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을 집행하고, 외교관을 접수하며, 국방을 수행한다. 또한 사면 및 집행유예 권한을 가지며, 대법원장과 행정부 부처의 장을 임명한다.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시민이어야 하고, 최소 15년 이상 거주해야 하며, 연방 의회 상원의원이어야 하고, 선거 당일 30세 이상이어야 한다. 임기는 4년이며, 연방 의회에서 선출된다. 대통령실은 폰페이주 팔리키르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 토시오 나카야마
일본인 아버지와 원주민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토시오 나카야마는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의회 상원 의장을 거쳐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독립을 이끌고 미국의 정부 기능 이양을 감독하며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 매니 모리
매니 모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제7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환경 문제와 일본과의 관계 증진에 힘썼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위 |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통령 |
관저 | 팔리키르, 폰페이 주 |
임명권자 | 연방 의회 |
임기 | 4년, 최대 2회 연임 가능 |
문서 | 연방 헌법 |
설립일 | 1979년 5월 11일 |
초대 대통령 | 토시오 나카야마 |
부통령 | 연방 부통령 |
급여 | 연간 80,000 미국 달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호칭 | |
약칭 | 대통령 각하 |
통칭 | 대통령 |
역대 대통령 | |
첫 번째 | 토시오 나카야마 |
현재 | 웨슬리 시미나 (제10대) |
취임일 | 2023년 5월 11일 |
정치 | |
선출 방식 | 의회에서 선출 |
지도 정보 |
2. 역대 대통령 목록
다음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역대 대통령 목록이다.[5]
번 | 대 | 기 | 이름 | 사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부통령 | 소속 정당 |
---|---|---|---|---|---|---|---|---|
1 | 1 | 1 | 토시오 나카야마 | ![]() | 1979년 5월 11일 | 1981년 | 페트루스 툰 | 무소속 |
2 | 1981년 | 1983년 | ||||||
2 | 3 | 1983년 | 1985년 | |||||
4 | 1985년 | 1987년 5월 11일 | 베일리 올터 | |||||
2 | 3 | 5 | 존 하글렐감 | 1987년 5월 11일 | 1989년 5월 11일 | 히로시 이스마엘 | 무소속 | |
6 | 1989년 5월 11일 | 1991년 5월 11일 | ||||||
3 | 4 | 7 | 베일리 올터 | ![]() | 1991년 5월 11일 | 1993년 5월 11일 | 제이컵 네나 | 무소속 |
8 | 1993년 5월 11일 | 1995년 5월 11일 | ||||||
5 | 9 | 1995년 5월 11일 | 1996년 11월 8일 | |||||
4 | - | - | 제이컵 네나 | 1996년 11월 8일 (대행) | 1997년 5월 8일 (대행) | 공석 | 무소속 | |
6 | 10 | 1997년 5월 8일 | 1999년 5월 11일 | 레오 팔캄 | ||||
5 | 7 | 11 | 레오 팔캄 | ![]() | 1999년 5월 11일 | 2001년 5월 11일 | 레들리 A. 킬리온 | 무소속 |
12 | 2001년 5월 11일 | 2003년 5월 11일 | ||||||
6 | 8 | 13 | 조지프 우루세말 | ![]() | 2003년 5월 11일 | 2005년 5월 11일 | 무소속 | |
14 | 2005년 5월 11일 | 2007년 5월 11일 | ||||||
7 | 9 | 15 | 매니 모리 | ![]() | 2007년 5월 11일 | 2009년 5월 11일 | 알릭 L. 알릭 | 무소속 |
16 | 2009년 5월 11일 | 2011년 5월 11일 | ||||||
10 | 17 | 2011년 5월 11일 | 2013년 5월 11일 | |||||
18 | 2013년 5월 11일 | 2015년 5월 11일 | ||||||
8 | 11 | 19 | 피터 M. 크리스천 | ![]() | 2015년 5월 11일 | 2019년 5월 11일 | 요시오 P. 조지 | 무소속 |
9 | 12 | 20 | 데이비드 파누엘로 | ![]() | 2019년 5월 11일 | 2023년 5월 11일 | 무소속 | |
10 | 13 | 21 | 웨슬리 시미나 | ![]() | 2023년 5월 11일 | 현직 | 아렌 팔릭 | 무소속 |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통령은 헌법 및 제정된 법을 집행하고, 외교관을 접수하며 국방을 수행한다.[4] 또한, 외교관과 대법원장을 임명하고, 사면 및 집행유예를 부여하는 권한을 갖는다.
3. 대통령의 권한 및 역할
3. 1. 헌법상의 권한
3. 2. 대통령직 수행 자격
미크로네시아 연방 헌법 제10조에 따르면,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은 대통령직을 수행할 자격이 있다.[3]
임기는 4년이며, 연방 의회가 의원 중에서 선출한다. 각 주에서 윤번제로 선출되는 관례가 있지만, 정치 상황에 따라 반드시 윤번제가 지켜지지는 않는다. 입후보자는 선거 당일 30세 이상이어야 한다.
4. 대통령실
5. 관련 상징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LAW NO. 20-183
https://www.cfsm.gov[...]
[2]
웹사이트
Executive
https://gov.fm/index[...]
2022-02-15
[3]
웹사이트
FSM Constitution - Article 9
http://fsmlaw.org/fs[...]
2022-02-15
[4]
웹사이트
FSM Constitution - Article 10
http://fsmlaw.org/fs[...]
2022-02-15
[5]
웹사이트
Former_Presidents
https://web.archive.[...]
2022-01-12
[6]
웹사이트
PUBLIC LAW NO. 20-183
https://www.cfsm.gov[...]
202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