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이바노프 (스키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이바노프는 러시아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2002년 동계 올림픽 남자 50km 클래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30km 클래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월드컵에서는 개인전 2회 우승, 4회 포디움을 기록했으며, 계주에서 11번 포디움에 올랐고, 1번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라리사 라주티나
러시아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인 라리사 라주티나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이름을 알렸으나,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었고, 은퇴 후에는 스포츠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그녀의 이름을 딴 스포츠 공원이 개장되기도 했다. - 프스코프주 출신 -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모데스트 무소륵스키는 러시아 국민 음악 운동을 이끈 작곡가로, 러시아적 주제를 다룬 오페라와 피아노 모음곡 등을 작곡했으며, 독창적인 음악 어법으로 후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프스코프주 출신 - 라이몬츠 베요니스
라이몬츠 베요니스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라트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녹색당 출신 최초의 유럽 연합 회원국 수장이었다. - 러시아의 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알렉산드르 볼슈노프는 러시아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기량을 보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며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 러시아의 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니키타 크류코프
미하일 이바노프 (스키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미하일 페트로비치 이바노프 |
러시아어 이름 | Михаи́л Петро́вич Ивано́в |
로마자 표기 | Mikhail Petrovich Ivanov |
출생일 | 1977년 11월 20일 (46세) |
출생지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프스코프 주 오스트로프 |
국적 | 러시아 |
키 | 180cm |
몸무게 | 74kg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클럽 | SC 로스네프트 |
코치 | 알렉산드르 그루신 |
선수 경력 | |
종목 | 크로스컨트리 스키 |
활동 기간 | 1997년 – 2007년 |
월드컵 데뷔 | 1997년 1월 4일, 톡소보(30km 40위) |
월드컵 개인 최고 순위 | 15위 (2000년, 2001년) |
개인 우승 | 2회 |
팀 우승 | 1회 |
개인 포디움 | 4회 |
팀 포디움 | 11회 |
개인 출발 횟수 | 87회 |
팀 출발 횟수 | 25회 |
은퇴 | 2007년 |
메달 기록 | |
올림픽 | 2002 솔트레이크시티: 50km 클래식 금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2001 라흐티: 30km 클래식 동메달 |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 1996 아시아고: 4 x 10km 계주 금메달 1995 옐리바레: 4 x 10km 계주 은메달 1997 캔모어: 4 x 10km 계주 은메달 |
2. 올림픽
미하일 이바노프는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 러시아 대표로 참가하여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50km 클래식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같은 대회 15km 클래식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 1. 올림픽 경기 결과
- 메달 1개 – (금메달 1개)
연도 | 나이 | 15 km | 추적 | 30 km | 50 km | 스프린트 | 4 × 10 km 계주 |
---|---|---|---|---|---|---|---|
2002 | 24 | 11 | — | — | 금메달 | — | 6 |
미하일 이바노프는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총 5차례 참가했다.[1] 그는 1997년 트론헤임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이후 1999년 람자우암다흐슈타인 대회, 2001년 라흐티 대회, 2003년 발디피엠메 대회, 2005년 오버스트도르프 대회에 참가했다.[1] 이 중 2001년 라흐티 대회 30km 클래식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자신의 유일한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을 목에 걸었다.[1]
3. 세계 선수권 대회
3. 1. 세계 선수권 대회 경기 결과
연도 | 나이 | 10 km | 15 km | 추적 | 30 km | 50 km | 스프린트 | 4 × 10 km 계주 | 팀 스프린트 | |
---|---|---|---|---|---|---|---|---|---|---|
1997 | 19 | 49 | 38 | — | — | — | ||||
1999 | 21 | 9 | 15 | — | — | 7 | ||||
2001 | 23 | 20 | — | 동메달 | — | — | 4 | |||
2003 | 25 | — | — | 17 | — | — | — | |||
2005 | 27 | — | 44 | — | — | — | — |
4. 월드컵
미하일 이바노프는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99-2000 시즌과 2000-2001 시즌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개인전에서 총 4번 포디움에 올랐고 이 중 2번은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러시아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한 팀 계주 경기에서도 여러 차례 포디움에 오르며 활약했다. 그의 월드컵 시즌별 상세 순위와 개인 및 팀 포디움 기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시즌 순위
wikitext시즌 | 나이 | 세부 종목 순위 | 스키 투어 순위 | ||||
---|---|---|---|---|---|---|---|
종합 | 거리 | 장거리 | 중거리 | 스프린트 | 투르 드 스키 | ||
1997 | 19 | 미분류 | — | 미분류 | — | — | — |
1998 | 20 | 미분류 | — | 미분류 | — | — | — |
1999 | 21 | 29 | — | 35 | — | 55 | — |
2000 | 22 | 15 | — | 2 | 34 | 61 | — |
2001 | 23 | 15 | — | — | — | 48 | — |
2002 | 24 | 47 | — | — | — | 미분류 | — |
2003 | 25 | 67 | — | — | — | — | — |
2004 | 26 | 45 | 28 | — | — | 미분류 | — |
2005 | 27 | 63 | 38 | — | — | 미분류 | — |
2006 | 28 | 161 | 119 | — | — | — | — |
2007 | 29 | 미분류 | 미분류 | — | — | — | — |
4. 2. 개인 포디움
- 우승 2회 – (2 월드컵)
- 포디움 4회 – (4 월드컵)
No. | 시즌 | 날짜 | 개최지 | 경기 | 레벨 | 핀란드 라티 | 30km 매스 스타트 C | 월드컵 | 1위 |
---|---|---|---|---|---|---|---|---|---|
2 | 2000년 3월 11일 | 노르웨이 오슬로 | 50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3 | 2000–01 | 2000년 12월 20일 | 스위스 다보스 | 30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4 | 2001년 3월 17일 | 스웨덴 팔룬 | 15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4. 3. 팀 포디움
총 11번 팀 포디움에 올랐으며, 이 중 1번은 계주 우승 기록이다.번호 | 시즌 | 날짜 | 개최지 | 종목 | 레벨 | 순위 | 팀원 |
---|---|---|---|---|---|---|---|
1 | 1998–99 | 1999년 3월 14일 | 스웨덴 팔룬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데니소프 / 프로쿠로로프 / 빌리소프 |
2 | 1999년 3월 21일 | 노르웨이 오슬로 | 4 × 10km 계주 C | 월드컵 | 2위 | 데니소프 / 프로쿠로로프 / 빌리소프 | |
3 | 1999–00 | 2000년 1월 13일 | 체코 노베 메스토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데니소프 / 빌리소프 / 프로쿠로로프 |
4 | 2000년 2월 27일 | 스웨덴 팔룬 | 4 × 10km 계주 F | 월드컵 | 2위 | 데니소프 / 볼샤코프 / 빌리소프 | |
5 | 2000년 3월 5일 | 핀란드 Lahti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데니소프 / 볼샤코프 / 빌리소프 | |
6 | 2000–01 | 2000년 12월 9일 | 이탈리아 산타 카테리나 | 4 × 5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데니소프 / 볼샤코프 / 빌리소프 |
7 | 2001년 3월 21일 | 스웨덴 팔룬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1위 | 데니소프 / 볼샤코프 / 빌리소프 | |
8 | 2001–02 | 2001년 11월 21일 | 핀란드 Kuopio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로체프 / 볼샤코프 / 빌리소프 |
9 | 2001년 12월 16일 | 스위스 Davos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2위 | 데니소프 / 빌리소프 / 볼샤코프 | |
10 | 2003–04 | 2004년 1월 11일 | 에스토니아 Otepää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판크라토프 / 알리포프 / 빌리소프 |
11 | 2004년 2월 7일 | 프랑스 La Clusaz | 4 × 10km 계주 C/F | 월드컵 | 3위 | 판크라토프 / 데멘티예프 / 노비코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