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1910년 공립 어의동 직업보습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의 교명 변경과 개편을 거쳐 201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1980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캠퍼스로 이전했으며, 다산관, 대륙관 등 역사적인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다산관을 대표 건물로, 흑룡을 상징동물로, 소나무를 교목으로 선정했다. 또한, 여러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영국 노섬브리아 대학교와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대학교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는 1990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을 변경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며, 4개의 트랙과 20개의 학과를 통해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 과학기술대학교 - 중국과학기술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은 1958년 중국 과학원에 의해 설립되어 원자 폭탄, 수소 폭탄, 인공위성 개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국가 연구소 및 학술 연구소를 보유하고 아시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서울동천학교
    서울동천학교는 1980년 충현복지학교로 개교하여 서울충현학교를 거쳐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영어 명칭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한자 명칭서울科學技術大學校
로마자 표기Seoul Gwahak Gisul Daehakgyo
설립일1910년
학교 종류국립대학
총장이동훈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캠퍼스 구분도시 캠퍼스
별칭서울과기대 (서울科技大)
교색로열 블루
마스코트흑룡
웹사이트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
다산관
연혁
이전 명칭서울국립산업대학 (1988–1993)
이전 명칭서울산업대학교 (1993–2010)
조직
단과대학8개
대학원1개 일반대학원, 2개 특수대학원, 4개 전문대학원
학생
재학생 수11,472명 (2020년)
학부생 수9,929명 (2020년)
대학원생 수1,543명 (2020년)
교직원
교수진865명 (2020년)
행정 직원1,329명 (2020년)

2. 역사

1910년 개교 이후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체제 변화를 겪었다.

연도사건
1910년 4월 15일공립 어의동 직업보습학교[15]
1931년 3월경성공립직업학교로 개편
1944년 3월경기도립기술학교로 개편
1953년 3월경기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63년 3월경기기술고등전문학교로 교명 변경
1974년 3월경기기술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79년 3월홍순철 초대 학장 취임
1982년 12월 31일국립학교설치령 개정에 따라 경기기술전문대학 폐지
1983년 3월 30일김호근 제2대 총장 취임
1984년 2월 29일환경공학과, 산업안전공학과, 금형설계학과 설립
1987년 3월 21일이동희 제3대 총장 취임
1988년 3월 1일서울산업대학교로 교명 변경 (대통령령 제1407호, 1988년 2월 24일)
1989년 11월 15일전기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설계자동화공학과, 산업대학원 설립
1990년 3월 1일공과대학 I, 공과대학 II, 예술디자인대학, 응용미술학과 설립
1991년 3월 21일윤대병 제4대 총장 취임
1992년산업경영학과, 정밀화학과 설립, 산업공예학과, 산업대학원 설립, 기숙사 건립 완료
1993년국립학교설치령 개정에 따라 서울산업대학교로 교명 변경 (대통령령 제13895호, 1993년 2월 24일), 디자인자동차공학과, 자동화학공학과, 산업대학원 설립
1994년창작문예학과, 사회체육학과, 컴퓨터공학과, 산업대학원 설립
1995년최동규 제5대 총장 취임, 재료공학과, 산업대학원 설립
1998년실험실습센터, 외국어교육센터 개원
1999년 4월 1일이진설 제6대 총장 취임
2000년 3월 1일철도기술대학원, 영어학과, 창작문예학과, 사회체육학과(주간) 설립, 영국 노섬브리아 대학교와의 2개 학사 복수학위 프로그램 설립
2001년 2월 24일주택대학원 설립
2002년 3월 1일철도기술대학원을 철도대학원(박사과정)으로 변경
2003년공공정책·정보기술대학원, 에너지·환경대학원 설립 승인, 산학협력단 설립, 이희범 제7대 총장 취임
2004년윤진신 제8대 총장 취임, 서울테크노폴리스진흥센터 및 공학교육혁신센터, 서울테크노파크 비영리법인 설립
2005년제2중앙도서관 건립 완료, 서울테크노파크 지정 승인
2006년 6월 1일미래관 건립 완료
2007년제2생활관, 어학원 건립 완료, 노준형 제9대 총장 취임
2008년제3생활관, 나노융합기술대학원, 서울테크노파크(STP) 건립 완료[14]
2009년 12월 3일백주년 기념관 건립 완료 (공사 시작: 2007년 4월 3일)
2010년미래관 건립 완료, 서울산업대학교에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 변경, 백주년 기념 조형물 건립 완료
2011년 10월 25일남궁근 제10대 총장 취임
2012년 3월 1일서울산업대학교, 기술대학에서 종합대학으로 전환
2015년 11월 9일김종호 제11대 총장 취임



1983년 경기공업개방대학으로 전환된 이후, 1988년 서울산업대학으로, 1993년 서울산업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2000년대에는 철도전문대학원(2000년), 주택대학원(2001년), IT디자인대학원(2002년), IT정책전문대학원(2003년), NID 융합기술대학원(2008년)을 차례로 개원하였다.

2010년 9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2012년 3월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다.

2. 1. 설립 (1910년 ~ 1944년)

1910년 4월 15일,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실업학교령(칙령 제56호)에 따라 종로구 어의동(현 효제동)에서 조선 인조와 효종의 잠저였던 어의궁 터를 기반으로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가 설립 및 개교되었다.[1] 1931년 2월, 경성공립직업학교로 개편되어 아현동(구 경기공립사범학교 자리, 현 아현중학교 위치)으로 이전하였다.[1] 1944년, 경기공립공업학교로 개편되었다.[1]

2. 2. 해방과 일반대학 체제 이전 (1945년 ~ 2011년)

1953년, 경기공업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63년, 경기공업고등전문학교로 개편되었는데, 이는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에 따른 공업 기술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당시 영국, 프랑스, 일본에서 이미 실시되었던 고등전문학교 체제를 실험적으로 도입한 것이다.[21] 1968년 3월 30일, 대통령령 제3411호에 의거, 5년제 국립 경기공업고등전문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70년, 기존 5년제 경기공업고등전문학교를 폐지하고, 2년제 경기공업전문학교 신설이 승인되었다. 1970년부터 1974년까지는 두 학제가 중복되는 과도기적 이원화 체제로 운영되었다. 1974년, 경기공업전문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79년, 경기공업전문대학으로 승격하여 개편되었다. 같은 해,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사용하던 현 캠퍼스(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로 이전하였다.

1983년, 경기공업개방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군사 쿠데타 정권의 포퓰리즘과 고등교육 수요 증가에 따른 조치였다.[21] 1988년 3월, 서울산업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3년 3월 1일, 서울산업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이와 함께 학장 체제에서 총장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초대 총장으로 최동규 전 동력자원부 장관(現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선출되었다.

2000년, 철도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1년, 주택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2년, IT디자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3년, IT정책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8년, NID 융합기술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 3. 일반대학 체제 전환 이후 (2012년 ~ 현재)

2010년, 현재의 교명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12년 3월 고등교육법 산업대학폐지특례조항에 근거하여 일반대학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는 2008년 고등교육법 개정안에 명시된 바와 같이, 산업대학 체제가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일반대학과의 차별성이 약화되고, 산업대학 지원 기피, 재학생 사기 저하, 고등교육 재정 지원 소외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1]

현재의 교명은 2005년 1차 개정 시도 당시에도 최종 변경 후보에 올랐었다. 2009년 2차 교명 변경 시도 당시, 교내 구성원 투표 1순위였던 "한국대학교"로의 명칭 변경은 여러 대학이 경합(고려대 반대)하는 상황을 고려한 교육부의 유보 의견이 있었다. 이에 개교 100주년과 일반대학 전환, 교명 변경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2순위였던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최종 확정되었다. 2010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립대학교 설치령을 개정하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교명이 확정되었고, 2011년 8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로부터 일반대학 전환 통보를 받아 2012년 3월 1일부터 일반대학 체제가 시작되었다.[1]

2016년 교육부 평생교육단과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평생교육단과대학(현 미래융합대학)을 설치하였으며, 2017년 융합교육의 일환으로 메이커스 칼리지를 신설하였다.[1]

3. 교육 및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 과정은 공과대학, 정보통신대학, 에너지바이오대학, 예술디자인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상기술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으로 나뉜다. 일반대학원은 공과대학원, 이학대학원, 예술체육대학원, 인문사회과학대학원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산업대학원과 주택도시대학원이 있으며, 전문대학원으로는 철도전문대학원, IT정책전문대학원, 융합과학대학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이 있다.

3. 1. 학부

단과대학학과 및 전공
공과대학
정보통신대학
에너지바이오대학
예술디자인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상기술대학


3. 2. 대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는 3개의 전문대학원과 3개의 특수대학원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특성화 연구소가 있다.

'''일반대학원'''

공과대학원이학대학원예술체육대학원인문사회과학대학원



'''특수대학원'''


  • 산업대학원
  • 주택도시대학원


'''전문대학원'''

  • 철도전문대학원
  • IT정책전문대학원
  • 융합과학대학원
  •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4. 캠퍼스 및 시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는 원래 경성제국대학 공과대학이 있던 곳으로, 이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사용하였다. 1980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관악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캠퍼스를 사용하게 되었다.[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관은 2013년 5월 1일에 개관하였으며, 학생 창작활동 전시 지원, 교내 우수작품 전시 운영, 미술작품 및 소장품 보존·관리, 국내외 타 기관과의 교류 행사 개최, 전시장 대관 등을 담당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숙사(생활관)는 불암학사, KB학사, 성림학사, 수림학사, 누리학사, SeoulTech 인재원, 양명학사 등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은 1910년 4월부터 운영되어 왔으며, 현재 60만여 권의 장서와 전자책, 시청각 자료, 정기간행물 및 학술지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04년에 중앙도서관 건물이 완공되었고, 2011년에는 별관이 개축되었다.

도서관 외에도 정보컴퓨터센터, 언론방송센터, 일반실험동, 창업보육센터, 교육기자재관리기술지원센터, 국제교류센터, 언어교육연구원 등이 있다.

4. 1. 캠퍼스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에 위치하고 있다. 캠퍼스 넓이는 549338m2이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이 촬영된 캠퍼스 중앙에는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다산관과 창학관이 있다. 이 두 건물은 지하 통로로 연결된 암수 쌍둥이 건축물이다. 다산관과 창학관은 일제강점기에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본관이었고, 해방 후에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물로 사용되다가 2002년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대륙관은 경성제국대학 광산학과가 썼던 교사였고, 2008년 2월 28일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369호로 지정되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는 원래 경성제국대학 공과대학이 있던 곳이며, 이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사용하였다. 1980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이 캠퍼스 통합 계획에 따라 관악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비어 있던 현재의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내지도

4. 2. 주요 시설

산학협력단은 산학연구 협력 활성화를 통해 대학 경쟁력을 높이고자 설립되었으며, 2014년 기준으로 창업보육센터와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단(LINC)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연계하여 학부생 3~4학년 대상 인턴십을 시행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KIST와 학연협정을 체결하였다. 2017년 12월에는 대규모 산학협력연구동이 완공되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관은 2013년 5월 1일에 개관하였으며 다빈치관 224호에 있다. 미술관 종합계획 수립 및 전시, 학생 창작활동 전시 지원, 교내 우수작품 전시 운영, 미술작품 및 소장품 보존·관리, 국내외 타 기관과의 교류행사 개최, 전시장 대관 등을 담당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숙사(생활관)는 불암학사, KB학사, 성림학사와 2016년 완공된 SeoulTech 인재원(행정고시, 국립외교원, 변리사, 공인회계사 및 세무사 등), 그리고 2018년 완공된 제4기숙사인 수림학사(남학생동)와 누리학사(여학생동)가 있다. 고시 및 전문자격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을 위한 SeoulTech 인재원을 제외하고 학부생 일반이 사용하는 기숙사는 불암학사, KB학사, 성림학사, 수림학사, 누리학사의 5곳이다. 이 외 대학원생이 사용하는 양명학사가 있다.

2018년부터 논의되었던 한국토지주택공사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후보지 선정사업에 참여하였다. 2019년 2월 공릉동 학생-주민공청회 등을 거쳐, 2019년 9월 19일 한국전력 공릉동 연수원에 인접한 대학 부지에 150호, 220명의 대학생이 이용 가능한 LH 행복주택 건설이 확정되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은 1910년 4월 어의동 공립직업보수학교 설립 이후부터 운영되어 왔다.[9] 현재 도서관은 600,987권의 장서, 11928권의 전자책, 23,259점의 시청각 자료, 국내외에서 발행된 446종의 정기간행물과 학술지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04년 말에 완공된 중앙도서관 건물은 9281m2 규모의 3층 건물이다. 1층에는 도서관 사무실, 세미나실, 서고, 정보처리센터가 있다. 2층에는 동양 자료실과 참고자료실, 정기간행물실, 학술지실이 있다. 3층에는 멀티미디어실, 그룹스터디룸, 열람실이 있다. 2011년에 개축된 중앙도서관 별관은 4896.25m2 규모의 건물로, 참고자료실, 서양 도서 참고자료실, 그룹 스터디 룸, 노트북 열람실, 일반 열람실 등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 외에도 정보컴퓨터센터, 언론방송센터, 일반실험동, 창업보육센터, 교육기자재관리기술지원센터, 국제교류센터가 있다. 20명의 원어민 영어 강사가 근무하는 언어교육연구원도 있다.

5. 대학 상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UnivSeal


2014년 3월, 대학 홍보실은 제1차 상징물제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상징물을 결정했다. 대학 상징물 제정을 위해 2013년 4월 교원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2013년 6월에는 학부 및 대학원 재학생 12,807명이 참여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대표 건물로 다산관, 교목으로 소나무, 상징 동물로 봉황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전체 재학생의 91%가 응답한 2차 설문조사에서는 다산관, 플라타너스, 해태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22]

이후 홍보실장, 기획처장을 비롯하여 각 단과대학 대표, 동문 대표, 학생 대표, 외부 위원 등 총 14명으로 구성된 상징물제정위원회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6개월간 대표 건물, 교목, 상징 동물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검증 과정에서 대표 건물은 다산관으로 결정되었고, 상징 동물은 흑룡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일반대 전환 연도인 2012년이 흑룡의 해이고, 100년 넘은 이무기가 흑룡으로 승천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교목은 소나무로 선정되었다. University Seal은 대학교의 공식 명칭, 설립 연도, 교훈 등을 포함하는 엠블럼형 로고로, 최고 학문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나타내는 홍보물, 보증성 및 정통성이 요구되는 졸업 증서, 학위기, 교기, 공식 기록 문서 등에 사용된다.

6. 국제 교류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다음의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대학교명
기후대학
니가타 대학
도쿄 전기 대학
무로란 공업대학
시바우라 공업대학
아오모리 대학
지바 대학
도요하시 기술과학대학


7. 동문

문서는 제거 대상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동문은 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en.seoultech.[...] SEOULTECH 2018-12-22
[2] 웹사이트 STATISTICS http://en.seoultech.[...] SEOULTECH 2021-02-24
[3] 웹사이트 SEOULTECH < About SEOULTECH < Introduction of SEOULTECH < History < Main History https://en.seoultech[...] 2022-02-24
[4] 웹사이트 SEOULTECH < About SEOULTECH < University Statistics < Statistics http://en.seoultech.[...] 2015-08-22
[5] 웹사이트 서울사랑 http://love.seoul.go[...] 2015-08-22
[6] 뉴스 [2014 아시아 대학평가] 醫大 없는 '强小大' 포스텍·서강대·한국외대 강세 http://news.chosun.c[...] 2017-12-23
[7] 뉴스 [2015 아시아 대학평가] 포스텍, 특성화 대학 중 1위… 6년 연속 아시아 최고 입증 http://news.chosun.c[...] 2015-06-11
[8] 뉴스 [STRONG KOREA] 서울대·연세대·고려대·한양대, 기업들이 꼽은 '최고의 이공계' http://www.hankyung.[...] 2015-07-05
[9] 웹사이트 Seoultech Central Library(Korean) http://library.seoul[...] 2015-08-22
[10] 웹사이트 Seoultech, 3.35 billion dollars for national scholarship in 2015 http://www.seoultech[...] 2015-08-22
[11] 웹사이트 The Institute for Language Education & Research http://language.seou[...]
[12] 웹사이트 Institute for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Seoultech http://language.seou[...] 2015-08-22
[13] 웹사이트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www.topunive[...] 2021-04-14
[14] 웹사이트 National Seoul Techno Park(STP) Homepage http://www.seoultp.o[...] 2017-12-23
[15] 웹사이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주요연혁 http://www.seoultech[...] 2018-05-11
[16] 웹사이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통계현황 http://www.seoultech[...]
[17] 문서 법적 지위 변경 (1982년 3월 1일)
[18] 문서 법적 지위 변경 (1998년 3월 1일)
[19] 문서 교명 변경 (2010년 9월 1일)
[20] 문서 법적 지위 변경 (2012년 3월 1일)
[21] 뉴스 부산시교육감 https://newslibrary.[...] 1982-12-01
[22] 웹인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뉴스 http://fund.seoultec[...] 2017-07-28
[23] 웹사이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통계 2014년 장서 보유 현황 http://library.seo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