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0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01년은 간지로는 신사년이며, 각국의 연호로는 중국 남제 영원 3년/중흥 원년, 북위 경명 2년, 고구려 문자명왕 11년, 백제 동성왕 23년/무령왕 원년, 신라 지증왕 2년, 일본 무렬천황 3년, 단기 2834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백제 동성왕이 사망하고 무령왕이 즉위했으며, 중국 남제 소보권이 살해되고 제 허제가 즉위한 사건 등이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군도바드 왕이 형을 살해하고, 브리타니아에서는 도망가르트 레티가 왕위에 올랐으며,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아칼 모 나브 1세가 팔렝케의 지배자가 되었다. 종교적으로는 시마쿠스 교황이 세속 권력자들과의 갈등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1년 - 부여 가림성
    부여 가림성은 백제 시대 금강 하류 요충지에 위치하여 사비도성을 방어했던 성곽으로, 백제 시대 성곽 중 연대와 지명을 알 수 있는 유일한 곳이며, 백가 반란 및 김시득 장군 활동지로 전해지고, 현재는 테뫼식 산성 형태로 발굴 조사를 통해 백제 시대 성벽 축성법과 건물지가 확인되었고, 성흥산성으로도 불리며 임천 충혼제 개최 및 드라마 촬영지로 활용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501년
지도
기본 정보
기원후501년
세기6세기
천년기1천년기
문화
간지신사년
연도별 항목
501년의 정치501년의 정치
501년의 사건501년의 사건
501년의 탄생501년의 탄생
501년의 죽음501년의 죽음

2. 연호

국가연호
남제(南齊)영원(永元) 3년 / 중흥(中興) 원년[1]
북위(北魏)경명(景明) 2년[1]
일본무렬천황 3년, 황기 1161년
고구려문자명왕 11년
백제동성왕 23년, 무령왕 원년
신라지증왕 2년
단기2834년


3. 기년

간지신사
남제영원 3년 / 중흥 원년
북위경명 2년
고구려문자명왕 11년
백제동성왕 23년 / 무령왕 원년
신라지증왕 2년
단기2834년
황기1161년



백제에서는 동성왕이 백가의 반란으로 세상을 떠나자 이복 형인 융이 무령왕으로 즉위하여 반란을 진압하였다. 백가와 그 일당들은 참살당했다.

4. 사건


  • 남제 : 동혼후가 수도 건강의 포위 공격 중 살해당하고, 그의 동생 제 허제가 황제가 되었다.
  • 달리아타 : 도망가르트 레티가 아버지 페르구스 모르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페르구스 모르는 픽트족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1]
  • 부르고뉴 왕국 : 군도바드 왕은 조공 약속을 어기고 군사력을 회복하여 비엔느에서 그의 형 고데기젤을 포위 공격하고, 아리우스파 교회에서 주교와 함께 살해했다.[1]
  • 팔렝케 : 6월 5일 – 아칼 모 나브 1세가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다.[1]
  • 마야 문명은 경제적으로 가장 번영하는 시기를 맞이한다.[2]
  • 시마쿠스 교황은 세속 권력자들로부터 여러 죄목으로 고발당했으나, 세속 통치자에게 자신에 대한 재판권이 없다고 주장했다.[1]

4. 1. 중국

동혼후가 수도 건강의 포위 공격 중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제 허제가 남제(중국)의 황제가 되었다.

4. 2. 유럽

도망가르트 레티가 아버지 페르구스 모르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페르구스 모르는 픽트족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티게르낙 연대기에 따르면, 도망가르트 레티는 새로운 달리아타(현대 스코틀랜드)의 왕이 된다.[1]

군도바드 왕은 조공 약속을 어기고 군사력을 회복한다. 그는 부르고뉴 왕국의 비엔느에서 그의 형 고데기젤을 포위 공격하고, 아리우스파 교회에서 주교와 함께 그를 살해한다.[1]

4. 3. 브리타니아

도망가르트 레티가 아버지 페르구스 모르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다. 페르구스 모르는 픽트족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도망가르트 레티는 ''티게르낙 연대기''에 따르면, 새로운 달리아타(현대 스코틀랜드)의 왕이 된다.

4. 4. 중앙아메리카


  • 6월 5일 – 아칼 모 나브 1세가 현재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주에 있는 마야 도시 국가 팔렝케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어 524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한다.[1]
  • 마야 문명은 경제적으로 가장 번영하는 시기를 맞이한다.[2] 테오티우아칸 문명은 쇠퇴하기 시작하고 그 주민들은 가장 큰 마야 도시인 티칼로 이주하며 무기와 새로운 의례 관습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져온다.[2]

4. 5. 종교

시마쿠스 교황은 세속 권력자들로부터 여러 죄목으로 고발당했는데, 이들은 교황의 교회론적 반대자들을 지지하고 있었다. 시마쿠스 교황은 세속 통치자에게 자신에 대한 재판권이 없다고 주장했고, 502년에 열린 공의회는 그 견해를 확인했다.[1]

5. 탄생


  • 루조준, 북제의 황태후(d. 562년)
  • 소통, 양의 황태자(d. 531년). 남조 양의 황족, 문선 편찬.

6. 사망


  • 백제 24대 왕 동성왕[2]
  • 4월 25일 - 루스티쿠스, 리옹 대주교
  • 페르구스 모르, 달리아타 왕
  • 고데기젤, 부르군드 왕국의 부르군드 왕
  • 판위누, 소보전의 후궁
  • 라비나 2세, 유대 탈무드 학자이자 랍비
  • 수샤오샤오, 중국 기녀이자 시인
  • 소보전, 남제 황제 (483년 출생)
  • 테우델린다, 부르군드 왕비

참조

[1] 서적 History
[2] 웹사이트 List of Rulers of Korea https://www.metmuseu[...] 2019-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