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바리아소나무밭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바리아소나무밭쥐(Microtus bavaricus)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과거에는 밭쥐속(Pitymys)에 속했으나, 현재는 Terricola 아속으로 분류된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리히텐슈타인밭쥐(M. liechtensteini)의 이명으로 보기도 한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 북알프스를 포함한 3개의 빙하기 피난처에서 생존했으며,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0년 독일-오스트리아 국경 부근에서 개체군이 발견되었다. 2010년 연구에서는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에서도 발견되었으며, 현재 IUCN에 의해 심각한 위협종으로 재평가되었다. 2024년 알펜동물원 인스브루크에서 번식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야생 방사를 진행하고 있다. 유전 연구 결과, 다른 아속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기재된 포유류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는 뉴질랜드에 서식했던 중간 크기의 박쥐로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보다 크고 튼튼한 체형을 지녔으나, 폴리네시아 쥐의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1965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0년대 후반 목격담으로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어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 1962년 기재된 포유류 - 털꼬리나무쥐
털꼬리나무쥐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며,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자세한 정보가 부족하다. - 물밭쥐아과 - 밭쥐속
밭쥐속(Microtus)은 밭쥐에 속하는 포유류 속으로, 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한국 등지에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갈밭쥐와 일본밭쥐가 발견된다. - 물밭쥐아과 - 발칸눈밭쥐
발칸눈밭쥐는 5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 바바리아소나무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Microtus bavaricus |
| 명명자 | (König, 1962) |
| 영명 | Bavarian pine vole |
|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CR) |
| IUCN 평가 기준 | IUCN 3.1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쥐아목 |
| 상과 | 쥐상과 |
| 과 | 비단털쥐과 |
| 아과 | 미즈하타네즈미아과 |
| 족 | 물밭쥐족 |
| 속 | 하타네즈미속 |
| 아속 | Terricola |
2. 분류
과거에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밭쥐속(''Microtus'')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서는 리히텐슈타인밭쥐( ''M. liechtensteini'')의 동종이명으로 보기도 한다[6][7][8].
2. 1. 학명 및 분류 체계 변천
과거에는 밭쥐속 ''Pitymys''로 분류되었으나, 2005년 분류에서는 이 속이 밭쥐속의 동종이명으로 처리되면서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Terricola'' 아속에 포함되었다[6].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리히텐슈타인밭쥐의 동종이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7][8].2. 2. 근연종
유전 연구에 따르면, 바바리아소나무밭쥐(''Microtus bavaricus'')는 다른 아속과 비교했을 때 유전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리히텐슈타인밭쥐(''Microtus liechtensteini'')와는 분리된 클러스터를 형성하며, 타트라밭쥐(''Microtus tatricus'')와도 가까운 관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과거에는 밭쥐속 ''Pitymys'' 아속으로 분류되었으나, 2005년 분류 체계에서는 ''Pitymys''가 밭쥐속(Microtus)의 시노님으로 처리되면서,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Terricola'' 아속에 포함되었다.[6] 한편,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서는 리히텐슈타인밭쥐( ''M. liechtensteini'')의 시노님으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7][8]
3. 분포 및 서식지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과거 알프스산맥의 특정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때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오스트리아 티롤주와 크로아티아에서 개체군이 다시 발견되면서 분포 지역이 재확인되었다.[2] 현재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심각한 위협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3]
3. 1. 과거 분포
마지막 빙하기 동안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북알프스를 포함한 3개의 빙하기 피난처에서 생존했다.3. 2. 현재 분포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23개의 박물관 표본만 존재하며, 과거에는 바이에른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의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80년대 병원 건설로 서식지가 변경되었고, 1962년 이후로는 관찰 기록이 없어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2000년, 독일-오스트리아 국경 바로 너머인 오스트리아 북부 티롤주에서 이 종으로 추정되는 개체군이 다시 발견되었다. 오스트리아 과학자 프리데리케 슈피첸베르거가 생포 덫을 통해 우연히 발견했으며, 이후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바바리아소나무밭쥐임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이 종은 동부 알프스 지역에 서식하는 리히텐슈타인밭쥐와 매우 가까운 유전적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2010년 연구에서는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지역에서도 이 종이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기존에 알려진 서식지와는 상당히 다른 곳이다. 연구진은 다른 종과의 경쟁으로 인해 서식지가 변화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개체 수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바바리아소나무밭쥐의 정확한 개체 수와 분포 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심각한 위협(Critically Endangered) 등급으로 재평가하여 보호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있다. 2024년 7월 기준으로, 알펜동물원 인스브루크는 바바리아소나무밭쥐의 야생 복원과 추가 연구를 목표로 "종 생존 센터"에서 번식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
4. 생태 및 보존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과거 독일 바이에른주의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62년 이후 기록이 없어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오스트리아 북부 티롤주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에서 개체군이 재발견되었다.
유전자 연구 결과, 이 종은 동부 알프스 지역의 리히텐슈타인밭쥐와 매우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 제한된 서식 범위와 적은 개체 수로 인해 IUCN은 바바리아소나무밭쥐를 심각한 위협 상태로 분류하였다. 현재 정확한 개체 수와 분포 범위 파악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알펜동물원 인스브루크에서는 성공적인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야생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3]
4. 1. 위협 요인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오랫동안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원래 알려진 유일한 서식지인 독일 바이에른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지역은 1980년대 병원 건설로 인해 서식 환경이 크게 변경되었다. 이 설치류는 1962년 이후 공식적인 기록이 없어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다.그러나 2000년, 오스트리아 북부 티롤주에서 이 종으로 추정되는 개체군이 발견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2010년에는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원래 알려진 서식지와는 다른 곳이다. 제한된 개체 수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다른 종과의 경쟁으로 인해 서식지가 변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유전자 연구 결과,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동부 알프스 지역에 서식하는 리히텐슈타인밭쥐와 매우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 하지만 여전히 개체 수가 매우 적고 분포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IUCN은 이 종을 심각한 위협 상태로 재평가했다. 정확한 개체 수와 분포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알펜동물원 인스브루크에서는 이 종을 야생으로 돌려보내고 추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종 생존 센터"에서 번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3]
4. 2. 보존 노력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한때 독일 바이에른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의 특정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0년대 병원 건설로 서식지가 변경되었다. 1962년 이후로는 표본이 기록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그러나 2000년, 오스트리아 과학자 프리데리케 슈피첸베르거가 오스트리아 북부 티롤주에서 생포 덫을 통해 우연히 이 종을 다시 발견했다. 이후 유전자 연구를 통해 이 종의 지위가 확인되었으며, 동부 알프스 지역의 리히텐슈타인밭쥐와 매우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 이 발견으로 인해 IUCN(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바바리아소나무밭쥐의 보존 상태를 위급 단계로 재평가했으며, 정확한 개체 수와 분포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2024년 7월,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 위치한 알펜동물원 인스브루크는 이 종의 야생 복원과 추가 연구를 목표로 "종 생존 센터"에서 번식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획기적인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
5. 유전적 특징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5. 1. 다른 아속과의 관계
유전 연구에 따르면, 바바리아소나무밭쥐(''Microtus bavaricus'')는 다른 아속과 비교했을 때 유전자 염기 서열에서 뚜렷한 유사성이나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특히 리히텐슈타인밭쥐(''Microtus liechtensteini'')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유전적 그룹(클러스터)을 형성하며, 타트라밭쥐(''Microtus tatricus'')와도 가까운 관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과거에는 밭쥐속의 아속인 ''Pitymys''로 분류되었으나, 2005년 분류 체계에서는 ''Pitymys'' 아속이 밭쥐속(Microtus)의 동의어(시노님)로 간주되면서,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Terricola'' 아속에 포함되었다[6]。 하지만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서는 리히텐슈타인밭쥐(''M. liechtensteini'')의 동의어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7][8]。
참조
[1]
간행물
"''Microtus bavaricus''"
2021-11-19
[2]
논문
The origi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icrotus bavaricus'' based on karyotype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s
https://www.ivb.cz/w[...]
2007
[3]
웹사이트
Alpenzoo Innsbruck and IUCN SSC launches new Centre for Species Survival to aid endangered wildlife - News
https://iucn.org/new[...]
2024-10-27
[4]
간행물
"''Microtus bavaric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doi.org/10.2[...]
2024-11-25
[5]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6]
서적
Superfamily Muroide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7]
웹사이트
"''Microtus liechtensteini''"
https://doi.org/10.5[...]
Zenodo
2024-11-25
[8]
간행물
"''Microtus liechtenstein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24-11-25
[9]
저널
"''Microtus bavaricus''"
http://www.iucnredli[...]
IUCN
2018-01-11
[10]
MSW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