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릉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158년에 중산, 안평, 하간의 일부 지역을 떼어내어 신설되었고, 213년에는 박릉국으로 격상되었으나 조위 건국 이후 폐지되었다. 이후 서진 시대에 다시 설치되어 정주의 속군으로 편입되었으며, 북위 시대에도 정주의 속군으로 유지되었다. 수나라 시대에는 정주로 불렸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고양군으로 개칭되었다가 천보 연간에 다시 박릉군으로 불리었으나 건원 연간에 정주로 환원되면서 폐지되었다.
158년(연희 원년) 음력 6월, 후한 환제는 아버지의 묘를 '박릉'이라 칭하고, 여오후국(蠡吾侯國)을 박릉현으로 고치면서 중산, 안평, 하간의 땅을 떼어내어 박릉군을 신설했다.
서진 초에 박릉군이 다시 설치되었으며, 4현을 관할했다.[8] 안평현은 현재의 헝수이시 안핑현 일대, 요양현은 헝수이시 라오양 현 동쪽, 남심택현은 스자좡시선쩌현 동쪽, 안국현은 바오딩 시 안궈 시 서안국성향 일대에 위치했다.
397년(북위 도무제 황시 2년) 안주가 설치됨에 따라 안주의 속군이 되었고, 400년(북위 도무제 천흥 3년) 안주가 정주로 개명됨에 따라 정주의 속군이 되었다.[9] 4현 27,812호 135,070명을 거느렸다.[9]
2. 후한 시대
213년(후한 헌제 건안 18년), 유규(劉珪)가 박릉왕에 봉해짐에 따라 박릉국으로 격상되었다. 하지만 조위가 건국되는 시점에서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박릉군의 속현은 문헌으로 전해지는 바가 없으나, 《공표비(孔彪碑)》에 현의 이름들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공표비에 기록된 현 이름들이 박릉군의 속현의 전부인지는 알 수 없다.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고양현 高陽縣 바오딩시 가오양현 동 남심택현 南深澤縣 스자좡시선쩌현 동 박릉현 博陵縣 ? 안평현 安平縣 헝수이시 안핑현 안국현 安國縣 바오딩 시 안궈 시 서안국성향일대 독사방여기요에 따르면 박릉군의 치소는 안국현에 설치되었다고 전해진다.
2. 1. 속현
박릉군의 속현은 고양현(高陽縣), 남심택현(南深澤縣), 박릉현(博陵縣), 안평현(安平縣), 안국현(安國縣) 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속현 목록은 문헌 기록의 부족으로 인해 명확히 알 수 없다.
3. 서진 시대
397년 안주가 설치됨에 따라 안주의 속군이 되었고, 400년에 안주가 정주로 개명됨에 따라 정주의 속군이 되었다. 당시 4현, 27,812호, 135,070명을 거느렸다.[9]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요양현 饒陽縣 헝수이 시 라오양 현 동 노구성(魯口城, 지금의 라오양 현), 박릉성(博陵城), 삼양신(三良神), 요양성(饒陽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안평현 安平縣 헝수이 시 안핑현 치소는 안평성에 있다. 여귀인사(女貴人神)가 현경내에 있었다. 심택현 深澤縣 스자좡 시 선쩌 현 철간향일대? 서진에선 남심택이라 했다가 이후에 개명했다. 와신사(蝸神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안국현 安國縣 바오딩 시 안궈 시 서안국성향일대 446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7년) 심택현에 통폐합되었으나 501년(북위 선무제 경명 2년)에 복구되었다. 염석연(鹽石淵), 안국성(安國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4. 북위 시대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요양현 饒陽縣 헝수이 시 라오양 현 동 노구성(魯口城, 지금의 라오양 현), 박릉성(博陵城), 삼양신(三良神), 요양성(饒陽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안평현 安平縣 헝수이시 안핑현 치소는 안평성에 있다. 여귀인사(女貴人神)가 현경내에 있었다. 심택현 深澤縣 스자좡 시 선쩌 현 철간향일대? 서진에선 남심택이라 했다가 이후에 개명했다. 와신사(蝸神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안국현 安國縣 바오딩 시 안궈 시 서안국성향일대 446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7년) 심택현에 통폐합되었으나 501년(북위 선무제 경명 2년)에 복구되었다. 염석연(鹽石淵), 안국성(安國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4. 1. 속현
397년 안주가 설치됨에 따라 안주의 속군이 되었고 400년에 안주가 정주로 개명됨에 따라 정주의 속군이 되었다. 4현 27,812호 135,070명을 거느렸다.[9]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요양현 | 饒陽縣 | 헝수이 시 라오양 현 동 | 노구성(魯口城, 지금의 라오양 현), 박릉성(博陵城), 삼양신(三良神), 요양성(饒陽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
| 안평현 | 安平縣 | 헝수이 시 안핑현 | 치소는 안평성에 있다. 여귀인사(女貴人神)가 현경내에 있었다. |
| 심택현 | 深澤縣 | 스자좡 시 선쩌 현 철간향일대? | 서진에선 남심택이라 했다가 이후에 개명했다. 와신사(蝸神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
| 안국현 | 安國縣 | 바오딩 시 안궈 시 서안국성향일대 | 446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7년) 심택현에 통폐합되었으나 501년(북위 선무제 경명 2년)에 복구되었다. 염석연(鹽石淵), 안국성(安國城)이 현경내에 있었다. |
5. 수나라 시대
주현제 시기에는 '''정주(定州)'''로 불렸다. 북주 시기 총관부가 박릉군에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개황 연간에는 중산군을 흡수하여 광활한 영역을 차지했으며 10현 102,817호를 거느렸다.[10]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선우현 | 鮮虞縣 | 딩저우 시 | 선우군의 치소였다. 선우군이 설치됨에 따라 북제가 안희현을 노노현에 통폐합시켰다. 하지만 개황 초에 선우군을 폐지함에 따라 선우현이 설치되었고 대업 초 박릉군을 설치함에 따라 안희현을 다시 통폐합했다. 노수(盧水)가 현 경내를 흐른다. |
| 북평현 | 北平縣 | 바오딩 시 순핑 현 | 북제가 폐지했던 북평군이 있었다. 또한 망도현(望都縣)과 포음현(蒲陰縣)의 2개 현이 통합되었다. 586년(수문제 개황 6년) 망도현이 복구되었으나 대업 초 폐지되었다. 도산(都山), 이기산(伊祁山)이 현 경내에 있고 유수(濡水)가 현 경내를 흐른다. |
| 당현 | 唐縣 | 바오딩 시 탕현 서대양저수지 근처 | 북제에서 폐지되었으나 596년(수문제 개황 16년)에 복구되었다. 요산(堯山), 랑산(郎山), 중산(中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 항양현 | 恆陽縣 | 바오딩 시 취양현 | 북제가 상곡양현(上曲陽縣)에서 곡양현(曲陽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석읍현(石邑縣)으로 개명되었다. 597년(수문제 개황 7년) 항양현으로 개명되었다. 항산(恆山), 항양계(恆陽溪), 범수(范水)가 현 경내에 있었다. |
| 신락현 | 新樂縣 | 스자좡 시 신러시 승안진 일대 | 596년 신설되었다. 황산(黃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 수창현 | 隋昌縣 | 딩저우 시 서 남왕촌 일대? | 북위에서 위창현(魏昌縣)이라 칭했던 곳이다. 북제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 무극현 | 毋極縣 | 스자좡 시 우지 현 | |
| 의풍현 | 義豐縣 | 바오딩 시 안궈 시 | 586년 설치되었다. 북제 때 안국현이 통폐합되었다. |
| 심택현 | 深澤縣 | 스자좡 시 선쩌 현 |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
| 안평현 | 安平縣 | 헝수이 시 안핑 현 | 북제 때 박릉군이 설치되었다가 개황 초 폐지되었다. 596년 심주가 설치됨에 따라 독립했으나 대업 초 폐지되었다. |
5. 1. 속현
북주 시기 총관부가 박릉군에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개황 연간에는 중산군을 흡수하여 광활한 영역을 차지했으며 10현 102,817호를 거느렸다.[10]- 선우현(鮮虞縣): 딩저우 시에 있었다. 선우군의 치소였다. 선우군이 설치됨에 따라 북제가 안희현을 노노현에 통폐합시켰다. 하지만 개황 초에 선우군을 폐지함에 따라 선우현이 설치되었고 대업 초 박릉군을 설치함에 따라 안희현을 다시 통폐합했다. 노수(盧水)가 현 경내를 흐른다.
- 북평현(北平縣): 바오딩 시 순핑 현에 있었다. 북제가 폐지했던 북평군이 있었다. 또한 망도현(望都縣)과 포음현(蒲陰縣)의 2개 현이 통합되었다. 586년(수문제 개황 6년) 망도현이 복구되었으나 대업 초 폐지되었다. 도산(都山), 이기산(伊祁山)이 현 경내에 있고 유수(濡水)가 현 경내를 흐른다.
- 당현(唐縣): 바오딩 시 탕현 서대양저수지 근처에 있었다. 북제에서 폐지되었으나 596년(수문제 개황 16년)에 복구되었다. 요산(堯山), 랑산(郎山), 중산(中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항양현(恆陽縣): 바오딩 시 취양현에 있었다. 북제가 상곡양현(上曲陽縣)에서 곡양현(曲陽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석읍현(石邑縣)으로 개명되었다. 597년(수문제 개황 7년) 항양현으로 개명되었다. 항산(恆山), 항양계(恆陽溪), 범수(范水)가 현 경내에 있었다.
- 신락현(新樂縣): 스자좡 시 신러 시 승안진 일대에 있었다. 596년 신설되었다. 황산(黃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수창현(隋昌縣): 딩저우 시 서 남왕촌 일대에 있었다. 북위에서 위창현(魏昌縣)이라 칭했던 곳이다. 북제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무극현(毋極縣): 스자좡 시 우지 현에 있었다.
- 의풍현(義豐縣): 바오딩 시 안궈 시에 있었다. 586년 설치되었다. 북제 때 안국현이 통폐합되었다.
- 심택현(深澤縣): 스자좡 시 선쩌 현에 있었다.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 안평현(安平縣): 헝수이 시 안핑 현에 있었다. 북제 때 박릉군이 설치되었다가 개황 초 폐지되었다. 596년 심주가 설치됨에 따라 독립했으나 대업 초 폐지되었다.
6. 당나라 시대
621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한 후 고양군(高陽郡)이 정주(鄭州)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天寶) 원년)에는 다시 박릉군(博陵郡)으로 개칭되었으나, 758년(건원(乾元) 원년)에 다시 정주로 환원되면서 박릉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참조
[1]
서적
後漢書 桓帝紀
[2]
서적
後漢書 献帝紀
[3]
서적
晋書 地理志上
[4]
서적
魏書 地形志二上
[5]
서적
隋書 地理志中
[6]
서적
隋書 煬帝紀
[7]
서적
旧唐書 地理志二
[8]
서적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기주 박릉군
https://zh.wikisourc[...]
[9]
서적
위서 106권 上 지 제7 지형지 2 上 정주 박릉군
https://zh.wikisourc[...]
[10]
서적
수서 29권 지 제30 지리지 中 기주 박릉군
https://ko.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