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덕영 (196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덕영은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치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의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두 차례 치과대학장을 역임하고 기획협력처장, 교무처장 및 교학부총장, 총장 직무대행을 지냈다. 또한 세계치과의사연맹 공중보건위원, 대한치과보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대학 발전 계획으로 학생 성공, 지역 발전, 지속 발전을 연계한 대학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 한송
    한송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 학장, 총장을 역임하며 대학 행정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치의학자이다.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 반선섭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유승희
    유승희는 광명시의원으로 정계 입문 후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민주통합당 소속 서울 성북구 갑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여성 정치 참여 확대, 서민 경제 활성화,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활동과 법안 발의 및 정책 연구에 참여했으며, 기초의원 여성 공천 할당, 미군 기지촌 여성 문제 공론화 등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한송
    한송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 학장, 총장을 역임하며 대학 행정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치의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박덕영 (196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덕영
박덕영
직책제5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임기2024년 4월 24일~현재
전임반선섭
국적대한민국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박사
경력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웹사이트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인사말

2. 학력

연도학교 및 학위
1995년 ~ 1997년서울대학교 치의학과 박사
1992년 ~ 1994년서울대학교 치의학과 석사
1985년 ~ 1989년서울대학교 치의학 학사
1983년 ~ 1985년서울대학교 치의예과
1980년 ~ 1983년서울 성동고등학교


3. 경력

박덕영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의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장, 기획협력처장, 교무처장 및 교학부총장, 총장 직무대행 등을 역임했다.

교외에서는 세계치과의사연맹(FDI) 공중보건위원, 대한치과보험학회 회장,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감사, 한국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법규교육교수협의회 회장, 보건복지부 구강보건사업지원단 교육홍보분과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3. 1. 교내 경력

직위기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직무대행2019년 11월 ~ 2020년 2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무처장 및 교학부총장2018년 2월 ~ 2020년 2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기획협력처장2016년 2월 ~ 2018년 1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장2012년 3월 ~ 2014년 3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장2008년 3월 ~ 2010년 2월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치의학과 교수1997년 ~ 현재


3. 2. 교외 경력


  • 세계치과의사연맹(FDI) 공중보건위원
  • 대한치과보험학회 회장 (2019~2021)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 (2014~2019)
  •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감사 (2013~2014)
  • 한국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법규교육교수협의회 회장 (2010~2024)
  • 보건복지부 구강보건사업지원단 교육홍보분과위원회 위원장 (2006~2007)

4. 대학발전계획

박덕영 후보는 'STRONG GWNU'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학생 성공지역 발전을 연계하고 지속 발전하는 대학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자율, 균형, 소통을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1]

구체적으로, 'STRONG GWNU'는 다음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추진 전략을 포함한다.[1]


  • S: Student Success (학생 성공 기반 강화)
  • T: Target-ori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 가능한 발전 지향)
  • R: Rational Management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행정 추구)
  • O: Open Administration (소통과 공감으로 구성원 소속감 강화)
  • N: Network with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지·산·학·연 협력 체계 강화)
  • G: Glocalization Projects (글로컬30 사업 성공 추진 선도)

4. 1. 세부 추진 전략

박덕영 후보는 'STRONG GWNU'라는 비전 아래, 학생 성공과 지역 발전을 연계하며 지속 발전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한 세부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이 전략은 자율, 균형, 소통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6가지 분야로 구성된다.

  • 학생 성공(Student Success):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 지원, 미래 사회에 맞는 교육 체계 구축, 기초 학습 역량 강화, 학생 생활관 및 장학 제도 개선 등을 통해 학생 성공을 지원한다.
  • 지속 가능한 발전(Target-ori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연구 및 교육 여건 개선, 신입생 및 유학생 유치 강화, 발전 기금 확충 등을 통해 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 합리적 경영(Rational Management): 행정 체계 개편, 학과 지원 강화, 산학 협력 서비스 강화, 효율적인 인사 및 공간 관리, 우수 구성원 포상 등을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대학 운영을 추구한다.
  • 열린 행정(Open Administration): 교원 인사, 명예교수 제도, 구성원과의 소통 및 참여, 복지 강화 등을 통해 소통과 공감을 중시하는 열린 행정을 구현한다.
  • 정부 및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Network with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지역 협력 강화, 관공서 및 기업과의 협력, 지역 연계 교육 강화, 교내 시설 공유 등을 통해 대학과 지역 사회의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 글로컬라이제이션 프로젝트(Glocalization Projects): 글로컬30 사업 성공 추진을 위해 거버넌스 확립, 특례 기준 제정, 기초 학문 보호, 원주캠퍼스 발전 방안 마련, 캠퍼스 글로벌화 등을 추진한다.

4. 1. 1. 학생 성공 (Student Success)

박덕영 후보는 학생 성공을 강원대학교의 주요 비전 중 하나로 제시했다. 학생 성공의 기반이 강한 대학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전략을 제시했다.

번호내용
S1학생의 취·창업 진흥을 위한 정책 추진
S2미래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체계 구축
S3기초학습역량 육성을 위한 지원 강화
S4학생생활관 운영 개선
S5장학제도 개선


4. 1. 2. 지속가능한 발전 (Target-ori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박덕영 후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전략을 제시했다.

세부 전략내용
T1연구 여건 개선
T2교육 여건 개선
T3대학 홍보와 연계한 신입생 및 편입생 유치 강화
T4유학생 유치 강화
T5발전기금 유치 노력과 기부자 우대 강화


4. 1. 3. 합리적 경영 (Rational Management)

박덕영 후보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행정을 추구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R1 (발전친화적 선순환 행정체계 개편): 대학 발전에 기여하는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다시 발전을 이끌어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한다.

  • R2 (학과 지원 강화): 각 학과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학과 중심의 대학 운영을 강화한다.

  • R3 (산학협력단 서비스 강화): 산학협력단의 역할을 확대하고, 기업과 대학 간의 협력을 증진하여 연구 성과의 실용화 및 창업 지원을 강화한다.

  • R4 (합리적인 직원 및 조교 인사):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시스템을 구축하여, 능력 있는 직원과 조교를 채용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한다.

  • R5 (캠퍼스 마스터 플랜 기반 효율적 공간 개선): 캠퍼스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노후 시설 개선, 신규 시설 확충, 공간 재배치 등을 통해 효율적인 캠퍼스 환경을 조성한다.

  • R6 (우수 구성원 포상 및 인적자원개발사업 강화): 대학 발전에 기여한 우수 교직원을 포상하고,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인적 자원 개발에 힘쓴다.

4. 1. 4. 열린 행정 (Open Administration)

박덕영 후보는 소통과 공감을 통해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높이고 행복한 대학을 만들고자 '열린 행정(Open Administration)'을 추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O1조직과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한 합리적 교원인사 시행
O2명예교수 위촉 제도 개선
O3구성원 소통 정례화
O4구성원 참여 행정 강화
O5구성원 복지 강화



  • 지역협력과 신설, RISE 조기 정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을 추진한다.[1]
  • 관공서 및 기업체 등과 접촉을 정례화한다.[1]
  • 지역 연계 교육 강화를 통해 대학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대학 위상을 제고한다.[1]
  • 구성원과 시민을 위한 교내 시설 공유 및 개선을 추진한다.[1]

4. 1. 6. 글로컬라이제이션 프로젝트 (Glocalization Projects)

박덕영은 글로컬30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선도대학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세부 계획을 제시했다.

번호내용
G1거버넌스 및 통합 수립 절차의 투명성과 형평성 확보
G2특례 기준 제정을 통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완충 기간 확보
G3기초 학문 보호 정책 추진
G4원주캠퍼스 독립 발전 방안 준비
G5캠퍼스의 글로벌화 강화 방안 지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