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박현주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은 2000년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이 사재 75억 원을 출연하여 설립한 재단이다. 장학, 사회복지, 나눔문화 확산을 목표로 해외 교환 장학 사업, 글로벌 문화체험단, 맞춤식 도서 지원, 청소년 비전 프로젝트 등을 운영하며, 미래에셋 임직원들의 기부와 매칭 그랜트 제도를 통해 사업을 지원한다. 2009년 서울시장상, 2016년 경향금융교육대상, 2018년 보건복지부장관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가이드스타의 공익법인 투명성, 재무안정성 평가에서 만점을 받았다.
박현주 미래에셋 창업자 겸 GSO는 미래에셋을 창업한 지 3년 만인 2000년 3월, 회사 자본금이 300억 원이었던 시절 사재 75억원을 출연하여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을 설립하였다. 박현주 GSO는 "배당금 전액을 이 땅의 젊은이들을 위해 사용하겠다."라는 약속과 함께 2010년부터 매년 미래에셋에서 받은 배당금을 재단에 기부해오고 있다.
2. 주요 연혁
연도 주요 내용 2000년 재단 설립, 국내 장학생 선발 시작 2003년 공부방 희망도서 지원 2007년 해외교환 장학생 선발, 글로벌 문화체험단 실시 2008년 기부캠페인 사랑합니다 시행 2009년 국내 및 해외교환 장학생 선발 확대, 서울특별시장상 수상(아동복지 부문) 2011년 기부캠페인 미래에셋 1% 희망나눔 시행, 희망의 공부방 새단장 및 청소년 희망보드 프로젝트 실시 2012년 이기수 제2대 이사장 취임, 미래에셋 매칭그랜트 제도 시행 2013년 희망듬뿍 도서지원 실시 2014년 성실공익법인 지정, 청소년 금융진로교육 실시,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10만 명 돌파 2016년 희망듬뿍 독서교육 워크숍 및 청소년 비전프로젝트 실시 2018년 정운찬 제3대 이사장 취임, 미래에셋 장학생 8,000명 돌파,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지역아동센터 지원 부문) 2020년 미래에셋박현주재단 20주년 2021년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참가 인원 35만 명 돌파 2022년 장용성 제4대 이사장 취임 2023년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참가 인원 40만 명 돌파
미래에셋은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을 중심으로 계열사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체계적이고 다양한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2000년 ~ 2007년)
박현주 미래에셋 창업자 겸 GSO는 미래에셋을 창업한 지 3년 만인 2000년 3월, 회사 자본금이 300억 원이었던 시절 사재 75억원을 출연하여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을 설립했다.
박현주 GSO는 "배당금 전액을 이 땅의 젊은이들을 위해 사용하겠다."라는 약속과 함께 2010년부터 매년 미래에셋에서 받은 배당금을 재단에 기부해오고 있다.
2. 2. 사업 확장기 (2008년 ~ 2013년)
2008년 기부 캠페인 '사랑합니다'를 시행하였다. 2009년에는 국내 및 해외 교환 장학생 선발을 확대하고, 아동 복지 부문에서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에는 기부 캠페인 '미래에셋 1% 희망나눔'을 시행하고, 희망의 공부방 새 단장 및 청소년 희망보드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2012년에는 이기수가 제2대 이사장으로 취임하고, 미래에셋 매칭그랜트 제도를 시행하였다. 2013년에는 희망듬뿍 도서지원을 실시하였다.2. 3. 성장 및 성숙기 (2014년 ~ 현재)
연도 | 내용 |
---|---|
2014년 | 성실공익법인 지정, 청소년 금융진로교육 실시,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참가 인원 10만 명 돌파 |
2016년 | 희망듬뿍 독서교육 워크숍 및 청소년 비전프로젝트 실시 |
2018년 | 정운찬 제3대 이사장 취임, 미래에셋 장학생 8,000명 돌파, 보건복지부장관상 지역아동센터 지원부문 수상 |
2020년 | 미래에셋박현주재단 설립 20주년 |
2021년 |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참가 인원 35만 명 돌파 |
2022년 | 장용성 제4대 이사장 취임 |
2023년 | 미래에셋 인재육성 프로그램 참가 인원 40만 명 돌파 |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은 "미래에셋은 젊은이의 희망이 되겠습니다"라는 비전 아래 장학, 사회복지, 나눔문화 중심의 사회공헌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미래에셋은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을 중심으로 계열사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체계적이고 다양한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 주요 사업
재단은 크게 장학 사업, 사회복지 사업, 나눔 문화 확산의 세 가지 주요 사업을 진행한다. 각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장학 사업
미래에셋은 '젊은이의 희망이 되겠습니다'라는 비전 아래 장학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4년 9월말 기준)
'''해외교환 장학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로, 연간 500여 명에게 학업 장려금을 지원한다. 2007년 시작된 이후 50개국에 7,208명의 학생들을 지원했다. 장학생은 4년제 대학 학부생 중 교환학생 자격을 얻고, 재단 기준(성적, 경제적 여건 등)을 충족해야 한다. 선발은 3월과 9월에 진행된다.
'''글로벌 문화체험단'''은 청소년들에게 해외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3박 4일간 중국에서 생활 체험, 역사 이해, 기술 견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견문을 넓히고 비전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 매년 2회, 각 100여 명씩 참가하며 현재까지 2,037명이 참여했다.
'''맞춤식 도서지원'''은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개인별 맞춤 도서를 지원하여 올바른 가치관과 독서 습관을 길러준다. 2003년 공부방 희망도서 지원으로 시작, 2008년 '희망북카페', 2013년 '희망듬뿍(Book)' 사업을 통해 2019년까지 약 1만 1천 명에게 총 11만여 권의 책을 지원했다. 2021년부터는 '나만의 책꿈터' 지원사업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아이들의 독서 공간 조성을 돕고 있으며, 총 3,607명이 참여했다.
'''청소년 비전프로젝트'''는 메이커 체험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키운다.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코딩, 3D프린팅, 로봇 기술, 인공지능 등의 커리큘럼을 제공하여 문제 해결 전 과정을 스스로 경험하게 한다. 현재까지 2,578명의 아동, 청소년이 참여했다.
'''희망나눔 공모사업'''은 아동복지시설 운영을 지원한다. 상/하반기 각 1회 진행되며, 1차는 임대료, 공과금, 시설 개보수, 가전가구 구입 등 운영비 분야를, 2차는 기관 기획 1일 문화체험 프로그램 활동비를 지원한다.
3. 2. 사회복지 사업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은 "미래에셋은 젊은이의 희망이 되겠습니다"라는 비전 아래, 장학 사업, 사회복지 사업, 나눔 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2024년 9월말 기준)
맞춤식 도서 지원아동 및 청소년들이 독서를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 도서를 지원한다. 2003년 공부방 희망 도서 지원으로 시작하여, 2008년 '희망북카페' 조성 사업을 거쳐, 2013년부터는 '희망듬뿍(Book)' 사업을 통해 개인별 관심사와 독서 수준에 맞는 도서를 지원하였다. 2019년까지 약 1만 1천 명에게 총 11만여 권의 책을 지원했다. 2021년부터는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나만의 책꿈터' 지원 사업을 통해 아이들의 독서 공간 조성을 돕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3,607명의 아동에게 지원했다.
청소년 비전 프로젝트청소년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메이커 체험 교육을 지원한다.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코딩, 3D 프린팅, 로봇 기술, 인공지능 등의 교육을 제공하여 문제 해결 과정을 스스로 경험하고, 문제 해결 능력과 도전 정신을 함양하도록 돕는다. 현재까지 2,578명의 아동 및 청소년이 참여했다.
희망나눔 공모사업아동복지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비 및 문화 체험 프로그램 활동비를 지원하는 공모 사업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 1회씩 진행한다. 1차 공모에서는 임대료, 공과금, 시설 개보수, 가전 가구 구입 등 기관 운영비를 지원하고, 2차 공모에서는 기관이 직접 기획한 1일 문화 체험 프로그램 활동비를 지원한다.
3. 3. 나눔 문화 확산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은 미래에셋 계열사와 임직원들의 협력을 통해 나눔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미래에셋 임직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 계열사는 임직원 기부금과 동일한 금액을 재단에 출연하여 힘을 보태고 있다.
기부 방식 | 설명 |
---|---|
미래에셋 1% 희망나눔 | 미래에셋 임원들이 매월 급여의 1%를 정기적으로 기부 |
기부운동 ‘사랑합니다’ | 미래에셋 직원들이 참여하는 정기 기부 |
일시 기부 | 결혼, 출산, 승진 등 특별한 날을 기념하거나, 자연재해 및 사회재난 긴급 지원 기부 |
매칭그랜트 | 임직원이 기부한 금액만큼 회사가 동일한 금액을 기부 |
박현주 재단 설립자 겸 미래에셋 GSO 개인 배당금 전액 기부 | 2000년 사재 75억 원을 출연하여 재단을 설립한 이후, 2010년부터 매년 배당금 전액을 대한민국 청년들을 위해 기부 |
4. 사회적 평가
연도 | 내용 |
---|---|
2009년 | 서울시장상 아동복지부문 수상 |
2016년 | 제11회 경향금융교육대상 금융위원장상 수상 |
2018년 | 보건복지부장관상 지역아동센터 지원부문 수상 |
2019년 | 제10회 대한상공회의소 포브스 사회공헌대상 어린이∙청소년 복지부문 수상 |
2021년 | 건강한 기여문화 대상 수상 |
2023년 (결산 기준) | 한국가이드스타 공익법인 투명성, 재무안정성 평가 만점 |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은 이사회 회의록과 예산서를 공개하는 등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