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자극 생성 또는 전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의미한다. 주요 기전으로는 자극 생성의 증가 또는 이상, 재관류 전도 장애가 있으며, 심박수, 기전, 지속 시간에 따라 빈맥, 서맥, 심박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부정맥 등으로 분류된다.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전도, 홀터 모니터 등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미주 신경 자극술, 항부정맥제, 전기 심율동 전환술, 제세동, 심장 박동조율,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으며, 심장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정맥 -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뇌졸중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응고제, 심박수 조절 약물 등으로 치료한다.
부정맥 - 저체온증 저체온증은 심부 체온이 35.0℃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저온 노출, 알코올 섭취, 질병, 약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떨림, 의식 저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체온 측정과 재가온 치료가 중요하다.
심장 부정맥은 크게 두 가지 주요 기전으로 발생한다. 첫 번째는 자극 생성의 증가 또는 이상으로, 동방 결절이나 히스-푸르키니에 섬유 네트워크에서 시작된다.[21] 두 번째는 재관류 전도 장애 때문이다.[21]
자동성은 심근 세포가 스스로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장의 모든 세포는 활동 전위를 시작할 수 있지만, 일부 세포만이 규칙적으로 심장 박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세포들은 심장의 전도 시스템에서 발견되며, 동방 결절, 방실 결절, 히스 다발 및 푸르키니에 섬유를 포함한다. 동방 결절은 심방에 있는 특별한 위치로, 심장의 다른 부분보다 높은 자동성(더 빠른 페이스메이커)을 가지며, 심박수를 설정하고 각 심장 박동을 시작하는 역할을 한다.
동방 결절을 기다리지 않고 자극을 시작하는 심장의 모든 부분은 이소성 초점이라고 하며, 병적인 현상이다. 이는 가끔 단일 조기 박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소성 초점이 동방 결절보다 더 자주 발화하면 지속적인 비정상적인 리듬을 생성할 수 있다. 심방의 이소성 초점 또는 방실 결절에 의해 생성된 리듬은 가장 위험하지 않은 부정맥이지만, 신호가 평소와 다른 타이밍으로 심근의 다양한 부분에 도달하여 조율되지 않은 수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심장의 펌프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동성을 증가시키는 조건에는 교감 신경계 자극과 저산소증이 있다. 결과적인 심장 리듬은 첫 번째 신호가 시작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동방 결절에서 시작되면 리듬은 정상적이지만 빨라지고, 이소성 초점이면 여러 유형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재입성 부정맥은 전기적 자극이 심장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한 후 멈추는 대신 심장 내에서 좁은 원을 그리며 반복적으로 이동할 때 발생한다.[28][29]
모든 심장 세포는 모든 방향으로 흥분 자극을 전달할 수 있지만, 짧은 시간 내에 한 번만 전달한다. 정상적으로는 활동 전위 자극이 심장 전체에 충분히 빠르게 퍼져나가 각 세포가 한 번만 반응하게 된다. 그러나 불응기에 본질적인 이질성이 있거나 일부 영역에서 전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린 경우(예: 심장 손상) 심근 세포가 빠른 나트륨 채널을 활성화할 수 없어, 자극의 일부가 늦게 도착하여 잠재적으로 새로운 자극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이는 지속적인 비정상적인 회로 리듬을 생성할 수 있다.
일종의 "재입성"으로, 심근 내 흥분 소용돌이(자동파 소용돌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장 부정맥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간주된다.[30] 특히, 자동파 반향기는 심방의 얇은 벽에서 흔하며, 때로는 심방 조동을 유발한다. 재입성은 또한 대부분의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과 위험한 심실 빈맥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유형의 재입성 회로는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를 이용하는 WPW 증후군과는 다르다.
어유에서 얻은 오메가-3 지방산은 부정맥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재입성 부정맥을 촉진할 수도 있다.[31]
심장의 전체 공간이 여러 개의 미세 재입로에 관여하여 혼란스러운 전기적 자극으로 떨리고 있을 때, 이를 세동이라고 한다. 세동은 심방(심방 세동) 또는 심실(심실 세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실 세동은 즉각적으로 생명을 위협한다.
심방 세동은 심방으로 알려진 심장의 위쪽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 심방 세동은 심각한 기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은 아니다.
심실 세동은 심장의 심실 (아래쪽 공간)에서 발생하며, 항상 응급 상황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심실 세동(VF, 또는 V-fib)은 몇 분 안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심장이 V-fib 상태가 되면 혈액의 효과적인 펌핑이 멈춘다. V-fib은 심정지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영향을 받은 개인은 즉시 심폐 소생술(CPR)과 제세동을 받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
CPR은 정상적인 맥박이 없을 때 뇌의 생존을 연장할 수 있지만, 제세동만이 건강한 심장 리듬을 회복시킬 수 있는 유일한 개입 방법이다. 제세동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세포를 재설정하여 정상적인 박동이 다시 확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유발성 박동은 개별 심장 세포의 이온 채널 수준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전기적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전파되어 지속적인 비정상 리듬으로 이어질 때 발생한다. 이는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며, 항부정맥 약물의 작용이나 탈분극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심장은 전신에 혈액을 내보내는 펌프 역할을 한다. 펌프를 움직이는 것은 전기 자극이다. 먼저, 우심방에 있는 동방 결절(SA node)이 흥분하고, 전기 자극이 심방을 거쳐 우심방 아래에 있는 방실 결절로 전달된다. 더욱이 흥분은 방실 결절에서 히스 다발, 푸르키니에(Purkinje) 섬유로 전도되어, 심근 전체로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 간다. 자극 생성 혹은 전도 경로의 어느 한 곳이 손상되어 심장의 흥분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부정맥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심방 세동은 심방의 근육 각 부분이 무질서하고 불규칙하게 흥분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 무질서한 흥분이 심실로 전달됨으로써 맥이 불규칙해진다.
3. 분류
부정맥은 심박수 이상, 발생 부위, 전기 자극 전달 경로의 문제(전도 장애)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상심실성 부정맥: 심방이나 방실 결절 등 심실 위쪽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동결절 서맥, 동성 부정맥, 동성 빈맥, 조기 심방 수축(PAC), 심방 빈맥, 심방 세동(Afib), 심방 조동(AFL) 등이 있다.
심실성 부정맥: His속이 좌우 각으로 갈라진 이하 부위, 즉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심실 조기 박동(PVC), 심실 빈맥(VT), 심실 세동(Vf) 등이 이에 속한다. 심실성 부정맥은 심박동수, 부정맥 발작 기간, 심실 기능 등에 따라 심각한 혈역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는 돌연심장사를 일으키기도 한다.[14]
전도 장애 (차단): 심장의 전기 자극 전달 경로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방실 결절 차단이 대표적이며, 1도 방실 차단, 2도 방실 차단, 3도 방실 차단 등으로 나뉜다. 동방 결절에서도 차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동방 차단이라고 한다.
기타 분류
속도: 빈맥(빠른맥), 서맥(느린맥)
기전: 자동성, 재입성, 유발성
지속 시간: 고립된 조기 박동, 커플렛, 런(3개 이상의 박동), 비지속성(30초 미만), 지속성(30초 이상)
리듬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심장 부위에 따른 부정맥의 광범위한 분류
3. 1. 심박수에 따른 분류
성인과 15세 이상의 어린이의 경우, 안정 시 심박수가 분당 100회 이상인 경우를 빈맥이라고 한다. 빈맥은 심계항진을 유발할 수 있지만, 빈맥이 ''반드시'' 부정맥인 것은 아니다. 심박수 증가는 신체적 운동이나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이는 동방 결절에 대한 교감 신경계의 작용에 의해 매개되며, 이를 동성 빈맥이라고 한다. 심장의 교감 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키는 다른 조건으로는 카페인이나 암페타민과 같은 섭취 또는 주입된 물질,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빈혈 등이 있다.[1]
동성 빈맥이 아닌 빈맥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심장 주기에 비정상적인 자극이 추가되어 발생한다. 비정상적인 자극은 자동성, 재입성 또는 유발 활동의 세 가지 메커니즘 중 하나로 시작될 수 있다. 일반적이며 문제가 되는 재입성의 특수한 형태를 세동이라고 한다.[1]
"빈맥"이라는 용어는 160년 이상 알려져 왔지만, 부정맥 분류의 근거는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1]
사람의 안정 시 맥박은 통상 50~100회/분 정도이지만, 이를 밑도는 경우를 서맥, 많은 경우를 빈맥이라고 부른다. 부정맥은 심박수에 따라 빈맥성 부정맥, 서맥성 부정맥, 심박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부정맥으로 분류할 수 있다.[2]
조기 수축(Premature Contraction)은 R-R 간격이 거의 일정하지만, 일부 심박이 앞으로 당겨진 상태이다. 또는 정상적인 맥박이 사라지거나 (보상성 조기 수축) 정상적인 맥박의 주기와 등간격으로 발생하는 경우(간입성 조기 수축)도 있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주로 흉부에 형용할 수 없는 불쾌감을 느끼거나, 연발하면 어지럼증이나 실신을 일으키지만, 심장 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방치해도 생명에 위험은 없다.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최악의 경우 심실 세동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2]
3. 2.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부정맥은 발생 부위에 따라 크게 상심실성 부정맥, 심실성 부정맥, 전도 장애(차단)로 나눌 수 있다.
상심실성 부정맥: 심방이나 방실 결절 등 심실 위쪽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동결절 서맥, 동성 부정맥, 동성 빈맥, 조기 심방 수축(PAC), 심방 빈맥, 심방 세동(Afib), 심방 조동(AFL) 등이 있다.
심실성 부정맥: His속이 좌우 각으로 갈라진 이하 부위, 즉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심실 조기 박동(PVC), 심실 빈맥(VT), 심실 세동(Vf) 등이 이에 속한다. 심실성 부정맥은 심박동수, 부정맥 발작 기간, 심실 기능 등에 따라 심각한 혈역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는 돌연심장사를 일으키기도 한다.[14]
전도 장애 (차단): 심장의 전기 자극 전달 경로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방실 결절 차단이 대표적이며, 1도 방실 차단, 2도 방실 차단, 3도 방실 차단 등으로 나뉜다. 동방 결절에서도 차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동방 차단이라고 한다.
3. 2. 1. 상심실성 부정맥
동결절 서맥
동성 부정맥
동성 빈맥
조기 심방 수축(PAC)
방랑 심방 박동조율
심방 빈맥
다초점 심방 빈맥
상심실성 빈맥(SVT)
심방 조동
심방 세동(Afib)
방실 결절 회귀성 빈맥
조기 수축(Premature Contraction)은 R-R 간격이 거의 일정하지만, 일부 심박이 앞으로 당겨진 상태이다. 정상적인 맥박이 사라지거나(보상성 조기 수축), 정상적인 맥박의 주기와 등간격으로 발생하는 경우(간입성 조기 수축)도 있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주로 흉부에 형용할 수 없는 불쾌감을 느끼거나, 연발하면 어지럼증이나 실신을 일으키지만, 심장 질환이 없는 경우에는 방치해도 생명에 위험은 없다.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최악의 경우 심실 세동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2] 동성 빈맥정상인에게 운동 후에 나타난다. 안정 시에도 나타나는 경우, 호흡기 질환, 감염증, 내분비 질환, 신경 질환, 정신 질환 등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2] 심방세동(Af, AF: Atrial fibrillation)R-R 간격이 완전히 불규칙한 경우, 대부분 심방세동이다. 또한 P파가 존재하지 않고, 기선이 미세한 아티팩트처럼 흔들린다.[2] 심방조동(AF, AFL: Atrial Flutter)기선이 톱니 모양으로 흔들린다.[2] 다원성 심방 빈맥(MAT: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Af와 마찬가지로, R-R 간격은 완전히 불규칙하지만, 형태 및 방향이 다양한 P파가 존재한다. Af에 비해 드물다.[2] 상실성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심실성 리듬이 아닌 경우를 의미한다. 원인을 찾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더 세분화하여 분류할 필요가 있다.[2] 재관류성 빈맥기전에서 언급했듯이, 심장의 흥분은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것이 정상이지만, 선천성 이상이나 심근경색 후 등으로 흥분이 역행하는 경로가 형성되면 발생한다.[2]
심방성 기외 수축(PAC: Premature Atrial Contraction)PAC 기외 수축 전에도 P파가 존재하며, QRS 폭이 좁다. 무증상이며 다른 검사 수치에 이상이 없다면 치료할 필요는 없다.[2] 방실 접합부성 기외 수축(A-V junctional contraction)[2]
3. 2. 2. 심실성 부정맥
'''심실성 부정맥'''은 His속이 좌우각으로 갈라진 이하 부위에서 발생되는 부정맥으로 심실내 자동능의 증가나 심실내 회귀로 발생한다. 심실성 부정맥으로 인한 혈역학적 영향은 심박동수, 부정맥 발작 기간, 심방 기능의 소실, 계통적 심실 수축의 소실 등에 의해 나타나며, 그 영향은 심실성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의 심실 기능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심실빈맥이 정상인에서 발생할 때는 혈역학적 영향이 없을 수도 있으나 같은 부정맥이 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발생할 때는 심박출량을 매우 감소시켜 실신이나 돌연심장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심실성 부정맥은 심실조기박동, 심실빈맥, 심실세동 및 기타 심실성 부정맥으로 나눈다.
심실 조기 수축 (PVC, 조기 심실 박동, VEB)
정상 박동마다 조기 심실 박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심실 이단맥이라고 한다.
정상 박동 2회에 조기 심실 박동 1회, 또는 정상 박동 1회에 조기 심실 박동 2회가 발생하는 PVC를 "삼단맥 PVC"라고 한다.[13]
조기 심실 박동 3개가 묶여서 나타나는 것을 삼련이라고 하며, 이는 짧은 비지속성 심실 빈맥 (NSVT)으로 간주된다. 이 묶음이 30초 이상 지속되면 지속적인 심실 빈맥 (VT)으로 간주된다.[14]
가속 심실 고유 리듬
단일 형태 심실 빈맥
다형 심실 빈맥
심실 세동
Torsades de pointes (꼬임 심실 빈맥)
부정맥성 우심실 이형성증
재입성 심실 부정맥
심실성 빈맥(VT: Ventricular tachycardia): 모든 QRS 폭이 0.2초 이상이다. P파는 존재하지 않는다.
심실 세동(Vf: Ventricular fibrillation): Vf 기선이 없고 진폭이 작은 정현파에 가까운 파형으로만 구성된 파형. 말초에서는 맥박을 만질 수 없다. 임상적으로는 심정지 상태이다.
심실 조동 (VF: Ventricular Flutter)
심실성 조기 수축(PVC(VPC):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조기 수축의 QRS 폭이 넓다. 특히 QRS의 형태와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를 다원성 PVC라고 하며, 심실벽의 여러 부위 또는 넓은 범위에 이상이 생기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1분당 6~10회 이상 관찰될 경우, 상술한 심실성 빈맥으로 발전할 우려가 있다.
3. 2. 3. 전도 장애 (차단)
방실 결절 차단은 대부분 방실 결절의 병변에서 발생하며, 서맥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1]
1도 방실 차단: PR 간격 연장으로 나타난다.
2도 방실 차단
2도 방실 차단, 제1형: Mobitz I 또는 Wenckebach라고도 한다.
2도 방실 차단, 제2형: Mobitz II라고도 한다.
3도 방실 차단: 완전 방실 차단이라고도 한다.
1도, 2도, 3도 차단은 동방 결절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동방 차단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정도와 패턴의 동서맥으로 나타난다.[2]
여기서 말하는 블록은 전도 장애를 의미한다.
동방 결절 차단 (S-A block): 동결절에서 발생한 흥분 전도가 심방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
방실 차단 (A-V block): 심방에서 심실로의 흥분 전도가 불완전하거나 전혀 없는 상태.
모비츠 II형 방실 차단: 때때로 QRS가 탈락하지만, 탈락하지 않은 심박의 PR 간격은 일정하다.
3도 방실 차단: P파가 존재하지만, P파와 QRS파 사이에 어떠한 시간적 관련성도 없다.
방실 해리 (A-V dissociation)
접합부성 리듬 (Junctional rhythm)
동기능 부전 증후군 (SSS)
호흡성 부정맥 (Respiratory Arrhythmia): 흡기 시에 맥박이 상승하고, 호기 시에 저하된다.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나타난다. 맥박이 불규칙하지만 질병은 아니다.
다리 차단(각 차단): 좌우 심실벽 중 하나에서 신경 전달이 끊어진 상태. 끊어진 쪽 심실벽은 심근 전도에 의해 다른 쪽보다 늦게 수축하므로 QRS 파형은 이봉성(토끼 귀 모양)이 된다.
분류
부위에 따른 분류: 우각 차단 (RBBB)과 좌각 차단 (LBBB)의 두 종류가 있으며, '''W'''illia'''M''' '''M'''orro'''W'''로 기억한다. 즉, 흉부 유도 심전도에서 V1에서 아래쪽 이봉성, V6에서 위쪽 이봉성이면 좌각 차단이고, 우각 차단은 그 반대이다.
정도에 따른 분류: 완전 각 차단과 불완전 각 차단으로 분류된다.
완전 우각 차단, 불완전 우각 차단, 완전 좌각 차단, 불완전 좌각 차단의 4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4. 증상
부정맥의 가장 흔한 증상은 심계항진이라고 불리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에 대한 자각이다. 이는 드물게, 자주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부정맥 중 일부는 무해하지만, 일부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부정맥은 가슴 통증과 호흡 곤란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부 부정맥은 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일부 무증상 부정맥은 불리한 사건과 관련이 있는데, 심장 내 혈전 위험 증가와 약한 심장 박동으로 인해 심장으로 운반되는 혈액 부족 위험 증가가 있다. 기타 증가된 위험으로는 색전증과 뇌졸중, 심부전, 급사 등이 있다.[20]
부정맥으로 인해 신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거나, 너무 약한 심장 박동이 나타나면 이는 낮은 혈압으로 나타나며, 뇌에 혈액과 산소 공급이 불충분하여 현기증, 어지럼증, 실신, 의식 상실, 혼수, 지속적 식물 상태, 또는 뇌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20]
전혀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무증상 부정맥,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성 부정맥이라고 부른다.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어지럼증, 실신(아담스-스토크스 발작), 흉부 불쾌감, 호흡 곤란, 흉통 등이 있다.
5. 진단
심장 부정맥은 청진기를 이용한 심장 박동 청진이나 말초 맥박 촉진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처음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특정 부정맥을 진단하기는 어렵고, 심박수의 일반적인 지표와 규칙성 여부만 알 수 있다. 모든 심장의 전기적 신호가 청각이나 촉진 가능한 박동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부정맥에서 조기 또는 비정상적인 박동은 효과적인 펌핑 작용을 생성하지 못해 "건너뛴" 박동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심장 리듬 평가를 위한 가장 간단한 ''특정'' 진단 검사는 심전도(약칭 ECG 또는 EKG)이다.[22][23] 홀터 모니터는 하루 종일 짧고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할 수 있는 부정맥을 감지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기록된 EKG이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보다 진보된 연구를 통해 이상 심장 박동의 근원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카테터를 사용하여 심장 내부의 전기적 활동을 "듣는" 전기 생리학적 연구인 혈관 내 시술로 수행할 수 있으며, 부정맥의 원인을 발견하면 비정상적인 세포를 절제하여 부정맥을 영구적으로 교정할 수도 있다. ''경식도 심방 자극''(TAS)은 식도를 통해 좌심방의 후벽까지의 거리가 약 5–6 mm에 불과한 부분에 삽입된 전극을 사용한다(다른 연령 및 체중의 사람에서 일정하게 유지됨).[24] 경식도 심방 자극은 심방 조동, AV 결절 재관류 빈맥 및 직행성 방실 재관류 빈맥을 구별할 수 있다.[25] 또한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위험을 평가할 수 있으며 재관류로 인한 상심실성 빈맥을 종료할 수도 있다.[25]
부정맥의 진단에는 주로 심전도가 사용된다. 심전도 판독법은 방대하므로, 재단법인 심장혈관연구소의 야마시타 타케시(山下武志)의 분류를 참고할 수 있다. 심전도를 통해 할 수 있는 일은 "방치", "자력으로 해결", "긴급하게 타인의 도움을 받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긴급성 평가는 심전도보다 활력 징후가 더 명확하다.
심전도 판독 및 진단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심전도 판독 및 진단 과정
단계
내용
1. 조율・심박수
2. QRS 평균 전기축과 이행대 측정
3. 기본 측정
4. 파형
5. 종합 소견
의료인은 방치, 자력 해결, 긴급한 타인의 도움 요청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심전도 판독 시에도 마찬가지이며, 특히 타인의 도움을 받을 것인가 하는 판단이 중요하다. 이는 활력 징후 등 다른 정보가 크게 참고가 된다. 부정맥 여부 판단은 주로 심전도로 한다. 부정맥 스크리닝은 12유도 중 II유도와 V1유도만으로 충분하다. II유도는 P파를 읽기 쉬워 유용하다. 단, 이 방법은 부정맥 이외의 것을 간과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ST 변화 간과를 피하기 위해 미리 ST 변화만 12유도로 제외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모니터 심전도에는 ST 정보가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경험적으로 심박수가 정상이고 QRS 폭이 좁으면 혈역학적 상태는 안정되어 있다. 빈맥으로 QRS 폭이 넓으면 환자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부정맥의 경우, 내버려두면 악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지만, 우선 필요한 것은 지금 치료가 필요한가 하는 문제이며, 미래의 일은 뒤로 미루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악화되는 경우에는 기저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고, 심전도만 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먼저 12유도로 동조율인지, ST 변화가 없는지 조사한다.
II유도와 V1유도로 부정맥 스크리닝을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 심박수, QRS 폭이다.
심박수 정상치는 50~100회/분이며, 50회/분 미만은 서맥이다. 맥박은 일내 변동이 있어 밤에는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밤의 맥박은 다소 정상치를 밑돌아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부정맥''' 여부이며, 갑자기 느려지거나, 2초 이상 맥박이 멈추는 에피소드나 심전도 소견으로 판단한다. 서맥성 부정맥의 진단은 P파가 정상이면 방실 차단, P파가 없으면 동기능 부전 증후군이다. 방실 차단은 심실 장애이며 급사 위험이 있어 인공 심장 박동기 적응증이 된다. 동기능 부전 증후군은 증상이 없으면 방치, 증상이 있어도 치료해도 예후 변화가 없으므로 QOL 향상을 위한 치료를 한다.
심박수 정상치는 50~100/분이며, 100/분 초과는 빈맥이다. 동성 빈맥은 운동으로 서서히 빈맥이 일어나는 정상적인 반응이므로, 부정맥을 관찰하려면 갑자기 빨라지는 에피소드나 심전도 소견이 중요하다. 부정맥으로서의 빈맥은 QRS 폭이 중요하다. QRS 폭이 0.12초(3mm) 미만이면 상심실성(대개 심방성) 부정맥, 0.12초(3mm) 이상이면 심실성 부정맥이다. 심실성 부정맥은 긴급사태이며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QRS 폭으로 부정맥 부위를 특정할 수 있는 이유는 정상적인 특수 심근에 자극이 전도될 경우 0.12초 이내에 전도가 종료될 것이라는 경험칙 때문이다. 변행 전도는 QRS 폭이 넓은데도 상심실성 부정맥인 경우이다. 그러나 QRS 폭이 좁은데 심실성 부정맥인 현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QRS 폭이 넓으면 긴급사태라고 생각하면 실수는 적다.
심실성/상심실성 판단 후, 상심실성이면 PP 간격으로 심방 박동수를, 심실성이면 RR 간격으로 심실 박동수를 조사하여 부정맥 이름을 붙인다. 촉진법으로 유효한 맥박수를 따로 세어두는 것은 환자 상태 파악에 중요하지만, 부정맥 진단에는 덜 중요하다. 빈맥성 부정맥은 P파 등 파형 정의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이미지로 판단하지만 경험이 없으면 어렵다. 전기적인 박동수가 100~250/분이면 빈맥, 250~350/분이면 조동, 350/분 초과는 세동이다. 단, 심실 조동이라는 말은 임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가끔 빠른 맥이 나오면 조기 수축이다.
6. 치료
심장 리듬 관리 방법은 환자의 상태가 안정적인지, 아니면 불안정한지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법으로는 신체적 조작, 약물, 전기적 전환, 전기 소작술, 냉동 소작술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2011년에 심장 부정맥 및 전도 장애로 입원한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몇몇 신체적 행위는 심장에 대한 부교감 신경의 공급을 증가시켜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 전도 차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미주 신경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작을 통틀어 미주 신경 자극술이라고 한다.
항부정맥제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작용 기전이 다르고, 이들 종류 내에 많은 개별 약물이 존재한다. 약물 치료의 목표는 부정맥을 예방하는 것이지만, 거의 모든 항부정맥 약물은 전-부정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고 의료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한다.
일부 부정맥은 심장 내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색전증과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항응고제인 와파린 및 헤파린,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는 혈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정맥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치료할 수도 있다.[33] 전기 심율동 전환술은 약리학적으로 또는 근본적인 심장 박동에 "동기화된" 충격을 가하여 수행된다. 제세동은 충격이 동기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며, 심실세동의 혼란스러운 리듬이나 무맥성 심실 빈맥에 사용된다. 제세동 또는 전기 심율동 전환술은 이식형 제세동기(ICD)로 수행될 수 있다.
부정맥의 전기적 치료에는 심장 박동조율도 포함된다. 서맥이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영구적인 인공 심장 박동기를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심장 전문의는 전기 생리학 분야를 세분화하여 전공하기도 한다. 특수 카테터 실험실에서 혈관을 통해 삽입된 미세 탐침을 사용하여 심장 내부의 전기적 활동을 매핑하고, 카테터 절제술이라는 과정에서 열, 냉기, 전기 또는 레이저 탐침으로 비정상적인 전도 영역을 파괴한다. 방실 결절 재관류 빈맥은 방실 결절의 경로 중 하나를 절제함으로써 종종 치료할 수 있다. 심방 세동 또한 폐정맥 격리를 수행하여 치료할 수 있지만, 결과는 덜 신뢰할 수 있다.
치료가 필요한 부정맥에 대해서는 항부정맥제로 부정맥을 억제하거나, 맥박을 조절하는 약물 치료, 또는 심장 박동 조율기나 삽입형 제세동기(ICD) 등의 외과적 처치를 하는 비약물 치료가 시행된다. 심실 세동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에서는 제세동기로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 리듬을 정상으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ACLS에서는 모든 항부정맥제가 그 자체가 부정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전기적 치료를 우선하고, 약물 치료도 사용하는 약물의 종류를 최대한 줄이도록 권장하고 있다.
7. 합병증
부정맥의 가장 흔한 증상은 심계항진이라고 불리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에 대한 자각이다. 이는 드물게, 자주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부정맥 중 일부는 무해하지만, 일부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부정맥은 가슴 통증과 호흡 곤란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부 부정맥은 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일부 무증상 부정맥은 심장 내 혈전 위험 증가와 약한 심장 박동으로 인해 심장으로 운반되는 혈액 부족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기타 증가된 위험으로는 색전증과 뇌졸중, 심부전, 급사 등이 있다.[20]
부정맥으로 인해 신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거나, 너무 약한 심장 박동이 나타나면, 뇌에 혈액과 산소 공급이 불충분하여 현기증, 어지럼증, 실신, 의식 상실, 혼수, 지속적 식물 상태, 또는 뇌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심장 내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부정맥은 색전증과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항응고제인 와파린 및 헤파린,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는 혈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정맥, 심근 경색, 심근증, 판막증 등의 심장 질환으로 인한 급사를 심장 돌연사라고 한다. 심장 돌연사의 원인으로는, 허혈성 심장 질환이나 심실 세동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QT 연장 증후군이나 브루가다 증후군 등의 특수한 심전도 파형을 보이는 부정맥도 심장 돌연사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2]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an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3]
웹사이트
Types of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
논문
Sudden cardiac death and inherited channelopathy: the basic electrophysiology of the myocyte and myocardium in ion channel disease
2012-04-01
[5]
논문
Bradyarrhythmias and conduction blocks
2012-07-01
[6]
웹사이트
How Are Arrhythmias Diagnosed?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7]
웹사이트
How Are Arrhythmias Treated?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8]
웹사이트
Who Is at Risk for an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9]
논문
Epidemiology of atrial fibrillation: European perspective
2014-01-01
[10]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01
[11]
논문
Arrhythmias and sudden cardiac death in the COVID-19 pandemic
2020-06-01
[12]
논문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of sudden cardiac death
2007-01-01
[13]
웹사이트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2-12-27
[14]
서적
Marriott's Practical Electrocardiography
Williams & Wilkins
2001-01-01
[15]
논문
Sudden cardiac death
1998-11-01
[16]
논문
Epidemiology and genetics of sudden cardiac death
2012-01-01
[17]
논문
Epidemiology of sudden cardiac death: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18]
논문
Nationwide study of sudden cardiac death in persons aged 1-35 years
2011-04-01
[19]
논문
Fetal arrhythmias: Diagnosis and management
2019-01-01
[20]
웹사이트
Passing Out (Syncope) Caused by Arrhythmias
https://www.cardiosm[...] [21]
논문
Overview of Basic Mechanisms of Cardiac Arrhythmia
2011-03-01
[22]
논문
Continuous ECG monitoring versus mobile telemetry: A comparison of arrhythmia diagnostics in human- versus algorithmic-dependent systems
2021-12-01
[23]
논문
Multimodal Neural Network for Recognition of Cardiac Arrhythmias Based on 12-Load Electrocardiogram Signals
2023-01-01
[24]
논문
Device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ansesophageal stimulation at reduced pacing current threshold
[25]
논문
Clinical value of transesophageal atrial stimulation and recording in patients with arrhythmia-related symptoms or documented supraventricular tachycardia--correlation to clinical history and invasive studies
1994-10-01
[26]
논문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why does the heartbeat synchronize with respiratory rhythm?
2004-02-01
[27]
논문
Heart rate dynamics in different levels of Zen meditation
2010-11-01
[28]
논문
The mathematical formulation of the problem of conduction of impulses in a network of connected excitable elements, specifically in cardiac muscle
1946-07-01
[29]
논문
Circus movement in rabbit atrial muscle as a mechanism of tachycardia. II. The role of nonuniform recovery of excitability in the occurrence of unidirectional block, as studied with multiple microelectrodes
1976-08-01
[30]
서적
Cardiac Arrhythmias: Their Mechanisms, Diagnosis, and Managemen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
논문
Pro- and antiarrhythmic properties of a diet rich in fish oil
2007-01-01
[32]
간행물
Utilization of Intensive Care Services, 2011
https://www.hcup-u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12-01
[33]
웹사이트
AED Buyer's Guide AED Prices & Comparison
https://www.aedbrand[...] [34]
논문
Drug-induced arrhythmia
2010-10-01
[35]
논문
Osborn waves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Effect of level of temperature management and risk of arrhythmia and death
https://doi.org/10.1[...]
2018-07-01
[36]
웹사이트
用語辞典 サイナス
https://www.kango-ro[...] [37]
웹사이트
サイナス(洞調律)に関して詳しく知りたい
https://kango-oshigo[...] [38]
논문
リスク管理 バイタルサイン
https://doi.org/10.1[...]
理学療法科学学会
[39]
웹인용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an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0]
웹인용
Types of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1]
웹인용
Who Is at Risk for an Arrhythmia?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2]
웹인용
How Are Arrhythmias Diagnosed?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3]
웹인용
How Are Arrhythmias Treated?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7-01
[44]
웹인용
What Is Arrhythmia?
http://www.nhlbi.nih[...]
2011-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