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미크로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추크어, 키리바시어 등과 언어학적으로 가깝다. 마셜 제도의 공용어로 사용되며, 라타크 열도와 랄릭 열도에서 서로 다른 방언이 사용되지만 상호 이해 가능하다. 마셜어는 1979년 약 43,900명에서 2020년 약 59,000명으로 사용 인구가 증가했으며, 미국에도 상당수의 사용자가 거주한다. 마셜어는 자음과 모음의 특징적인 음운론적 구조를 가지며,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두 가지 정서법이 사용된다. 문법적으로는 명확한 격변화가 없고, SVO 어순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셜 제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크로네시아어군 - 나우루어
    나우루어는 남태평양 섬나라 나우루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12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독일어, 영어 등 외래어의 영향을 받았고, 과거 언어 개혁 시도가 있었으며 필립 델라포르트의 사전이 초기 연구에 활용되었다.
  • 미크로네시아어군 - 추크폰페이어군
    추크폰페이어군은 미크로네시아 제어의 하위 언어군으로,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으로 나뉘며, 추크어, 폰페이어 등을 포함한다.
마셜어
개요
언어 이름마셜어
사용 국가마셜 제도
사용자약 55,000명 (1979년)
민족마셜 제도인
언어 정보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대양주어군
하위 어군미크로네시아어군
세부 어군미크로네시아 고유어군
분기핵 미크로네시아어군
문자라틴 문자 (마셜어 알파벳)
공용어 지위
언어 코드
ISO 639-1mh
ISO 639-2mah
ISO 639-3mah
Glottologmars1254
Glottolog 이름Marshallese
지도 정보
미크로네시아 언어 지도
미크로네시아 어군 지도; 마셜어는 주황색 지역에서 사용됨.
마셜 제도 문화
관련 항목마셜 제도 문화
요리마셜 제도 요리

2. 분류

마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의 일원이다.[88][4][69] 언어계통학적으로 마셜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는 추크어, 키리바시어, 코스라에어, 나우루어, 폰페이어 등이다.[88] 마셜어는 폰페이어와 33%의 어휘가 유사하며,[69] 길버트어, 모킬어, 폰페이어와는 어휘 유사성이 50%를 보인다.[1]

미크로네시아 군도 내에서 마셜어는 다른 미크로네시아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야프어(야프주 소재), 폴리네시아 아웃라이어 언어인 카핑아마랑이어누쿠오로어(폰페이주 소재), 비 오세아니아 언어인 팔라우어(팔라우 소재), 차모로어(마리아나 제도 소재)와는 관련성이 낮다.[1]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70] 및 어휘 통계학 연구[71]도 대체로 이를 지지하고 있다.

3. 방언

마셜 제도 공화국은 동쪽의 라타크 열도와 서쪽의 랄릭 열도로 나뉘며, 각 열도에서 다른 방언이 사용된다.[4] 이 두 방언은 주로 어휘 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상호 이해 가능하다.[1][4]

라타크 방언과 랄릭 방언은 이중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간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음운론적으로 차이가 있다.[4] 라타크 마셜어는 자음을 분리하기 위해 모음을 삽입하는 반면, 랄릭 마셜어는 자음 앞에 모음을 추가한다(그리고 모음 앞에 표기되지 않은 자음 음소 /j/|/j/영어를 발음한다).[4] 예를 들어, 어간 kkure|kkuremh '놀다'는 랄릭 마셜어에서는 ikkure|ikkuremh가 되고, 라타크 마셜어에서는 kukure|kukuremh가 된다.[4][6]

4. 현황

CDC가 후원한 마셜어 코로나19 예방 포스터


마셜어는 마셜 제도의 공용어이며 활발하게 사용된다.[1] 1979년 기준으로 마셜 제도에서 43,900명이 이 언어를 사용했으며,[1] 2020년에는 약 59,000명으로 증가했다.[2] 나우루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에도 마셜어 화자 그룹이 있어 전체 마셜어 사용자는 더 늘었으며, 미국에는 약 27,000명의 마셜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3] 폰페이어, 추크어와 함께 마셜어는 수만 명의 화자를 가진 미크로네시아 언어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미크로네시아 언어는 화자 수가 훨씬 적다.[7] 마셜어 사전과 최소 2개의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

5. 음운론

마셜어의 자음 음소는 구개음화, 원순음화, 연구개음화 등의 이차조음을 가지며, 유/무기성은 변별적 자질이 아니다. 마셜어의 모음은 원순성과 전설/후설성을 변별적 자질로 갖지 않는다.[89][90]

오스트로네시아 조어에서 마셜어까지의 자음 변화는 다음과 같다.[79]

오스트로네시아 조어에서 마셜어까지의 자음 변화
오스트로네시아 조어*mp*mp,ŋp*p*m*m,ŋm*k*ŋk*y*w*t*s,nj*ns,j*j*nt,nd*d,R*l*n
미크로네시아 조어*p*pʷ*f*m*mʷ*k*x*y*w*t*T*s*S*Z*c*r*l*n
마셜어/pʲ//pˠ//j//mʲ//mˠ//k, kʷ//ŋ, ŋʷ//j//w//tʲ//tʲ//tˠ//tˠ//rʲ//rˠ, rʷ//lʲ, lˠ, lʷ//nʲ, nˠ, nʷ//nʲ/



마셜어의 자음은 미크로네시아 조어의 모음 환경에 영향을 받아 분열되었다. 미크로네시아 조어의 *k, *ŋ, *r은 2음절에서 다른 모음이 비원순 모음이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o의 옆이나 *u의 옆에서 순음화된다. *l과 *n은 일반적으로 경구개음화된다. 인접한 음절에 좁은 모음이 없는 경우, *a 앞, (때때로) *o 앞에서 연구개음화 또는 순음화된다. 순음화 방식은 *k, *ŋ, *r과 같다.

5. 1. 자음

마셜어의 자음은 구개음화, 원순음화, 연구개음화와 같은 이차조음을 가진다. 구개음화된 자음은 '가벼운 자음', 원순음화 또는 연구개음화된 자음은 '무거운 자음'이라고 불린다.[89]

양순음설단음설배음
구개음화연구개음화구개음화연구개음화원순음화(연구개음)원순음화
파열음k
비음ŋŋʷ
유음
설측음
접근음j(ɰ)w


  • 마셜어에는 유/무기성이 변별적 자질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파열음은 모음 사이나 이중 자음이 아닐 경우에 변이음으로 유성음화된다.[90]
  • /tʷ/는 음운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 /tʲ/는 자유 변이음으로 [tʲ], [t͡sʲ], [sʲ], [t͡ɕ], [ɕ], [c], 또는 [ç]를 가지고, 이들의 유성음화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91][92] 어중에서 이중 자음이 아닐 때 [zʲ] 또는 [ʑ] 등으로 나타나기에, 외래어의 치찰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93]
  • 접근음 /j ɰ w/는 다양한 환경에서 소멸한다. 특히 인접한 모음을 후설모음, 원순모음으로 동화시킨다. 마셜어의 모음은 원순성과 모음의 전설/후설성을 변별적 자질로 갖지 않기에, 음성학적으로 드러나는 모음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 자음들의 존재가 사용된다. 특히, /ɰ/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오직 서술된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 설배음은 연구개음과 구개수음 사이로, IPA로는 [k̠ ɡ̠ ŋ̠ k̠ʷ ɡ̠ʷ ŋ̠ʷ]로 표기할 수 있다. 모든 설배음은 '무거운 자음'이다.

5. 2. 모음

마셜어는 4개의 모음 음소로 이루어진 수직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 음소는 주변 자음에 따라 여러 개의 이음을 갖는다.[78] 음소 수준에서, 모음 음소는 모음 높이로 구별된다.

마셜어의 모음
마셜어의 모음발음정자법
넓이음소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전설후설전설후설
고모음(close)colspan="2"|
반고모음(near-close)
(long)
(or )(or )
중저모음(open-mid)
(short)
(or )(or )
저모음(open)colspan="2"|(or )


5. 3. 음운 규칙

마셜어의 음절은 CV(자음+모음), CVC(자음+모음+자음), VC(모음+자음) 형태이다. 마셜어 단어는 항상 자음으로 시작하고 끝나는데, 이는 한국어와 다른 점이다.[37]

마셜어에서는 같은 종류의 자음만이 연속으로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mm'이나 'pp'는 가능하지만, 'mp'와 같은 조합은 불가능하다. 활음(/j/, /ɰ/, /w/)을 제외하면, 각 자음은 쌍자음(겹자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37]

서로 다른 종류의 자음이 연속될 경우에는 단어 경계에서 모음이 추가되어 분리된다. 예를 들어, 'mp'와 같은 자음군은 'm'과 'p' 사이에 모음이 삽입되어 'm-p' 형태로 발음된다.[37]

라타크 방언과 랄릭 방언은 겹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다르게 처리한다. 라타크 방언은 자음 사이에 모음을 넣어 분리하고, 랄릭 방언은 자음 앞에 모음을 추가한다. (그리고 모음 앞에 /j/를 발음한다.)[4] 예를 들어 'kkure'(놀다)는 랄릭 방언에서는 'ikkure', 라타크 방언에서는 'kukure'가 된다.[4][6]

마셜어는 모라(mora) 리듬을 가진 언어이다. 각 자음(C)과 모음(V) 음소는 하나의 모라 길이를 가진다. CV는 예외적으로 모음이 두 음소에 대해 하나의 모라를 갖는다. 따라서 모든 모라는 CV 또는 닫힌 C 시퀀스에서 측정된다.[37]

  • CVC = 2모라 (CV-C). 마셜어 단어의 가장 짧은 길이.
  • CVCVC = 3모라 (CV-CV-C). 근사음(G; /j/, /ɰ/, /w/)도 자음이므로, CVGVC(장모음)도 3모라.
  • CVCCVC = 4모라 (CV-C-CV-C).


이러한 모라 리듬은 마셜어를 핀란드어, 길베르트어, 하와이어, 일본어와 유사하게 만든다.

6. 문자

마셜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구" 정서법과 "신" 정서법 두 가지가 있다.[80] "구" 정서법은 선교사들이 도입한 것으로,[80] 마셜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지 못하고 실제 발음과 표기 사이에 불일치가 있지만, 신문이나 간판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81] 최근까지는 경쟁하는 표기법이 없었다.[81]

"신" 정서법은 젊은 층과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80] "구" 정서법보다 마셜어 발음을 더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으며, 현재 출판된 마셜어-영어 사전에서도 사용된다.[80][81]

1968년 언어학자 바이런 W. 벤더는 저서 ''마셜어 음운론''에서 자음 음소, 모음 음소, 방언 간 규칙적인 반사를 나타내는 IPA 기호가 아닌 기호만 포함하는 형태소 음운론적 표기법을 고안했다. 이 표기법은 1969년 ''구어 마셜어'' , 1976년 ''마셜어-영어 사전''(MED)에서 "새로운" 표기법과 함께 수정된 형태로 나타났다. 벤더는 ''마셜어-영어 온라인 사전''(MOD)에서 스티븐 트러셀과 협력하여 표기법을 다시 수정했다.

MOD 버전의 벤더 표기법은 "새로운" 표기법과 1976년 MED 버전에서 사용된 세디유 대신 밑점을 사용하는데, 이는 MOD의 표시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일반 음소 시퀀스 외에도 벤더 표기법은 몇 가지 특수 시퀀스를 인식하며, 이 중 다수는 마셜어의 랄릭 방언과 라탁 방언 간의 규칙적인 차이와 관련이 있다.

음소/pʲ//pˠ//tʲ//tˠ//k//kʷ//mʲ//mˠ//nʲ//nˠ//nʷ//ŋ//ŋʷ//rʲ//rˠ//rʷ//lʲ//lˠ//lʷ//j//ɰ//w//æ//ɛ//e//i/
벤더 (1968)pmhbmhjmhtmhkmhqmhmmhmhnmhmhmhgmhmhdmhrmhmhlmhłmhmhymhhmhwmhamhemh&mhimh
MED (1976)pmhbmhjmhtmhkmhqmhmmhmhnmhn‌̧mhn‌̧°mhgmhmhdmhrmhmhlmhl‌̧mhl‌̧°mhymhhmhwmhamhemhȩmhimh
MODpmhbmhjmhtmhkmhmhmmhmhnmhmhṇʷmhgmhmhdmhrmhmhlmhmhḷʷmhymhhmhwmhamhemhmhimh


6. 1. 마셜어 알파벳

마셜 제도 공화국에서 홍보하는 현재의 알파벳은 24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38][39]

AĀBDEIJKLĻMNŅOŌPRTUŪW
aābdeijklļmnņoōprtuūw



마셜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구" 정서법과 "신" 정서법의 두 가지 정서법이 있다.[38] "구" 정서법은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38] 마셜어의 음성을 나타내는 데 일관되거나 충실하지 않지만, 최근까지 경쟁적인 정서법이 없어 신문과 표지판을 포함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39] "신" 정서법은 특히 학교와 젊은 성인 및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38] 마셜어의 소리를 더 충실하게 나타낸다. 현재 유일하게 출판된 완전한 마셜어 사전인 Abo 외 공저의 마셜어-영어 사전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38][39]

마셜어 정서 자음[40]
rowspan="2"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
경음강음경음강음강음
구개음연구개음구개음연구개음원순음
파열음pmhb(w)mhjmhtmhkmhk(w)mh
비음mmhm̧(w)mhnmhn‌̧mhn‌̧(w)mhmhn̄(w)mh
설전음dmhrmhr(w)mh
설측음lmhl‌̧mhl‌̧(w)mh
활음e/i/-mh-mhw/-mh



마셜어 정서 모음[40]
rowspan="2" |비원순원순
전설후설
imhūmhumh
emhōmhomh
āmhamhmh


6. 2. 자음 표기

마셜어에는 많은 자음이 있으며, 각 자음에는 이차 조음(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순음화)이 있다[75]。 구개음화된 자음은 "경자음", 연구개음화 또는 순음화된 자음은 "중자음"으로 간주된다[76]。 이 대비는 게일어의 협자음・광자음, 러시아어의 연음・경음, 또한 일본어의 요음・평음에 유사하다. 경자음은 더 이완된 조음으로 여겨진다[76]

마셜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77]



마셜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두 가지 정서법이 존재한다.[80] "오래된" 정서법은 선교사에 의해 도입되었다.[80] 이 표기법은 마셜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 정확성이 떨어지고, 실제 발음과 표기의 불일치가 두드러지지만, 현재 신문이나 간판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81] 최근까지 이에 경쟁하는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았다.[81]

"새로운" 정서법은 젊은이와 어린이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80] "오래된" 정서법과 비교하여 마셜어의 발음을 더욱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다. 현재 출판된 마셜어-영어 사전에서도 사용되는 것이 이 정서법이다.[80][81]

다음은 현재 정부가 권장하는 (새로운 정서법의) 24자 알파벳이다.

AĀBDEIJKLĻMNŅOŌPRTUŪW
aābdeijklļmnņoōprtuūw



{| style="background:none;"

| valign="top" |

마셜어 정서법에서의 자음 표기[82]
rowspan="2"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
경구개음연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원순음(평음)원순음
파열음pmhb(w)mhjmhtmhkmhk(w)mh
비음mmhm̧(w)mhnmhņmhņ(w)mhmhn̄(w)mh
유음l dmhļ rmhļ(w) r(w)mh
반자음e/i/-mh-mhw/-mh



|}

6. 3. 모음 표기

마셜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구(舊) 정서법"과 "신(新) 정서법" 두 가지가 존재한다.[80] 구 정서법은 선교사들이 도입한 것으로, 마셜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지 못하고 실제 발음과 표기 사이에 불일치가 있지만, 신문이나 간판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81] 최근까지는 경쟁하는 표기법이 없었다.[81]

신 정서법은 젊은 층과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80] 구 정서법보다 마셜어 발음을 더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으며, 현재 출판된 마셜어-영어 사전에서도 사용된다.[80][81]

다음은 현재 정부가 권장하는 (신 정서법의) 24자 알파벳이다.

AĀBDEIJKLĻMNŅOŌPRTUŪW
aābdeijklļmnņoōprtuūw



마셜어 정서법에서의 모음 표기[82]
rowspan="2" |비원순원순
전설후설
imhūmhumh
emhōmhomh
āmhamhmh


7. 문법

마셜어에서 명사는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으며 수, 성, 격에 따라 굴절되지 않는다.[59] 명사는 종종 동사화되고 동사는 어떠한 형태론적 표지 없이 명사화된다.[59]

: Je-n al al in pālle.mh

: 우리는 미국의 노래를 불러야 한다.

마셜어는 명사를 수식하는 결정사 및 지시사를 가지고 있다.[60] 이들은 수에 따라 표시되며, 복수형에서는 사람/비인간 구별도 인코딩한다.[61] 예를 들어, 단수형에서 pinjel‌̧ eo|핀젤 에오mh '연필'과 l‌̧addik eo|랏딕 에오mh '소년'은 동일한 결정사를 사용하지만, 복수형에서는 pinjel‌̧ ko|핀젤 코mh '연필들'과 l‌̧addik ro|랏딕 로mh는 다른 결정사를 사용한다.[61] 부정대명사는 예외인데, 단수형에서는 명사 앞에 juon|주온mh '하나'라는 단어로 표현되며(예: juon al|주온 알mh '노래 하나'), 복수형 부정 결정사는 없다.[62]

마셜어 지시사 체계는 다섯 단계로 나뉜다.[61]

# 화자 근처(단수형 e|에mh / 복수형 인간 rā|라mh / 복수형 비인간 kā|카mh)

# 화자와 청자 근처(in / rein / kein|인 / 레인 / 케인mh)

# 청자 근처(n‌̧e / ran‌̧e / kan‌̧e|네 / 란제 / 칸제mh)

# 화자와 청자 둘 다로부터 멀리 떨어짐(en‌̧ / ran‌̧ / kan‌̧|엔 / 란 / 칸mh)

# 멀리 떨어져 있지만 보임(uweo / roro / koko|우웨오 / 로로 / 코코mh)

마셜어는 현재, 과거, 근미래, 미래의 네 가지 동사 시제를 가지고 있다. 시제는 문장의 인칭 대명사에 시제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주어가 인칭 대명사가 아닌 경우, 적절한 시제 접미사가 있는 3인칭 대명사가 추가된다. 현재 시제는 -j 접미사를 인칭 대명사에 붙여서 형성된다(-ij는 kōm 및 kom̧의 경우). 과거 시제 접미사는 방언에 따라 -ar 또는 -kar이다. -naaj는 정규 미래 시제에 사용되는 접미사이고, -itōn은 근미래에 사용된다.

7. 1. 대명사

마셜어는 1인칭과 2인칭 단수 대명사에 "절대격"(강조형) 대명사와 "목적격" 대명사, 두 가지 형태가 있다.[63] 1인칭 복수 대명사는 포함/배제를 구분한다.[63] 3인칭 목적격 대명사는 사람에게만 사용되며, 사람이 아닌 대상에는 영 대명사를 사용한다.[63]

마셜어 대명사[63]
인칭절대격 /
강조형
목적격
단수1n̄a|나mheō|에오mh
2kwe|퀘mheok|에옥mh
3e|에mh
복수1포함kōj|코즈mh
1배제kōm|콤mh
2kom̧|콤mh(랄릭)
kom̧i|코미mh(라탁)
3er|에르mh



강조형 대명사는 동격 문장의 주어, 전치사의 보어, 목적어를 강조할 때, 협력 구조, 주제화되거나 초점이 맞춰진 주어와 함께 사용된다.[64]

7. 2. 어순

마셜어는 많은 미크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문장을 서술 문장과 동일 문장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65] 서술 문장은 SVO 어순을 가지며, 주요 동사가 있다.[65]

: E-j kajan̄jan̄ kita.|그는 기타를 친다.mh

동일 문장에서 주어와 술어는 모두 명사구이다.[65]

: Nuknuk eo e-aibujuij.|그 드레스는 아름답다.mh

마셜어는 많은 미크로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술어문과 명사 술어문이 있다.[87] 동사 술어문에서는 동사를 수반하며 SVO형으로 표현된다.

한편, 명사 술어문에서는 주부와 술부가 모두 명사구가 된다.

8. 어휘

마셜어의 어휘는 크게 기본 어휘와 차용어로 나뉜다.

마셜어 어휘[66]
라릭 방언라탁 방언한국어
aaetmhaetmh
aelōn̄mh환초, 또는 섬; 일반적으로 땅을 의미하는 단어
ej et am̧ mourmh안녕하십니까? (직역: "당신의 삶은 어떻습니까?")
em̧m̧anmh좋다.
enanamh나쁘다.
io̧kwemh; yokwemh안녕, 안녕히 가세요, 사랑. 하와이어aloha와 유사하며, 동정의 표현이기도 함. 문자 그대로, 고어의 의미는 "당신은 무지개입니다".[67]
irwōjmh; iroojmhIroij, 마셜 문화의 다양한 최고 족장들
jaabmh아니오.
kom̧m̧ool tatamh정말 감사합니다. Kom̧m̧oolmh만으로는 "감사합니다"를 의미.
kōn joujmh천만에요. 문자 그대로 "친절을 위해".
Kūrjinmh기독교: 마셜 제도의 대다수 종교



다음은 라릭 방언의 기수 1부터 10까지이다. 라탁 방언과 다른 형태는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 juonmh

# ruomh

# jilumh

# emānmh

# l‌̧alemmh

# jiljinomh (lmh은 묵음)[68]

# jimjuonmh

# ralitōkmh (ejinomh)

# ratimjuonmh (ejilimjuonmh)

# jon̄oulmh

8. 1. 요일

다음은 마셜어의 요일 이름이다.[1]

  • Jabōt|jabetmh: 일요일 (안식일)
  • M̧ande|mhandeymh: 월요일
  • Juje|jiwjeymh: 화요일
  • Wōnje|wenjeymh: 수요일
  • Taije|tahyijeymh: 목요일
  • Bōraide|berahyideymh (Bōl‌̧aide|belhahyideymh, Būl‌̧āide|bilhayideymh): 금요일
  • Jādede|jadeydeymh: 토요일

8. 2. 지명

마셜어의 지명은 크게 마셜 제도 내 지명과 주요 국가명으로 나뉜다.

마셜 제도 내 지명은 라타크 사슬(Ratak)과 랄리크 사슬(Rālik), 그리고 미국이 관리하는 웨이크 환초(Āneen-kio)로 구분된다. 각 섬과 환초의 이름은 마셜어 고유 표기와 발음을 따른다. 예를 들어, 마셜 제도는 M̧ajel‌̧|마젤mh 또는 M̧ajōl‌̧|마졸mh로 표기한다.

주요 국가명은 마셜어 발음에 맞춰 표기하며, 일부 국가명은 이전 식민 통치 국가의 영향을 받아 여러 표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본은 Jepaan|제판mh 또는 Nibbon̄|닙봉mh으로, 독일은 Jāmne|잠네mh로, 스페인은 Jipein|지페인mh으로 표기한다. 미국은 Amedka|아메드카mh, 한국은 Kuria|쿠리아mh로 표기한다.

8. 2. 1. 마셜 제도 내 지명


Jarōj|자로즈mh (자릿)
L‌̧ora|로라mh (라우라)
Tel‌̧ap|텔라프mh (델라프)
Wūlka|울카mh (울리가)

  • ** Mile|밀레mh (밀리 환초)
  • ** M̧al‌̧o-el‌̧ap|말로엘라프mh (말로엘랍 환초)
  • ** N‌̧a-dikdik|나딕딕mh (녹스 환초)
  • ** Pikaar|피카아르mh (비카르 환초)
  • ** Tōkā|토카mh (토케(타카) 환초)
  • ** Utrōk|우트록mh (우티릭 환초)
  • ** Wōjjā|워자mh (워트제 환초)
  • * Rālik|랄리크mh (랄리크 사슬)
  • ** Aelōn̄in-ae|아엘롱인아에mh (아일링기내 환초)
  • ** Aelōn̄l‌̧apl‌̧ap|아엘롱라프라프mh (아일링라팔라프 환초)
  • ** Āne-wātak|아네와타크mh, 또한 Ānewetak|아네웨타크mh (에니웨토크(에니웨톡) 환초)
  • ** Ellep|엘레프mh (리브 섬)
  • ** Epoon|에푼mh (에본 환초)
  • ** Jālwōj|잘워즈mh 또는 Jālooj|잘루즈mh (자루이 환초)

Jebwad|제브와드mh (자보르 섬)

  • ** Jebat|제바트mh (자바트(자봇, 자보트) 섬)
  • ** Kōle|콜레mh (킬리 섬)
  • ** Kuwajleen|쿠와즐린mh (콰잘레인 환초)

Epjā|에프자mh, 또한 Ibae|이바에mh (에베예 섬)

8. 2. 2. 주요 국가

주요 국가
마셜어 표기발음(IPA)한국어 표기비고
Amedkamh미국
Awaimh하와이마셜 디아스포라 거주
Kalbooneamh캘리포니아마셜 디아스포라 거주
O̧kōnjo̧mh아칸소대규모 마셜 디아스포라 거주
Aujtōrōliamh오스트레일리아
Eijiamh아시아
Jainamh (Jāinamh, Jeinamh)(, )중국
Jepaanmh (Nibbon̄mh)()일본이전 식민 통치국
Kuriamh한국
Pilipinmh필리핀이전 스페인 통치 하의 식민 행정관
Rojiamh러시아
Taiwanmh대만
In̄lenmh잉글랜드
Jam̧uwamh사모아
Jāmnemh독일이전 식민 통치국
Jipeinmh스페인이전 식민 통치국
M̧aikronijiamh미크로네시아
Karol‌̧āinmh캐롤라인 제도
Bōl‌̧aumh (Bōl‌̧aomh)()팔라우
FSMmh미크로네시아 연방
Boonpemh폰페이
Iaabmh야프
Kujjaemh (Kōjaemh)()코스라에
Rukmh추크
Kilbōtmh키리바시
M̧adiannamh마리아나 제도
Jāipaanmh사이판
Kuwaam̧mh
Nawōdomh나우루
Mejjikomh멕시코이전 스페인 통치 하의 식민 행정관
Nijiil‌̧ōnmh뉴질랜드
Nuknemh()뉴기니이전 독일 통치 하의 식민 행정관
Pijimh피지
Tubal‌̧umh투발루


참조

[1] 웹사이트 Marshallese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2-12-05
[2]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 Marshall Islands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3] 뉴스 They came here after the U.S. irradiated their islands. Now they face an uncertain future https://www.latimes.[...] 2019-12-31
[4] 서적
[5] 간행물 Marshall Islands Nuclear Claims Tribunal: In the Matter of the People of Enewetak
[6] 웹사이트 MED: kukure http://www.trussel2.[...]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free Marshallese-English dictionary https://sites.google[...] 2014-08-01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harvp
[37] harvp
[38] harvp
[39] harvp
[40] harvp
[41] 웹사이트 Kuwajleen http://www.trussel2.[...]
[42] 웹사이트 wōtōm http://www.trussel2.[...]
[43] 웹사이트 l‌̧ap http://www.trussel2.[...]
[44] 웹사이트 dik http://www.trussel2.[...]
[45] 웹사이트 Epatōn http://www.trussel2.[...]
[46] 웹사이트 Kūrijm̧ōj http://www.trussel2.[...]
[47] 웹사이트 Nōl‌̧ http://www.trussel2.[...]
[48] 웹사이트 pinjel‌̧ http://www.trussel2.[...]
[49] 웹사이트 M̧ajel‌̧ http://www.trussel2.[...]
[50] 웹사이트 M̧ajōl‌̧ http://www.trussel2.[...]
[51] 웹사이트 O̧kwōj http://www.trussel2.[...]
[52] 웹사이트 Wūjlan̄ http://www.trussel2.[...]
[53] 웹사이트 tāākji http://www.trussel2.[...]
[54] 웹사이트 naaj http://www.trussel2.[...]
[55] 웹사이트 bwe http://www.trussel2.[...]
[56] 웹사이트 aelōn̄ http://www.trussel2.[...]
[57] 웹사이트 ri- http://www.trussel2.[...]
[58] 웹사이트 Ri-M̧ajel‌̧ http://www.trussel2.[...]
[59] harvp
[60] harvp
[61] harvp
[62] harvp
[63] harvp
[64] harvp
[65] harvp
[66] harvp
[67] 웹사이트 io̧kwe http://www.trussel2.[...]
[68] harvp
[69] Harvcoltxt
[70] 웹사이트 Glottolog - Micronesian https://glottolog.or[...] 2021-03-15
[71] 논문 Language Phylogenies Reveal Expansion Pulses and Pauses in Pacific Settlement http://www.sciencema[...] 2009-01-23
[72] 간행물 Marshall Islands Nuclear Claims Tribunal: In the Matter of the People of Enewetak
[73] 웹사이트 Marshallese-English Dictionary: kukure https://www.trussel2[...] 2021-03-15
[74] 인용
[75] 인용
[76] 인용
[77] 인용
[78] 인용
[79] 간행물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2003
[80] 인용
[81] 인용
[82] 인용
[83] 인용
[84] 인용
[85] 인용
[86] 인용
[87] 인용
[88] 저널 <> http://hwillson.bol.[...] 2022-05-30
[89] 인용
[90] 인용
[91] 인용
[92] 인용
[93]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