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실결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실결절은 심장의 전기적 자극을 심방에서 심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심장 내 구조물이다. 심방 중격의 하부 뒤쪽 부분, 코흐 삼각의 중앙에 위치하며, 크기는 약 1 x 3 x 5 mm이다. 방실결절은 혈액을 오른관상동맥 또는 왼관상동맥 휘돌이가지를 통해 공급받으며, 뼈형성단백질(BMP)에 의한 세포 신호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실결절은 자극을 약 0.09초 지연시켜 심방과 심실의 수축에 시간차를 두며, 동방결절의 리듬이 끊어질 경우 자동능을 통해 분당 40-60회의 자체적인 박동을 유지한다. 방실 전도 질환, 방실결절 재진입 빠른맥, 방실결절 영역의 낭성 종양 등의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방실결절 | |
---|---|
개요 | |
이름 | 방실 결절 (房室結節) |
라틴어 이름 | nodus atrioventricularis |
영어 이름 | 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
위치 | 심장의 우심방 내 심내막 아래 |
역할 |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기적 신호 전달 지연 및 조절 |
관련 질환 | 방실 차단, 부정맥 |
구조 | |
구성 요소 | 세포 결합 조직 |
크기 | 작고 특수화된 조직 덩어리 |
혈액 공급 | 방실결절가지 |
기능 | |
전기 신호 전달 | 동방결절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받아 히스 다발로 전달 |
심박 조절 |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기 신호 전달 속도를 조절하여 심박수 유지 |
심방-심실 연결 | 심방과 심실 사이의 유일한 전기적 연결 통로 역할 |
임상적 중요성 | |
방실 차단 | 방실 결절 기능 장애로 인한 심방과 심실 간의 전기 신호 전달 차단 |
부정맥 유발 | 방실 결절의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으로 인한 부정맥 발생 가능성 |
약물 영향 | 특정 약물 (예: 베타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에 의해 기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2. 구조
방실결절은 심장 정맥동의 입구 근처, 심방 중격의 하부 뒤쪽 부분에 위치하여 심방에서 심실로 정상적인 전기적 자극을 전달한다. 다하라 준이 루트비히 아쇼프의 연구실에서 발견했으며, 우심방의 아래쪽, 심실 중격 근처에 있다.
동방 결절에서 방실 결절까지 자극 전달 속도는 초당 약 1m 정도이고, 푸르키녜 섬유 등으로 자극이 전달되는 속도는 초당 2m 이상이다. 이에 비해 방실 결절에서는 자극 전도 속도가 초당 약 5cm에서, 빨라도 초당 약 10cm로 10분의 1 이하로 매우 느리다. 또한, 심방과 심실은 결합 조직에 의해 절연되어 있어, 심방의 고유 심근 사이를 전달되는 자극은 켄트 다발과 같은 기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실의 고유 심근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실 결절에 전달된 자극은 심방과 심실을 격리하는 결합 조직을 유일하게 관통하는 히스 다발을 통해 심실 측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로 심방과 심실의 수축에 시간차를 둘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심방으로부터의 흥분을 히스 다발에 전달하지만, 동방 결절이 만드는 리듬(70회/분)이 끊어진 경우, 방실 결절의 자동능이 조율 기능을 어느 정도 보완한다. 그러나, 그 때 만들어내는 리듬은 40회/분 정도로 느려 서맥이 된다.
2. 1. 위치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정상적인 전기 자극을 전도하며, 관상정맥굴이 열리는 부분 근처에 있는 심방중격의 허리 부분에 있다. 코흐삼각(삼첨판막의 중격 첨판, 관상정맥굴, 심방중격의 막부분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중심에 있다.[19]방실 결절은 매우 작으며(약 1mm x 3mm x 5mm), 심방 중격의 하부 뒤쪽 부분, 심장 정맥동의 입구 근처에 위치하여 심방에서 심실로 정상적인 전기적 자극을 전달한다.[2] 코흐 삼각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삼각의 경계는 삼첨판의 중격 엽, 심장 정맥동, 그리고 심방 중격의 막성 부분이다.[3] 다하라 준이 루트비히 아쇼프의 연구실에서 발견했다. 우심방의 아래쪽, 심실 중격 근처에 있다.
2. 2. 혈액 공급
방실결절은 방실결절가지를 통해 혈액을 공급받는다. 방실결절가지의 기원은 대부분(80-90%) 오른관상동맥의 가지이며, 나머지는 왼관상동맥 휘돌이가지에서 나온다.[20][21][22] 이는 관상순환의 우세성에 따라 달라진다. 오른쪽이 우세한 경우 혈액 공급은 오른관상동맥에서, 왼쪽이 우세한 경우에는 왼관상동맥 휘돌이가지에서 혈액 공급이 시작된다.2. 3. 발달
뼈형성단백질(BMP)에 의한 세포 신호는 심장의 분화와 형태 형성, 그리고 방실결절의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BMP는 Alk3 수용체(액티빈 수용체 유사 키나제 3)를 통해 방실결절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기능 신호 분자이다.[23] BMP와 Alk3의 이상은 엡스타인 기형 및 방실 전도 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7]3. 기능
방실결절은 우심방에서 분계능선과 심방중격을 통해 두 종류의 신호를 입력받는다.[24]
심근 세포의 수축은 세포막의 탈분극과 재분극을 통해 일어난다. 세포막 전위의 변화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이온의 이동을 통해 일어난다. 심장 전도계의 방실결절 부분은 심근 세포의 기계적 활동을 조정한다.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된 흥분파는 심방을 거쳐 방실결절을 활성화시킨다.[17]
심방과 심실은 결합 조직에 의해 절연되어 있으며, 심방의 고유 심근 사이를 전달되는 자극은 켄트 다발과 같은 기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실의 고유 심근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방실 결절에 전달된 자극은 심방과 심실을 격리하는 결합 조직을 유일하게 관통하는 히스 다발을 통해 심실 측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로 심방과 심실의 수축에 시간차를 둘 수 있다.
3. 1. 신호 지연
굴심방결절에서 특수한 전도 통로를 따라 심방으로 퍼진 자극은 방실결절을 활성화시킨다.[17] 방실결절은 자극을 약 0.09초 지연시키는데, 이러한 지연은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심방이 먼저 혈액을 심실로 분출할 수 있게 하여 심장 박동에 매우 중요하다.[25] 또한 시간이 약간 지연되면서 심방 부정맥에 대한 과도하게 빠른 속도 반응으로부터 심실을 보호한다.[25]방실결절의 특별한 주요 속성은 감쇠 전도(decremental conduction)인데,[27] 이는 결절이 더 자주 자극될수록 전도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다. 이러한 속성은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과 같은 빠른 심방 리듬에서 심실로 신호가 지나치게 빠르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실결절의 정상적인 내재 발화율은 자극이 없다면 분당 40-60회이다.[28] 방실결절에 자체적인 발화율이 존재하는 것은 중요한데, 방실결절 이전의 전도계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도 방실결절의 (더 느리게) 심박 조정능력이 유지되면 여전히 심실의 박동 조율을 할 수 있게 된다.
다하라 준이 루트비히 아쇼프의 연구실에서 방실결절을 발견했다. 방실결절은 우심방의 아래쪽, 심실 중격 근처에 있다.
동방 결절에서 방실 결절까지의 자극 전달 속도(매초 약 1m 정도)나, 푸르키녜 섬유 등으로 자극이 전달되는 속도(매초 2m 이상)와 비교하여, 방실 결절에서는 매초 약 5cm에서, 빨라도 매초 약 10cm로 자극 전도 속도가 10분의 1 이하로 매우 느리다.
3. 2. 감쇠 전도
방실결절의 중요한 특성은 감쇠 전도(decremental conduction)이다.[27] 감쇠 전도는 결절이 더 자주 자극될수록 전도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다. 이러한 방실결절의 속성은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과 같은 빠른 심방 리듬에서 심실로 신호가 지나치게 빠르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27]3. 3. 자동능
방실결절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자극이 없을 때 분당 40-60회의 자체적인 발화율을 가진다.[28] 굴심방결절의 기능이 멈춘 경우, 방실결절이 심박 조율 기능을 보완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심박수는 분당 40회 정도로 느려져 서맥이 된다.[13]정상적인 심장 리듬 동안 방실 전도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 첫 번째 경로는 전도 속도가 느리지만 불응기가 짧다.
- 두 번째 경로는 전도 속도가 빠르지만 불응기가 길다.[26]
4. 임상적 중요성
방실결절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심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여기에는 방실 전도 질환(AV 전도 차단), 방실 결절 재입성 빈맥,[11] 방실 결절 부위 낭성 종양(CTAVN) 등이 있다.[16]
4. 1. 방실 전도 질환 (방실차단)
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손상된 상태이다. 심방의 탈분극이 심실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오랜 시간 지연될 때 발생한다. 부상이나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29][14]4. 2. 방실결절 재진입 빠른맥 (AVNRT)
방실결절 재진입 빠른맥[26]은 이중 방실결절 생리로 인해 발생한다.[15] 인구의 거의 절반이 이중 방실결절 생리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중 일부만이 AVNRT를 경험한다.[15]4. 3. 방실결절 영역의 낭성 종양 (CTAVN)
방실결절 영역의 낭성 종양(CTAVN)은 내배엽 기원으로, 방실결절, 삼첨판, 심방중격 영역에서만 발생한다.[30][16]5. 역사
참조
[1]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2]
웹사이트
Full Size Picture triangle of-Koch.jpg
http://medical-dicti[...]
2008-12-22
[3]
웹사이트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e" Section 3: Disorders of Rhythm
http://www.accessmed[...]
2011-07-07
[4]
저널
Arterial blood supply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and main bundle
1972-10
[5]
저널
Anatomical aspects of the arterial blood supply to the sino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of the human heart
[6]
저널
Arterial Supply to Sinu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Imaging with Multidetector CT
[7]
저널
Abnormal Conduction and Morphology in the Atrioventricular Node of Mice With Atrioventricular Canal–Targeted Deletion of Alk3/Bmpr1a Receptor
2007-11
[8]
저널
ACC/AHA/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http://www.americanh[...]
2001-10
[9]
서적
Biology
Benjamin Cummings
[10]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11]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12]
저널
Decremental conduction in the posterior and anterior AV nodal inputs
2002-10
[13]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Saunders
[14]
저널
Genetics of atrioventricular conduction disease in humans
2004-10
[15]
웹사이트
Dual Atrioventricular Nodal Physiology -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22-11-14
[16]
저널
Cystic tumor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an unexpected finding in an explanted heart
2009-01
[17]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18]
웹사이트
Full Size Picture triangle of-Koch.jpg
http://medical-dicti[...]
2008-12-22
[19]
웹사이트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e” Section 3: Disorders of Rhythm
http://www.accessmed[...]
[20]
저널
Arterial blood supply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and main bundle
1972-10
[21]
저널
Anatomical aspects of the arterial blood supply to the sino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of the human heart
[22]
저널
Arterial Supply to Sinu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Imaging with Multidetector CT
[23]
저널
Abnormal Conduction and Morphology in the Atrioventricular Node of Mice With Atrioventricular Canal–Targeted Deletion of Alk3/Bmpr1a Receptor
2007-11
[24]
저널
ACC/AHA/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http://www.americanh[...]
2001-10
[25]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26]
서적
Lecture Notes on Cardi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27]
저널
Decremental conduction in the posterior and anterior AV nodal inputs
2002-10
[28]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Saunders
[29]
저널
Genetics of atrioventricular conduction disease in humans
2004-10
[30]
저널
Cystic tumor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an unexpected finding in an explanted heart
2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