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우파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우파 운동은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지식인과 당내 인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정치 숙청 운동이다. 마오쩌둥이 백화제방 운동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공산당에 대한 비판을 "우파"로 규정하고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 운동은 1958년 55만 명의 우파를 노동개조소에 수용하거나 실직시키는 등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중국 사회에 자유로운 비판과 토론을 억압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덩샤오핑에 의해 명예 회복이 이루어졌지만, 장보쥔, 뤄룽지 등 일부는 제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냉전사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냉전사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홍군
    홍군은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게릴라 전술로 국민당의 토벌 작전을 막으며 성장했으나 장정 이후 팔로군과 신4군으로 개편되어 항일 전쟁에 참여했고, 국공내전 후 중국 인민해방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정치적·이념적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로 활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 숙청 - 환국
    환국은 조선 시대에 정파 간의 권력 다툼으로 특정 정파가 정권을 장악하고 다른 정파를 몰아내는 정치적 사건을 의미하며, 왕의 권력 강화, 당파 간의 갈등, 왕세자 문제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 숙청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반우파 운동
반우파 운동
1957년 국경절 열병식에서
1957년 국경절 열병식에서 "반우파 투쟁을 끝까지 수행하자"라는 슬로건이 톈안먼 광장에 전시되어 있다.
위치중화인민공화국
표적정치적 반대자, 소위 우익 인사
기간1957년–1959년
유형정치적 탄압
사망자550,000명 (공식 수치)
1–2백만 명 (추정치)
가해자마오쩌둥
덩샤오핑
펑전
관련 인물
주도자마오쩌둥
배경
이전 운동백화제방 운동
결과
영향문화 대혁명의 시작

2. 역사적 배경

백화제방 운동은 표현의 자유를 장려하였으나, 이는 곧 마오쩌둥에 의해 통제되는 반우파 운동으로 이어졌다. 장정 시기부터 중국 공산당 내부에는 "우파"에 대한 불만이 존재했다.[17]

1956년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 연설(''인격 숭배와 그 결과에 대하여'')은 폴란드1956년 헝가리 혁명에 영향을 주어, 중국에서도 유사한 사회적 불안을 야기했다.[16] 백화제방 운동 기간 동안, 당에서 용납할 수 없는 "학생들이 거리로 나섰고 시민들이 그들을 따르고 있다",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 "마오 주석과 다른 사람들은 더 이상 할 수 없고, 그들이 물러날 때가 되었다"와 같은 아이디어들이 제기되었다.[18] 또한 중국의 민주당과 당이 교대로 통치하고 공개 토론을 위해 "하이드 파크"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19]

1957년 6월, 백화제방 운동이 막바지에 이르자 마오쩌둥은 비판을 당의 통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 5월 중순, 마오쩌둥은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라는 글을 통해 "인민들이 이러한 유독한 잡초와 유해한 연기에 대한 아이디어를 갖게 하여 근절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동적이고 악의적인 발언이 언론에 나타나도록 허용했다고 주장했다.[20] 1957년 6월 8일, 마오쩌둥은 당내 문서 ''우리의 힘을 모아 우파의 맹렬한 공격을 격퇴하자''에서 "일부 악질 자본가, 악질 지식인, 사회의 반동 분자들이 노동계급과 공산당에 맹렬한 공격을 가하여 노동계급이 이끄는 국가 권력을 전복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21] 같은 날, ''인민일보'' 사설 ''이것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를 통해 반우파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22]

2. 1. 백화제방 운동

1956년 4월 25일,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확대 회의에서 '10대 관계를 논하다'라는 강화를 통해 백화제방 백가쟁명 방침을 제시했다.[16] 당시 중앙 선전 부장이었던 루딩이는 지식인들에게 문학, 예술, 과학 연구에서 독립적인 사고, 변론, 창작, 비판의 자유와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옹호하며 보류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다양한 사상과 학문의 자유로운 발전을 장려하는 정책이었으나, 당초 의도와는 달리 공산당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면서 마오쩌둥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1957년 5월 1일, 인민일보는 당 중앙이 발표한 '정풍 운동에 관한 지시'를 게재하며, 관료주의, 종파주의, 주관주의에 반대하는 정풍 운동을 전개하고, 당 외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말하도록 권장하며, 당과 정부에 의견을 제시하여 공산당의 정풍을 돕도록 요구했다.

이러한 호소에 따라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각계에서 당과 정부에 대한 불만이나 제안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점차 "공산당과 민주 당파가 순서대로 여당이 되어야 한다", "공산당이 천하를 주무르는 것에 반대한다" 등의 과격한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19] 마오쩌둥은 1957년 5월 15일에 '사태가 변화하고 있다'라는 내부 문서를 돌리고,[20] 6월 8일 인민일보에 '이것은 왜인가'라는 제목의 사설을 게재하여, "소수의 우파 분자들이 공산당의 정풍을 돕는 명목으로, 공산당과 노동자 계급의 지도권에 도전하고, 심지어는 공공연하게 공산당에 '하야하라'고 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21][22] 6월 14일에는 다시 인민일보에서 문회보와 光明日报|광명일보중국어를 지목하여 비판했으며, 光明日报|광명일보중국어의 章伯钧|장보쥔중국어 사장, 储安平|추안핑중국어 편집장, 문회보의 浦熙修|푸시슈중국어 부편집장(겸 베이징 사무소 주임), 중국민주동맹 중앙 부주석인 罗隆基|뤄룽지중국어가 비판을 받았다.[17][18]

2. 2. 국제 정세의 영향

1956년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은 사회주의 진영에 큰 충격을 주었다.[16] 이 연설은 폴란드1956년 헝가리 혁명 등 동유럽에서 발생한 반소, 반공 시위의 원인 중 하나였으며, 중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국제 정세는 중국 내에서 유사한 사회적 불안이 시작되는 배경이 되었으며, 마오쩌둥이 내부 비판 세력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3. 전개 과정

1956년 4월 25일,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확대 회의에서 '10대 관계를 논하다'라는 강화를 통해 백화제방 백가쟁명 방침을 내세웠다. 루딩이 중앙 선전 부장도 지식인에게 독립적인 사고, 변론, 창작, 비판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57년 5월 1일, 인민일보는 당 중앙의 '정풍 운동에 관한 지시'를 게재하며 관료주의, 종파주의, 주관주의에 반대하는 정풍 운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당은 당 외부에 의견을 권장하며, 공산당의 정풍을 돕도록 요구했다.

이에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당과 정부에 대한 불만이나 제안이 나왔으나, 점차 "공산당과 민주 당파가 순서대로 여당이 되어야 한다", "공산당이 천하를 주무르는 것에 반대한다" 등의 과격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마오쩌둥1957년 5월 15일 '사태가 변화하고 있다'는 내부 문서를 돌리고, 6월 8일 인민일보에 '이것은 왜인가'라는 사설을 실어 우파 분자들의 도전을 비판했다. 6월 14일에는 문회보와 광명일보를 지목하여 비판했으며, 이들의 주요 인물들이 비판받았다.

1957년 10월 15일, 당 중앙은 '우파 분자를 결정하는 기준' 통지를 발표했고, 1958년에는 55만 명의 우파가 변방의 노동개조소에 수용되거나 실직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거나 사망했다. 이러한 반우파 투쟁은 정풍 운동과 연결되어 1958년의 '대약진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3. 1. 1차 파동 (1957년)

1957년 6월, 마오쩌둥인민일보 사설을 통해 '우파'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이는 백화제방 운동을 통해 정부 비판과 표현의 자유를 장려했던 분위기에 대한 반작용이었다.[22] 마오쩌둥은 백화제방 운동 기간 동안 제기된 비판을 당의 통치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20]

5월 중순, 마오쩌둥은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라는 글을 통해 "반동적이고 악의적인 발언"을 근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 6월 8일, 인민일보에 "이것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라는 사설을 게재하여, "소수의 우파 분자들이 공산당의 정풍을 돕는다는 명목으로 공산당과 노동자 계급의 지도권에 도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21][22]

이후, 인민일보는 문회보와 光明日报|광명일보중국어를 지목하여 비판했으며,[19] 章伯钧|장보쥔중국어, 储安平|추안핑중국어, 浦熙修|푸시슈중국어, 중국민주동맹 중앙 부주석인 罗隆基|뤄룽지중국어 등이 비판을 받았다.

이 시기, 작가 딩링을 포함하여 30만 명이 우파로 몰려 숙청되었다.[23] 간쑤성의 자비앙거우 노동 수용소에는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약 3,000명의 정치범이 수용되었으며, 그 중 약 2,500명이 기아로 사망했다.[24][25]

3. 2. 2차 파동 (1959년)

1959년 루산 회의에서 국방부장이었던 펑더화이대약진 운동을 비판하자, '우파 기회주의자'로 몰아 숙청하면서 반우파 운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27] 이 회의 이후 당내 반대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이루어졌으며, 그 범위와 강도가 더욱 확대되었다.

4. 주요 피해자

반우파 운동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1958년에는 55만 명이 변방의 노동개조소에 수용되거나 실직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거나 사망했다. 대표적인 피해자로는 장보쥔, 뤄룽지, 우쭈광, 주룽지, 룽윈 등이 있다.

4. 1. 지식인 및 민주당파

장보쥔은 중국의 "제1의 반우파", 뤄룽지는 "제2의 반우파" 인사였다. 이들은 光明日报중국어 사장, 文汇报중국어 부편집장 등을 역임하고 중국민주동맹 중앙 부주석 등의 직책을 가진 저명인사였으나, 중국 공산당에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여 숙청되었다. 우쭈광은 저명한 극작가였으나, 역시 우파로 몰려 탄압받았다.

4. 2. 당내 인사

주룽지는 훗날 총리가 되었지만, 반우파 운동 당시에는 우파로 몰려 당적을 박탈당하고 고초를 겪었다.

4. 3. 기타

룽윈은 전 윈난성 군벌 출신으로, 반우파 운동의 희생양이 되었다.

5. 방법 및 처벌

'우파'로 낙인찍힌 사람들은 공개 비판과 사상 개조를 강요받았다.[11] 이들은 노동 교화소로 보내져 강제 노동을 해야 했으며, 일부는 사형을 당하기도 했다.[11] 예를 들어 간쑤성의 자비앙거우 노동 수용소에는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약 3,000명의 정치범이 수용되었는데, 그중 약 2,500명이 기아로 사망했다.[24][25]

반우파 운동의 주요 표적 중 하나는 독립적인 법률 시스템이었다.[26] 법률 전문가들은 다른 직업으로 전출되었고, 사법권은 정치 간부와 경찰이 대신 행사했다.[26]

6. 영향 및 평가

1956년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확대 회의에서 '10대 관계를 논하다'라는 강화를 통해 백화제방 백가쟁명 방침을 내세웠다. 1957년 중국 공산당은 관료주의, 종파주의, 주관주의에 반대하는 정풍 운동을 전개하면서 당 외에 의견을 말하도록 권장했다.

그러나 "공산당과 민주 당파가 순서대로 여당이 되어야 한다"는 등의 비판이 나오자, 마오쩌둥1957년 6월 8일 인민일보 사설을 통해 "소수의 우파 분자들이 공산당에 '하야하라'고 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회보와 光明日报|광명일보중국어가 비판을 받았고, 章伯钧|장보쥔중국어, 储安平|추안핑중국어, 浦熙修|푸시슈중국어, 罗隆基|뤄룽지중국어 등이 비판 대상이 되었다.

1958년에는 55만 명의 우파가 노동개조소에 수용되거나 실직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거나 사망했다. 반우파 투쟁은 정풍 운동과 연결되어 대약진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6. 1. 중국 내 영향

반우파 운동은 중국 사회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다. 백화제방 운동 기간 동안 제기되었던 당에 대한 비판은 마오쩌둥에 의해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이는 곧바로 반우파 운동으로 이어졌다.[11] 1957년 말까지 작가 딩링을 포함한 30만 명이 우파로 낙인찍혔고, 이들 대부분은 지식인이었다.[23] 이들은 비판, 강제 노동, 심지어는 사형까지 당했다.[11] 간쑤성의 자비앙거우 노동 수용소에서는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약 3,000명의 정치범 중 2,500명이 기아로 사망했다.[24][25]

이 운동으로 인해 독립적인 법률 시스템은 붕괴되었고, 법률 전문가들은 다른 직업으로 전출되었으며, 사법권은 정치 간부와 경찰에 의해 행사되었다.[26] 이는 지식인들의 침묵을 강요했고, 자유로운 비판과 토론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2018년 연구에 따르면, 반우파 운동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특히 인적 자본에 큰 손실을 입혀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했다.[11] 안후이, 허난, 장쑤 내 144개 현을 분석한 결과, 우파로 선언된 사람의 비율이 높을수록 경제적 결과는 더 나빴고, 문맹률과 학업 성취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식인 탄압과 경제적 손실은 문화 대혁명으로 이어지는 또 다른 비극의 씨앗이 되었다.

6. 2. 한국의 관점

한국에서는 반우파 운동을 마오쩌둥의 권력욕과 독재 체제의 폐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통해 권력 남용과 인권 탄압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민주주의 가치와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956년 마오쩌둥은 백화제방 백가쟁명 방침을 내세웠고, 1957년에는 중국 공산당이 관료주의, 종파주의, 주관주의에 반대하는 정풍 운동을 전개하면서 당 외에 의견을 말하도록 권장했다. 그러나, "공산당과 민주 당파가 순서대로 여당이 되어야 한다"는 등의 비판이 나오자, 마오쩌둥1957년 6월 8일 인민일보 사설을 통해 "소수의 우파 분자들이 공산당에 '하야하라'고 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후 1958년에는 55만 명의 우파가 노동개조소에 수용되거나 실직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거나 사망했으며, 반우파 투쟁은 정풍 운동과 연결되어 1958년대약진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7. 명예 회복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볼롼 판정 기간 동안 많은 유죄 판결이 취소되었다. 당시 지도자 덩샤오핑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자본가들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발표했고, 그 결과 수천 건의 반혁명 사건에 대한 유죄 판결이 뒤집혔다. 이는 이전 22년 동안 우파로 기소되어 박해를 받았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1]

1977년 후야오방당 중앙당교 부교장으로 임명되어 당교 업무를 장악하면서 억울한 사건의 명예 회복이 시작되었다. 1978년 4월, "반우파 투쟁 자체에 오류는 없었지만, 문제는 확대되었다는 것이다"라며, 잘못 우파로 판정된 사람에게 정당한 대우를 할 것을 지시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정치적 명예 회복과 박탈된 당적 회복 등이 이루어졌고, 1980년 5월까지 우파의 명예 회복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장보쥔, 뤄룽지, 펑원잉, 추안핑, 천런빙 등 91명은 명예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1년 제11기 6중전회의 「건국 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정풍 과정에서 극소수의 부르주아 계급 우파 분자들이 기회를 틈타 이른바 '대명대방'을 고취하여 당과 신생 사회주의 제도에 대해 공격을 가하고, 공산당의 지도를 대체하려 했다. 이러한 종류의 공격에 대한 단호한 반격은 전적으로 정확하고 필요한 것이었지만, 반우파 투쟁은 심하게 확대되어 지식인, 애국자, 당내 간부를 잘못 우파 분자로 규정하여 불행한 결과를 초래했다.|정풍 과정에서 극소수의 부르주아 계급 우파 분자들이 기회를 틈타 이른바 '대명대방'을 고취하여 당과 신생 사회주의 제도에 대해 공격을 가하고, 공산당의 지도를 대체하려 했다. 이러한 종류의 공격에 대한 단호한 반격은 전적으로 정확하고 필요한 것이었지만, 반우파 투쟁은 심하게 확대되어 지식인, 애국자, 당내 간부를 잘못 우파 분자로 규정하여 불행한 결과를 초래했다.중국어

후에 제5대 총리가 된 주룽지는 당시 국가계획위원회 좌담회에서 국가계획위원회와 지방계획위원회의 관료주의를 비판했기 때문에, 1958년 4월에 우파 분자라는 낙인이 찍혀 당적을 박탈당했다. 1962년에 "사면"되었지만 우파로 남은 채 명예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문화대혁명에서 다시 비판받아 5.7 간부학교로 노동 개조에 보내졌다. 명예 회복과 당적 회복은 다른 간부들과 마찬가지로 1978년까지 기다려야 했다.

참조

[1] 논문 The Anti-Rightist Movement and Its Ideological and Theoretical Consequences 2014-12-07
[2] 논문 Chinese Anti-Rightist Campaign (1957-) (CD-ROM). Editorial Board of the Chinese Anti-Rightist Campaign CD-ROM Database 2011-07-01
[3] 웹사이트 从反右运动看中国特色的政治斗争 http://www.yhcqw.com[...] 2020-07-18
[4] 논문 The Witch-Hunting Vanguard: The Central Secretariat's Roles and Activities in the Anti-Rightist Campaign 2011
[5] 논문 Victims and Perpetrators: Campaign Culture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Anti-Rightist Campaign https://muse.jhu.edu[...] 2020-04-28
[6] 웹사이트 The Silence that Preceded China's Great Leap into Famine https://www.smithson[...] 2019-11-28
[7] 웹사이트 PETITIONING FOR REDRESS OVER THE ANTI-RIGHTIST CAMPAIGN https://www.hrichina[...] 2020-07-18
[8] 웹사이트 反右运动对人民代表大会建设和工作的损害 http://www.people.co[...] 2020-07-18
[9] 웹사이트 "反右"运动与民主革命——纪念"反右"运动五十周年 https://www.modernch[...] 2020-07-18
[10] 웹사이트 反右运动的六个断面 http://www.yhcqw.com[...] 2020-07-18
[11] 논문 The 1957-1958 Anti-Rightist Campaign in China: History and Memory (1978-2014) https://halshs.archi[...] 2019-11-28
[12] 웹사이트 Uneasy silences punctuate 60th anniversary coverage http://cmp.hku.hk/20[...] China Media Project 2009-09-30
[13] 웹사이트 中共"八大"与"反右"运动 https://www.modernch[...] 2020-07-18
[14] 웹사이트 邓小平对"大跃进"的理解和认识--邓小平纪念网 http://cpc.people.co[...] 2020-07-18
[15] 웹사이트 1957年反右运动 http://www.hrhl.pku.[...] 2020-07-18
[16] 웹사이트 Hundred Flowers Movement https://www.oxfordre[...] 2020-07-18
[17]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EN Award For Independent Chinese Writing http://www.zonaeurop[...] 2007-01-19
[18] 웹사이트 反右派斗争及其扩大化 http://cpc.people.co[...] United Front Work Department
[19] 논문 The "Active Rightists" of 1957 and Their Legacy: "Right-wing Intellectuals," Revisionists, and Rights Defenders http://journals.open[...] 2007-12-15
[20] 웹사이트 Things Are Beginning to Change https://www.marxists[...] 2023-01-14
[21] 웹사이트 Muster Our Forces to Repulse the Rightists' Wild Attacks https://www.marxists[...] 2023-01-14
[22] 논문 Mass Mobilization Campaigns in Mao's China https://www.jstor.or[...] 2023-01-14
[23] 웹사이트 Four other prominent figures faced labels as rightists; one recovered, rose to premier https://www.scmp.com[...] 2007-04-25
[24] 논문 Cultural Trauma Construction of the Necropolitical Jiabiangou Laojiao Camp https://complitlang.[...] 2020-04
[25] 뉴스 Survivors' Stories From Chin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7-01
[26] 논문 The New Constitution and China's Emerging Legal System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1982
[27] 웹사이트 The Lushan Meeting and the Assertion of Absolute, Total Control by Mao Zedong https://www.sjsu.edu[...] 2020-07-18
[28] 서적 Deng Xiaoping: A Revolutionary Life
[29] 웹사이트 Frank Dikötter - Number Two Capitalist Roader https://literaryrevi[...] 2023-06-27
[30] 논문 The price of persecution: The long-term effects of the Anti-Rightist Campaign on economic performance in post-Mao China https://www.scienced[...] 2024-01-22
[31] 서적 Troublemaker: One Man's Crusade Against China's Cruelty https://archive.org/[...] Times Books 2002-12-30
[32]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EN Award For Independent Chinese Writing http://www.zonaeurop[...] EastSouthWestNorth 2007-01-19
[33] 웹인용 Uneasy silences punctuate 60th anniversary coverage http://cmp.hku.hk/20[...] China Media Project 200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