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크로네시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로네시아어군은 미크로네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군으로, 나우루어를 포함하여 코스라에어, 키리바시어, 마셜어, 추크어군, 폰페이어군 등으로 분류된다. 언어학자들은 미크로네시아어군이 코스라에섬에서 기원하여 서쪽으로 확산되었으며, 계통적으로는 멜라네시아 동부 및 폴리네시아 언어와 가깝다고 추정한다. 존 린치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이 남쪽 오세아니아어군 내의 로열티 제도 언어군과 자매 관계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크로네시아어군 - 나우루어
    나우루어는 남태평양 섬나라 나우루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12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독일어, 영어 등 외래어의 영향을 받았고, 과거 언어 개혁 시도가 있었으며 필립 델라포르트의 사전이 초기 연구에 활용되었다.
  • 미크로네시아어군 - 추크폰페이어군
    추크폰페이어군은 미크로네시아 제어의 하위 언어군으로,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으로 나뉘며, 추크어, 폰페이어 등을 포함한다.
미크로네시아어군
지도
오세아니아 언어 지도
미크로네시아어군 (보라색) 분포 지역
언어 정보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하위 어군중동오세아니아어군
조어원시 미크로네시아어
주요 언어코스라에어
나우루어
중핵 미크로네시아어군
계통 분류
하위 분류코스라에어
나우루어
중핵 미크로네시아어군
기타
Glotto 코드micr1243
Glottolog 참조미크로네시아어군

2. 분류

Lynch, Ross & Crowley (2002)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을 나우루어와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으로 나누었다.[3]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은 다시 코스라에어, 중앙미크로네시아어군(키리바시어 포함), 서미크로네시아어군(마셜어추크폰페이어군 포함)으로 나뉜다.

미크로네시아어군은 코스라에섬에서 기원하여 서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코스라에섬은 남쪽의 바누아투 북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정착한 곳으로 보인다.

미크로네시아 제어


계통적으로는 멜라네시아 동부·폴리네시아의 언어와 가깝다.

2. 1. Lynch, Ross & Crowley (2002)의 분류

Lynch, Ross & Crowley (2002)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어군은 다시 다음과 같이 나뉜다.[3]
마셜어
추크폰페이어군
* 추크어군
* 폰페이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은 코스라에섬으로 추정되는 동쪽에서 기원하여 서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코스라에섬은 남쪽의 바누아투 북부 지역에서 이주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2. 2. Jackson (1983, 1986)의 분류

Jackson(1983, 1986)에 따르면 언어 분류는 다음과 같다.[1]
길버트어
서부 미크로네시아어족
* 마셜어
* 추크-포나페어군
** 추크어군
** 포나페어군

2. 3. Hughes (2020)의 수정 제안

케빈 휴스(Kevin Hughes, 2020)는 잭슨(Jackson)의 분류, 특히 나우루어의 위치에 대해 수정을 제안한다. 그는 나우루어를 다른 미크로네시아 언어와 분리하여 분류할 만한 설득력 있는 주장이 없다고 말한다. 그는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한다.[1]

1. 나우루어는 코스라에어와 함께 주요 가지이다.

2. 코스라에어와 나우루어는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3. 나우루어는 중앙 미크로네시아어족의 주요 가지이다.

2. 4. 상세 분류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Lynch, Ross & Crowley (2002)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어군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3]
마셜어
추크폰페이어군
* 추크어군
* 폰페이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은 코스라에섬으로 추정되는 동쪽에서 기원하여 서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코스라에섬은 남쪽의 바누아투 북부 지역에서 이주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어군언어사용 지역
나우루어나우루어나우루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코스라에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섬
키리바시어(길버트어)키리바시
마셜어마셜 제도
추크어군추크어(트럭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추크 제도
모트록어미크로네시아 연방 노모이 제도
사타왈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사타왈섬
울리시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울리시 환초
워레아이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워레아이 환초
풀루스크어미크로네시아 연방 풀루스크 환초
풀루왓어미크로네시아 연방 풀루왓 환초
나모누이토어미크로네시아 연방 나모누이토 환초
카롤린어북마리아나 제도(사이판 등)
손소롤어팔라우 손소롤주
토비어팔라우 토비섬
폰페이어군폰페이어미크로네시아 연방 폰페이섬
누가티크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사푸아피크 환초
핑겔랩어미크로네시아 연방 핑겔랩 환초
모킬어미크로네시아 연방 모아킬로아 환초
† 마피아어 - 인도네시아 마피아섬



계통적으로는 멜라네시아 동부·폴리네시아의 언어와 가깝다.

3. 기원 및 확산

Lynch, Ross & Crowley (2002)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어군은 코스라에섬으로 추정되는 동쪽에서 기원하여 서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3] 코스라에섬은 남쪽의 바누아투 북부 지역에서 이주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4. 외부 분류

존 린치(John Lynch)는 2003년에 미크로네시아어군이 남쪽 오세아니아어군 내의 하위 분류군을 이루며, 특히 로열티 제도 언어군과 자매 분류군을 형성할 가능성을 시험적으로 제안했다. 그는 미크로네시아어군과 로열티 제도 언어군이 공유하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언급했다.


  • 원오세아니아어의 양순음 계열의 구개음화 반영
  • 원오세아니아어 *p가 둥근 모음 앞에서 소실
  • 원오세아니아어 *y와 (단모음) *q의 무조건적 소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관계가 확실하거나 그럴듯하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그는 단지 "미크로네시아어군이 로열티 제도에서 기원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이것이 더 조사될 수 있는 것"이라고만 언급한다.[2]

참조

[1]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2] 서적 Issues in Austronesian Historical Phonology Pacific Linguistics
[3]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