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두기는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해남 출신의 동양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1973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숭실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동양사학회 회장, 하버드-옌칭 연구소 연구교수, 함부르크 대학교 연구원, 난징 대학교 객원 교수 등을 지냈다.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정년 퇴임 후 명예교수와 연세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근대사연구》, 《동양사연구자료집요》, 《중국근대개혁운동의 연구》 등이 있으며, 1986년 출판문화상 저작상, 1988년 학술원상 저작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서중학교 동문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 광주서중학교 동문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해남군 출신 - 임영득
임영득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합격 후 해군 법무관으로 관료 생활을 시작, 무소속 및 민주정의당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변호사, 세무사로서 한국세무사회 회장과 대한양돈협회 회장을 지냈다. - 해남군 출신 - 박경두
박경두는 에페를 주 종목으로 하는 대한민국 펜싱 선수로, 아시아 선수권에서 개인전 1회 및 단체전 4회 우승, 세계 선수권 단체전에서 은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도하 그랑프리 개인전과 헤이덴하임 월드컵 개인전에서 우승했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민두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민두기 |
한자 | 閔斗基 |
가타카나 | 민・도우기 |
인물 정보 | |
이름 | 민두기 |
원어 이름 | 閔斗基 |
출생일 | 1932년 11월 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해남군 |
사망일 | 2000년 5월 7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분야 | 역사학 |
학력 | 서울대 대학원 |
소속 | 前 숭실대학교 교수 前 서울대학교 교수 |
직업 | 역사학자, 저술가, 대학교수 |
언어 |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
활동 기간 | 1973년 ~ 2000년 |
수상 | 학술원 저작상 등 |
2. 생애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백야리 출신이다. 해남읍 해리의 심상소학교, 광주서중학교(현 광주제일고등학교)를 거쳐 1955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 1. 학문 활동
1955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염철론〉(鹽鐵論)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부터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69년부터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1998년 정년으로 퇴임할 때까지 후학을 양성했다. 1973년에는 《청대신사층(淸代紳士層)의 연구》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교수 재직 중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연구원, 미국 하버드-옌칭 연구소 객원연구원, 중국 난징 대학교 민국사연구중심 객원교수 등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해외 연구 경력을 쌓았다. 또한 1983년부터 1985년 5월까지 제9대 동양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정년퇴임 후에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석좌교수직을 맡아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7]
2. 2. 사망
2000년 5월 7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향년 68세였다.3. 주요 저서
- 《중국근대사연구》(1973): 한중관계사 중심이던 국내 중국학의 전통을 벗어나 중국사 내부를 깊이 연구한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8]
- 《동양사연구자료집요》(1981)
- 《중국근대개혁운동의 연구》(1985)
- 《강좌중국사》(1989): 그와 제자들이 각 주제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를 정리한 내용으로, 단일 학과 동문 연구자만의 성과로는 해외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저작으로 평가된다.[8]
- 《동양사강의요강》(1989)
- 《중공에서의 역사동력 논쟁》(1990)
- 《신해혁명사》(1994)
- 《한 송이 들꽃과 만날 때》(1997)
- 《중국초기혁명운동의 연구》(1997)
- 《중국의 공화 혁명》(1999)
- 《신언준 현대중국관계논설선》(2000)
4. 수상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閔斗基서울대명예교수 별세
https://n.news.naver[...]
동아일보
2024-03-15
[2]
웹사이트
목포대서 故민두기 교수 학술 세미나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4-03-15
[3]
웹사이트
민두기 - 디지털해남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24-03-15
[4]
웹사이트
JAMS3.0 - 학회소개
https://asiahistory.[...]
2024-03-15
[5]
뉴스
"[부음]민두기 서울대명예교수 별세…中國史의 독보적 존재"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0-05-08
[6]
뉴스
중국사 거두 민두기 교수,죽음도 안알려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00-05-10
[7]
웹인용
민두기
https://web.archiv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011-10-30
[8]
웹인용
민두기
http://100.daum.net/[...]
다음백과
2018-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