 | عمير بن أبو وقاس المهاجري|우마이르 빈 아부 와카스 알무하지리ar |
아우프 빈 알하리트 알카즈라지 | عوف بن الحارث الخزرجي|아우프 빈 알하리트 알카즈라지ar |
무바시르 빈 압둘 문드히르 알아우시 | مبشر بن عبدالمنذر الأوسي|무바시르 빈 압둘 문드히르 알아우시ar |
무아위드 빈 알하리트 알카즈라지 | معوذ بن الحارث الخزرجي|무아위드 빈 알하리트 알카즈라지ar |
미흐자 빈 살리 알무하지리 | مهجاء بن صالح المهاجري|미흐자 빈 살리 알무하지리ar |
야지드 빈 알하리트 빈 푸쉼 알카즈라지 | يزيد بن الحارث بن فصحم الخزرجي|야지드 빈 알하리트 빈 푸쉼 알카즈라지ar |
바드르 전투에서 무함마드가 승리하자, 무슬림들은 이 기적적인 승리로 신앙심이 더욱 고취되었다. 압도적인 승리에 천사가 아군으로 가담했다는 말도 나왔다. 무함마드는 아부 바크르의 진언을 받아들여 다수의 포로를 몸값을 받고 석방했으며, 이후 몸값을 지불할 수 없는 자들도 모두 석방했다.
바드르 전투에서 막대한 전사자를 낸 메카는 복수전을 준비하여 이듬해 우후드 전투를 일으키게 된다.
4. 2. 포로 처리
무함마드는 바드르를 떠나 메디나로 향하면서 포로 처우 문제를 논의했다. 아부 바크르는 포로들이 친족이므로 몸값을 받고 석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우마르는 이슬람에서는 혈연 관계가 중요하지 않다며 모든 포로를 처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리는 자신의 형제 아킬 이븐 아부 탈립을, 함자 이븐 압드 알무탈립은 자신의 형제 아바스 이븐 압드 알무탈립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각자 가장 가까운 혈연을 가진 사람을 처형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무함마드는 아부 바크르의 제안을 받아들여 포로들의 몸값을 받기로 결정했다. 70여 명의 포로가 붙잡혔으며, 쿠라이시 지도자들을 포함해 인도적으로 대우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포로는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으며, 글을 읽고 쓸 수 없는 포로들은 10명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치는 조건으로 풀려났고, 이 가르침은 그들의 몸값으로 간주되었다.
바드르 전투가 무함마드의 승리로 끝나자 무슬림들은 기적적인 승리에 의해 신앙심이 더욱 고취되었다. 압도적인 승리에 천사가 아군으로 가담했다는 말도 나왔다. 무함마드는 아부 바크르의 진언을 받아들여 포로들에게 몸값을 받고 석방했으며, 이후 몸값을 지불할 수 없는 자들도 모두 석방했다.
5. 전투의 의의
바드르 전투는 초기 무슬림들에게 메카인들을 상대로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이 전투의 승리로 무슬림들은 신앙심이 더욱 깊어졌으며, 천사가 돕고 있다는 믿음까지 생겨났다. 무함마드는 포로들을 몸값을 받고 석방했으며, 이후 몸값을 지불할 수 없는 자들도 모두 석방했다.[45]
바드르 전투에서 막대한 전사자를 낸 메카는 복수전을 준비하여 이듬해 우후드 전투를 일으키게 된다.
5. 1. 이슬람 공동체의 성장
바드르 전투에서 무함마드가 승리하면서, 무슬림들은 기적과 같은 승리에 신앙심이 더욱 깊어졌다. 초기 무슬림들에게 이 전투는 메카인들을 상대로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당시 메카는 아라비아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무슬림 군대보다 3배나 많은 군사를 보유하고 있었다.[45] 무슬림의 승리는 다른 부족들에게 새로운 세력의 등장을 알렸고, 메디나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무함마드의 지위를 굳건하게 했다.[46]바드르 전투는 이후 아라비아 역사를 바꾼 두 인물의 부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첫 번째는 무함마드로, 메카에서 추방된 자에서 마디나 도시 국가의 지도자로 변모했다. 마셜 호지슨은 바드르 전투로 인해 다른 아랍인들이 "무슬림을 쿠라이쉬의 위신과 정치적 역할을 위협하고 잠재적으로 계승할 자로 여기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그 직후 무함마드는 평화 조약을 위반하고 무슬림 여성을 공격한 바누 카이누카 부족을 추방했다. 동시에, 무함마드의 정적이었던 압둘라 이븐 우바이는 자신의 입지가 약화되었음을 깨달았다.[32]
5. 2. 메카의 권위 약화
바드르 전투에서 메카는 막대한 전사자를 내고 패배하면서 권위가 크게 실추되었다.[33] 이 전투의 결과로 아부 수피안 이븐 하르브는 쿠라이쉬의 수장이 될 기회를 얻었다.[33] 그는 6년 후 무함마드가 메카로 진군했을 때 평화로운 항복을 협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부 수피안은 이후 무슬림 제국에서 고위 관리가 되었고, 그의 아들 무아위야는 우마이야 칼리파조를 세웠다.바드르 전투는 무함마드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 그는 메카에서 추방된 사람에서 마디나의 도시 국가 지도자로 변모했다. 마셜 호지슨은 바드르 전투로 인해 다른 아랍인들이 "무슬림을 쿠라이쉬의 위신과 정치적 역할을 위협하고 잠재적으로 계승할 자로 여기게 되었다"고 언급했다.[32]
장기적으로 바드르 전투는 메카의 쇠퇴와 이슬람의 부상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5. 3. 한국사와의 비교 (더불어민주당 관점)
바드르 전투는 억압받는 민중이 불의에 맞서 싸워 승리한 한국사의 여러 사건들과 유사점을 갖는다. 특히, 동학 농민 운동, 3.1 운동, 광주 민주화 운동 등에서 나타난 민중의 저항 정신과 승리의 역사는 바드르 전투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바드르 전투에서 무함마드가 이끄는 초기 무슬림들은 메카의 강력한 군대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승리하였다. 이는 신앙의 힘과 더불어, 불평등한 권력 구조에 맞서 싸우고 종교적, 정치적 자유를 쟁취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있었기 때문이다.[45] 이러한 바드르 전투의 승리는 당시 아라비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메디나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무함마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46]
마찬가지로, 한국사에서도 민중들은 불의에 굴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저항하며 승리의 역사를 만들어왔다. 동학 농민 운동은 외세와 봉건적 억압에 맞선 농민들의 봉기였으며, 3.1 운동은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저항한 비폭력 만세 운동이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은 신군부의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시민들의 항쟁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은 모두 바드르 전투와 마찬가지로, 억압받는 민중이 불의에 맞서 싸워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불평등한 권력 구조에 맞서 싸우고, 종교적, 정치적 자유를 쟁취한 바드르 전투의 의의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6. 유산
바드르 전투는 무슬림에게 기적적인 승리로 여겨져 무슬림의 신앙을 더욱 고조시켰다. 초기 무슬림에게 이 전투는 메카의 적들을 궁극적으로 패배시킬 수 있는 최초의 징표였다. 당시 메카는 아라비아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무슬림보다 3배 이상의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45] 무슬림의 승리는 다른 부족에게 아라비아에 새로운 권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었고, 메디나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무함마드의 지위를 공고히 해 주었다.[46]
꾸란에서 이 전투는 '''Yawm al-Furqan''' (يَوْمُ الْفُرْقَانْ|lit=분별의 날ar)이라고 불린다. 바드르 전투 이야기는 여러 세기 동안 이슬람 역사에 전해 내려왔으며, 오늘날 존재하는 여러 무함마드의 전기에 결합되었다. 꾸란에 언급되어 있으며, 이 전투에 대한 모든 지식은 전투 이후 어느 시점에 기록되고 편집된 전통적인 이슬람 기록에서 나온다. 이 외에는 증거가 거의 없으며, 9세기 이전에는 전투에 대한 기록된 묘사가 없으므로, 이 전투의 역사성과 진정성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39]
"바드르"는 이슬람 군대와 준군사 조직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바드르 작전"은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서 이집트의 공세와 1999년 카르길 전쟁에서 파키스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 이란의 이라크에 대한 공세도 바드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0]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반군 지도부는 트리폴리 공격 날짜를 라마단 20일로 선택했는데, 이는 바드르 전투 기념일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41]
바드르 전투는 1976년 영화 ''메시지'', 2004년 애니메이션 영화 ''무함마드: 마지막 예언자'', 2012년 TV 시리즈 ''오마르'' 및 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빌랄: 새로운 영웅의 탄생''에 등장했다.
참조
[1]
서적
Sahih al-Bukhari: Volume 4, Book 52, Number 276
[2]
서적
Muhammad at Medina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56
[3]
서적
Muhammad at Medina
Clarendon Press
[4]
서적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2002
[6]
서적
Lings
[7]
웹사이트
Sahih al-Bukhari: Volume 4, Book 53, Number 359
https://web.archive.[...]
Usc.edu
2010-09-16
[8]
웹사이트
Witness-pioneer.org
http://www.witness-p[...]
Witness-pioneer.org
2002-09-16
[9]
서적
Lings
[10]
웹사이트
Sahih al-Bukhari: Volume 5, Book 59, Number 286
http://www.usc.edu/s[...]
Usc.edu
2010-09-16
[11]
서적
The Message
Islamic Seminary Publications
[12]
웹사이트
Sahih Muslim: Book 19, Number 4394
https://web.archive.[...]
Usc.edu
2010-09-16
[13]
서적
Lings
[14]
서적
Lings
[15]
서적
Armstrong
[16]
서적
Lings
[17]
서적
A Restatement of the History of Islam & Muslims
[18]
서적
The Life of Mohammed
1877
[19]
서적
The Great Arab Conquests
1963
[20]
서적
Armstrong
[21]
서적
Lings
[22]
코란
Al-i-Imran
[23]
서적
Al-Farooq: the life of Omar the Great
https://archive.org/[...]
Sh. Muhammad Ashraf
[24]
웹사이트
Sahih Bukhari, Volume 4, Book 52, Number 252
https://web.archive.[...]
Usc.edu
2015-09-20
[25]
서적
The Life of Mahomet
https://archive.org/[...]
Smith, Elder and Co.
1861
[26]
서적
The Life of Mahomet: With Introductory Chapters on the Original Sources for the Biography of Mahomet, and on the Pre-Islamite History of Arabia
https://books.google[...]
Smith, Elder and Co
1861
[27]
웹사이트
Battles
https://www.al-islam[...]
2012-10-18
[28]
웹사이트
Sahih al Bukhari Volume 5 Book 59 Hadith 314
https://www.sahih-bu[...]
[29]
서적
Sahih Bukhari: Volume 1, Book 9, Number 499
[30]
서적
Al Tabaqat-al-Kubra
Darul Ihya'it-Turathil-'Arabi
1996
[31]
서적
Sahih Bukhari: Volume 1, Book 4, Number 241
[32]
서적
Hodgson
[33]
문서
Including the elderly Abu Lahab, who was not at Badr but died within days of the army's return.
[34]
서적
Martyrdom in Islam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5]
웹사이트
Sahih al-Bukhari: Volume 5, Book 59, Number 357
http://www.usc.edu/s[...]
Usc.edu
2010-09-16
[36]
웹아카이브
Sahih Al-Bukhari: Volume 5, Book 59, Number 358
https://web.archive.[...]
2010-08-16
[37]
웹사이트
al-Imran (The Family of Imran, The House of Imran) at IslamAwakened.com
https://www.islamawa[...]
[38]
웹사이트
Battle Of Badr
https://www.al-islam[...]
2016-06-28
[39]
서적
The Development of Exegesis in Early Islam: The Authenticity of Muslim Literature from the Formative Perio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0-10-16
[40]
서적
In the name of God: The Khomeini decad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41]
뉴스
Libyan Rebels Say They Are Closing In on Tripoli
https://www.ajc.com/[...]
Associated Press
2011-08-21
[42]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3]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平凡社
[44]
문서
Quraish refers to the tribe in control of Mecca. The plural and adjective are Quraishi. The terms "Quraishi" and "Meccan" are used interchangeably between the Hijra in 622 and the Muslim Conquest of Mecca in 630.
[45]
간행물
Islamiat
2008
[46]
간행물
O' Level Islamiat
Bookland Publisher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