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사 라주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사 라주티나는 러시아의 은퇴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1984년 월드컵 데뷔 후, 1990년과 1998년 월드컵 종합 우승, 1998년과 2000년 장거리 부문 우승을 차지했다. 올림픽에서 금메달 5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금메달 1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도핑 양성 반응으로 메달이 박탈되고 2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후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미하일 이바노프 (스키 선수)
미하일 이바노프는 동계 올림픽 15km 프리 종목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월드컵 개인전과 팀 경기 포디움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둔 스키 선수이다. - 러시아의 여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나탈리야 네프랴예바
러시아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인 나탈리야 네프랴예바는 평창 동계 올림픽 계주 동메달, 투어 데 스키 우승,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종합 우승을 기록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대회 출전이 금지되었다.
라리사 라주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라리사 예브게니예브나 프티치나 |
출생일 | 1965년 6월 1일 |
출생지 | 콘도포가,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신장 | 1.67m |
국적 | 러시아 |
선수 경력 | |
종목 | 여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
시즌 | 17 (1984–1987, 1989–1990, 1992–2002) |
개인 시작 | 165 |
팀 시작 | 44 |
개인 우승 | 21 |
개인 포디움 | 62 |
팀 우승 | 33 |
팀 포디움 | 41 |
월드컵 종합 우승 | 2 (1990, 1998) |
월드컵 타이틀 | 2 (2 장거리) |
올림픽 메달 (소련/EUN/러시아) | |
1992 알베르빌 | 금메달 - 4 × 5km 계주 (독립국가연합) |
1994 릴레함메르 | 금메달 - 4 × 5km 계주 (러시아) |
1998 나가노 | 금메달 - 4 × 5km 계주 (러시아) |
1998 나가노 | 금메달 - 5 km 클래식 (러시아) |
1998 나가노 | 금메달 - 5 km + 10 km 복합 추적 (러시아) |
1998 나가노 | 은메달 - 15 km 클래식 (러시아) |
1998 나가노 | 동메달 - 30 km 자유형 (러시아)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실격 - 15 km 자유형 (러시아)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실격 - 5 km + 5 km 복합 추적 (러시아) |
세계 선수권 메달 (소련/러시아) | |
1987 오버슈트도르프 | 금메달 - 4 × 5 km 계주 (소련) |
1989 라흐티 | 은메달 - 30 km 자유형 (소련) |
1987 오버슈트도르프 | 동메달 - 20 km 자유형 (소련) |
1993 팔룬 | 금메달 - 5 km 클래식 (러시아) |
1993 팔룬 | 금메달 - 4 × 5 km 계주 (러시아) |
1995 선더베이 | 금메달 - 5 km 클래식 (러시아) |
1995 선더베이 | 금메달 - 5 km + 10 km 복합 추적 (러시아) |
1995 선더베이 | 금메달 - 15 km 클래식 (러시아) |
1995 선더베이 | 금메달 - 4 × 5 km 계주 (러시아) |
1997 트론헤임 | 금메달 - 4 × 5 km 계주 (러시아) |
1999 람자우 | 금메달 - 30 km 클래식 (러시아) |
1999 람자우 | 금메달 - 4 × 5 km 계주 (러시아) |
2001 라흐티 | 금메달 - 4 × 5 km 계주 (러시아) |
1993 팔룬 | 은메달 - 5 km + 10 km 복합 추적 (러시아) |
2001 라흐티 | 은메달 - 5 km + 5 km 복합 추적 (러시아) |
2001 라흐티 | 동메달 - 10 km 클래식 (러시아) |
주니어 세계 선수권 메달 | |
1985 테슈 | 금메달 - 3 × 5 km 계주 |
2. 경력
라리사 라주티나는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총 16개(금메달 1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홀멘콜렌 스키 축제 여자 30km 경기에서 세 번(1995년, 1998년, 2001년) 우승한 최초의 선수이기도 하다.[2] 2015년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Спортивный парк отдыха имени Героя России Ларисы Лазутиной|러시아 영웅 라리사 라주티나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공원ru이 모스크바주 오딘초보에 문을 열었다. 남편 겐나디 라주틴도 전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라주티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 통산 22승(2위 20회, 3위 23회)을 기록했고, 종합 우승은 2회 달성했다.
2. 1. 초기 경력
라리사 라주티나는 1984년 3월 24일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에 데뷔하여 10km 경기에서 15위를 기록했다. 1987년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20km에서 동메달,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2. 2. 전성기 (1988년 - 2001년)
라리사 라주티나는 1988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2] 1989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30k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89-1990 시즌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1993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km와 릴레이에서 금메달, 패슈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2] 1995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km, 15km, 패슈트, 릴레이 4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7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5km, 패슈트, 릴레이 금메달, 15km 은메달, 30km 동메달을 획득했고,[2] 1997-1998 시즌 월드컵에서 두 번째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공동 수상자: 프레드 보레 룸베르그, 알렉세이 프로쿠로프, 하리 키르베스니에미).[2]
1999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릴레이와 30k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1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릴레이 금메달, 패슈트 은메달, 10km 동메달을 획득했다.
2. 3. 도핑 스캔들 및 은퇴 (2002년)
2002년, 라리사 라주티나는 다섯 번째 올림픽인 2002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에 참가했다. 5km + 5km 복합 추격에서 금메달, 10km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2개의 메달을 땄다. 그러나 혈액 검사에서 적혈구 생산을 촉진하는 약물인 다르베포에틴 사용이 확인되어 실격되었다. 요한 뮐레그, 올가 다닐로바와 함께 도핑에 적발된 세 명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중 한 명이었다.[2]2004년 2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03년 12월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라주티나의 2002년 올림픽 메달을 박탈했다. 금지된 약물 사용으로 인해 2002년 국제 스키 연맹(FIS)으로부터 2년간 선수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5]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 이후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라주티나는 2년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3개도 모두 박탈당했다. 이후 선수 생활을 은퇴하고 러시아 대통령실 스포츠 고문을 역임했다.
3. 개인 생활
라리사 라주티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였던 겐나디 라주틴과 결혼했다. 겐나디 라주틴은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5] 라주티나는 은퇴 후 러시아 대통령실 스포츠 고문을 역임했다.
3. 1. 결혼
라주티나의 남편인 겐나디 라주틴도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였으며,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5]4. 수상 기록
라리사 라주티나는 1998년에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프레드 뵈르레 룬드베르그, 알렉세이 프로쿠로로프, 하리 키르베스니에미와 공동 수상).[2] 같은 해, 보리스 옐친 대통령으로부터 러시아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2]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 16개의 메달(금메달 1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을 획득했다. 또한 홀멘콜렌 스키 축제 여자 30km 경기에서 세 번(1995년, 1998년, 2001년) 우승한 최초의 선수였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에서는 통산 22승(2위 20회, 3위 23회)을 기록했으며, 종합 우승은 2회(1989-1990 시즌, 1997-1998 시즌)를 차지했다.
다음은 라주티나의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개인 포디엄(3위 이내) 기록이다.
No. | 시즌 | 날짜 | 장소 | 레이스 | 레벨 | 라흐티, 핀란드 | 30km 개인 F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4 | 1989–90 | 1988년 12월 14일 | 솔저 할로우, 미국 | 15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5 | 1989년 12월 15일 | 썬더 베이, 캐나다 | 15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6 | 1990년 1월 14일 | 모스크바, 소련 | 7.5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7 | 1990년 2월 18일 | 폰트레시나, 스위스 | 15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8 | 1990년 3월 2일 | 라흐티, 핀란드 | 5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9 | 1990년 3월 10일 | 외른셸스비크, 스웨덴 | 10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10 | 1990년 3월 17일 | 방, 노르웨이 | 10 km + 10 km 추격 C/F | 월드컵 | 2위 | ||||
11 | 1992–93 | 1992년 12월 12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5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12 | 1992년 12월 18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15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13 | 1993년 2월 21일 | 팔룬, 스웨덴 | 5 km 개인 C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14 | 1993년 2월 23일 | 10 km 추격 F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
15 | 1993–94 | 1994년 3월 19일 | 썬더 베이, 캐나다 | 5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16 | 1994년 3월 20일 | 10 km 추격 F | 월드컵 | 2위 | |||||
17 | 1994–95 | 1995년 1월 14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5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18 | 1995년 1월 28일 | 라흐티, 핀란드 | 10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19 | 1995년 2월 4일 | 팔룬, 스웨덴 | 10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20 | 1995년 2월 5일 | 10 km 추격 F | 월드컵 | 3위 | |||||
21 | 1995년 2월 11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22 | 1995년 3월 10일 | 썬더 베이, 캐나다 | 15 km 개인 C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23 | 1995년 3월 12일 | 5 km 개인 C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24 | 1995년 3월 14일 | 10 km 추격 F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25 | 1995년 3월 25일 | 삿포로, 일본 | 15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26 | 1995–96 | 1995년 12월 10일 | 다보스, 스위스 | 10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27 | 1995년 12월 17일 | 산타 카테리나, 이탈리아 | 1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28 | 1996년 1월 13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0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29 | 1996년 2월 11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0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30 | 1996년 2월 24일 | 트론헤임, 노르웨이 | 5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31 | 1996년 3월 16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32 | 1996–97 | 1997년 1월 5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5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33 | 1997–98 | 1997년 11월 22일 | 베이토스퇼렌, 노르웨이 | 5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34 | 1997년 12월 13일 | 발디피엠메, 이탈리아 | 5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35 | 1997년 12월 16일 | 15 km 개인 F | 월드컵 | 1위 | |||||
36 | 1998년 1월 4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0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37 | 1998년 1월 9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5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38 | 1998년 1월 11일 | 10 km 추격 F | 월드컵 | 2위 | |||||
39 | 1998년 3월 7일 | 라흐티, 핀란드 | 15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40 | 1998년 3월 11일 | 팔룬, 스웨덴 | 5 km 개인 F | 월드컵 | 1위 | ||||
41 | 1998년 3월 14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42 | 1998–99 | 1998년 12월 19일 | 다보스, 스위스 | 15 km 개인 C | 월드컵 | 3위 | |||
43 | 1999년 2월 27일 | 람사우, 오스트리아 | 30 km 개인 C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
44 | 1999년 3월 7일 | 라흐티, 핀란드 | 1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45 | 1999년 3월 13일 | 팔룬, 스웨덴 | 15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46 | 1999–00 | 1999년 12월 10일 | 사파다, 이탈리아 | 10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47 | 1999년 12월 12일 | 5 km + 7.5 km 스키애슬론 C/F | 월드컵 | 1위 | |||||
48 | 1999년 12월 18일 | 다보스, 스위스 | 15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49 | 2000년 1월 12일 | 노베 메스토, 체코 | 1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50 | 2000년 2월 2일 | 릴레함메르, 노르웨이 | 5 km + 5 km 스키애슬론 C/F | 월드컵 | 1위 | ||||
51 | 2000년 2월 20일 | 트랑스주라시엔, 프랑스 | 44 km 매스 스타트 F | 월드컵 | 3위 | ||||
52 | 2000년 2월 26일 | 팔룬, 스웨덴 | 10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53 | 2000년 3월 5일 | 라흐티, 핀란드 | 15 km 매스 스타트 C | 월드컵 | 1위 | ||||
54 | 2000년 3월 11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 km 개인 C | 월드컵 | 2위 | ||||
55 | 2000–01 | 2000년 12월 8일 | 산타 카테리나, 이탈리아 | 10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56 | 2000년 12월 16일 | 브루손, 이탈리아 | 10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57 | 2001년 3월 4일 | 카브골로보, 러시아 | 15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58 | 2001년 3월 10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59 | 2001년 3월 14일 | 보를랑에, 스웨덴 | 5 km 개인 F | 월드컵 | 3위 | ||||
60 | 2001년 3월 17일 | 팔룬, 스웨덴 | 10 km 개인 F | 월드컵 | 2위 | ||||
61 | 2001년 3월 18일 | 10 km 개인 C | 월드컵 | 1위 | |||||
62 | 2001년 3월 24일 | 쿠오피오, 핀란드 | 40 km 매스 스타트 F | 월드컵 | 3위 |
5. 기타
2015년, 모스크바주 오딘초보에 라주티나의 이름을 딴 스포츠 공원이 개장했다.[2] 정식 명칭은 Спортивный парк отдыха имени Героя России Ларисы Лазутиной|러시아 영웅 라리사 라주티나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공원ru이다.
6.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라리사 라주티나는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총 16개의 메달(금메달 1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을 획득했다.[3] 또한 홀멘콜렌 스키 축제 여자 30km 경기에서 세 번(1995년, 1998년, 2001년) 우승한 최초의 선수이다.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5km + 5km 복합 추격 금메달과 10km 클래식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검사에서 다르베포에틴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되었고, 이후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의해 메달이 박탈되었다.[2]
다음은 라주티나의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나이 | 5 km | 10 km | 15 km | 추적 | 30 km | 스프린트 | 4 × 5 km 계주 |
---|---|---|---|---|---|---|---|---|
1992 | 26 | 7 | — | 8 | 5 | 금메달 | ||
1994 | 28 | 6 | 5 | 4 | — | 금메달 | ||
1998 | 32 | 금메달 | 은메달 | 금메달 | 동메달 | 금메달 | ||
2002 | 36 | DSQ | DSQ | DSQ | DSQ | — | DNS |
6. 1. 올림픽
라리사 라주티나는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첫 올림픽 메달인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2]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또 다른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다.[2]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에서 열린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대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로 기록되었다.[2]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5km + 5km 복합 추격 금메달, 10km 클래식 은메달로 2개의 메달을 추가했다.[2] 그러나 혈액 검사에서 다르베포에틴 양성 반응을 보이며 요한 뮐레그, 올가 다닐로바와 함께 실격되었다.[2]
2004년 2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라주티나의 2002년 올림픽 메달을 박탈했고, 국제 스키 연맹은 금지 약물 사용을 이유로 2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다.[2]
연도 | 나이 | 5 km | 10 km | 15 km | 추적 | 30 km | 스프린트 | 4 × 5 km 계주 |
---|---|---|---|---|---|---|---|---|
1992 | 26 | 7 | — | 8 | 5 | 금메달 | ||
1994 | 28 | 6 | 5 | 4 | — | 금메달 | ||
1998 | 32 | 금메달 | 은메달 | 금메달 | 동메달 | 금메달 | ||
2002 | 36 | DSQ | DSQ | DSQ | DSQ | — | DNS |
6. 2. 세계 선수권 대회
라리사 라주티나는 FIS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 총 1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3]연도 | 나이 | 5 km | 10 km 클래식 | 10 km 프리스타일 | 15 km | 추적 | 20 km | 30 km | 스프린트 | 4 × 5 km 계주 |
---|---|---|---|---|---|---|---|---|---|---|
1987 | 21 | — | 7 | 동메달 | 금메달 | |||||
1989 | 23 | — | 8 | 9 | 은메달 | 은메달 | ||||
1993 | 27 | 금메달 | 4 | 은메달 | 4 | 금메달 | ||||
1995 | 29 | 금메달 | 금메달 | 금메달 | 5 | 금메달 | ||||
1997 | 31 | 4 | 10 | 6 | 4 | 금메달 | ||||
1999 | 33 | — | 8 | — | 금메달 | 금메달 | ||||
2001 | 35 | 동메달 | 7 | 은메달 | — | 금메달 | ||||
1987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20km에서 동메달,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선수권 대회 경력을 시작했다. 1989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30km와 릴레이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3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5km와 릴레이 금메달, 추적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5km, 15km, 추적,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4관왕을 달성했으나, 30km에서는 5위에 그쳤다.
1997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릴레이 금메달, 1999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릴레이와 30km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노르딕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는 릴레이 금메달, 추적 은메달, 10km 동메달을 획득했다.
6. 3. 월드컵
국제 스키 연맹(FIS)에서 발표한 모든 결과는 다음과 같다.[3]라리사 라주티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 통산 22승(2위 20회, 3위 23회)을 기록했으며, 종합 우승은 2회 달성했다.
타이틀 | 횟수 | 시즌 |
---|---|---|
종합 | 2 | 1989-1990, 1997-1998 |
장거리 | 2 | 1989-1990, 1997-1998 |
참조
[1]
웹사이트
Larissa LAZUTINA PTITSYNA - Player Profile - Cross-Country Skiing
https://www.eurospor[...]
[2]
웹사이트
The Voice of Russia ( Olympic games 2002 )
http://www.vor.ru/Ol[...]
[3]
웹사이트
LAZUTINA PTITSYNA Larissa
https://www.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9-12-23
[4]
웹사이트
Olympedia – Larisa Lazutina
https://www.olympedi[...]
2021-10-17
[5]
웹사이트
Süddeutsche Zeitung: ''Epo - Das Märchen vom reinen Sport''
http://www.sueddeu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