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밍크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밍크고래는 수염고래의 일종으로, 일반 밍크고래와 남방 밍크고래의 두 종으로 분류된다. 몸길이는 최대 약 9m, 몸무게는 최대 10t까지 나가며, 전 세계 바다에 널리 분포한다. 과거부터 포경의 대상이 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상업 포경이 이루어지고 있고, 정치망 등에 혼획되는 경우도 있다. 밍크고래는 범고래, 대형 상어, 인간에게 위협을 받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왕고래속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대왕고래속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북극해의 고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극해의 고래 - 북극고래
    북극고래는 북극해와 아북극 해역에 서식하며 두꺼운 지방층과 긴 수염판을 가진 대형 고래류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일부 회복 중이며 기후변화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고 200년 이상의 긴 수명을 가진다.
  • 그린란드의 포유류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그린란드의 포유류 - 북극곰
    북극곰은 곰과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로, 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털과 검은 코를 가지고, 물범을 주로 사냥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해빙 감소로 생존이 위협받는 종이다.
밍크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학명Balaenoptera acutorostrata
명명자라세페드, 1804
나각향고래속
밍크고래
상태관심 필요
상태 참고CITES 부속서 I
CITES 부속서 II (서그린란드 개체군 제외)
서식 범위공통 밍크고래 범위
서식 범위 2난쟁이 밍크고래 범위
화석 범위플라이오세 - 현재
영명밍크고래, 작은 수염고래
형태
난쟁이 밍크고래
평균적인 사람과 비교한 크기
아종
아종B. a. acutorostrata
B. a. scammoni
B. a. ssp.
이명
이명Balaena rostrata (파브리시우스, 1780)
Rorqualus boops (F. 퀴비에, 1836)
Balaena minima (Rapp, 1837)
Balaenoptera eschrichtii (Rasch, 1845)
Pterobalaena minor (Eschricht, 1849)
Agaphelus gibbosus (코프, 1868)
Balaenoptera davidsoni (스캐먼, 1872)
Sibbaldius mondinii (Capellini, 1877)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경우제목
목 (하위)고래목
아목수염고래아목
수염고래과
나각향고래속

2. 명칭

밍크고래라는 명칭은 19세기 노르웨이 포경업자 마인케(Meincke)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4][5][6] 마인케는 스벤 포인(Svend Foyn)을 위해 일하던 독일 노동자로, 어느 날 이 고래 종의 무리를 혹등고래로 오인했다고 한다.[6] 다른 설에 따르면, "밍키(Minkie)"는 항상 등지느러미를 보면 '흐발(Hval)'이라고 외치던 노르웨이 선원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그는 현재 바다에서 '풋내기'의 전형으로 여겨진다고 한다.[5]

이전에는 '작은 창고래(little piked whale)', '작은(lesser) 또는 가장 작은(least) 수염고래(rorqual)', '날카로운 머리의 참고래(sharp-headed finner)' 등으로 알려졌다.[7] 19세기 미국 포경업자들은 이들을 "어린 긴수염고래(young finbacks)" 또는 "긴수염고래 새끼(Finback's calf)"라고 불렀는데, 이는 더 큰 친척인 긴수염고래(fin whale)의 어린 개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7] '츠베르크발(zwergwal)'(독일어: "난쟁이 고래") 또는 '바게흐발(vågehval)'(노르웨이어: "만 고래")이라고도 불렸다.[5]

일본어 이름의 경우, 참치(イワシ) 고래를 뜻하는 "코이와시쿠지라(小鰯鯨)"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일본어에서도 "밍크쿠지라"(ミンククジラ)가 현재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8] 그린란드에서는 덴마크어 이름인 '실데피스케르(sildepisker)'("청어 잡는 자")로 알려져 있다.[9] 스페인어로는 '로르쿠알 알리블랑코(Rorcual aliblanco)'(흰날개 수염고래), '발례나 밍케 코문(Ballena minke común)'(일반 밍크 고래) 또는 '발례나 에나나(Ballena enana)'(난쟁이 고래)로 알려져 있다.

골격

3. 분류

밍크고래는 크게 일반 밍크고래(*Balaenoptera acutorostrata*)와 남방밍크고래(*Balaenoptera bonaerensis*)의 두 종으로 분류된다.[14] 일반 밍크고래는 다시 북대서양밍크고래, 북태평양밍크고래, 난쟁이밍크고래의 세 아종으로 나뉜다. 난쟁이밍크고래는 남반구에 서식하지만, 유전적으로는 남방밍크고래보다 북반구의 일반 밍크고래에 더 가깝다.[15]

오토 파브리시우스(Otto Fabricius)는 1780년 그의 저서 『그린란드 동물상』(Fauna Groenlandica)에서 밍크 고래를 처음 묘사하면서 ''Balaena rostrata''로 분류했다. 1804년, 라세페드(Baron de Lacepede)는 프랑스 셰르부르 근처에서 발견된 어린 암컷을 기반으로 ''Balaenoptera acuto-rostrata''라는 이름을 붙였다.[5][10] 1872년, 찰스 멜빌 스캐몬(Charles Melville Scammon)은 워싱턴 주 애드미럴티 해협에서 발견된 암컷을 기반으로 ''Balaenoptera davidsoni''를 기재했다.[7] 1877년, 조반니 카펠리니(Giovanni Capellini)는 이탈리아 해안에서 포획된 어린 표본을 기반으로 ''Sibbaldius mondini''를 기재했다.[11] 이 두 종은 나중에 ''B. acutorostrata''의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

피터 베스트(Peter Best, 1985)와 피터 아놀드(Peter Arnold), 헬렌 마쉬(Helene Marsh), 조지 하인존(George Heinsohn)(1987)은 별도 연구에서 흰 띠가 있는 지느러미를 가진 남반구의 작은 밍크 고래 형태를 기술했다. 베스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포획된 표본을 기반으로 "소형 형태"를 설명했고, 아놀드 등은 호주에서 얻은 표본과 관찰 결과를 기반으로 "난쟁이 형태"를 명명했다.[12][13]

과거에는 흑긴수염고래와 밍크고래가 단일 종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 미토콘드리아 DNA 검사를 통해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는 별개의 종으로 인식되었으며,[14] 남극 밍크고래가 일반 밍크고래와 가장 가까운 근연종임이 확인되었다.[14] 일반밍크고래와 남극밍크고래는 약 470만 년 전 남반구에서 서로 분화되었으며, 일반밍크고래는 약 150만 년 전에 북반구로 확산되었다.[15]

4. 형태

밍크고래는 수염고래류 중 꼬마긴수염고래 다음으로 작은 종이다.[179] 몸길이는 수컷 약 8m, 암컷 약 9m이고 몸무게는 최대 약 10t이다. 등면과 아래위 턱은 회흑색이며, 배 쪽은 유백색이다. 옆구리에서의 색깔 이행은 완만하여 등면과 배면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다. 가슴지느러미의 3분의 1은 순백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회흑색이며, 바깥쪽에 흰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179] 등지느러미는 항문선보다 약간 앞에 위치하며, 윗부분은 뒤로 굽어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등면은 회흑색이고 배면은 유백색이다. 양쪽에 순백색의 고래수염이 있으며, 인후부(咽喉部)에는 50~60개의 주름살이 있다.

사구네-생로랑 해양공원에서 숨구멍과 등지느러미를 동시에 보이는 쇠돌고래


타두삭 앞바다에서 조디악 보트와 비교한 쇠돌고래의 크기


|thumb|left|사람과 비교한 크기]]

좁고 뾰족한 삼각형의 주둥이와 낮은 물보라 방패를 가지고 있다. 뚜렷하고 똑바로 선 낫 모양의 등지느러미는 평균 높이가 약 30cm이며, 등의 약 3분의 2 지점에 위치한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양쪽 모두 짙은 회색이다. 다만, 왜소형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아래턱 뒤쪽 모서리에 흰색 수염이 나타날 수 있다. 희미한 연회색의 주둥이 안장이 있을 수 있으며, 일부 개체는 숨구멍에서 뻗어 나온 희미한 얇은 숨구멍 줄무늬를 가질 수 있다. 가슴지느러미 사이에는 "어깨 줄무늬"라고 불리는 얇고 연회색의 앞으로 향한 셰브론 무늬가 있다.

흰 지느러미와 어깨의 흰 무늬, 연회색 가슴 부분의 반점, 그리고 다양한 짙은 회색 등 부분을 보여주는 밍크고래(dwarf minke whale)


난쟁이밍크고래는 북방계 밍크고래와 유사하지만, 더 복잡한 색깔 패턴을 가진다. 소형 밍크고래는 수염고래 중 가장 복잡한 색깔을 가지고 있다. 짙은 회색 부분과 망토 모양 부분이 연회색과 흰색 무늬, 반점 및 줄무늬와 번갈아 나타난다.

브라이드고래(그리고 때때로 청고래와 긴수염고래)와 마찬가지로, 소형 밍크고래는 주둥이의 중앙 능선의 양쪽에 보조 능선을 보일 수 있다.[38]

긴수염고래속이나 혹등고래처럼 외형적인 요소에서 개체 차이가 큰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체 식별이 더 어렵지만, 밝은 햇빛 아래 선명하게 촬영된 경우 등의 색깔 차이가 명확해지는 것이 밝혀져 조사용 개체 식별에 활용되고 있다.[179]

5. 생태

밍크고래는 단독 생활을 하거나 2~4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폐가 커서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 잠수할 수 있다.[79] 먹이는 어류, 동물성 플랑크톤, 오징어 등이며, 한 번에 4t 정도를 먹는다. 번식기는 11~1월이며, 임신 기간은 10개월이다.[79] 밍크고래는 극지방에서 열대 지방까지 전 세계 바다에 걸쳐 분포하며, 한국 동해안에도 서식한다.[79] 북대서양과 중앙대서양에는 약 184,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79] 북태평양과 남반구의 개체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90년대 초반 남반구 개체 수는 760,000마리로 추산되었으나 2000년에 철회되었다.[79]

밍크고래는 먹이와 번식을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하지만, 일부는 특정 해역에 연중 머무르기도 한다.[181] 평균 수명은 약 50~60년이다.[186] 브리칭, 헤드슬랩, 스파이호핑 등 수면 행동(영어판)을 하기도 한다.[186] 유영 속도는 시속 30km에 달할 정도로 빠르다.[186] 호기심이 많아 사람이나 선박에 접근하는 경우도 있는데,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는 난쟁이 밍크고래와 함께 수영하는 투어가 인기이다.[186]

일반 밍크고래의 수중 모습. 날개지느러미의 특징적인 흰색 띠를 보여준다.


아조레스 제도에서 발견된 작은밍크고래의 꼬리치기


브리칭(Stellwagen Bank National Marine Sanctuary(스텔워겐뱅크 국립해양보호구역))


물속의 밍크고래(그레이트배리어리프)


사람을 관찰하는 개체(스피츠베르겐섬)


5. 1. 먹이

밍크고래는 어식성 동물이지만, 먹이는 지역, 계절, 연도에 따라 다양하다.[79]

북대서양에서는 주로 작은 떼를 지어 다니는 어류, 저서성 어류, 크릴을 먹는다.[79] 스발바르 제도 해역에서는 유폐류 속 티사노에사(주로 *T. inermis*)를[79], 묄레섬과 바렌츠해 남부에서는 까나리가 주식이다.[79] 노르웨이해에서는 청어[79][80], 북해에서는 주로 멸치류와 고등어[79], 아이슬란드 해역에서는 주로 멸치류, 콜드피시, 청어, 까나리, 대구[81], 그린란드 남동부에서는 까나리, 그린란드 남서부에서는 멸치류가 우세했다.[80] 뉴펀들랜드 해역에서는 대다수가 까나리와 같은 어류만 섭취했다.[82]

북태평양에서는 작은 떼를 지어 다니는 물고기와 크릴이 주요 먹이이다.[83] 북쪽 오호츠크 해에서는 태평양 청어, 사할린섬 동쪽에서는 알래스카 명태를 먹는다.[83] 남쪽 쿠릴 열도 동쪽에서는 고등어와 꽁치[83], 알류샨 열도 서쪽에서는 유폐류[83], 홋카이도의 오호츠크 해 쪽에서는 주로 유폐류, 정어리, 쥐치를 섭취한다.[83] 홋카이도의 태평양 쪽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정어리를 먹는다.[83] 산리쿠에서는 정어리가 식단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유폐류도 중요한 부분이며, 쥐치를 먹는 비율은 소량이다.[83] 일본 과학 조업에서 얻은 서북태평양 자료에 따르면, 멸치가 세 개의 하위 지역 중 두 지역에서 주요 식단 구성 요소이며, 꽁치는 특정 하위 지역에서 주요 먹이였고 다른 하위 지역에서도 중요한 부분이었다.[84]

남극해에서 난쟁이밍크고래는 주로 아귀과 어류를 먹는다.[85] 아남극에서 잡힌 미성숙 암컷은 크릴, 임신한 암컷 두 마리는 물고기, 성숙한 수컷은 아귀과 어류를 먹었다.[86][87] 브라질 남부에서 잡힌 미성숙 수컷은 ''Euphausia similis''(크릴의 일종)로 위가 가득 차 있었다.[88]

세인트로렌스 만에서는 밍크고래가 포획 기동, 흡입 기동, 포획/흡입 기동의 세 가지 유형의 먹이 섭취 행동을 보인다.[111] 사구네 피오르 국립공원에서는 머리로 내리치기, 턱 들기, 잠수 시 내뿜기 등 새로운 먹이 섭취 기술이 관찰되었다.[113]

5. 2. 천적

밍크고래의 주요 천적은 범고래, 대형 상어, 인간이다. 캄차카 반도,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 세인트로렌스 만, 그린란드, 스발바르 등지에서 범고래가 작은밍크고래를 포식하거나 공격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기록되었다.[89][90][91] 범고래의 추격을 받는 작은밍크고래는 보통 먼바다에서 범고래보다 빠르게 헤엄쳐 도망치거나, 만에 갇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범고래에게 들이받히거나 물에 빠져 죽거나, 좌초되어 죽는다. 추격은 보통 30분에서 1시간 정도 지속되며, 최고 시속 30km에 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범고래 2~4마리와 작은밍크고래 1마리가 추격에 관여한다. 범고래는 자신이 죽인 작은밍크고래의 혀, 가죽, 그리고 일부 지방만을 먹는다.[92] 혹등고래가 밍크고래를 범고래로부터 구출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6. 인간과의 관계

노르웨이 작은밍크고래 어획량(파란색 선, 1994~2006)과 포획량(빨간색 선, 1946~2005) (마릿수, 노르웨이 공식 통계자료)


밍크고래는 과거부터 포경의 대상이 되어 왔다.[195] 1100년경 노르웨이 연안에서 밍크고래를 사냥한 기록이 있으며,[122] 1920년대부터는 소형 어선을 이용한 포경이 시작되었다.[123] 1938년에는 면허제가 도입되었다.[108][124] 노르웨이의 상업적 포경은 1987년에 일시 중단되었으나, 1993년에 재개되어 현재까지 연간 450~600마리를 포획하고 있다.[108][124]

일본에서는 1930년대에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에서 처음으로 밍크고래를 포획했으며,[109][131][132][133][134][135][136][137][138][139] 이후 혼슈 북동쪽 해안과 규슈 서해안 등지로 확산되었다.[109][131][132][138] 전후에는 주요 포경 대상이 되었으며, 1956년에는 532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8][109][131][132][138] 1985년 상업 포경 모라토리엄 이후에는 조사 포경을 통해 포획이 이루어지고 있다.[200] 2019년 7월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수산청이 설정한 밍크고래 연간 포획량은 171마리이다.[202]

아이슬란드에서는 1914년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시작되었으며,[125] 1985년에 포경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과학적 허가 하에 재개되었다.[125] 2006년부터는 상업적 포경이 재개되었으나,[125] 최근 포경 자체 폐지를 논의하고 있다.[203]

한국에서는 일제 강점기였던 1930년대 초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이루어졌으며,[1][156][157][158][159] 1970년대에 어획량이 증가하여 1977년과 1978년에는 각각 1,033마리와 1,018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1][156][157][158][159] 1986년 포경이 중단되기 전까지 약 16,000마리가 포획되었다.[1][156][157][158][159]

그린란드에서는 1948년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시작되었으며,[126][127][128] 현재는 원주민에 의한 생존 포경이 이루어지고 있다.[201]

일본과 한국은 정치망에 우연히 혼획된 밍크고래의 식용 등 이용을 허용하고 있다.[206] 그러나 의도적인 포획, 즉 '유사 포경'이 성행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206]

밍크고래는 정치망, 통발, 자망 등 다양한 어구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165] 한국,[165] 일본,[166] 캐나다,[167] 미국,[168] 등 여러 국가에서 밍크고래 혼획 사례가 보고되었다.[11] 1996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에서만 총 1,156마리의 밍크고래가 잡혔으며, 대부분 어린 고래였다.[165]

선박 충돌 또한 밍크고래의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미국 동부 해안, 세인트로렌스 만, 이탈리아 해역에서 선박 충돌이 보고되었다.[171]

일본과 대한민국은 혼획된 밍크고래의 식용을 허용했었지만,[206] 한국은 2021년부터 밍크고래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혼획을 포함한 고기 유통을 금지했다.[211] 그러나 울산광역시 장생포의 식품 업계 관계자 등 일부 주민이 이에 항의하고 있다.[211]

밍크고래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1] 또한, 태평양 제도 고래류 MOU와 흑해 지중해 및 인접 대서양 지역의 고래류 보존 협약(ACCOBAMS)의 적용을 받는다. 일본에서는 밍크고래가 조사 포경 대상이었으며, 북반구 밍크고래는 현재도 일부 국가의 상업 포경 대상이다. 2019년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수산청이 설정한 밍크고래 연간 포획량은 171마리이다.[202]

고마츠 마사유키가 2001년 밍크고래를 “바다의 바퀴벌레”라고 발언하여 고래 유해 동물론을 지지하는 풍조가 나타나기도 했지만,[196] 이러한 주장은 국내외에서 여러 비판을 받았다.[197] 2009년 국제포경위원회 연례 회합에서 당시 일본 정부 대표 대리(모리시타 조지 수산청 참사관)는 고래류에 의한 어업 피해(유해 동물론)를 철회하였다.[198]

밍크고래는 개체 수가 많은 지역에서 고래 관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86]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밍크고래(난쟁이 종)와 함께 수영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86]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각지, 특히 시레토코 반도, 아바시리, 무로란(후카이 만)에서 상업적인 고래 관찰이 이루어지고 있다.[186] 그 외에도 거의 전역의 연안에 출현하지만, 홋카이도 이외의 지역에서는 투어 중 우연히 관찰되는 경우가 있을 뿐 주요 고래 관찰 대상은 아니다.

일본이나 아이슬란드와 같은 포경 국가에서는 상업 포경으로 인해 관찰 사업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215][216][217][218][219] 이미 무로란이나 아바시리에서 투어 중 목격이나 포획 자체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215][216][217][218][219] 아이슬란드에서는 고래 관찰 수요와 동물 권리 관점의 향상 등으로 인해 포경 철폐 움직임도 보이지만,[203][204]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많은 민원이 아이슬란드 정부에 접수되었고, 이후 연안 지역이나 인접 해역에서 포경이 이루어지기도 했다.[179]

밍크고래, 북극고래, 쌀고래는 수염고래류 중에서 사육 기록이 있는 희귀한 종이며,[220] 밍크고래의 경우, 비슷한 크기의 고래류인 범고래를 사육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대형 사육 시설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몇몇 밍크고래가 짧은 기간 동안 사로잡혀 있었다. 모두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교외에 있는 미토 수족관(Mito Aquarium)에서 바다에서 그물로 막은 네모난 수조에 보관되었다. 첫 번째 고래는 1930년대 중반 거의 3개월 동안 전시되었지만, 후반기에만 먹이를 먹었다. 두 번째는 1954년 5월에 태어난 지 몇 주 된 새끼 고래였는데, 2주 만에 죽었다. 마지막 고래는 성별이 확인되지 않은 약 6.1m 크기의 개체였는데, 1955년 11월 26일 수족관 근처의 정치망에 걸려 같은 날 수족관으로 옮겨졌다. 이 고래는 주어진 멸치를 거부했지만 37일 동안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헤엄치다가 1956년 1월 2일 아침에 그물을 뚫고 빠져나갔다. 이는 세 마리의 큰돌고래가 같은 수조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일어난 일이다.[177]

과거에는 일본 이즈 미쓰 시파라다이스에서 1938년, 1954년 5월, 1955년 11월에 사육한 실적이 있으며, 1955년의 경우 37일간의 사육 후 도망쳤다.[221] 이즈 미쓰 시파라다이스는 1982년에도 보호 개체를 단기간 사육했다.[222]

현재는 밍크고래를 사육하는 시설은 없지만, 와카야마현 타이지정에서 밍크고래를 포함한 사육 전시 프로젝트인 『모리우라만 고래의 바다』가 기획된 적도 있다.

6. 1. 포경



밍크고래는 과거부터 포경의 대상이 되어 왔다.[195] 1100년경 노르웨이 연안에서 밍크고래를 사냥한 기록이 있으며,[122] 1920년대부터는 소형 어선을 이용한 포경이 시작되었다.[123] 1938년에는 면허제가 도입되었다.[108][124] 노르웨이의 상업적 포경은 1987년에 일시 중단되었으나, 1993년에 재개되어 현재까지 연간 450~600마리를 포획하고 있다.[108][124]

일본에서는 1930년대에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에서 처음으로 밍크고래를 포획했으며,[109][131][132][133][134][135][136][137][138][139] 이후 혼슈 북동쪽 해안과 규슈 서해안 등지로 확산되었다.[109][131][132][138] 전후에는 주요 포경 대상이 되었으며, 1956년에는 532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8][109][131][132][138] 1985년 상업 포경 모라토리엄 이후에는 조사 포경을 통해 포획이 이루어지고 있다.[200] 2019년 7월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수산청이 설정한 밍크고래 연간 포획량은 171마리이다.[202]

아이슬란드에서는 1914년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시작되었으며,[125] 1985년에 포경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과학적 허가 하에 재개되었다.[125] 2006년부터는 상업적 포경이 재개되었으나,[125] 최근 포경 자체 폐지를 논의하고 있다.[203]

한국에서는 1930년대 초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이루어졌으며,[1][156][157][158][159] 1970년대에 어획량이 증가하여 1977년과 1978년에는 각각 1,033마리와 1,018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1][156][157][158][159] 1986년 포경이 중단되기 전까지 약 16,000마리가 포획되었다.[1][156][157][158][159]

그린란드에서는 1948년부터 밍크고래 포경이 시작되었으며,[126][127][128] 현재는 원주민에 의한 생존 포경이 이루어지고 있다.[201]

일본과 한국은 정치망에 우연히 혼획된 밍크고래의 식용 등 이용을 허용하고 있다.[206] 그러나 의도적인 포획, 즉 '유사 포경'이 성행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206]

6. 2. 혼획 및 보호

밍크고래는 정치망, 통발, 자망 등 다양한 어구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165] 한국,[165] 일본,[166] 캐나다,[167] 미국,[168] 등 여러 국가에서 밍크고래 혼획 사례가 보고되었다.[11] 1996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에서만 총 1,156마리의 밍크고래가 잡혔으며, 대부분 어린 고래였다.[165]

선박 충돌 또한 밍크고래의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미국 동부 해안, 세인트로렌스 만, 이탈리아 해역에서 선박 충돌이 보고되었다.[171]

일본과 대한민국은 혼획된 밍크고래의 식용을 허용했었지만,[206] 한국은 2021년부터 밍크고래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혼획을 포함한 고기 유통을 금지했다.[211] 그러나 울산광역시 장생포의 식품 업계 관계자 등 일부 주민이 이에 항의하고 있다.[211]

밍크고래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1] 또한, 태평양 제도 고래류 MOU와 흑해 지중해 및 인접 대서양 지역의 고래류 보존 협약(ACCOBAMS)의 적용을 받는다. 일본에서는 밍크고래가 조사 포경 대상이었으며, 북반구 밍크고래는 현재도 일부 국가의 상업 포경 대상이다. 2019년 일본의 상업 포경 재개에 따라 수산청이 설정한 밍크고래 연간 포획량은 171마리이다.[202]

고마츠 마사유키가 2001년 밍크고래를 “바다의 바퀴벌레”라고 발언하여 고래 유해 동물론을 지지하는 풍조가 나타나기도 했지만,[196] 이러한 주장은 국내외에서 여러 비판을 받았다.[197] 2009년 국제포경위원회 연례 회합에서 당시 일본 정부 대표 대리(모리시타 조지 수산청 참사관)는 고래류에 의한 어업 피해(유해 동물론)를 철회하였다.[198]

6. 3. 고래 관광

밍크고래는 개체 수가 많은 지역에서 고래 관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86]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밍크고래(난쟁이 종)와 함께 수영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86]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각지, 특히 시레토코 반도, 아바시리, 무로란(후카이 만)에서 상업적인 고래 관찰이 이루어지고 있다.[186] 그 외에도 거의 전역의 연안에 출현하지만, 홋카이도 이외의 지역에서는 투어 중 우연히 관찰되는 경우가 있을 뿐 주요 고래 관찰 대상은 아니다.

일본이나 아이슬란드와 같은 포경 국가에서는 상업 포경으로 인해 관찰 사업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215][216][217][218][219] 이미 무로란이나 아바시리에서 투어 중 목격이나 포획 자체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215][216][217][218][219] 아이슬란드에서는 고래 관찰 수요와 동물 권리 관점의 향상 등으로 인해 포경 철폐 움직임도 보이지만,[203][204]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관광업체 등으로부터 많은 민원이 아이슬란드 정부에 접수되었고, 이후 연안 지역이나 인접 해역에서 포경이 이루어지기도 했다.[179]

6. 4. 사육

밍크고래, 북극고래, 쌀고래는 수염고래류 중에서 사육 기록이 있는 희귀한 종이며,[220] 밍크고래의 경우, 비슷한 크기의 고래류인 범고래를 사육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대형 사육 시설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몇몇 밍크고래가 짧은 기간 동안 사로잡혀 있었다. 모두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교외에 있는 미토 수족관(Mito Aquarium)에서 바다에서 그물로 막은 네모난 수조에 보관되었다. 첫 번째 고래는 1930년대 중반 거의 3개월 동안 전시되었지만, 후반기에만 먹이를 먹었다. 두 번째는 1954년 5월에 태어난 지 몇 주 된 새끼 고래였는데, 2주 만에 죽었다. 마지막 고래는 성별이 확인되지 않은 약 6.1m 크기의 개체였는데, 1955년 11월 26일 수족관 근처의 정치망에 걸려 같은 날 수족관으로 옮겨졌다. 이 고래는 주어진 멸치를 거부했지만 37일 동안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헤엄치다가 1956년 1월 2일 아침에 그물을 뚫고 빠져나갔다. 이는 세 마리의 큰돌고래가 같은 수조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일어난 일이다.[177]

과거에는 일본 이즈 미쓰 시파라다이스에서 1938년, 1954년 5월, 1955년 11월에 사육한 실적이 있으며, 1955년의 경우 37일간의 사육 후 도망쳤다.[221] 이즈 미쓰 시파라다이스는 1982년에도 보호 개체를 단기간 사육했다.[222]

현재는 밍크고래를 사육하는 시설은 없지만, 와카야마현 타이지정에서 밍크고래를 포함한 사육 전시 프로젝트인 『모리우라만 고래의 바다』가 기획된 적도 있다.

7. 보존 상태

밍크고래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다.[1] 또한, 이 종은 태평양 고래류 MOU와 흑해 지중해 및 인접 대서양 지역의 고래류 보존 협약(ACCOBAMS)의 적용을 받는다. 밍크고래는 고차 포식자로서 환경 오염 물질 축적,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한 서식 환경 악화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참조

[1] IUCN Balaenoptera acutorostrata 2022-01-16
[2] MSW3
[3] 웹사이트 Fossilworks: Balaenoptera acutorostrata https://paleobiodb.o[...]
[4] 서적 The cruise of the 'Antarctic' to the South Polar regions Edward Arnold 1896
[5] 서적 The whalebone whales of New England Boston 1916
[6] 서적 The Book of Whales Alfred Knopf 1980
[7] 서적 The Marine Mammals of the North-western Coast of North America: Together with an Account of the American Whale-fishery Dover
[8] 간행물 Studies on the little piked whale from the coast of Japan 1956
[9] 간행물 Greenland red list http://www2.dmu.dk/p[...] Greenland Government and Aarhus University 2014-05-21
[10] 서적 The whalebone whal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Compared with those occurring in European waters Smithsonian institution 1904
[11] 논문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ede, 1804), in the southern northeast Atlantic Ocean and the Mediterranean Sea, with reference to stock identity
[12] 논문 External characters of southern minke whales and the existence of a diminutive form
[13] 논문 The occurrence of two forms of minke whales in east Australian waters with a description of external characters and skeleton of the diminutive or dwarf form
[14] 논문 Cetacea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s of all extant baleen whales and two sperm whale species
[15] 논문 Radiation and speciation of pelagic organisms during periods of global warming: the case of the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16] 논문 Migration of Antarctic minke whales to the Arctic
[17] 논문 Hybrids between common and Antarctic minke whales are fertile and can back-cross
[18] 논문 Length distribution in catches from the northeastern Atlantic stock of minke whales
[19] 간행물 USSR catch and sightings data 1992
[20]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biological parameters for NA minke whales in Icelandic waters
[21] 논문 Body length, reproduction and stock separation of minke whales off Northern Japan
[22] 간행물 Report of the 2002 JARPN II survey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Part II: Coastal component – Coastal survey off Kushiro, northeast Japan 2003
[23] 간행물 Report of the coastal survey on common minke whales off Sanriku coast, northeast Japan: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Phase II (JARPN II) in 2003 (Part II) – Coastal component 2004
[24]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coastal survey on common minke whales off Kushiro, northeast Japan: the 2004 JARPN II survey (Part II) – Coastal component 2005
[25]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5 – Coastal component off Sanriku 2006
[26]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5 – Coastal component off Kushiro 2006
[27]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6 – Coastal component off Sanriku 2007
[28]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6 – Coastal component off Kushiro 2007
[29]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7 – Coastal component off Sanriku 2008
[30]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7 – Coastal component off Kushiro 2008
[31] 논문 Age determination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from laminated structures in the tympanic bulla
[32] 논문 The dwarf form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ede, 1804, in Brazil
[33] 논문 Morphology of minke whales in the Okhotsk Sea, Sea of Japan and off the East Coast of Japan, with respect to stock identification
[34] 논문 Morphometric comparison of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from different areas of the North Atlantic, including animals from Icelandic waters
[35] 간행물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from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dividual recognition and small-scale site fidelity 1990
[36] 논문 A note on the first record of the dwarf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Chilean waters
[37] 논문 Stranding of a dwarf minke whale at Banks Peninsula, New Zealand
[38] 논문 Colour patterns of the dwarf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sensu lato: description, cladistic analysis and taxonomic implications
[39] 논문 First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record for James Bay
[40] 논문 First record of a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Manitoba waters
[41] 논문 Reports of humpback and minke whales in the Hudson Bay region, eastern Canadian Arctic
[42] 간행물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etaceans off Maderia archipelago (Portugal)
[43] 웹사이트 The Status of Cetaceans in the Black Sea and Mediterranean Sea http://www.cetaceana[...] 2021-08-13
[44] 논문 Current knowledge of the cetacean fauna of the Greek Seas http://cetaceanallia[...] 2016-04-21
[45] 논문 Winter records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ede 1804) in the southern North Atlantic
[46] 논문 Norwegian whale sightings and acoustic surveys in the Atlantic Ocean during the winter of 1989/90
[47] 논문 A visual sighting and acoustic detection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Cetacea: Balaenopteridae), in nearshore Hawaiian waters
[48] 서적 Acoustic ecology and behavior of minke whales in the Hawaiian and Marianas Islands: localization, abundance esti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nke whale 'boings' Springer, New York
[49] 논문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davidsoni'', inhabiting inshore waters of the Chukotka coast
[50] 논문 Cetacean strandings in Oregon and Washington between 1930 and 2002
[51] 서적 Cetaceans of the Channel Islands National Marine Sanctuary National Marine Sanctuary Program
[52] 논문 Abundance, season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composition of balaenopterid whales in the Canal de Ballenas, Gulf of California, Mexico
[53] 논문 Source of the North Pacific "boing" sound attributed to minke whales
[54] 간행물 Record of a dwarf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northern Brazil
[55] 논문 A review of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hales of the genus ''Balaenoptera'' along the Brazilian coast
[56] 논문 Occurrence of dwar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on the northern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57] 논문 Occurrence of dwar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subsp.) around the Antarctic Peninsula
[58] 논문 Abundance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Northeast Atlantic: variability in time and space
[59] 논문 Estimates of large whale abundance in Greenlandic waters from a ship-based survey in 2005
[60] 논문 Estimates of large whale abundance in West Greenland waters from an aerial survey in 2005
[61] 논문 Aerial surveys of cetaceans in the Gulf of St. Lawrence in 1995 and 1996
[62] 뉴스 Norge får kritikk for hvalfangsten - mens antallet vågehval i norsk farvann bare øker https://www.nrk.no/n[...] 2021-12-11
[63] 논문 Minke whale abundance in the northwest Pacific and Okhotsk Sea, estimated from 1989 and 1990 sighting surveys
[64] 논문 Mysticete whale abundance and observations on prey association on the central Bering Sea shelf
[65] 논문 Abundance, trends and distribution of baleen whales off Western Alaska and the central Aleutian Islands
[66] 논문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marine mammals in the coastal waters of British Columbia, Canada
[67] 간행물 Photo-identification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around the Isle of Mull, Scotland
[68] 논문 Distribution, diving behaviour and identification of the North Atlantic minke whale in northeast Scotland
[69] 논문 Photo-identification rate and wide-scale movement of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coastal waters of Faxaflói and Skjálfandi Bays, Iceland
[70] 간행물 Identifying a majority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t. Lawrence based on the presence of dorsal fin edge marks
[71] 간행물 Site fidelity of individual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t. Lawrence estuary
[72] 간행물 Population size and site fidelity of North Atlantic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acutorostrata) off the Atlantic coast of Nova Scotia, Canada
[73] 간행물 Migration and local movements of common minke whales tracked by satellite in the North Atlantic during 2001-2010
[74] 논문 Seasonal movements and ecological markers as evidence for migration of common minke whales photo-identified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75] 뉴스 Minke route pits whale hunt against tourism http://www.smh.com.a[...] 2013-11-30
[76] 논문 Age determination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using the aspartic acid racemization technique
[77] 논문 Genetic analyses reveal promiscuous mating in female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78]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Whales and Dolphins Facts on File
[79] 논문 Relative abundance and size composition of prey in the common minke whale diet in selected areas of the northeastern Atlantic during 2000–04
[80] 논문 The food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northern North Atlantic waters
[81] 논문 Recent changes in the diet composition of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Icelandic waters –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82]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Newfoundland fishery for minke whales
[83] 논문 Notes on minke whales in the Okhotsk Sea-West Pacific area
[84] 간행물 Prey consumption and feeding habits of common minke, sei and Bryde's whal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85]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Elsevier/Academic Press
[86] 논문 Report of the 1990/91 southern minke whale research cruise under scientific permit in Area V
[87] 논문 Preliminary report of the 1987/88 Japanese feasibility study of the special permit proposal for Southern Hemisphere minke whales
[88] 논문 Biological observation on a dwarf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caught in southern Brazilian waters, with a new record of prey for the species
[89] 논문 A review of killer whale interactions with other marine mammals: predation to co-existence http://swfsc.noaa.go[...]
[90] 논문 Fight or flight: antipredator strategies of baleen whales
[91] 논문 Stomach contents and feeding behavior of killer whale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92] 논문 Killer whale attacks on minke whales: prey capture and antipredator tactics
[93] 논문 Greenland sharks (Somniosus microcephalus) scavenge offal from minke (Balaenoptera acutorostrata) whaling operations in Svalbard (Norway)
[94] 뉴스 Great white sharks, blue sharks spotted feasting on minke whale carcass off Ventura http://www.petethoma[...] Pete Thomas Outdoors 2013-09-30
[95] 논문 World-wide whale worms? A new species of Osedax from the shallow north Atlantic 2005
[96] 논문 Epibiotic macrofauna on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épède, 1804, in Icelandic waters
[97] 논문 Feeding of sea lampreys Petromyzon marinus 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t. Lawrence Estuary, Canada
[98] 논문 A note on the parasite fauna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99] 논문 Occurrence and group characteristic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Massachusetts Bay and Cape Cod Bay
[100] 논문 North Atlantic sightings survey 1989 (NASS-89) shipboard surveys in Icelandic and adjacent waters July–August 1989
[101] 논문 Summer sightings of dwar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off the eastern coast of Rio de Janeiro State, Brazil
[102] 논문 Collection of biological material of minke whales off West Greenland, 1979
[103] 논문 Norwegian minke whaling off West Greenland, 1976–80 and biological studies of West Greenland minke whales
[104] 논문 Further biological studies of the West Greenland minke whale
[105] 논문 On the discreteness of stocks of minke whales at East and West Greenland
[106] 논문 Sexual segregation of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Greenland, and the influence of sea temperature on the sex ratio of catches
[107] 간행물 Geographic, temporal and size segregation of sexes of the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Icelandic waters based on catch data from 1974 to 2009
[108]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Harvard University Press
[109] 논문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in 1981,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stock boundary
[110] 논문 Latitudinal segregation of the Okhotsk Sea-West Pacific stock of minke whales
[111] 논문 Feeding techniques and foraging strategie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t. Lawrence River estuary
[112] 논문 Surfacing rates and surfacing pattern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off central California, and the probability of a whale surfacing within visual range
[113] 논문 Novel surface feeding tactic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aguenay-St. Lawrence National Marine Park
[114] 논문 Decreased feeding ability of a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with entanglement-like injuries
[115] 논문 Vocalisations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St. Lawrence estuary
[116] 논문 Characteristics of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pulse trains recorded near Puerto Rico
[117] 논문 Minke whale acoustic behavior and multi-year seasonal and diel vocalization patterns in Massachusetts Bay, USA
[118] 논문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boings detected at the Station ALOHA Cabled Observatory
[119] 논문 Marine mammal acoustic detections in the northeastern Chukchi Sea, September 2007–July 2011
[120] 논문 Minke whale boing sound detections in the northeastern Chukchi Sea
[121] 논문 Localization and visual verification of a complex minke whale vocalization
[122] 서적 The grandest of lives: eye to eye with whales Counterpoint
[123] 논문 Catch and effort and the sex composition in the Norwegian minke whale fishery, 1976-1980
[124] 논문 Operational patterns of the Norwegian minke whale fishery
[125] 논문 Icelandic minke whaling 1914-1980
[126] 논문 Catch statistics for minke whales, West Greenland, 1954-74
[127] 논문 Catch of minke whales by fishing vessels in West Greenland
[128] 논문 Sex ratio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catch of minke whales in West Greenland
[129] 논문 Tables showing the catch of small whales (including minke whales) caught by Norwegians in the period 1938–75, and large whales caught in different North Atlantic waters in the period 1868–1975
[130] 논문 Catches of Minke Whales during the Ancient Whaling Era in Japan with a Note on pre-World War II Catches by Modern Whaling
[131] 논문 Catch of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132] 논문 A note on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133] 논문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1978
[134] 논문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1979
[135] 논문 Minke whales in the coastal waters of Japan, 1980 and a population assessment of the Okhotsk Sea-West Pacific stock
[136] 논문 Further analysis of CPUE data for the Okhotsk Sea-West Pacific stock of minke whales
[137] 논문 CPUE trend for the Okhotsk Sea-West Pacific stock of minke whales, 1977-1984
[138] 논문 Catch and CPUE trend for the Okhotsk Sea-West Pacific stock of minke whales, 1977-86
[139] 논문 A note on whaling grounds for the western North Pacific minke whale
[140] 논문 Provisional report on the minke whale caught under special permit in the North Pacific
[141]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a special permit for North Pacific minke whales in 1994
[142]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a Special Permit for North Pacific minke whales in 1995 with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analysis of data collected
[143]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a Special Permit in the North Pacific (JARPN) in 1996 with some preliminary analysis of data collected during the 1994–1996 JARPN surveys
[144]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a Special Permit in the North Pacific (JARPN) in 1997
[145]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a special permit in the North pacific in 1998
[146] 논문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North Pacific (JARPN) in 1999
[147] 논문 Progress Report of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Phase II (JARPN II) in 2000
[148] 논문 Cruise report of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Japanese whales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phase II (JARPN II) in 2001
[149]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Phase II (JARPN II) in 2002 (part I) – Offshore component
[150]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6 (part I) – Offshore component
[151]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Phase II (JARPN II) in 2003 (part I) – Offshore component
[152] 논문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08 (part I) – Offshore component
[153] 논문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11 – (Part II) – Coastal component off Kushiro, spring survey
[154] 논문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12 (Part III) – Coastal component off Kushiro
[155] 간행물 Cruise Report of the second phase of the Japanese Whale Research Program under Special Permi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ARPN II) in 2012 (part I) – Offshore component
[156] 학술지 Minke whales in the waters off Korea
[157] 학술지 Review of coastal whaling by the Republic of Korea
[158] 학술지 Effort, catch and sightings data for the minke whale fishery in Korean waters
[159] 학술지 A note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minke whales in Korean waters
[160] 간행물 British Columbia commercial whaling catch data 1908 to 1967: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C. historical whaling database
[161] 학술지 Brazil Progress Report on cetacean research, June 1980 to May 1981
[162] 논문 Review of the general methodology and survey procedure under JARPA
[163] 학술지 Cruise report and preliminary analysis of the 1988/89 Japanese feasibility study of the special permit proposal for southern hemisphere minke whales
[164] 학술지 External and biochemical characters as an approach to stock identification for the Antarctic minke whale
[165] 간행물 A review on the status of bycatch minke whales in Korean waters
[166] 학술지 Incidental take of minke whales in Japanese trap nets
[167] 학술지 Net entanglements of baleen whales in the inshore fishery of Newfoundland
[168] 학술지 Entanglements of baleen whales in fishing gear off southern California
[169] 보고서 Entanglement of minke whales in Scottish waters: an investigation into occurrence, causes and mitigation
[170] 학술지 First report of a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ede, 1804) in Hellenic waters
[171] 학술지 Collisions between ships and whales
[172] 학술지 Vessel collisions with small cetaceans worldwide and with large whales in the Southern Hemisphere, an initial assessment
[173] 학술지 Trophic transfer of the harmful algal toxin domoic acid as a cause of death in a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stranding in southern California
[174] 간행물 Fatal plastic impaction in a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175] 뉴스 Beached New Jersey whale tests positive for virus that afflicted dolphins http://www.cnn.com/2[...] CNN 2015-01-19
[176] 웹사이트 2017–2021 Minke Whale Unusual Mortality Event along the Atlantic Coast {{!}} NOAA Fisheries https://www.fisherie[...] 2021-03-08
[177] 논문 Note on a minke whale kept alive in aquarium
[178] 웹사이트 Balaenoptera acutorostrata http://www.iucnredli[...] 2009-04-24
[179] 서적 ビジュアル クジラ&イルカ大図鑑 日経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24-02-15
[180] 서적 捕鯨に生きた 成山堂書店 1997
[181] 웹사이트 山口県鯨類目録 https://web.archive.[...] 2014
[182] 서적 南極の自然誌 どうぶつ社 1995
[183] 논문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ede, 1804), in the southern northeast Atlantic Ocean and the Mediterranean Sea, with comments on stock identity
[184] 웹사이트 There are now two whales in Montreal's St. Lawrence River https://montreal.ctv[...] 2022-05-22
[185] 웹사이트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https://iucn-csg.org[...]
[186] 웹사이트 16 facts about dwarf minke whales that you didn't know https://www.queensla[...] 2021
[187] 웹사이트 Humpback whales interfering when mammal-eating killer whales attack other species: Mobbing behavior and interspecific altruism? https://onlinelibrar[...] 2016-07-20
[188] 웹사이트 クジラの三角関係!? https://www.e-shiret[...] 2021-07-18
[189] 웹사이트 IWC pupularion estimates http://www.iwcoffice[...]
[190] 웹사이트 国際漁業資源の現況 平成24年度 48 ミンククジラ オホーツク海-北西太平洋 http://kokushi.job.a[...]
[191] 웹사이트 平成20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状 ミンククジラ オホーツク海―西太平洋 http://kokushi.job.a[...]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192] 웹사이트 ミンククジラ(minkewhale)Balaenoptera acutorostra http://ika-net.jp/ja[...]
[193] 웹사이트 Whales targeted by Japan face extinction threat https://www.france24[...] 2019-07-01
[194] 웹사이트 クジラの個体数は回復していない、専門家らが指摘 https://www.afpbb.co[...]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ヴ・リンク 2008-06-23
[195] 웹사이트 Species https://www.cms.int/[...]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196] 뉴스 Japan’s whale song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1-07-24
[197] 뉴스 「日本で魚が獲れない理由」を知った小学生の驚愕 - よくある大人の反論「外国船・海水温上昇・クジラ」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4-11-09
[198] 뉴스 「クジラが魚食べて漁獲減」説を政府が撤回 - 国際捕鯨委員会で森下・政府代表代理が「修正」発言 https://web.archive.[...] JanJan 2009-06-30
[199] 웹사이트 IWC: Catches taken: Under Objection-Catches under Objection since 1985 http://www.iwcoffice[...]
[200] 웹사이트 IWC: Catches taken: Under Scientific Permit-Special Permit catches since 1985 http://www.iwcoffice[...]
[201] 웹사이트 IWC: Catches taken: ASW-Aboriginal Subsistence Whaling catches since 1985 http://www.iwcoffice[...]
[202] 뉴스 読売新聞 2019-07-01
[203] 뉴스 Does Iceland end whaling in 2024? https://polarjournal[...] The Polar Journal
[204] 뉴스 アイスランド、捕鯨反対の新政権になる前に「駆け込み」で捕獲を許可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12-12
[205] 서적 クジラを捕って、考えた 徳間書店 2004
[206] 웹사이트 セミクジラ https://www.biodic.g[...] 環境省 1998-03
[207] 웹사이트 Hope for whales in South Korea as coastguard announces clamp down on illegal hunting https://us.whales.or[...] 2017-01-26
[208] 웹사이트 국립수산과학원, '혼획·좌초 고래 신고 핫라인 구축' https://nocutnews.co[...] 2017-11-16
[209] 웹사이트 S. Korea tightens regulations on sales of whales https://en.yna.co.kr[...] 2021-05-11
[210] 웹사이트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o be released after 17 years https://koreajoongan[...] 2022-08-03
[211] 웹사이트 고래 고기 못팔게 되나… 장생포 주민들 발칵 https://www.chosun.c[...] 2023-08-08
[212] 웹사이트 Catches taken: ASW https://iwc.int/tabl[...] 2024-01-30
[213] 블로그 シーズンイン前にミンククジラ♪ https://mfia.blog.jp[...] 2022-03-12
[214] Youtube 陸奥湾に珍しいザトウクジラ まったりと https://www.youtube.[...] 東奥日報社 2020-06-08
[215] 페이스북 青森・陸奥湾 イルカ情報 https://www.facebook[...] 2021-06-10
[216] 간행물 海の生物多様性保全とクジラと私たち https://www.jawan.jp[...] 日本湿地ネットワーク 2007
[217] 보고서 網走の捕鯨100年 クジラの街で再出発するには https://nodaiweb.uni[...] 網走青年会議所 2024-05-07
[218] 뉴스 北海道室蘭沖の捕鯨、今年は断念 新拠点、ミンククジラ確認できず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20-09-10
[219] 라디오 42: 噴火湾の鯨類とアイヌ民族 - #285 笹森琴絵 編 https://open.spotify[...] FMくしろ, fm946 midori Various Corners 2024-09-18
[220] 논문 Vocalizations of a captive juvenile and free-ranging adult-calf pairs of Bryde's whales, ''Balaenoptera edeni'' https://www.research[...]
[221] 웹사이트 海棲哺乳類ストランディングデータベース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22-04-10
[222] 논문 伊豆・三津の水族館で保護された4頭目のミンククジラ II.形態・解剖学的研究 1994
[223] 웹인용 외국에 사는 고래, 우리말로 어떻게 부를까? https://www.nifs.go.[...] 2024-10-06
[224] 웹인용 밍크고래 https://species.nibr[...]
[225] 데이터베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