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디어오늘은 대한민국의 언론 매체로, 엠바고(보도 유예) 관련 논란으로 주목받았다. 아덴 만 여명 작전 당시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을 어기고 작전 관련 내용을 보도하여 출입 등록이 취소되었으며, 외교부의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 보도 유예 요청에도 불구하고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이러한 보도는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를 강조하는 한편,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을 이끌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창간 - 세계일보
세계일보는 통일교 재단이 창간한 대한민국의 일간지로, "애천, 애인, 애국"을 사시로 하며, 종교적 색채를 띤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정치,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보수적인 논조를 유지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89년 창간 - 대구일보
대구일보는 1945년 대구, 경북 지역의 우리말 신문인 대구시보로 시작하여 대구신보 폐간, 통합 대구일보 발간, 방송 제휴, 특집 발행, 폐간 및 복간 과정을 거쳐 2001년 재발행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대구 지역에서 1만 부 이상 발행되었다. - 대한민국의 신문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신문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신문에 관한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신문에 관한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미디어오늘 | |
---|---|
미디어오늘 | |
![]() | |
개요 | |
유형 | 신문 |
언어 | 한국어 |
창간 | 1995년 1월 1일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소유 및 운영 | |
소유주 |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미디어오늘 공식 웹사이트 |
관련 기사 | "'언론 비평지' 미디어오늘 노조, 17년 만에 첫 파업 돌입" (프레시안) "[추적] 청와대·국정홍보처로 간 기자들" (월간조선) |
2. 엠바고(보도 유예) 관련 논란
2011년 아덴 만 여명 작전과 관련하여 국방부가 엠바고(보도 유예)를 요청했으나, 미디어오늘은 이를 언론 통제로 판단하고 보도를 강행했다. 부산일보는 엠바고 요청에 따라 기사를 곧 삭제했지만,[3] 미디어오늘은 끝까지 기사를 내리지 않았다.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고, 언론노조는 이 징계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4]
2012년에는 외교부가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에 대한 엠바고를 요청했으나, 미디어오늘은 이 역시 따르지 않고 보도했다.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 60분에서 관련 내용을 보도했고, 외교부는 엠바고를 풀었다. 미디어오늘 보도 100일 후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2. 1. 아덴 만 여명 작전 보도 논란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인질 구출 작전인 아덴 만 여명 작전 과정에서 국방부와 일부 언론사 간에 엠바고(보도 시점 제한)를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특히 미디어오늘은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에도 불구하고 보도를 강행하여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후 2012년 9월에는 외교부의 엠바고를 깨고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를 보도하여 다시 한번 논란이 되었다. 미디어오늘의 보도 이후 100일 뒤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4]2. 1. 1.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과 언론사들의 대응
아덴 만 여명 작전을 진행하면서 국방부는 작전에 대한 엠바고를 요청했다. 작전 돌입 사실이 보도되면 인질들이 위험에 처하고, 작전도 실패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였다. 그러나 부산일보와 미디어오늘은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이 언론에 대한 통제라고 판단해 군사작전을 보도했다.[3] 군의 요청 이후 곧 기사를 내린 부산일보와는 달리 미디어오늘은 끝까지 기사를 내리지 않았다. 긴급회의를 가진 국방부 출입 기자단은 선원의 안전한 구출이 먼저라는 판단 아래 엠바고를 계속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고, 이에 미디어오늘은 지면을 통해 반발했다. 최상재 당시 언론노조위원장은 "부산일보를 통해 이미 보도된 상황에서 엠바고를 요청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며, 엠바고는 종료됐다고 봐야 함에도 이를 인용 보도한 매체마저 중징계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해당 징계가 부당함을 지적했다.[4]2. 1. 2. 언론 윤리와 공공의 알 권리 논쟁
아덴 만 여명 작전 당시, 국방부는 작전의 성공과 인질의 안전을 위해 언론에 엠바고를 요청했다. 작전이 공개되면 인질이 위험해지고 작전이 실패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부산일보와 미디어오늘은 국방부의 요청이 언론 통제라고 판단, 작전을 보도했다. 부산일보는 군의 요청에 따라 기사를 곧 삭제했지만,[3] 미디어오늘은 기사를 유지했다. 국방부 출입 기자단은 긴급회의를 열어 엠바고 유지를 결정했고,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다. 이에 미디어오늘은 지면을 통해 강하게 반발했다. 최상재 당시 언론노조위원장은 "부산일보 보도로 이미 엠바고가 무의미해졌고, 엠바고가 종료된 상황에서 인용 보도 매체까지 중징계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4]2. 1. 3. 국방부의 미디어오늘 제재와 비판
아덴 만 여명 작전 당시 국방부는 작전에 대한 엠바고를 요청했다. 작전 돌입 사실이 보도되면 인질들이 위험에 처하고, 작전도 실패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부산일보와 미디어오늘은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이 언론 통제라고 판단, 군사작전을 보도했다. 부산일보는 군의 요청 이후 곧 기사를 내렸으나[3], 미디어오늘은 기사를 내리지 않았다. 국방부 출입 기자단은 긴급회의를 열어 선원들의 안전한 구출을 위해 엠바고를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고, 미디어오늘은 지면을 통해 이에 반발했다. 최상재 당시 언론노조위원장은 "부산일보를 통해 이미 보도된 상황에서 엠바고를 요청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며, 엠바고는 종료됐다고 봐야 함에도 이를 인용 보도한 매체마저 중징계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징계의 부당함을 지적했다.[4]2012년 9월, 미디어오늘은 외교부의 엠바고를 어겼다. 당시 외교부는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를 보도하지 말 것을 요청했으나, 미디어오늘은 장기피랍사태가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 60분에서 관련 내용을 보도했고, 외교부는 엠바고를 해제했다. 미디어오늘 보도 100일 후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2. 2.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 보도 논란
2011년 아덴 만 여명 작전과 2012년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 당시, 국방부와 외교부는 각각 엠바고를 요청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은 국민의 알 권리를 내세워 이를 따르지 않고 보도했다. 부산일보와 달리 미디어오늘은 기사를 유지했고,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다.[3] 언론노조는 이 징계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4]미디어오늘의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 보도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 60분에서 후속 보도가 이어졌다. 이에 외교부는 엠바고를 해제했고,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2. 2. 1. 외교부의 엠바고 요청과 미디어오늘의 보도
2012년 9월, 외교부는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에 대해 보도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은 장기피랍 사태가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4]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 60분>을 통해 관련 내용이 보도되면서, 외교부는 엠바고를 해제했다. 미디어오늘 보도 이후 100일 뒤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2. 2. 2. 언론 보도의 역할과 사회적 영향
아덴 만 여명 작전 당시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오늘은 군사작전을 보도했다. 부산일보는 기사를 곧 내렸지만, 미디어오늘은 기사를 유지했다.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고, 미디어오늘은 지면을 통해 반발했다.[3] 최상재 당시 언론노조위원장은 징계의 부당함을 지적했다.[4]2012년 9월, 미디어오늘은 외교부의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 엠바고를 깨고 보도했다.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60분을 통해 관련 내용이 보도되면서, 정부의 소극적 대응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외교부는 엠바고를 풀었고, 미디어오늘 보도 100일 후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2. 2. 3. 엠바고 해제와 피랍 선원 구출
아덴 만 여명 작전 당시 국방부는 작전에 대한 엠바고를 요청했으나, 미디어오늘은 이를 언론 통제로 판단하여 군사작전을 보도했다. 국방부는 미디어오늘의 출입등록을 취소했고, 미디어오늘은 지면을 통해 이에 반발했다.[4]2012년 9월, 미디어오늘은 외교부의 엠바고를 깼다. 외교부는 제미니호 장기피랍 사태에 대한 엠바고를 요청했으나, 미디어오늘은 장기피랍 사태가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후 시사인과 KBS 추적 60분에서 관련 내용을 보도하자, 외교부는 엠바고를 해제했다. 미디어오늘 보도 100일 후, 제미니호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언론 비평지' 미디어오늘 노조, 17년 만에 첫 파업 돌입
https://www.pressian[...]
2024-03-03
[2]
웹사이트
[추적] 청와대·국정홍보처로 간 기자들
http://monthly.chosu[...]
2024-03-03
[3]
웹인용
靑, '삼호주얼리호' 엠바고 파기 언론사 중징계
https://m.mt.co.kr/r[...]
머니투데이
2020-08-09
[4]
뉴스
청와대까지 팔걷고 언론 보복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