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한 환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한 환제는 후한의 제11대 황제이다. 132년에 태어나 146년에 즉위하여 168년에 사망했다. 환제는 외척 양기(梁冀)의 전횡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환관들의 권력 투쟁 속에서 통치했다. 양기가 제거된 후 환관들은 막강한 권력을 얻어 부패를 저질렀고, 이에 반발한 외척과 호족 세력은 환관을 비판하며 대립했다. 환제는 외척과 환관 세력 간의 갈등 속에서 여러 황후를 교체했으며, 말년에는 당고의 금으로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었다. 환제 사후에는 두 황후가 옹립한 11세의 유굉이 영제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년 사망 - 진번 (후한)
    진번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효렴으로 천거된 후 직언을 서슴지 않고 소신을 지키다 환관 세력 제거를 시도하다 실패하여 살해되었다.
  • 168년 사망 - 주경 (후한)
    주경은 후한의 관료로, 양기의 천거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여러 관직을 거쳐 사공과 태위를 역임했으며, 환관들의 비행을 탄핵하다 파면 후 영제 옹립에 참여한 공로로 안양향후에 추증되었다.
  • 132년 출생 - 한단순
    한단순은 후한 말에서 위나라 초기의 학자이자 서예가로, 여러 군주를 섬기며 박사와 급사중을 지냈고, 특히 전서에 능통하여 당대 최고라는 평을 받았으며, 저서를 남겼다.
  • 132년 출생 - 도겸 (삼국지)
    도겸은 후한 말 양무도위를 거쳐 서주 자사에 오른 관료로, 황건적 토벌과 선정으로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조조의 공격을 받아 유비의 도움을 받았으며, 유비에게 서주를 맡기고 사망했고,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에게 서주를 양보하는 관대한 인물로 묘사된다.
  • 2세기 중국의 군주 - 후한 영제
    후한 영제는 환제 뒤를 이어 13세에 즉위한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환관들의 발호와 매관매직, 황건적의 난 등으로 후한 멸망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붕어 후에는 황위 계승 싸움으로 후한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 2세기 중국의 군주 - 후한 소제 (13대)
    후한 소제는 후한 영제의 아들로 189년에 황위에 올랐지만 동탁에 의해 폐위되어 홍농왕으로 강등되었고, 결국 독살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후한 환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지
유지(劉志)
시호효환황제(孝桓皇帝)
묘호위종(威宗) (190년에 폐지)
생애
출생132년
사망168년 1월 25일
매장지선릉(宣陵)
통치
즉위146년 8월 1일
퇴위168년 1월 25일
재위 기간146년 8월 1일 ~ 168년 1월 25일
연호건화(建和) 147년 ~ 149년
화평(和平) 150년
원가(元嘉) 151년 ~ 153년
영흥(永興) 153년 ~ 154년
영수(永壽) 155년 ~ 158년
연희(延熹) 158년 ~ 167년
영강(永康) 167년
가계
아버지유익
어머니언명
배우자양여영 (의헌황후)
등맹녀 (황후)
두묘 (환사황후)
자녀양안공주
영음공주
양적공주
기타
왕조한나라
전임자질제
후임자영제

2. 황제 즉위 전

장제의 손자이자 하간 효왕 유개(劉開)의 아들인 여오후 유익(劉翼)과 그의 후궁인 연명 사이에서 132년에 태어났다.[1] 유익은 사촌 유승(劉勝)의 후계자로 평원왕에 봉해졌으나, 안제의 섭정이었던 등태후가 그를 옹립하려 한다는 소문 때문에 121년 등태후 사후 안제에 의해 독향후로 강등되어 아버지의 봉국으로 유배되었다.[2] 순제 재위 기간 동안 유개는 여오후 작위를 아들에게 줄 수 있도록 요청했고, 순제는 이를 허락했다.[2]

146년, 양기는 자신을 "오만한 장군"이라고 부른 8살 질제를 독살했다.[3] 관리들은 질제의 사촌 유수안(劉蒜)을 지지했으나, 양기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여동생과 약혼한 유지 후작을 황제로 옹립할 것을 주장하여, 유지 후작은 환제로 즉위했다.[3]

2. 1. 가계와 출신

장제의 손자이자 하간 효왕 유개(劉開)의 아들인 여오후 유익(劉翼)과 그의 후궁인 연명 사이에서 132년에 태어났다.[1] 유익은 처음에는 사촌 유승(劉勝)의 후계자로 평원왕에 봉해졌으나, 안제의 섭정이었던 등태후가 그를 안제 대신 옹립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2] 121년 등태후가 사망한 후, 안제는 유익을 독향후로 강등시키고 아버지의 봉국으로 유배 보냈다.[2] 순제 재위 기간 동안 유개는 여오후 작위를 아들에게 줄 수 있도록 요청했고, 순제는 이를 허락했다.[2]

2. 2. 황제 즉위 과정

146년, 양기는 자신을 "오만한 장군"이라고 부른 8살 질제에게 앙심을 품고 독살했다.[3] 관리들은 질제의 사촌 유수안(劉蒜)을 지지했는데, 그는 근엄하고 올바른 사람으로 묘사되었다.[3] 유수안의 나이는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이 시점에는 성인으로 보였다.[3] 그러나 양기는 유능한 황제에게 권력을 넘겨주는 것을 꺼려, 자신의 여동생과 약혼한 유지 후작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를 황제로 옹립할 것을 주장했다.[3] 그해 말, 유지 후작은 환제로 즉위했다.[3]

질제가 양기에 의해 독살된 후, 양기는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누이인 황태후 양납과 함께 반대를 무릅쓰고 환제를 옹립했다.[4] 즉위 후에는 질제 때와 마찬가지로 양기의 전횡이 이어졌으며, 양기는 누이 양녀영을 환제의 황후로 삼고, 일족에서 7명의 봉후, 3명의 황후, 6명의 귀인(비의 지위), 2명의 대장군을 배출하여 양씨 일족의 최성기를 이루었다.[4] 양기는 이고를 살해하는 등 반대자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4]

3. 치세

중국 허난성 정저우의 다후팅 한묘(打虎亭汉墓)에서 발견된 연회 장면의 동한 (25-220 AD) 벽화


여인의 벽화, 다후팅 한묘에서 발견되었으며, 한푸를 입고 있다, 후한 시대 (25–220 AD) 후반기, 위치는 허난성, 정저우에 위치해있다.


환제는 14세에 즉위하여 황태후 양씨의 섭정을 받았다. 양씨의 오빠 양기가 실권을 장악했다. 환제는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황제로 추존했지만, 어머니 연명은 황태후가 되지 못하고 황귀비 칭호를 받았다. 아버지의 부인이었던 마씨 부인 역시 148년에 황귀비로 추존되었다. 147년, 환제는 양녀영을 황후로 맞이했다. 환제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환관들을 신뢰했다.

같은 해, 양기는 환관 당형(唐衡)과 좌관(左悺)과 공모하여 정직한 관리 이고와 두교(杜喬)를 환제를 폐위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거짓 고발했다. 이고와 두교는 처형되었고, 수안왕은 제후로 강등되어 자결했다.

150년, 양태후는 은퇴하고 황권을 돌려주겠다고 발표한 후 사망했다. 환제는 그제야 어머니를 황태후로 추존했다. 양기는 더욱 강력해져 폭력과 부패를 일삼았고, 반대파를 억압했다. 그는 심지어 검소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그의 동생 양불의(梁不疑)를 정부에서 내쫓았다.

152년, 연황태후가 사망했다. 환제는 방계 혈통으로 왕위를 계승했기 때문에 상주가 될 수 없었다. 대신 평원왕 유석(劉石)이 상주를 맡았다.

153년, 관리와 환관 사이의 첫 공개 대립이 발생했다. 기주(冀州, 현대의 허베이성 중부 및 북부) 지사 주목(朱穆)은 환관 조충(趙忠)의 아버지가 황족에게만 허용되는 옥의(玉衣)를 입고 부당하게 매장된 것을 알고 조사를 명령했다. 조충의 아버지는 발굴되었고 옥의는 벗겨졌다. 주목은 직위에서 해임되고 중노동에 처해졌다.

3. 1. 양기 전횡과 척결

환제는 질제가 양기에 의해 독살된 후,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양기와 그의 누이인 황태후 양납에 의해 반대를 무릅쓰고 옹립되었다.[1] 즉위 후에는 질제 시대와 마찬가지로 양기의 전횡이 이어졌으며, 양기는 누이 양녀영을 환제의 황후로 삼았다.[1] 양기 일족은 7명의 봉후, 3명의 황후, 6명의 귀인(비의 지위), 2명의 대장군을 배출하며 최전성기를 맞이했다.[1] 양기는 이고를 살해하는 등 반대파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1]

14세에 즉위한 환제는 황태후 양씨의 섭정을 받았고, 양씨의 오빠 양기가 실권을 장악했다.[1] 150년, 양태후가 사망하자 양기는 더욱 강력해져 폭력과 부패를 일삼았고, 반대파를 억압했다.[1]

환제는 양기가 정권을 장악하는 것에 점점 불만을 품게 되었고, 159년, 환관 단초, 좌관, 서황, 구원, 당형과 함께 양기를 몰아내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1] 이들은 단의 팔을 물어 피를 흘리며 맹세했다.[1] 다섯 환관은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제가 양기에게서 권력을 되찾는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고 황궁 호위병을 동원하여 량기의 집을 포위했다.[1] 량기와 그의 아내 손씨는 자결했고, 량씨와 손씨 일족 전체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 량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던 많은 관리들이 처형되거나 파면되어, 한동안 정부가 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였다.[1]

이러한 양기의 전횡에 반발한 환제는 환관 단초 등의 도움을 받아 양기 일족을 주살하고 300명 이상을 숙청했으며, 많은 이들이 면직되어 조정이 텅 비게 되었다.[1]

3. 2. 환관 발호와 폐해

양기 제거에 공을 세운 환관들은 막대한 권력을 얻게 되었고, 이들의 전횡이 시작되었다. 159년, 환제는 자신을 도운 다섯 환관에게 특별히 후작 작위를 내리고 정부 요직에 앉혔다. 이들은 공개적으로 부패를 저지르며 엄청난 부를 축적했다.[3] 당시 권력을 잡은 환관들을 묘사한 노래는 다음과 같다.:[3]

:조(左)는 하늘의 결정을 뒤집을 수 있다. 거(巨)는 홀로 앉아 상대가 없다. 서(徐)는 거짓말하는 늑대이다. 탕(唐)의 권력은 쏟아지는 비처럼 널리 퍼져 있다.

환관들은 양자를 들여 재산을 상속하며 세습 귀족을 지향했다. 환관 조조의 할아버지인 조등도 이 시기에 권세를 떨친 대표적인 환관이다. 환관들의 부정부패는 백성들의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다. 161년에는 황실 경호원 직책을 포함한 관직을 판매하는 칙령을 내리기도 했는데, 이는 영제(靈帝) 때 더욱 심해져 큰 문제가 되었다.[3]

3. 3. 당고의 금과 정치적 혼란

연희 2년 (159년), 환관들의 전횡에 불만을 품은 외척·호족 세력은 환관을 유교적으로 부정한 존재로 여기고, 스스로를 청류라 칭하며 환관(탁류)에 대항했다. 하남윤 이응이 환관의 비리를 폭로하려다 오히려 투옥되는 사건을 계기로, 환관 세력은 호족들을 당인(朋黨), 즉 당을 이루어 정치를 어지럽히는 자로 간주하여 탄압했다.[1]

이응은 후에 용서받아 사예교위가 되었고, 환관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발하여 명성을 높였다. 이후 청관(淸官)으로 명성이 있던 진번과 함께 태학(대학) 학생들의 지원을 받아 환관을 규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연희 10년 (167년) 환관들은 대규모 탄압으로 맞섰다. (→당고의 금)[1]

당고의 금으로 체포된 인원은 200명에 달했으며, 체포된 사람들은 무죄로 풀려난 후에도 면직되어 벼슬길이 막혔다. 이러한 처분은 청류파의 강한 불만을 샀고, 청류파의 대표인 이응·진번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환제 붕어 후, 진번은 환관 주멸 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다시 환관들에 의한 탄압 (제2차 당고의 금)이 실시되어, 청류파와 환관의 대립은 더욱 깊어졌다.[1]

환관의 전횡은 훗날 황건적의 난의 요인이 되었고, 호족과 환관의 대립은 황건적 이후의 전란 시대를 낳게 되었다. 결국 환제의 시대는 후한 멸망의 요인이 되는 청탁(淸濁) 다툼의 원인이 형성된 시대였다.[1]

4. 가족 관계

차녀: 영음장공주 유견
3녀: 양책장공주 유수황후 등씨환사황후 두씨귀인 전씨귀인 곽씨귀인 풍씨귀인 구씨[7]


5. 연호

환제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西曆)147년148년149년150년151년152년153년154년155년156년
간지(干支)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갑오(甲午)을미(乙未)병신(丙申)
연호(年號)건화(建和) 원년2년3년화평(和平) 원년원가(元嘉) 원년2년3년
영흥(永興) 원년
2년영수(永壽) 원년2년
환제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西曆)157년158년159년160년161년162년163년164년165년166년
간지(干支)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갑진(甲辰)을사(乙巳)병오(丙午)
연호(年號)3년4년
연희(延熹)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
환제21년22년
서력(西曆)167년168년
간지(干支)정미(丁未)무신(戊申)
연호(年號)10년
영강(永康) 원년
2년


참조

[1] 서적 Ladies of the Court of Emperor Huan of Han https://digitalcolle[...] 2015-01-09
[2] 서적 Emperor Huan and Emperor Ling https://digitalcolle[...] 2015-01-09
[3] 문서 xinyou day of the 2nd month of the 1st year of the Jian'ning era, per Emperor Ling's biography in Book of the Later Han
[4] 간행물 '[初平元年]是岁,有司奏,和、安、顺、桓四帝无功德,不宜称宗,...皆请除尊号。制曰:‘可。’) Book of the Later Han, vol.09'
[5] 서적 『後漢書』寇恂伝付寇栄伝
[6] 서적 자치통감
[7] 서적 등구열전(鄧寇列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