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교관은 자국을 대표하여 다른 국가와 외교 관계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외교관은 주재국에서 자국을 대표하여 의사를 표명하고 협상하며 조약을 체결하며, 정보 수집 및 양국 관계 증진에 기여한다. 외교관은 일반적으로 특권적인 직업으로 인식되며, 국제법에 따라 외교적 면책 특권을 누린다. 외교관 제도는 각 국가별로 상이하며, 훈련, 지위, 역할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관 - 주재무관
주재무관은 외교 공관에 파견되어 군사 업무를 수행하며, 군사력 홍보, 협력 증진, 정보 수집 등의 역할을 하지만 스파이 활동 논란이나 외교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외교관 - 영사
영사는 외국에서 자국민 보호, 교류 증진, 이익 대변을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총영사, 영사, 부영사 등의 계급으로 나뉘며, 명예 영사는 현지 주민이 임명되어 활동하기도 한다. - 직업 - 형사
형사는 범죄 해결을 위해 단서와 기록을 조사 및 평가하며, 경찰 소속으로 범죄 수사, 범인 검거, 증거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일부는 사립탐정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직업 - 법관
법관은 법원에 소속되어 소송 사건을 심판하고 당사자 간의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는 헌법기관인 공무원이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거쳐 대법원장이 임명하며, 법 적용 과정에서 법 해석을 통해 법의 흠결을 보충하고 법을 창조하기도 한다.
외교관 | |
---|---|
지도 | |
직업 정보 | |
이름 | 외교관 |
분류 | 법률 및 사회활동 관련직 |
역량 | 자기 성찰 능력 수리·논리력 언어 능력 |
관련 직업 | 대사 공사 영사 |
언어별 명칭 | |
영어 | diplomat |
개요 | |
정의 | 국가 또는 국제 기구에서 다른 국가 또는 국제 기구와 외교를 수행하기 위해 임명된 사람 |
참고 자료 | |
유엔 조약 모음 |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
현대 국제법 강의 | 유비카쿠, 2007, 203쪽 |
2. 용어
"외교관"(diplomat)은 그리스어 διπλΩμάτις(diplōmátē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외교관이 주권자로부터 받은 인정 문서를 가리킨다.[2]
상설 외교 대표단의 활용은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외교'와 '외교관'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등장하였다. '외교관'은 외교관이 주권자로부터 받은 인정 문서를 가리키는 뜻으로, 졸업장 소지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διπλΩμάτις(diplōmátēs)에서 유래되었다.[2]
3. 역사
1455년 밀라노 공국이 프랑스 궁정에 상주 사절을 보내면서, 이탈리아 여러 국가 간에 국가 간 협상에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외교관이 상호 파견되기 시작했다. 로마 교황도 각국에 교황 파견 사절을 보냈다. 16세기 이후 주권 국가가 형성되면서 이 시스템은 유럽 각지에 퍼져 외교 관행의 기초가 되었다.
절대 왕정기에는 군주 또는 그 측근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외교 협상의 성패에 깊이 관여하게 되면서, 밤중에 접수국의 군주의 침실로 통과하여 직접 중요 협상을 하는 '밀실 외교'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외교관은 접수국에서 주군의 대리인으로서 자국의 명예를 지키는 책무도 부여받았으며, 접수국 궁정 내 외교관 상호 간의 서열이 국가의 존엄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져 격렬한 논쟁이나 결투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 때문에 외교관에는 귀족이나 군인 등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후 국가의 성립과 함께 궁정 외교, 밀실 외교의 시대는 끝나고, 협상 능력과 함께 상대국의 각종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보고하는 능력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직업 외교관도 외교 전문직 임용 시험을 거친 인재가 등용되기 시작했다.
상주 사절 제도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이후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지만,[25] 외교 관계의 국제적 기준이 마련된 것은 1961년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이 채택된 이후이다.
3. 1. 동아시아의 외교 역사
그리스 등에서 임시 외교 사절을 파견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행해졌으며, 일본의 견수사와 견당사도 그 예이다.[24] 중국에서는 1906년 류식훈(劉式訓)이 서양의 외교관 제도를 본떠 재외 공관원의 임용 및 승진 제도 확립 등을 제창하였다.[28]
4. 기능
외교관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26]
- 대표 기능: 주재국에서 자국을 대표하여 의사를 표명하고, 협상하며, 조약을 체결한다.
- 보고 기능: 주재국의 정세에 대한 정보를 합법적인 수단으로 수집하여 본국에 보고한다.
- 추진 기능: 양국 간 관계 증진에 기여한다.
특정 문제의 협상이나 임무를 맡는 특별 사절단도 상주 외교 사절단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27]
오늘날 외교관들은 이메일, 휴대전화와 같은 보안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국과 긴밀히 연락하며, 본국의 정책 결정 과정에 즉각적으로 의견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자율적으로 행동하기가 더 어려워졌다.[13]
외교관은 주재국에서 자국의 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며, 종종 본국 정부에 대응 방안에 대한 조언을 덧붙인다. 본국에서 정책 대응 방안이 결정되면, 외교관은 이를 실행하는 주요 책임을 진다. 외교관은 자국 정부의 견해를 주재국 정부에 설득력 있게 전달하고, 주재국 정부가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설득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처럼 외교관은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결정된 정책을 실행한다.
5. 외교관의 지위 및 특권
1815년 빈 규칙 및 1818년 아아헨 규칙(엑스라샤펠 규칙)에서 외교관의 지위 및 외교적 특권에 관한 규칙의 기초가 정해졌으며, 1961년 빈 외교 관계에 관한 조약 및 1963년 빈 영사 관계에 관한 조약에 의해 수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14]
외교관에게는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국제법에 의해 신체의 불가침(구속되지 않는 것)이나 재판권으로부터의 면제 등의 특권이 주어져 있다. 이러한 특권의 내용은 대사관원인지 영사관원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이를 통틀어 '''외교 특권'''이라고 한다.
외교관은 외교 사절단에 속한다. 외교관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파견하는 국가가 그 자를 외교관으로 파견하는 것을 수용국(받아들이는 국가)에 타진하고, 합의(아그레망(agrément))가 성립해야 한다.
아그레망이 성립하면 해당자는 수용국 내에서 외교관으로 인정되고, 파견한 국가를 대표하는 협상 상대방으로 취급될 뿐만 아니라, 외교 특권을 누린다.
그러나 외교관이 수용국의 국내법에 비추어 용납할 수 없는 비행이나 국익을 해치는 행위를 하고, 수용국 측이 그 자를 외교관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판단하지 않을 경우,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ta) 통고를 함으로써 외교관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한다. 페르소나 논 그라타 통고는 사전(착임 전)이든 사후(착임 중)든 상관없다.
6. 훈련
대부분의 직업 외교관은 국제관계, 정치학, 역사, 경제학, 법학 분야의 대학교 학위를 가지고 있다.[15] 최근에는 많은 외교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에서 감성 지능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16]
7. 지위 및 공개적 이미지
외교관은 일반적으로 특권적이고 명망 있는 직업으로 간주된다. 외교관의 공개적 이미지는 "끝나지 않는 글로벌 칵테일 파티에서 활공하는 세로 줄무늬 남자의 캐리커처"로 묘사되었다.[17] J. W. 버튼은 "특정 전문 교육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외교는 종사자들이 의식적으로 부추기는 어느 정도의 비밀과 신비 덕분에 높은 전문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18] 국가는 자국의 국제적 지위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외교관의 높은 지위, 특권, 자존감을 지지한다.
외교관에 대한 높은 평가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신의 이익을 효과적으로 증진하기 위해 전문성과 특정 에티켓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을 고려하여 외교관을 선발하는 데에도 기인한다. 또한 국제법은 외교관에게 광범위한 특권과 면책을 부여하여 외교관을 일반 시민의 지위와 더욱 구별한다.
8. 각국의 외교관 제도
각국은 자국의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외교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전문 외교관과 정치 임명직 외교관을 구분하여 운영한다. 전문 외교관은 외교부에서 경력을 쌓은 공무원이며, 정치 임명직은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 중 정부가 임명한다. 이들 모두 외교적 면책 특권을 가진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장관급 고위 관료이다.
중국은 청나라 시대부터 외교관 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1876년 런던에 최초의 재외 공관을 개설한 이후, 여러 국가에 공사관과 영사관을 설치했다. 초기에는 공사관원과 영사관원의 구분이 없었으나, 1906년 이후 외교관의 전문화를 위한 인사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다.
일본은 특명전권대사, 특명전권공사, 공사, 참사관, 서기관, 영사 등 다양한 외교관 직책을 두고 있다. 외교관 임명은 시험을 통해 선발된 인원 중 외무대신 제청, 내각 임명, 천황 재가를 거치는 경우와 외무대신이 직접 임명하는 경우로 나뉜다.
일본은 과거 여러 차례 외교 사절을 파견했다. 주요 사절단으로는 견수사, 견당사, 덴쇼 견구소년사절, 게이초 견구사절 등이 있다. 근대에는 만엔 원년 견미사절, 분큐 견구사절, 요코하마 쇄항 담판 사절단, 게이오 원년 견불영사절, 사할린 국경획정협상 유로사절, 게이오 3년 견미사절, 파리 만국박람회 사절, 이와쿠라 사절단 등이 파견되었다.
파견 연도 | 사절단 명칭 | 정사 |
---|---|---|
1582년 | 덴쇼 견구소년사절 | - |
1613년 | 게이초 견구사절 | 루이스 소테로 |
1860년 | 만엔 원년 견미사절 | 니이미 마사오키 |
1861년 | 분큐 견구사절 | 다케우치 야스노리 |
1864년 | 요코하마 쇄항 담판 사절단 | 이케다 나가오키 |
1865년 | 게이오 원년 견불영사절 | 시바타 다케나카 |
1866년 | 사할린 국경획정협상 유로사절 | 고이데 히데자네 |
1867년 | 게이오 3년 견미사절 | 오노 도모고로 |
1867년 | 파리 만국박람회 사절 | 도쿠가와 아키타케 |
1871년 | 이와쿠라 사절단 | 이와쿠라 도모미 |
8. 1. 한국의 외교관 제도
외무공무원법 등에는 특명전권대사, 특명전권공사, 공사, 참사관, 서기관, 영사 등 외교관의 종류가 규정되어 있다.[1] 외교관은 주로 외무고시(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7급 외무영사직 공무원 시험 등을 통해 임용된다.[2]김대중 정부는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이는 외교관들의 대북 협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하며 북핵 문제 해결과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했다.[4]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핵, 미사일 도발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대응하나, 남북 간 대화에는 열려있다.[5]
8. 2. 미국의 외교관 제도
미국은 전문 외교관, 즉 국가의 외교부와 꾸준한 직업적 관계를 맺고 있는 공무원으로 구성된 제도화된 집단을 유지하고 있다. "직업 외교관"이라는 용어는 전 세계적으로[4][5][6][7][8][9] "정치 임명직"(즉, 다른 어떤 전문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서 마찬가지로 외교관으로서 해외에서 활동하도록 정부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사람들)[10][11]과 대조적으로 사용된다. 외국에 있는 대사관이나 대표단에 공식적으로 파견되거나 국제기구에 인정받은 직업 외교관과 정치 임명직 모두 유엔 관계자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외교적 면책 특권을 누린다.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장관급 고위 관료이다.
8. 3. 중국의 외교관 제도
청나라는 1876년 런던에 최초의 재외 공관을 개설했고, 이후 일본, 미국, 러시아 등에 공사관을, 일본, 미국, 싱가포르 등에는 영사관도 설치했다. 그러나 청나라에서는 공사관원과 영사관원의 인사상 구별이 없었고, 모두 공사의 수행원으로서 공사에게 인사권이 위임되어 있었다.[28] 재외 공관에서는 많은 외국어 학교 출신자나 유학생들이 “번역관”, “번역생”으로 근무했고, 거기에서 직업적인 외교관이 등장했지만, 제도적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었고 외교관으로서의 전문성이 확립되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28]1901년 이후 양유(駐露公使)나 원세개(袁世凱) 등이 영국의 외교관 제도를 본뜬 인사 제도 정비를 상주했으나 시기상조로 여겨졌다.[28] 그러나 러일전쟁 후 청나라 내부에서 개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어 1906년부터 1907년에 걸쳐 외무부에 훈련 기관인 “저재관(儲才館)”이 설치되었고, 공사 이하 재외 공관원은 실관이 되었다.[28] 1906년에는 류식훈(劉式訓)이 서양의 외교관 제도를 본떠 재외 공관원의 임용 및 승진 제도 확립 등을 제창했고, 이 제안을 받아들여 외교관의 전문화를 촉진하는 인사 제도 개혁이 실시되었다.[28] 청나라 말기 재외 공관에서 번역관이나 학생 등으로 근무했던 자들 중 일부는 민국기의 외교관이 되었다.[28]
8. 4. 일본의 외교관 제도
일본은 관습 국제법상 외교관 종류에 대한 일정한 원칙에 따라 외무성 설치법, 외무공무원법 등으로 외교관 명칭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는 특명전권대사, 특명전권공사, 공사, 참사관, 서기관, 영사 등이 포함된다.[2] 방위주재관은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에서 파견된 외무사무관으로, 주로 방위(군사)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2]외교관 임명은 외무대신 제청, 내각 임명, 천황 재가를 거치는 대사 및 공사와, 외무대신이 임명하는 총영사, 영사, 참사관, 서기관, 이사관 등으로 나뉜다.
외교관은 대부분 국가공무원 1종 시험, 외무성 전문직원 시험, 국가 3종 시험 등 합격 후 외무성에 들어온 직원 중 선발된다.[2] 국가공무원 1종 시험 출신은 "캐리어 외교관"으로 불리며, 외무성 본성 간부직이나 주요 국가 대사 등으로 임명된다.[2] 외무성 전문직원 시험 출신 등은 "논캐리어 외교관"으로 불리며, 승진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2]
8. 4. 1. 일본의 파견 외교 사절
- 견수사
- 견당사
- 덴쇼 견구소년사절(1582년)
- 게이초 견구사절(1613년) - 정사: 루이스 소테로, 부사: 하세쿠라 쓰네나가
- 만엔 원년 견미사절(1860년) - 정사: 니이미 마사오키
- 분큐 견구사절(1861년) - 정사: 다케우치 야스노리
- 요코하마 쇄항 담판 사절단(1864년) - 정사: 이케다 나가오키
- 게이오 원년 견불영사절(1865년) - 정사: 시바타 다케나카
- 사할린 국경획정협상 유로사절(1866년) - 정사: 고이데 히데자네
- 게이오 3년 견미사절(1867년) - 정사: 오노 도모고로
- 파리 만국박람회 사절(1867년) - 정사: 도쿠가와 아키타케
- 이와쿠라 사절단(1871년) - 특명전권대사: 이와쿠라 도모미
9. 외교관이 등장하는 작품
- 스기하라 지우네 (2016년 공개된 일본 영화)
- 외교관·쿠로다 코우스케 (2011년 방송된 후지 텔레비전 계열 드라마)
- 안달루시아 여신의 복수 (2011년 공개된 일본 영화)
- 아말피 여신의 보수 (2009년 공개된 일본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s://treaties.un.[...]
treaties.un.org
2020-11-12
[2]
서적
The Rise of Modern Diplomacy, 1450–1919
1993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Volume II: The State
2014
[4]
웹사이트
Independent Diplomat: Paul Whiteway
https://web.archive.[...]
2015-01-21
[5]
뉴스
Career diplomat Aurescu becomes Romanian new FM
https://web.archive.[...]
Xinhua
2015-11-18
[6]
뉴스
John F. Tefft, a Career Diplomat, Will Go to Russi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8-01
[7]
웹사이트
Carlos dos santos The Career Diplomat That Nurtured Foreign Affairs in Mozambique
http://www.kreolmaga[...]
International Magazine Kreol
2014-10-30
[8]
뉴스
Asia-Pacific – Princess trapped by palace guard
http://news.bbc.co.u[...]
BBC News
2015-11-18
[9]
뉴스
Lady Ashton takes flak in EU diplomatic battle
http://news.bbc.co.u[...]
BBC News
2015-11-18
[10]
뉴스
Career Diplomats Worried About Influx of Political Appointees at State Department
https://abcnews.go.c[...]
ABC News
2015-11-18
[11]
웹사이트
Are Political Appointees the Only U.S. Diplomats Who Haven't Been to the Country to Which They Are Assigned?
http://www.huffingto[...]
The Huffington Post
2014-02-19
[12]
간행물
The diplomat as a stranger
1997
[13]
간행물
'Diplomacy is a feminine art': Feminised figurations of the diplomat
https://web.archive.[...]
2020
[14]
간행물
Military diplomats in the Prussian and German service: the attachés, 1816–1914
https://web.archive.[...]
1949
[15]
서적
The Psychology of Diplomacy
Praeger
2004
[16]
웹사이트
PT210 Advanced Leadership Skills, Foreign Service Institute Training
fsitraining.state.go[...]
[17]
서적
Making Australian Foreign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8]
서적
Systems, States, Diplomacy and Ru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9]
서적
The Evolution of Diplomacy
Collier
1962
[20]
서적
The Congress of Vienna: A Study in Allied Unity, 1812–1822
Harcourt, Brace and Co.
1946
[21]
뉴스
First International Day of Diplomats celebrated in Brasilia
https://web.archive.[...]
Business Standard
2017-10-25
[22]
웹사이트
Why the world needs International Day of Diplomats, our everyday peacekeepers
https://web.archive.[...]
Daily O
2017-10-12
[23]
서적
現代国際法講義
有斐閣
2007-05-01
[24]
서적
現代国際法講義
有斐閣
2007-05-01
[25]
서적
国際法
有斐閣
1999-07-30
[26]
서적
国際法
有斐閣
1999-07-30
[27]
서적
国際法
有斐閣
1999-07-30
[28]
간행물
外交制度改革と在外公館-日露戦争後の人事制度改革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