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동시선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자동시선유도(SACLOS)는 유도 미사일의 한 종류로, 조준 장치가 미사일과 표적 사이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여 미사일의 비행 경로를 수정하는 방식이다. 유선 및 무선 유도 방식이 있으며, 미사일 꼬리에서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광선을 사용하여 발사 지점에서 미사일의 비행 경로를 추적한다. 빔 라이딩 SACLOS는 조준 장치가 표적을 향해 지향성 신호를 방출하고, 미사일 꼬리의 탐지기가 이 신호를 감지하여 미사일을 빔 중앙에 유지하는 방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일 유도 - 적외선 유도
적외선 유도는 적외선 센서로 목표물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유도 방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사일에 적용되어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수동, 반능동, 능동 방식으로 분류되고 플레어나 재머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 미사일 유도 - 능동 레이더 유도
능동 레이더 유도는 미사일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목표물을 추적하는 레이더 호밍 유도 방식으로, 발사 후 망각 능력을 제공하며 전자전 환경에서 높은 명중률을 보이지만, 미사일 탑재 공간 및 전력 제약으로 유효 사거리가 제한될 수 있어 교전의 종말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반자동시선유도 | |
---|---|
개요 | |
유형 | 미사일 유도 방식 |
종류 | 지령 유도 |
명칭 | |
명칭 | 반자동 시선 유도 방식 |
영어 명칭 | Semi-Automatic Command to Line of Sight (SACLOS) |
2. 유선 및 무선 유도 SACLOS
유선 및 무선 유도 SACLOS 시스템에서 조준 장치는 미사일과 표적 사이의 각도 차이를 계산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미사일의 비행 경로를 수정하는 전자 유도 신호를 보내, 미사일이 조준 장치에서 표적까지의 직선, 즉 조준선(LOS)을 따라 비행하도록 유도한다.
밀란이나 BGM-71 TOW와 같은 많은 대전차 SACLOS 시스템은 미사일 꼬리에 부착된 가시광선, 적외선(IR), 또는 자외선(UV) 스트로브나 플레어를 이용해 발사 지점에서 미사일의 비행 경로를 추적한다. 발사 장치에는 보통 두 개의 렌즈를 가진 추적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넓은 시야각 렌즈는 발사 직후 미사일을 포착하고, 좁은 시야각 렌즈는 정밀한 추적과 조정을 담당한다. 카메라는 미사일의 광원을 감지하여 미사일이 조준선 중심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미사일을 다시 조준선 중앙으로 유도한다.
유도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미사일에 전달된다.
유선 유도 방식은 미사일과 발사 장치를 물리적인 선(광섬유나 전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이 방식은 재밍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선의 길이에 따라 사거리가 제한되고, 지형이나 장애물에 의해 선이 끊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물 위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발사 후 남는 선이 발사 위치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무선 유도 방식은 전파, 적외선, 레이저 등을 이용해 신호를 전달한다. 사거리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부의 전파 방해(재밍)에 취약할 수 있다.
유선 및 무선 유도 방식 모두 T-90 전차에 탑재된 슈토라-1과 같은 전자 광학 교란 장치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2. 1. 유선 유도 SACLOS의 예
유선 유도 방식의 반자동시선유도(SACLOS) 미사일은 발사 장치와 미사일이 물리적인 선(주로 전선이나 광섬유)으로 연결되어 유도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 방식은 재밍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결된 선의 길이 때문에 사거리가 제한되고 지형이나 장애물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 위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발사 후 남는 전선이 발사 위치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대표적인 유선 유도 SACLOS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2. 2. 무선 유도 SACLOS의 예
- ASM-N-2 배트
- 9K33 '오사' (SA-8 '게코')
- 재블린(지대공 미사일)
- BGM-71 TOW (무선(RF) 변형)
3. 빔 라이딩 SACLOS
빔 라이딩 반자동시선유도(SACLOS)는 조준 장치가 표적을 향해 전파나 레이저 같은 지향성 신호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미사일 꼬리 부분에 장착된 탐지기가 이 신호를 감지하고, 미사일 내의 전자 장치는 미사일이 항상 방출된 빔의 중앙을 따라 비행하도록 제어한다.[1]
이는 표적에 반사된 신호를 미사일 머리 부분의 센서가 감지하여 표적으로 직접 날아가는 반능동 레이다 유도(SARH)나 반능동 레이저 유도(SALH)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빔 라이딩 유도 방식의 미사일은 표적을 직접 향하는 것이 아니라, 조준 장치가 가리키는 조준선을 따라 비행한다.[1]
초기 대공포 시스템에서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해 레이다 신호를 이미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레이다 빔 라이딩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빔 라이딩 미사일은 항상 조준선을 따라 비행해야 하므로, 항공기와 같이 빠르게 움직이는 표적을 요격할 때는 비행 경로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표적에 가까워질수록 미사일이 급격하게 방향을 바꿔야 해서 빔을 따라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1][2] 이러한 이유로 현대의 많은 대공 미사일은 빔 라이딩 대신 자체적인 판단으로 최적의 요격 경로를 따라 비행한다.
현대에 와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빔 라이딩 방식이 더 널리 사용된다. 레이저는 장비가 소형이고,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가 적으며, 적에게 탐지되거나 재밍 당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1] 레이저 빔 라이딩 시스템은 비교적 낮은 출력으로 운용할 수 있고, 발사 즉시 표적을 정확히 조준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미사일 센서가 후방을 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재밍 시도에 영향을 덜 받는다. 특히 대전차 미사일의 경우, 후방 감지 방식은 고폭 대전차탄(HEAT) 탄두의 제트 분사 형성을 방해하지 않아 파괴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그러나 빔 라이딩 방식은 전차의 취약한 상부를 공격하는 상부 공격 모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발사기 외에 다른 장비가 표적을 대신 조준해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 또한, 유도 시스템과 미사일 발사대가 멀리 떨어져 운용되기 어렵다는 점은 수동 시선 유도(MCLOS) 방식에 비해 불리한 점이다.[1]
3. 1. 빔 라이딩 SACLOS의 예
- 9M133 코르넷
- 9M120 스비르
- HJ-9
- MSS-1.2
- RBS-70
- 셔르셴
- 스타스트릭
- ZT3 잉궤
- 9K121 비크르
- 유선 유도 SACLOS: BGM-71 TOW, MILAN, 스윙파이어, 79식 대주정 대전차 유도탄
- 무선 유도 SACLOS: ASM-N-2 BAT, 9K33 'Osa' (SA-8 'Gecko')
- 레이저 빔 라이딩 SACLOS: 9M133 코르넷, 스타스트릭
참조
[1]
논문
A New Off-Axis Laser Beamrider Missile Guidance Algorithm
https://arc.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6-08-21
[2]
논문
A New Off-Axis Laser Beamrider Missile Guidance Algorithm
https://arc.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6-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