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주가리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주가리아과는 1835년 길버트 토머스 버넷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으며, 2014년에는 5개의 족으로 분류되었다. 이 과는 관백미꽃족, 나도은조롱족, 에우스테기아족, 케로페기아족, 포케아족으로 구성되며, 2019년 분자 계통학 연구를 통해 이들의 구별성이 확인되었다. 박주가리아과에는 다양한 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속은 다른 분류 체계에서 다르게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주가리아과 - 야래향
    야래향은 인도차이나 원산의 덩굴식물로, 저녁에 강한 향기를 내는 연녹색 꽃이 피며 식용, 건축 자재, 약재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 박주가리아과 - 밀크위드
    밀크위드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Asclepias` 속 식물로, 독특한 꽃과 꽃가루받이 방식, 솜털 달린 씨앗을 가지며, 제왕나비 유충의 먹이이자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고, 역사적으로 약재 및 단열재 등으로 활용되었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뽕나무과
    뽕나무과는 벵골보리수와 같은 거대한 나무부터 다육식물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뽕나무, 무화과 등을 포함하고 식용, 약용, 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식물 과이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아욱아과
    아욱아과는 아욱과에 속하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하는 78개 속과 1,670여 종을 포함하는 아과로, 아욱족, 목화족, 무궁화족, 키디아족의 4개 족으로 분류되며 아욱속, 무궁화속, 목화속 등이 주요 속으로 포함되고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계통 분류가 수정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박주가리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Asclepiadoideae Burnett
명명자Burnett, 1835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용담목
협죽도과
하위 분류
본문 참조
설명아과는 속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미지
Matelea denticulata - Köhler–s Medizinal-Pflanzen-067.jpg
마텔레아 덴티큘라타
시리아관백미꽃
시리아관백미꽃

2. 분류

1835년 길버트 토머스 버넷이 처음으로 박주가리아과를 분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현대 분류학에서는 박주가리아과 내에 5개의 족(tribe)을 인정하고 있다.[6] 2019년에 발표된 분자 계통학 연구 결과는 이러한 5개 족 분류를 지지한다.[7]

2. 1. 계통

1835년 길버트 토머스 버넷은 Asclepiadeae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박주가리아과를 처음으로 분류한 식물학자로 여겨진다.[5] 이 명칭은 현재 아과(subfamily)의 명칭이 아닌 족(tribe)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2014년 Endress, Liede-Schumann 및 Meve는 아과 내에 5개의 족(Fockeeae, Asclepiadeae, Eustegieae, Ceropegieae, Marsdenieae)을 인정했다.[6] 2019년의 분자 계통학 연구는 이 5개 족의 구별성을 확인했으며,[7]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Fockeeae 족이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그 다음으로 Asclepiadeae 족이 분기했다. Eustegieae 족은 Ceropegieae 족과 Marsdenieae 족으로 구성된 분기군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7]

2. 2. 하위 분류

1835년 길버트 토머스 버넷은 Asclepiadeae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박주가리아과를 처음으로 분류한 식물학자로 여겨진다.[5] 이 명칭은 현재 아과의 명칭이 아닌 족(tribe)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2014년 Endress, Liede-Schumann 및 Meve는 아과 내에 5개의 족을 인정했다.[6] 2019년의 분자 계통학 연구는 5개 족의 구별성을 확인했으며, 이들의 계통 관계는 포케아족이 가장 먼저 분기하고, 다음으로 관백미꽃족이 분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세 족 중에서는 에우스테기아족이 먼저 분기하고, 케로페기아족과 나도은조롱족이 자매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

박주가리아과에는 다음 5개의 족이 속한다.

섬네일''의 ''아메리카박주가리'']]

섬네일''(Microloma calycinum), 남아프리카 공화국 리히터스벨트]]

아래 속 목록은 Endress, Liede-Schumann 및 Meve (2014)의 연구를 기반으로 족에 할당되었으며,[6] Plants of the World Online의 동의어 처리를 2023년 12월 기준으로 따랐다.

'''관백미꽃족 (Asclepiadeae)'''

  • ''아라우지아''(Araujia) Brot.
  • ''박주가리속''(Asclepias) L., ''Aidomene'' Stopp, ''Odontostelma'' Rendle, ''Trachycalymma'' (K.Schum.) 포함
  • ''Aspidoglossum''(Aspidoglossum) E.Mey.
  • ''Aspidonepsis''(Aspidonepsis) Nicholas
  • ''Astephanus''(Astephanus) R.Br.
  • ''Barjonia''(Barjonia) Decne.
  • ''Blepharodon''(Blepharodon) Decne.
  • ''Calciphila''(Calciphila) Liede
  • ''Calotropis''(Calotropis) R.Br.
  • ''Cordylogyne''(Cordylogyne) E.Mey.
  • ''Cynanchum''(Cynanchum) L., ''Adelostemma'' Hook.f., ''Glossonema'' Decne., ''Metaplexis'' R.Br., ''Pentarrhinum'' E.Mey., ''Seshagiria'' Ansari, ''Sichuania'' M.G.Gilbert 포함
  • ''Diplolepis''(Diplolepis) R.Br.
  • ''Ditassa''(Ditassa) R.Br.
  • ''Fanninia''(Fanninia) Harv.
  • ''Fischeria''(Fischeria) DC.
  • ''Funastrum''(Funastrum) E.Fourn.
  • ''Glossostelma''(Glossostelma) Schltr.
  • ''Gomphocarpus''(Gomphocarpus) R.Br.
  • ''Gonolobus''(Gonolobus) Michx.
  • ''Graphistemma''(Graphistemma) (Champ.)
  • ''Gyrostelma''(Gyrostelma) E.Fourn.
  • ''Hemipogon''(Hemipogon) Decne.
  • ''Holostemma''(Holostemma) R.Br.
  • ''Hypolobus''(Hypolobus) E.Fourn.
  • ''Ibatia''(Ibatia) Decne.
  • ''Jobinia''(Jobinia) E.Fourn.
  • ''Kanahia''(Kanahia) R.Br.
  • ''Lachnostoma''(Lachnostoma) Kunth
  • ''Macroscepis''(Macroscepis) Kunth
  • ''Mahawoa''(Mahawoa) Schltr.
  • ''Margaretta''(Margaretta) Oliv.
  • ''Matelea''(Matelea) Aubl.
  • ''Metastelma''(Metastelma) R.Br.
  • ''Microloma''(Microloma) R.Br.
  • ''Minaria''(Minaria) T.U.P.Konno
  • ''Miraglossum''(Miraglossum) Kupicha
  • ''Monsanima''(Monsanima) Liede
  • ''Morrenia''(Morrenia) Lindl.
  • ''Nautonia''(Nautonia) Decne.
  • ''Nephradenia''(Nephradenia) Decne.
  • ''Odontanthera''(Odontanthera) Wight
  • ''Oncinema''(Oncinema) Arn.
  • ''Orthosia''(Orthosia) Decne.
  • ''Oxypetalum''(Oxypetalum) R.Br.
  • ''Oxystelma''(Oxystelma) R.Br.
  • ''Pachycarpus''(Pachycarpus) E.Mey.
  • ''Parapodium''(Parapodium) E.Mey.
  • ''Pentacyphus''(Pentacyphus) Schltr., ''Tetraphysa'' Schltr. 포함
  • ''Pentastelma''(Pentastelma) Tsiang
  • ''Pentatropis''(Pentatropis) R.Br.
  • ''Peplonia''(Peplonia) Decne.
  • ''Pergularia''(Pergularia) L.
  • ''Petalostelma''(Petalostelma) E.Fourn.
  • ''Phaeostemma''(Phaeostemma) E.Fourn.
  • ''Pherotrichis''(Pherotrichis) Decne.
  • ''Philibertia''(Philibertia) Kunth, ''Mitostigma'' Decne. 포함
  • ''Pseudolachnostoma''(Pseudolachnostoma) Morillo
  • ''Raphistemma''(Raphistemma) Wall.
  • ''Rhyssostelma''(Rhyssostelma) Decne.
  • ''Rhytidostemma''(Rhytidostemma) Morillo
  • ''Rojasia''(Rojasia) Malme
  • ''Schizoglossum''(Schizoglossum) E.Mey.
  • ''Schizostephanus''(Schizostephanus) Hochst.
  • ''Schubertia''(Schubertia) Mart.
  • ''Scyphostelma''(Scyphostelma) Baill.
  • ''Solenostemma''(Solenostemma) Hayne
  • ''Stathmostelma''(Stathmostelma) K.Schum.
  • ''Stelmagonum''(Stelmagonum) Baill.
  • ''Stenostelma''(Stenostelma) Schltr.
  • ''Tassadia''(Tassadia) Decne., ''Stenomeria'' Turcz. 포함
  • ''Tweedia''(Tweedia) Hook.
  • ''Tylodontia''(Tylodontia) Griseb.
  • ''Vincetoxicum''(Vincetoxicum) Wolf, ''Merrillanthus'' Chun, ''Oncostemma'' K.Schum., ''Rhyncharrhena'' F.Muell. 포함
  • ''Widgrenia''(Widgrenia) Malme
  • ''Woodia''(Woodia) Schltr.
  • ''Xysmalobium''(Xysmalobium) R.Br.


thumb

thumb'', 부르키나파소]]

'''케로페기아족 (Ceropegieae)'''

  • ''아니소토마'' Fenzl
  • ''압테란테스'' J.C.Mikan
  • ''오스트랄루마'' Plowes
  • ''베이네시아'' Bruyns
  • ''부세로시아'' Wight
  • ''브라키스텔마'' Sims
  • ''카랄루마'' R.Br.
  • ''코단테라'' Plowes
  • ''세로페기아'' L.
  • ''코노미트라'' Fenzl
  • ''데스미도르키스'' Ehrenb.
  • ''두발리아'' Haw.
  • ''두발리안드라'' M.G.Gilbert
  • ''에키드놉시스'' Hook.f.
  • ''에디스코리아'' N.E.Br.
  • ''엠플렉탄투스'' N.E.Br.
  • ''헤테로스템마'' Wight
  • ''후디아'' Sweet
  • ''후에르니아'' R.Br.
  • ''래리리시아'' Plowes
  • ''라브라니아'' Plowes
  • ''렙타데니아'' R.Br.
  • ''모놀루마'' Plowes
  • ''네오슈마니아'' Schltr.
  • ''노테키드놉시스'' Lavranos
  • ''오피오넬라'' Bruyns
  • ''오르베아'' Haw., ''Orbeanthus'' L.C.Leach 포함
  • ''오르탄테라'' Wight
  • ''펙티나리아'' Haw.
  • ''펜타삭메'' Wall.
  • ''피아란투스'' R.Br.
  • ''프세우돌리토스'' P.R.O.Bally, ''Anomalluma'' Plowes 포함
  • ''콰콰'' N.E.Br.
  • ''리티도카울론'' P.R.O.Bally
  • ''리히터스벨디아'' Meve
  • ''리오크세리아'' Decne.
  • ''시시란투스'' E.Mey.
  • ''소코트렐라'' Bruyns
  • ''스타펠리아'' L.
  • ''스타펠리안투스'' Choux
  • ''스타펠리옵시스'' Pillans
  • ''타바레시아'' Welw.
  • ''트리덴테아'' Haw.
  • ''트로모트리체'' Haw.
  • ''화이트슬로아네아'' Chiov.


'''에우스테기아족 (Eustegieae)'''

  • ''애기별꽃속''(Emicocarpus) R.Br.
  • ''유스테기아속''(Eustegia) K.Schum. & Schltr.


''Stephanotis floribunda''


'''나도은조롱족 (Marsdenieae)'''

  • ''Anatropanthus'' Schltr.
  • ''Anisopus'' N.E.Br.
  • ''Asterostemma'' Decne.
  • ''Campestigma'' Pierre
  • ''Cionura'' Griseb.
  • ''Cosmostigma'' Wight
  • ''Dischidia'' R.Br.
  • ''Dolichopetalum'' Tsiang
  • ''Gongronema'' (Endl.)
  • ''Gunnessia'' P.I.Forst.
  • ''Gymnema'' R.Br.
  • ''Heynella'' Backer
  • ''Hoya'' R.Br., ''Cathetostemma'' Blume, ''Clemensiella'' Schltr. 포함
  • ''Jasminanthes'' Blume
  • ''Lygisma'' Hook.f.
  • ''Marsdenia'' R.Br.
  • ''Oreosparte'' Schltr.
  • ''Pycnorhachis'' Benth.
  • ''Rhyssolobium'' E.Mey.
  • ''Sarcolobus'' R.Br., ''Quisumbingia'' Merr. 포함
  • ''Stephanotis'' Thouars, ''Dregea'' E.Mey., ''Wattakaka'' Hassk. 포함
  • ''Stigmatorhynchus'' Schltr.
  • ''Telosma'' Coville
  • ''Treutlera'' Hook.f.


'''포케아족 (Fockeeae)'''

  • ''포케아속''(Fockea) Endl.


'''기타 속'''

다음 속들은 Endress 등(2014)의 연구에서는 박주가리아과 내의 독립된 속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나,[6]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서는 인정되는 속들이다. 족 분류 정보는 GRIN-Global을 따랐으며,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표시했다.

  • ''달지엘리아속'' Turrill – 나도은조롱족(Marsdenieae) (''마스데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8]
  • ''데카네마속'' Decne. – 관백미꽃족(Asclepiadeae) (''나팔꽃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9]
  • ''디스치단투스속'' Tsiang – 나도은조롱족(Marsdenieae) (''마스데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0]
  • ''짐네몹시스속'' Costantin – 나도은조롱족(Marsdenieae) (''마스데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1]
  • ''케르베라속'' E.Fourn. – 관백미꽃족(Asclepiadeae)[12]
  • ''레이히아르트티아속'' R.Br.
  • ''마노트릭스속'' Miers
  • ''페리글로섬속'' Decne. – 관백미꽃족(Asclepiadeae)[13]
  • ''폴리스테마속'' Decne., ''Microdactylon'' 포함[14]관백미꽃족(Asclepiadeae) (''마테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5]
  • ''프티칸테라속'' Decne. – 관백미꽃족(Asclepiadeae) (''마테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6]
  • ''루에시아속'' H.Karst. ex Schltdl. – 나도은조롱족(Marsdenieae) (''마스데니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7]
  • ''스키스토네마속'' Schltr. – 관백미꽃족(Asclepiadeae) (''트위디아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8]
  • ''바일리아속'' Rusby – 관백미꽃족(Asclepiadeae) (''블레파로돈속''의 동의어일 가능성 있음)[19]

참조

[1] 그림 1897 illustration from Franz Eugen Köhler, Köhler's Medizinal-Pflanzen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1-25
[3]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Apocynaceae s.l. https://www.zora.uzh[...]
[4] 서적 National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Wildflowers: Western Region https://archive.org/[...] Knopf
[5] 간행물 Indices Nominum Supragenericorum Plantarum Vascularium http://www.plantsyst[...] Plant Biology section, Cornell University 2011
[6] 저널 An updated classification for Apocynaceae 2014-02
[7]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Apocynaceae based on nuclear PHYA and plastid trnL-F sequences, with a focus on tribal relationships 2019
[8] 웹사이트 Gen. ''Dalzielia'' Turrill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9] 웹사이트 Gen. ''Decanema'' Decne.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0] 웹사이트 Gen. ''Dischidanthus'' Tsiang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1] 웹사이트 Gen. ''Gymnemopsis'' Costantin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2] 웹사이트 Gen. ''Kerbera'' E.Fourn.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3] 웹사이트 Gen. ''Periglossum'' Decne.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4] 웹사이트 "''Polystemma cordatum'' (Brandegee) L.O.Alvarado" 2023-11-30
[15] 웹사이트 Gen. ''Polystemma'' Decne.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6] 웹사이트 Gen. ''Ptycanthera'' Decne.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7] 웹사이트 Gen. ''Ruehssia'' H. Karst. ex Schltdl.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8] 웹사이트 Gen. ''Schistonema'' Schltr.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19] 웹사이트 Gen. ''Vailia'' Rusby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1
[20] 문서 Burnett, Gilbert Thomas. Outlines of Botany 1012, 1095, 1103. 1835.
[21] 문서 Endress, M. E. and P. V. Bruyns (2000).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Apocynaceae s.l. Botanical Review 66: 1-56.
[22] 문서 Duby, Jean Étienne. Aug. Pyrami de Candolle Botanicon Gallicum 1: 323. 1828.
[23] 문서 Bentham, George. Flora Australiensis: a description of the plants of the Australian territory 4: 325, 333. 1868.
[24] 문서 Reichenbach, Heinrich Gottlieb Ludwig. Der Deutsche Botaniker Herbarienbuch 129. 1841.
[25] 저널 인용
[26] 문서 Orbigny, Charles Henry Dessalines d'. Dictionnaire Universel d'Histoire Naturelle 3: 339. 1843.
[27] 문서 Kunze, Henning, Meve, Ulrich & Liede, Sigrid. Taxon 43(3): 373.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