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선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선규는 KBS 기자 출신으로, 청와대 비서관과 대변인을 거쳐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역임했다. KBS 기자 시절 북한 탈북자 관련 기사를 최초로 보도하여 주목받았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 실무 총책임자로서 유치에 기여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재임 시 특수활동비를 폐지했다. 현재는 영등포문화재단 이사장,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강중학교 동문 - 김태영 (1987년)
    김태영은 부천 FC 1995 창단 멤버로 데뷔하여 싱가포르 S리그를 거쳐 부천 FC 1995의 핵심 선수로 활동한 전 축구 선수이며, 현재는 부천 FC 1995 유소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남강중학교 동문 - 이호성 (축구인)
    이호성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서 U-20 월드컵과 다이너스티컵에 국가대표로 출전했고, 대전 시티즌 창단 멤버로 FA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고양 국민은행과 발레스티어 칼사 FC에서도 활약했다.
  • 서울우신초등학교 동문 - 강성범
    강성범은 1974년 전라남도 영암군 출생으로, 1996년 S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활동하며 2007년 SBS 방송연예대상 코미디최우수상, 2006년 SBS 코미디대상 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 서울우신초등학교 동문 - 서예지
    서예지는 2013년 CF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주연으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21년 논란으로 활동을 중단 후 재개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 노태강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 임명되었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 김대기 (1956년)
    김대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경제기획원, 기획예산처 등에서 근무하고 이명박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을 졸업했다.
박선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선규
한자 표기朴先圭
본관충주
출생일1961년 6월 4일
출생지전라북도 익산군 여산면 두여리
학력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언론학 석사
배우자
자녀슬하 1남 2녀
웹사이트박선규 공식 블로그
경력
주요 경력제37대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자유한국당 전임위원
前 언론인
정당
소속 정당국민의힘
의원 선수

2. 생애

남강고등학교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KBS에서 20년간 기자로 근무했으며, 이후 청와대 비서관과 대변인을 거쳐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지냈다.

2. 1. 활동

KBS 기자 시절에는 탈북자 문제를 최초로 보도하여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으며, 이는 관련 시민단체 설립과 법규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 재직하면서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실무를 총괄하여 평창 유치를 성공시키는 데 기여했다.[1] 또한 차관 시절, 예산 집행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논란이 되었던 특수활동비를 폐지하는 결정을 내렸다.[2]

2. 1. 1. 탈북자 취재

KBS 기자 시절 북한 탈북자에 관해 최초로 기사를 작성하여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목숨을 건 탈북 과정과 그들의 이야기를 상세히 보도하여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이 보도를 계기로 탈북자 관련 시민단체가 생겨나고 관련 법규 제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기자상뉴욕에서 열리는 '뉴욕 페스티벌'(NEW YORK FESTIVALS)에서 파이널리스트 어워드(FINALIST AWARD)를 수상했다.

2. 1. 2. 평창올림픽 유치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서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지원을 위한 실무 총책임자를 맡았다. 이전 10년 동안 두 차례의 유치 실패를 경험했던 만큼, 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108명의 IOC 위원 개개인을 분석하고 설득하는 한국 특유의 '감성 전략'을 펼쳤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유럽의 명문 도시인 뮌헨안시를 제치고 과반수 이상의 표를 얻어 성공적으로 올림픽 유치를 이끌었다.[1]

2. 1. 3. 특수활동비 폐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 재직하던 시절, 예산 집행 과정에서 투명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특수활동비를 폐지하였다. 박선규는 "이전에는 특수활동비를 여론수렴 등 국정홍보 수행 목적으로 편성·집행해 왔지만, 앞으로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내년부터 업무추진비로 전환하고 그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밝힐 예정"이라고 설명하며, 예산 내역 비공개와 사용 목적의 타당성 문제가 지적되어 온 특수활동비를 폐지하는 결정을 내렸다.[2]

3. 학력

4. 경력

wikitext

기간소속 및 직책
1987년 ~ 1991년KBS 기자 (정치부, 사회부, 특집부)
1991년 3월 ~ 1997년걸프 전쟁, 소말리아 내전, 수단 내전, 유고슬라비아 전쟁, 카슈미르 분쟁 등 종군 기자
1999년 ~ 2000년KBS공개수배 사건 25시》 진행
2000년KBS 뉴스투데이 대리 진행
2001년 11월 ~ 2002년 10월미국 하원의원 에드 로이스 입법 보좌관
2004년KBS 뉴스 9 및 시사 프로그램 (일요진단) 진행
2006년 3월 ~ 2007년 2월교육부 대학제도개선위원회 위원
2006년 9월 ~ 2008년 5월서울특별시교육청 연수원 자문위원, 강사
2008년 6월 ~ 2009년 9월청와대 대통령실 대변인실 언론2비서관
2009년 9월 ~ 2010년 7월청와대 대통령실 홍보수석관실 제1대변인
2010년 8월 ~ 2012년 1월제37대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2010년 8월 ~ 2011년 7월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지원 실무위원회 위원장[3]
2011년 8월 27일 ~ 9월 4일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부위원장
2012년 ~한국장애인문화협회 이사
2012년 10월 ~ 2015년 5월사단법인 더불어꿈 대표
2012년 12월 ~ 2013년 2월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 대변인
2016년 8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융합미디어콘텐츠정책전공 교수
~ 2017년 2월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2017년 2월 ~ 2018년 1월자유한국당 서울특별시당 영등포구 갑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2023년 11월 ~영등포문화재단 이사장
2024년 8월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
2025년 1월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예정)


5. 수상


  • 1992년: 제 25회 이달의 기자상 ("남해안이 죽어간다", 한국기자협회)
  • 1994년 4월 28일: 제 43회 이달의 기자상 ("먹을 것과 자유를 향한 대 탈출", 한국기자협회)
  • 1994년: 뉴욕 페스티벌 파이널리스트 어워드 (ESCAPE FROM NORTH KOREA|이스케이프 프롬 노스 코리아eng)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방송전공 올해의 논문상 (<탐사보도 아이템이 뉴스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 KBS 한국방송 우수 프로그램상 (보도 부문 금상 3회, 은상 3회, 동상 1회 및 친환경 프로그램 우수작)

6. 저서

wikitext

연도제목출판사
2003미국, 왜 강한가미다스 북스
2007선생님 당신이 희망입니다미다스 북스
2012희망과 맞팔하다미다스 북스
2015미국 이후의 미국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결과
2012년총선19대국회의원영등포구 갑새누리당45,161 (45.71%)2위낙선
2016년총선20대국회의원영등포구 갑새누리당43,839 (39.75%)2위낙선


참조

[1] 뉴스 http://sg.news.yahoo[...] 2015-05-22
[2] 뉴스 http://news.khan.co.[...] 2015-05-22
[3] 블로그 깨진 링크 http://sunpark.tis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